KR20150022552A -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552A
KR20150022552A KR20130100609A KR20130100609A KR20150022552A KR 20150022552 A KR20150022552 A KR 20150022552A KR 20130100609 A KR20130100609 A KR 20130100609A KR 20130100609 A KR20130100609 A KR 20130100609A KR 20150022552 A KR20150022552 A KR 2015002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re
mold
gate
mol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552A/ko
Priority to CN201410407681.3A priority patent/CN104416840A/zh
Publication of KR2015002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The moulding materials being injec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66Feeding multip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캐비티와 형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 하로 직선운동하는 금형코어, 금형코어의 일측에 제1 수지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제1 수지공급부 및 금형코어의 타측에 제2 수지가 공급되도록 제2 수지공급부가 형성되어 설치되는 직상코어를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Crash Pad Of Molding Mechanism}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쉬 패드를 강성이 다른 수지로 이중사출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및 계기류(instrument) 등이 위치되는 차 실내의 전방에는 크래쉬 패드가 장착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깔끔한 느낌을 받도록 해준다.
종래에 이 크래쉬 패드는 한 가지 종류의 합성수지를 금형 내 사출 공법을 통해 제조되었다. 그 후 자동차 조수석에도 에어백이 장착되기 시작하면서 크래쉬 패드 중에서 조수석 에어백이 내장되는 부위에는 에어백의 팽창을 위하여 PAB 도어(Passenger-side AirBag Door)가 레이저 가공된 분리선을 통해 구분되어 형성되었다.
최근에는 2가지 재질의 수지를 동시에 사출하는 이중사출 공법을 통해 PAB 분리선을 포함하여 조수석 에어백 설치되는 영역을 연성이 높은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PAB 도어가 보다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크래쉬 패드가 제조되고 있다.
전체 크래쉬 패드 중에서 PAB 분리선 및 슈트(Chute)을 포함하는 PAB 도어 영역은 에어백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크래쉬 패드를 구성하는 기본 수지와는 다른 수지를 사용하며, 이를 위해 이중사출 공법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크래쉬 패드의 전체를 구성하는 제1 수지로는 강성이 높은 PPF 수지(PolyPropylene Fiber resin)가 많이 사용되고, PAB 도어 영역에 충진되는 제2 수지로는 연성이 높은 TPO 수지(ThermoPlastic Olefinresin)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resin)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종 수지 간의 섞임 현상은 PPF 수지와 TPO 수지가 넓은 지역에서 접촉되는 PAB 도어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조 과정에서 2가지 이종 수지를 사용하게 되면 그 경계 영역에서의 이종 수지간의 섞임 현상이 발생하게 됨을 개선하고자 이종 수지의 흐름 특성을 이용하여 TPO 영역을 최소화하는 크래쉬 패드의 이중사출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에 대하여는, 금형캐비티와 상기 금형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 하로 직선운동하는 금형코어, 상기 금형코어의 일측에 제1 수지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제1 수지공급부 및 상기 금형코어의 타측에 제2 수지가 공급되도록 제2 수지공급부가 형성되어 설치되는 직상코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직상코어는, 상기 금형캐비티를 향한 일측에 터널게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터널게이트가 형성된 직상코어의 타측에 제2 수지공급부가 형성되어, 상기 직상코어에 형성된 런너가 상기 터널게이트와 상기 제2 수지공급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지공급부는 상기 금형코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제1 수지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런너의 일측은 상기 제2 수지공급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터널게이트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이종 재질의 수지의 섞임을 방지해 줌으로써, 분리선의 강도가 규닝하게 적용되어 에어백이 정상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충돌사고 등의 발생으로 에업개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개되어 탑승자의 부상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 공법에 따라 성형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금형코어에 직상코어가 설치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이중사출시 수지의 분사방향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방법에 따라 이중사출시 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직상코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 공법에 따라 성형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금형코어에 직상코어가 설치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이중사출시 수지의 분사방향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과, 도 4는 도 3의 방법에 따라 이중사출시 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직상코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바람직한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인 경우이다.
본 발명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크래쉬 패드를 금형으로 대체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금형캐비티(미도시)와 상기 금형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 하로 직선운동하는 금형코어, 상기 금형코어의 제1 영역에 제1 수지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제1 수지공급부 및 상기 금형코어의 제2 영역에 제2 수지가 공급되도록 제2 수지공급부(34)가 형성되어 설치되는 직상코어(30)을 포함한다.
금형캐비티(미도시)는 성형물의 형상을 가지고, 금형코어가 상기 금형캐비티로 하강한다.
금형코어(40)는 상기 금형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금형캐비티로 하강한다. 상기 금형코어(40)에 제1 수지공급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지공급부는 제1 수지를 공급하도록 금형코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급라인(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공급라인을 통하여 제1 수지가 PAB도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분사된다.
제1 수지는 PPF(Polypropylene Fiber Resin)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수지는 TPO(Thermoplastic Olefin Resiin)수지를 사용하나, 제2 수지는 제1 수지보다 연성의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제1 수지공급부는 상기 금형코어(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급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급라인은 순차적으로 제1 수지를 분사하여 성형물을 사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공급라인은 제1 영역(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복수개의 공급라인은 7개(G1~4, G6~G8)의 공급라인이 형성된다.
제1, 제2, 제3, 제4 공급라인(G1, G2, G3, G4)과 제6, 제7, 제8 공급라인(G6, G7, G8)은 제1 영역(10)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분사된다.
제5 라인(G5)은 직상코어(30)에 형성되어 제2 영역(20)에 제2 수지로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지 및 제2 수지의 분사순서는 제3 라인(G3), 제7 라인(G7), 제5 라인(G5), 제6 라인(G6), 제8 라인(G2), 제2 라인(G2), 제4 라인(G4), 제1 라인(G1) 순서로 분사된다.
제2 수지공급부(34)는 제2 수지가 투입가능하도록 직상코어(3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금형캐비티가 배치된 타측 방향으로 제2 수지공급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직상코어(30)에 런너(32)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지공급부(34)와 연결된다.
직상코어(30)는 상기 금형코어(40)에 설치된다. 상기 금형캐비티를 향한 일측에 게이트(50)가 형성된다. 상기 터널게이트(36)가 형성된 직상코어(40)의 타측에 방향으로 제2 수지공급부(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지공급부(30)에 제2 수지가 투입되고, 성형 후, 성형폼이 방출될 때 상기 게이트(36)를 통하여 자동으로 절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직상코어(30)는 상기 금형코어(40)의 제2 영역(20)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지공급부(30)에서 투입되는 제2 수지는 런너(32)와 게이트(36)를 통하여 제2 영역(20)에 분사되어 성형되고, 성형 후 게이트(36)를 통하여 커팅되어 런너(32)와 게이트(36) 일부는 런너에 의해 밀려 나온다. 이때, 게이트(36)는 터널게이트가 바람직할 것이다.
런너(32)는 상기 금형코어(40)와 상기 직상코어(30)에 캐비티의 수와 배열에 따라 직상코어(30) 속에 배치되고, 둘레면은 최소로 형성되며, 압력 손실에서 단면적이 최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런너(32)의 형상이 직각으로 형성되나 압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36) 및/또는 런너(32)의 폭(T)은 1mm미만으로 형성되어 텐션(Tension)에 의해 취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이중사출에 대하여 그 성형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조작으로 금형코어의 제1 수지공급부와 제2 수지공급부(34)로 제1 수지와 제2 수지가 각각 공급된다.
제1 수지는 제1 수지공급라인을 따라 공급되어 G3, G7, G6, G8, G2, G4, G1 순으로 순차적으로 분사되고, 제2 수지는 G7 다음 순서로 G5에서 공급되어 제2 수지공급라인(34)을 통해 제2 영역(20)으로 분사된다. 제2 수지는 런너(32)를 통하여 게이트(36)로 유동되어, 성형된 후 게이트(36)를 통하여 커팅되어 런너(32)와 게이트(36) 일부는 런너에 의해 밀려 나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제1 영역 20: 제2 영역
30: 직상코어 40: 금형코어

Claims (4)

  1. 금형캐비티;
    상기 금형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 하로 직선운동하는 금형코어;
    상기 금형코어의 제1 영역에 제1 수지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제1 수지공급부; 및
    상기 금형코어의 제2 영역에 제2 수지가 공급되도록 제2 수지공급부가 형성되어 설치된 직상코어;을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상코어는,
    상기 금형캐비티를 향한 측에 게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가 형성된 직상코어의 타측에 제2 수지공급부가 형성되어,
    상기 직상코어에 형성된 런너가 상기 게이트와 상기 제2 수지공급부를 연결하는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공급부는 상기 금형코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제1 수지가 분사되는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일측은 상기 제2 수지공급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게이트와 연결되게 형성된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KR20130100609A 2013-08-23 2013-08-23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KR20150022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609A KR20150022552A (ko) 2013-08-23 2013-08-23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CN201410407681.3A CN104416840A (zh) 2013-08-23 2014-08-19 防震垫成型方法及利用该方法制作的防震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609A KR20150022552A (ko) 2013-08-23 2013-08-23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52A true KR20150022552A (ko) 2015-03-04

Family

ID=5296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609A KR20150022552A (ko) 2013-08-23 2013-08-23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22552A (ko)
CN (1) CN104416840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07B1 (ko) * 2006-11-24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패드 및 그 성형방법
KR20090046119A (ko) * 2007-11-05 2009-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쉬 패드 이중 사출성형 시스템 및 방법
KR100968823B1 (ko) * 2008-06-20 2010-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지 제품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013911B1 (ko) * 2008-10-08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크래쉬 패드 및 그 제조장치
KR101172211B1 (ko) * 2010-12-03 2012-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크래쉬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16840A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9764B2 (ja) 二重射出によるクラッシュパッド製造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2835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523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US8388020B2 (en) Inflatable multilayer bols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664673B1 (ko) 수지 제품 제조 장치 및 방법
US7967330B2 (en) Crash pad for automotive interi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90774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JP671339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ドア及びハウジング一体型クラッシュパッド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172211B1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크래쉬 패드
KR101718689B1 (ko) 에어백 커버 장치
KR20100125861A (ko) 차량용 조수석의 에어백 도어 결합구조
EP3730354B1 (en) Airbag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irbag system
JP5112654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5562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JP4569272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22552A (ko) 크래쉬 패드의 성형장치
KR100986529B1 (ko) 차량의 크래쉬패널 및 그 성형방법
US575006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bag cover
KR100828607B1 (ko) 차량용 크래쉬패드 및 그 성형방법
KR20090062127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KR102092067B1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장치 및 방법
JP2011104799A (ja) 発泡成形品の成形装置
KR101745305B1 (ko) 에어백 도어의 힌지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00134473A (ko) 인비저블 에어백 장치
KR20130019855A (ko) 에어백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