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685A -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685A
KR20150021685A KR20130098952A KR20130098952A KR20150021685A KR 20150021685 A KR20150021685 A KR 20150021685A KR 20130098952 A KR20130098952 A KR 20130098952A KR 20130098952 A KR20130098952 A KR 20130098952A KR 20150021685 A KR20150021685 A KR 2015002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point
porous material
low melting
fiber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7195B1 (en
Inventor
한진희
Original Assignee
한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희 filed Critical 한진희
Priority to KR1020130098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195B1/en
Publication of KR2015002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1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78Surface coating material on a layer of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68The layers being joined by heat or melt-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08Poro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s and, more specifically, a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mpris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gaseous filter by using fiber materials whose melting point is lower instead of using an adhesive and which has porous materials in a stable manner without using a specific type bubble papers, thereby resolving the problem that the porosity of porous materials are blocked in an existing method of laminating porous materials with use of an adhesive, leading to a good efficiency in an aspect of cost and process without using a specific composite thread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seous filter comprises steps of i) manufacturing a mixture by mixing porous materials with fibers whose melting point is lower; ii) scattering the mixture on a first bubble paper; iii) laminating a second bubble paper on the first bubble paper on which the mixture is scattered; and iv) connecting the laminated first bubble paper and second bubble paper with use of heat fusion.

Description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기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filter using a porous material,

본 발명은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기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접착제 대신에 저융점의 섬유물질을 사용하여 기체 필터를 제조하되, 특정한 형태의 기포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다공성 물질이 안정적으로 내재되는 기체필터를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다공성 물질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하는 방식의 문제점인 다공성 물질의 기공을 막는 것을 극복함과 아울러, 특정 복합원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적 측면의 효율과 공정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기체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기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filter using a porous material, and a gas filter is manufactured using a fiber material having a low melting point in place of an adhesive, and a gas filter in which a porous material is stably contained even without using a specific type of bubble paper is manufactured ,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blocking pores of a porous material, which is a problem of a conventional method of laminating a porous material by using an adhesive,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a gas that can achieve cost efficiency and process efficiency without using a specific composite yarn And a gas filter according to the method.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분진을 포함하는 배출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그러한 배출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은 집진장치를 거치면서 배출가스 허용기준치에 부합하는 정도로 분진이 제거된 상태의 기체만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진다. 여과에 의해 공기를 청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기체 필터이며 기체 필터는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과 집진 장치에 사용되어 공기 중의 분진을 흡착 또는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체필터는 그 용도 분야가 매우 넓다. 자동차 엔진용 또는 공조용 기체필터는 공기에 섞여있는 먼지 등의 분진을 걸러주어 엔진 효율이나 청정 효율을 증진시기기 위하여 채용되고, 그외, 발전서 가스터빈 필터, 반도체 에어 필터, 가정용 공기청정기용 필터 등 산업의 발달과 생활위생 인식 수준의 제고에 부응하여 기체 필터의 용도 및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In various industrial sites, exhaust gas containing dust is generated, and dust and the like contained in such exhaust gas are exhausted to the atmosphere only through the dust-removing apparatus, . A gas filter is used to purify the air by filtration, and a gas filter is used in a filtration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used for removing fine dust to adsorb or adhere dust in the air. Such gas filters are widely used. A gas filter for an automobile engine or an air-conditioning system is adop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cleanliness efficiency of the engine by filtering dust such as dust mixed with the air. In addition, a filter for a gas turbine filter, a semiconductor air filter, The use of gas filters and the market are increasing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life hygiene.

이와 같은 기체필터는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초기의 단순한 구조에서부터 출발하여 그 층 구조, 결합방법, 소재면에서 꾸준히 다양화되고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멜트브라운, 스펀 본딩, 니들 펀칭과 같이 전통적인 부직포 제조 공정을 통해 얻어진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섬유상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의 경우 높은 통기도를 지니고 있어 집진효율은 낮지만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도가 낮기 때문에 차압에 의한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분진 제거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흡착 등을 위해 다공성 물질(공극을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형태의 것들이 발전되어 왔다. IUPAC 정의에 따라 공극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미세공극은 2 nm미만이며, 중간공극은 직경이 2 내지 50 nm, 대공극은 직경이 50 nm초과이다. 이러한 공극을 가지는 다공성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열전도가 낮아 단열재로 사용되거나, 음 소거능이 있어 음향 흡수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높은 다공도와 비표면적으로 인해 유해기체들의 흡수 재료로도 유용하다.
Such a gas filter has been widely used in nonwoven fabrics. However, starting from an initial simple structure, the gas filter has been steadily diversified and developed in terms of its layer structure, bonding method, and material. Nonwoven fabrics made of fibers of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obtained through conventional nonwoven fabrication processes such as melt-blown, spunbonding, and needle punching have high air permeability, low dust collection efficiency but low resistance to airflow,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essure loss due to the pressure.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dust removal, there has been developed a type including a porous material (material containing voids) for adsorption of toxic substances and the like. According to IUPAC definition, voids are classified as follows. The micropores are less than 2 nm, the intermediate pores are 2 to 50 nm in diameter, and the pores are greater than 50 nm in diameter. When porous materials having such voids are used, they may be used as an insulating material due to low thermal conductivity, or may be used as acoustic absorbing materials due to their sound-canceling ability, but they are also useful as absorbing materials for harmful gases due to their high poros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다공성 물질의 예로는 활성탄, 에어로겔 등을 들 수 있으며, 에어로겔이 대표적이다. 한편, 다공성 물질이 섬유웹에 적층되거나 결합되는 방식에 있어서 몇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다공성 물질을 함유하는 시트 형태는 섬유 또는 섬유웹에 졸 상태의 에어로겔 전구체 용액을 함침하고 겔화반응을 섬유웹 내부에서 진행하여 습윤겔을 제조한 후 초임계 건조를 통하여 에어로겔-섬유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겔화 및 초임계 건조 등 에어로겔 제조에서 요구되는 공정이 섬유/섬유웹상에서 행하여지므로 공정상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생산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초임계 장비는 간단한 것도 100 기압의 고압을 사용하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크기를 키우는 경우 공정 설비가격은 현저히 상승한다. 그외에도 섬유속에 함침되어 있는 습윤겔의 건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Examples of the porous material include activated carbon, aerogels and the like, and aerogels are representative. On the other hand, several approaches have been used in the manner in which the porous material is laminated or bonded to the fibrous web. The sheet form containing the porous material may be prepared by impregnating a fiber or fiber web with a solution of an aerogel precursor in a sol state and proceeding the gelation reaction inside the fiber web to prepare a wet gel and then preparing an airgel- . This method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process required in aerogel production such as gelation and supercritical drying is carried out on a fiber / fiber web, and thus the production cost is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difficulty in the process. For example, the supercritical equipment uses a high pressure of 100 atm for simplicity, and the price of process equipment increases significantly when the siz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In addition, it takes much time to dry the wet gel impregnated in the fibers.

이를 극복하기 위해 건식방식도 도입되었다. 기포지로 사용하는 섬유웹상에 그 위로 다공성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를 바인더(접착제)로 사용하여 다공성물질-고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 방식이나, 또는 섬유웹 자체가 바인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섬유웹 자체가 낮은 융점 영역과 높은 융점 영역을 갖는 이성분계 섬유를 사용하여 다공성 물질을 그 사이에 합지하는 방식이 있다.
A dry method was also introduced to overcome this. A method of forming a porous material-polymer composite by using a porous material and a thermoplastic resin as a binder (adhesive) on a fiber web used as a foam paper, or a method of forming a porous material- There is a method of laminating a porous material therebetween by using a bicomponent fiber having a high melting point region and a high melting point region.

복합체를 형성하는 방식에서는 대개가 열가소성 수지가 바인더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공성 물질의 융착 시 열가소성 바인더에 의해 나노기공성이 막히게 되어 다공성 물질을 사용하는 의미를 잃게 되는 문제가 있는데, 비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물질의 특성상 그 정도가 상당히 심각해진다. 특히 액상바인더의 형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라면 비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물질이 바인더를 많이 흡수하므로 다공성 물질의 충진율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the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thermoplastic resin is usually used as a binder. Therefore, when the porous material is fused, the thermoplastic binder clogs the nanoporous material and loses its meaning of using the porous material. The degree of such a phenomenon becomes considerably serious. Particularly, when a liquid binder is used, the porous material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bsorbs a large amount of the binder, so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filling rate of the porous material.

이성분계 섬유를 사용하는 형태는 저융점 영역과 고융점 영역을 지니고 있는 복합섬유의 형태이다. 복합섬유는 두 종류 이상의 다른 고분자 재료를 동일 방사구로부터 압축하여 제조되는데 단면은 두 성분이 2층으로 나뉘어 접합된 구조를 보인다. 복합섬유의 대표적 형태가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 시스-코어 형태 등이 있다. 복합섬유로 만든 섬유웹상에 다공성 물질을 적층하고 그 위로 다시 복합섬유의 섬유웹을 적층하고 이를 열 압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의 경우 기포지 제작시의 원가상승이 매우 크며, 복합섬유의 섬유웹의 제조공정 또한 복잡하여 문제점이 많다.
Forms using bicomponent fibers are in the form of composite fibers having a low melting point region and a high melting point region. The composite fiber is produced by compressing two or more different polymer materials from the same spinneret. The cross section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two components are spliced into two layers. Representative forms of conjugated fibers include side-by-side form, cis-core form, and the like. A method of laminating a porous material on a fiber web made of a composite fiber, laminating a fibrous web of the composite fiber on the web, and thermocompressing the fiber web is used. In this method, cost increase during fabrication is very large and fabrication process of fiber web of composite fiber is also complicat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건식방식을 채택하되, 종래의 건식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이를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dopts a dry method, which is accomplished b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ry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공성 물질의 기공성이 유지되고, 다공성 물질이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다공성 물질이 충분한 양으로 충진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성이 증대된 기체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기체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ous porous membrane which can maintain the porosity of the porous porous body, firmly deposit the porous porous body, fill the porous porous body with a sufficient amou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creased gas filter and a gas filter according to the method.

이를 위한 본 발명은, ⅰ)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을 제 1 기포지 위로 스캐터링하는 단계; ⅲ) 상기 혼합물이 스캐터링된 제 1 기포지 위로 제 2 기포지를 합지하는 단계; ⅳ) 합지된 제 1 기포지와 제 2 기포지를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필터의 제조방법이다.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fiber, comprising: i) mixing a porous material and a low melting point fiber to form a mixture; Ii) scattering the mixture over a first pre-purge; Iii) laminating the second bubble onto the scattered first bubble; And iv) thermally fusing the first base porcelain and the second base fabric to each other.

상기 저융점 섬유는 1 내지 4 mm로 절단되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공성 물질은 활성탄, 크세로겔 및 에어로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혼합물은 다공성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융점 섬유 30 내지 6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are cut to 1 to 4 mm, and the porous material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ivated carbon, xerogel, and airgel, and the mixtur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rous material And 3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상기 기포지는 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고 부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제 1 기포지와 제 2 기포지는 서로 동종을 사용하거나 이종인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포지와 제 2 기포지는 동종의 기포지이며, 상기 저융점 섬유는 기포지와 동종의 단섬유 형태의 저융점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amed woven fabric may be used or a nonwoven fabric may be used, and the first bubble and the second bubble may be of the same kind or may be used in a heterogeneous form. Preferably, the first bulge and the second bulge are the same kind of bulge, and the low melting point fiber is preferably a low melting point fiber of the same kind as the bul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기체 필터이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s filter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본 발명은 절단된 형태의 저융점 섬유를 사용하고 종래의 바인더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아, 접착시 열가소성 수지가 다공성 물질의 기공 내로 들어가 기공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다공성 물질의 높은 표면적으로 인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다공성 물질의 충진율을 높일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종래의 복합섬유의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의 복잡성과 경제적 효율성의 문제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공정의 효율성을 충분히 달성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포지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목적의 필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ut-formed low-melting-point fiber and does not use a thermoplastic resin used as a conventional bind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rmoplastic resin from entering the pores of the porous material during bonding and lowering the porosity, The problem that the packing ratio of the porous material can not be increased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is used can be solved. Further, it has an effect of sufficiently achieving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without causing the problem of complex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type of composite fib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filter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filters of various purposes.

도 1은 기포지위로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가 스캐터링 되는 개념을 설명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제조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illustrates the concept of porous material and low melting point fibers being scattered in a bubble state,
Fig. 2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overal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기체필터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인 분진 제거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흡착 등을 위해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형태의 것이다.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형태의 것은 높은 다공도와 비표면적으로 인해 유해기체들의 흡수에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공극을 가지는 다공성 물질로 인해 열전도도가 낮아 단열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음 소거능도 뛰어나기 때문에 기체 필터로의 사용시 다양한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filter, and includes a porous material for not only basic dust removal but also adsorp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addition to being highly useful for absorbing harmful gases due to their high poros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the porous material having a porous material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due to porous materials having voids, There are various advantages when used as a gas filter.

도 1은 기포지위로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가 스캐터링 되는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를 잘 섞어서 혼합하고 이를 기포지위로 균일하게 뿌려준다. 이러한 뿌려주는 행위를 스캐터링이라 한다. 다공성 물질은 활성탄의 형태이거나 크세로겔 내지 에어로겔의 형태일 수 있으며, 크세로겔이나 에어로겔은 건조겔의 형태를 사용한다. 크세로겔은 전형적으로 주위 압력 조건하에서 증발, 건조 단계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모놀리식 내부 구조를 가지며 이는 60 내지 90%의 기공율을 갖는 저밀도 포말과 유사하다. 에어로겔은 초임계 건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데, 건조 단계 동안 크세로겔 만큼 수축하지는 않고 이에 따라 더 낮은 밀도(더 높은 기공율)을 갖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 특성과 흡착성을 고려하여 탄소질의 크세로겔 또는 탄소질의 에어로겔도 바람직하다. 방향족 알코올과 알테히드의 수성 중축합에 의해 크세로겔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 등은 공지사항으로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즉, 상기 언급한 다공성 물질은 제품으로 공급되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세로겔이 사용되는 경우, 크세로겔은 중간 공극의 형태의 비중을 높이기 용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다공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입장에서 채택가능한 다양한 것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ig. 1 illustrates the concept that porous material and low melting point fibers are scattered in a bubble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material and the low-melting-point fiber are mixed well and mixed and uniformly sprayed in the bubble state. This act of sprinkling is called scattering. The porous material may be in the form of activated carbon or in the form of xerogels or aerogels, and the xerogels or aerogels may be in the form of dry gels. Xerogels are typically formed using the evaporation and drying steps under ambient pressure conditions and generally have a monolithic internal structure similar to low density foams having a porosity of 60 to 90%. Aerogels can be produced using methods such as supercritical drying, which do not shrink as much as x-gel during the drying step and thus tend to have lower densities (higher porosit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rbonaceous xerogel or carbonaceous airgel is also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adsorptivity. The xerogels can be obtained by aqueous polycondensation of aromatic alcohols and aldehydes, and such methods are omitt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gist of the invention. That is, the above-mentioned porous material is supplied as an article. More preferably, when a xerogel is used, the xerogel can be more effective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can easily increas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hape of the intermediate void. The porous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ones that can be adopted from the view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저융점 섬유는 복합사 형태로 공급되는 것들과, 일반 섬유형태를 방사할 때 여러 물질을 조합하여 단섬유화하여 융점을 낮추는 형태의 것들이 존재한다. 복합사 형태의 것은 일반 수지를 코어(core)로 저융점 수지를 시이쓰(Sheath)로 하여 복합방사하는 방식이나, 점도나 성분이 다른 두 방사원액을 복합방사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side by side) 형태로 하거나, 매트릭스화 (matrix-fibril)하는 형태들이 있다. 복합사 형태의 것들을 직조하거나 부직조하여 섬유웹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절단하여 저융점 섬유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 단섬유 형태의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는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염화비닐을 적절히 혼합하여 섬유를 만드는 경우 통상적인 프로필렌의 용융점인 160 ℃ 이상이나, 염화비닐과의 혼합을 통해 100 ℃ 이하로 낮출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의 경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을 산성분으로 하고,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을 디올 성분으로 중합되고 중합도를 낮추면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저융점 섬유는 제품으로 공급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저융점 섬유의 융점은 당연히 기포지의 연화점보다는 낮아야 한다.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are those which are supplied in the form of a composite yarn and those in which a melting point is lowered by forming a short fiber by combining various materials when spinning a general fiber form. The compound yarn is a composite yarn in which a common resin is used as a core and a low melting point resin is used as a sheath. The two yarns having different viscosities and different compositions are combined to spin side by side, Or in a matrix-fibrillated form. Composite yarns may be cut and used in the form of low melting point fibers, rather than being made by weaving or weaving fabrics webs. And there are several short fiber types. For example, in the production of polypropylene staple fibers, when fibers are made by properly mixing vinyl chloride with a conventional polypropylene resin, the melting point of propylene is 160 ° C or higher, but lower than 100 ° C through mixing with vinyl chloride have. In the case of a polyester type, polyester staple fibers having a low melting point can be produced by using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as acid components and eth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as diol components and lowering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These low melting point fibers are being supplied as produc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lting point of the low melting point fiber should be lower than the softening point of the prepreg.

저융점 섬유는 머리카락과 같은 두께의 섬유로 제공되고, 이를 길이 1 내지 4 mm정도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융점 섬유는 다공성 물질과 고정하고, 또한 기포지와의 합체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다공성 물질과 기포지를 접착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너무 작은 경우 이를 달성하기 어렵고 또한 너무 크면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mm정도이며, 이 경우 더욱 특성이 좋아진다. 저융점 섬유와 다공성 물질은 잘 섞어서 혼합물의 형태를 만든다. 혼합이 잘 이루어져야 균일도가 보장되므로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련한 후에 호퍼를 사용해 기포지에 스캐터링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포지(10)위로 호퍼(20)를 통해 혼합물을 뿌려준다. 원형태의 것은 다공성 물질을 표현한 것이며, 삼각형 형태의 것은 저융점 섬유를 표현한 것이다.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are provided as fibers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hair, and it is preferable to cut them to a length of about 1 to 4 mm. The low melting point fiber is used to fix the porous material and to coalesce with the porous material, and thus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low melting point fiber because it has the function of bonding the porous material and the foam material, and if too small, it can act as an obstacle. More preferably about 2 to 3 mm, in which case the characteristics are further improved.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and the porous material mix well to form the mixture. Mixing should be done well to assure uniformity, so after sufficiently kneading in mixer, use hopper to scatter to bubble paper. As shown in FIG. 1, the mixture is sprayed onto hopper 10 through hopper 20. The circular shape represents a porous material, and the triangular shape represents a low melting point fiber.

도 2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제조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1 기포지(11)는 제 1 권취롤(30)에 감겨져 있고 이를 통해 공급된다. 호퍼(20)에는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가 혼합된 혼합물이 담겨져 있고, 이동하는 제 1 기포지(11)위로 일정하게 스캐터링하게 된다. 제 2 권취롤(40)에는 제 2 기포지(12)가 감겨져 있고, 혼합물의 스캐터링 후에 그 위로 합지된다. 합지된 후에는 열융착 롤러(50)에 의해 열공급과 압착이 이루어진다. 저융점 섬유의 융점 이상으로 열을 가하고 압착하여 기포지들을 합체시킨다. 기포지들 사이에는 다공성 물질이 균일하게 안착되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정리하면 ⅰ)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을 제 1 기포지 위로 스캐터링하는 단계; ⅲ) 상기 혼합물이 스캐터링된 제 1 기포지 위로 제 2 기포지를 합지하는 단계; ⅳ) 합지된 제 1 기포지와 제 2 기포지를 열융착하는 단계; 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Fig. 2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overal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imer 11 is wound on the first winding roll 30 and supplied thereto. The hopper 20 contains a mixture of the porous material and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and is constantly scattered over the moving first bulge 11. The second take-up roll 40 is wound with the second provisional bulge 12 and is laminated thereon after scattering of the mixture. After laminating, heat supply and pressure bonding are performed by the heat fusion roller 50. Heat is applied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low-melting-point fiber, and the low-melting-point fiber is pressed to coalesce the bubble fibers. Porous materials are uniformly seated between the bubbles. This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i) mixing a porous material and a low melting point fiber to form a mixture; Ii) scattering the mixture over a first pre-purge; Iii) laminating the second bubble onto the scattered first bubble; Iv) thermally fusing the laminated first and second base paper; .

한편,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의 혼합비율은 기체필터의 용도, 두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부착력과 기공성 등을 고려한 경우, 다공성 물질 100 중량부에 저융점 섬유 30 내지 6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융점 섬유가 너무 적은 경우 저융점 섬유가 발휘하는 부착력이 부족할 수 있고, 너무 많은 경우 다공성 물질의 기능성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한 비율의 경우, 대략적으로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가 7 : 3의 w%정도이며 이는 다공성 물질 100 중량부 기준으로 저융점 섬유 43 중량부 정도의 비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ixing ratio of the porous material and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 thickness, etc. of the gas filter. In consideration of adhesion and porosity, it is preferable to mix the porous material in a ratio of 30 to 60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rous material. If the low melting point fiber is too small, the adhesion force exhibited by the low melting point fiber may be insufficient, and if too much, it may be difficult to exhibit the functionality of the porous substance. In the preferred ratio, the porous material and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are approximately 7% w / w and the ratio of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is about 43%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porous material.

본 발명에서는 기포지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가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물질의 함침한 형태는 부직포의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부직포이거나, 융점이 다른 섬유가 섞여 있는 부직포의 형태가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는 물론 직포 형태의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기포지와 제 2 기포지가 다른 종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융점 섬유는 제 1기포지나, 제 2기포지와 유사종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섬유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부착력을 더욱 높이는데 용이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기포지와 제 2 기포지가 동종의 형태이고, 저융점 섬유도 기포지와 융점이 다른 동종의 물질로 만들어진 것이 부착력의 측면에서 좋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a wide variety of shapes can be used as a base paper. In general, the impregnated form of the porous material is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having a general type of nonwoven fabric or a mixture of fiber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oven fabric as well as a nonwoven fabric can be used. Further, a different kind of the first primer and the second base may be used. And the low melting point fiber is easily formed in the form of a short fiber composed of the first bubble or a material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bubble. More preferably, the first bulge and the second bulge are of the same type, and the low melting point fiber is made of a homogeneous material having a melting poi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bulg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한 기체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체필터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시트의 부착 내지 추가적인 기능성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체 필터의 경우, 대형 공조기에 사용되거나 공장의 집진 설비에 사용되는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as filter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gas filter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are possible, and additional sheet attachment or additional functional addition will be possible. In the case of the gas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gas filter is used in a large air conditioner or in a dust collecting facility of a factory.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범위는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지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와 범위 및 그 등가적 개념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를 본 발명의 범위로 포함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10 : 기포지
11 : 제 1 기포지
12 : 제 2 기포지
20 : 호퍼
30, 40 : 각각 제 1 권취롤, 제 2 권취롤
50 : 열융착 롤러
10: Supporting paper
11: First Forge
12: Second Forge
20: Hopper
30, 40: a first take-up roll, a second take-up roll
50: heat fusion roller

Claims (7)

ⅰ) 다공성 물질과 저융점 섬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을 제 1 기포지 위로 스캐터링하는 단계;
ⅲ) 상기 혼합물이 스캐터링된 제 1 기포지 위로 제 2 기포지를 합지하는 단계;
ⅳ) 합지된 제 1 기포지와 제 2 기포지를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필터의 제조방법.
I) mixing the porous material with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to form a mixture;
Ii) scattering the mixture over a first pre-purge;
Iii) laminating the second bubble onto the scattered first bubble;
And iv) thermally fusing the first base porcelain and the second base fabric that are joined toge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섬유는 1 내지 4 mm로 절단되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 melting point fibers are cut to 1 to 4 m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활성탄, 크세로겔 및 에어로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ous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ivated carbon, xerogels, and aeroge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공성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융점 섬유 30 내지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xture is 30 to 60 parts by weight of low melting point fibers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rous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서, 제 1 기포지와 제 2 기포지는 서로 동종이거나 이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amed woven or non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bubbles are homogenou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포지와 제 2 기포지는 동종의 기포지이며, 상기 저융점 섬유는 기포지와 동종의 단섬유 형태의 저융점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bulge and the second bulge are the same kind of bulge, and the low melting point fiber is a low melting point fiber of the same kind as the bulge.
제 1항 내지 제 6항의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기체 필터.
A gas filter produced by a process selected from the processes of claims 1 to 6.
KR1020130098952A 2013-08-21 2013-08-21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 KR101557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952A KR101557195B1 (en) 2013-08-21 2013-08-21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952A KR101557195B1 (en) 2013-08-21 2013-08-21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685A true KR20150021685A (en) 2015-03-03
KR101557195B1 KR101557195B1 (en) 2015-10-02

Family

ID=5301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952A KR101557195B1 (en) 2013-08-21 2013-08-21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19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862A (en) 2018-09-11 2020-03-19 김종길 Multi-layered filter elemen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481997A (en) * 2020-04-21 2020-08-04 广东宝泓新材料股份有限公司 Manufacturing method of stiff nonwoven filter material
KR102491115B1 (en) * 2021-12-06 2023-01-20 주식회사 플러스 Bag filter composition containing aerog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862A (en) 2018-09-11 2020-03-19 김종길 Multi-layered filter elemen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481997A (en) * 2020-04-21 2020-08-04 广东宝泓新材料股份有限公司 Manufacturing method of stiff nonwoven filter material
KR102491115B1 (en) * 2021-12-06 2023-01-20 주식회사 플러스 Bag filter composition containing aero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195B1 (en)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034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nanofibers and nanofiber webs
JP6141836B2 (en) Non-woven electret fiber web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283106A (en) Nonwoven material of two or more layers, in particular with long-term filter properties and manufacture thereof
JP66124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sheet including airgel sheet
US4961974A (en) Laminated filters
US9689096B2 (en) Composite non-woven fibrous webs having continuous particulate phas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4944540B2 (en) FILTE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SE METHOD
JP20200789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heet comprising aerogel sheet
CN104841204A (en) Filter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ilter unit
JP2012512731A (en) Improved filter media with nanoweb layers
TW201402900A (en) Non-woven fibrous sheet as well a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ilter
JP6660035B2 (en) Laminated sound absorbing material
KR101557195B1 (en) Gaseous filter using porous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of
JP4719081B2 (en) Wet-heat adhesive composite fiber and filler-fixed fiber, fiber structure
JP2019074751A (en) Sound absorbing material
JP4959985B2 (en) Gas adsorbent
JPWO2018174176A1 (en) Charged filter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charged filter medium
JP2024026107A (en) Wet type non-woven filtration medium having high bursting strength, and method for generating the same
WO2020244611A1 (en) Automobile air conditioner filter material having voc filtering function and process therefor
JP6099330B2 (en) filter
KR2012002863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sulated nonwoven fabric with aerogel
JP2006021189A (en) Gas adsorbent
JP2006214052A (en) Fiber structural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filler-stuck fiber
JP2019155244A (en) Laminate charge filter medium
WO2019026798A1 (en) Laminated acoustic absorp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