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487A - 영상송신장치, 영상송신방법 및 영상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송신장치, 영상송신방법 및 영상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487A
KR20150021487A KR1020147000826A KR20147000826A KR20150021487A KR 20150021487 A KR20150021487 A KR 20150021487A KR 1020147000826 A KR1020147000826 A KR 1020147000826A KR 20147000826 A KR20147000826 A KR 20147000826A KR 20150021487 A KR20150021487 A KR 2015002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program
information
virtu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키 오가와
히로시 야하타
도루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2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재생장치에 다양한 전송경로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애디셔널 뷰 영상에 대한 전송경로를 인식시켜서 3D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도록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를 제공한다.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로,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과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채널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으로 영상과 가상채널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복수의 영상에는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 중 일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영상을 송신하는 가상채널의 정의정보에는 3D영상을 구성하는 타방의 영상의 전송형태를 나타내는 전송형태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영상송신장치, 영상송신방법 및 영상재생장치{IMAGE TRANSMISSION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PLAYBACK DEVICE}
본 발명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규격에 준해 3D영상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북미에서 ATSC 규격에 의거한 디지털 방송파를 이용한 2D영상의 방송을 하고 있다(비 특허문헌 1~8 참조). 한편, 영화관에서는 3D영상에 의한 영화가 상영되고, 가정 내에서도 Blu-ray Disc(등록상표)등을 이용함으로써 3D영상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시청자가 3D영상에 접할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방송에 의해서도 3D영상을 시청하고 싶다는 요망이 강해지고 있다.
비 특허문헌 1 : ATSC Standard A/53, Part 1 : 2009, Digital Television System, 2009년 8월 7일 발행 비 특허문헌 2 : ATSC Standard A/53, Part 2 : 2011, RF/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stics, 2011년 12월 15일 발행 비 특허문헌 3 : ATSC Standard A/53, Part 3 : 2009, Service Multiplex and Transport Subsystem Characteristics, 2009년 8월 7일 발행 비 특허문헌 4 : ATSC Standard A/53, Part 4 : 2009, MPEG-2 Video System Characteristics, 2009년 8월 7일 발행 비 특허문헌 5 : ATSC Standard A/53, Part 5 : 2010, AC-3 Audio System Characteristics, 2010년 7월 6일 발행 비 특허문헌 6 : ATSC Standard A/53, Part 6 : 2010, Enhanced AC-3 Audio System Characteristics, 2010년 7월 6일 발행 비 특허문헌 7 : ATSC Standard A/65, 2009 :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For Terrestrial Broadcast And Cable, 2009년 4월 14일 발행 비 특허문헌 8 : ATSC Standard A/71 : 2012, ATSC Parameterized Services Standard, 2012년 12월 3일 발행
그러나 3D영상은 베이스 뷰 영상(base-view video image)과 애디셔널 뷰 영상(additional-view video image)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1개의 영상으로 구성되는 2D영상과는 다르다. 현재의 ATSC 규격은 2D영상의 송수신을 전제로 한 것이며, 3D영상의 송수신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상재생장치에 1개의 전송경로로부터 1개의 영상(베이스 뷰 영상)을 수신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전송경로를 더 인식시켜서 수신하도록 하여 양 영상으로부터 3D영상을 재생시킬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영상재생장치에서 베이스 뷰 영상과는 다른 전송경로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애디셔널 뷰 영상에 대해서도 전송경로를 인식해 3D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 영상송신방법 및 3D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영상송신장치는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로, 복수의 가상채널(virtual Channel)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과 상기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채널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에 의해 영상과 상기 가상채널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에는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 중 일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영상을 송신하는 가상채널의 정의정보에는 상기 3D영상을 구성하는 타방의 영상의 전송형태를 나타내는 전송형태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3D영상을 수신하기 위해 가상채널을 선택할 때에 정의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일방의 영상의 전송경로와 타방의 영상의 전송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방의 영상과 타방의 영상이 서로 다른 전송경로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도 영상재생장치에서 양 영상을 취득하여 3D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송수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3D영상의 구성형태의 일람표를 기재한 도면,
도 3은 MGT, VCT 및 EIT의 상호 관련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MG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VC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3D-program-info-descriptor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3D-service-location-descriptor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EI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2D-3D-relationship-descriptor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영상송신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의 (a)는 부호화부 선택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상류처리부 선택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영상재생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영상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
도 15는 EPG 작성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6은 EPG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영상재생장치에서의 영상 재생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8] 3D영상 표시로부터 2D영상 표시에의 전환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9는 2D영상 표시에서 3D영상 표시로의 전환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ES-location-info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EIT에서의 event-id 값의 결정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2D-3D-linkage-info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전자프로그램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pop-up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전자프로그램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전자프로그램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MGT, VCT 및 EIT의 개요 및 이들의 관련을 기재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관한 MGT, VCT 및 EIT의 개요 및 이들의 관련을 기재한 도면,
도 29는 MPEG4 MVC 방식에 의해 3D영상을 부호화하는 처리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송수신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 송수신시스템(100)은 종래의 ATSC 규격을 확장한 확장 ATSC 규격에 의거하여 2D영상 및 3D영상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ATSC 규격을 확장하고 있는 것은 종래의 ATSC 규격은 2D영상의 송수신을 전제로 한 것이며,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for Terrestrial Broadcast and Cable) 정보에는 3D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기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확장 ATSC 규격에서는 ATSC 규격 중 PSIP 정보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PSIP 규격(ATSC Standard A/65 : 2009,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for Terrestrial Broadcast and Cable(PSIP), 2009년 4월 14일 발행)을 3D영상의 송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 이하, 확장된 PSIP 규격을 「확장 PSIP 규격」이라고 한다. 또, 확장 ATSC 규격은 종래의 ATSC 규격에 대해 상위 호환성을 갖도록 확장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영상 송수신시스템(100)은 2D영상 및 3D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110), 2D영상 및 3D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120) 및 2D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송신장치(110)는 확장 ATSC 규격에 의거하여 2D영상 및 3D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이다.
영상재생장치(130)는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송신되는 2D영상 및 3D영상 중 2D영상을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하여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이다. 영상재생장치(130)는 확장 ATSC 규격을 해석할 수 없으며, 3D영상의 재생은 실시하지 않는다. 여기서, 영상송신장치(110)에 의해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영상재생장치(영상재생장치(130) 등)가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부호화되어 방송되는 2D영상을 「레거시 2D영상(legacy 2D video image)」이라고 한다. 또, 종래의 ATSC 규격 및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하여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일례로 영상재생장치(130))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재생장치(120)는 확장 ATSC 규격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영상재생장치이다. 영상재생장치(120)는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송신되는 2D영상 및 3D영상을 확장 ATSC 규격에 의거하여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영상 송수신시스템(100)에서의 3D영상 및 PSIP 정보에 관한 설명을 하고, 다음에 영상 송수신시스템(100)의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1. 3D영상의 제공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의 3D영상의 제공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3D영상의 제공형태는 구성형태와 전송형태에 의해 규정된다.
<1. 1. 구성형태>
도 2는 3D영상의 구성형태의 일람표를 기재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3D영상의 구성형태에는 「프레임 호환」, 「서비스 호환 : 공용」, 「서비스 호환 : 독립 3D」 및 「서비스 비 호환」의 4 종류의 형태가 있다.
프레임 호환은 주지의 형식인 Side By Side 형식, Top & Bottom 형식 등과 같이 3D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을 레거시 2D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호환성이 있는 형식으로 부호화하는 형태이다.
서비스 호환은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한 것으로 레거시 2D영상의 재생에 대해서도 가능하도록 3D영상을 부호화해 송신하는 형태이며, 「서비스 호환 : 공용」, 「서비스 호환 : 독립 3D」의 2형태로 대별된다.
「서비스 호환 : 공용」은 레거시 2D영상을 하나의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베이스 뷰 영상)으로서 사용하며, 이 베이스 뷰 영상에 대응하는 타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애디셔널 뷰 영상)을 별도 송신을 위해 준비하는 형태이다. 일례로 베이스 뷰 영상은 3D영상을 구성하는 좌측 눈 영상이며, 애디셔널 뷰 영상은 이 3D영상을 구성하는 우측 눈 영상이다.
「서비스 호환 : 독립 3D」는 레거시 2D영상과는 별개의 3D영상(이하, 「독립 3D영상」이라고 한다)을 송신을 위해 준비하는 형태이다. 즉 「서비스 호환 : 독립 3D」인 경우 영상송신장치(110)는 레거시 2D영상과 독립 3D영상의 쌍방을 송신하게 된다.
서비스 비 호환은 레거시 2D영상은 송신하지 않고, 레거시 2D영상과는 호환성이 없는 3D영상만을 송신을 위해 준비하는 형태이다. 서비스 비 호환인 경우 영상송신장치(110)에 의해 레거시 2D영상이 송신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영상재생장치(130)에서는 영상을 전혀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3D영상의 구성형태에는 복수의 형태가 있으므로, 영상재생장치(120)에서 3D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3D영상이 상기의 4종류의 구성형태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확장 PSIP 규격에서는 전송되는 3D영상의 구성형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재하는 3D-program-info-descriptor를 정의하고 있다. 3D-program-info-descriptor는 VCT(Virtual Channel Table)에 디스크립터로서 기재된다.
<1. 2. 전송형태>
구성형태가 「서비스 호환 : 공용」인 경우, 영상송신장치(110)는 베이스 뷰 영상으로서의 레거시 2D영상 외에 애디셔널 뷰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또, 구성형태가 「서비스 호환 : 독립 3D」인 경우 영상송신장치(110)는 레거시 2D영상 외에 독립 3D영상(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으로 이루어진다)을 전송하게 된다. 또, 구성형태가 서비스 비 호환인 경우 레거시 2D영상은 송신하지 않고 3D영상만을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송신장치(110)는 애디셔널 뷰 영상에 대해서는 베이스 뷰 영상이 송신되는 전송경로(이하, 「주 전송경로」라고 한다)를 이용하여 송신하거나 주 전송경로와는 다른 전송경로(이하, 「별도 전송경로」라고 한다)를 이용하여 송신하게 된다. 또, 별도 전송경로로는 인터넷, 이동체용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인 ATSC-M/H(Mobile/Handheld)(ATSC A/153) 등의 모바일/휴대용 방송, 주 전송경로와는 다른 트랜스포트 스트림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축적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 등 복수의 경로가 있다.
따라서 영상재생장치(120)에서 애디셔널 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전송형태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전송형태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에 대해서도 상술한 3D-program-info-descriptor에 포함한다. 또, 별도 전송경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별도 전송경로가 인터넷인 경우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기재하는 3D-service-location-descriptor를 정의한다. 3D-service-location-descriptor는 VCT에 디스크립터로서 기재한다.
<2. 2D영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과 3D영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의 연계>
확장 ATSC 규격(종래의 ATSC 규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에 의거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소정 주파수대역의 방송신호(이하, 「물리채널」이라고 한다)에 의해 1 이상의 프로그램의 방송신호(이하, 「가상채널」이라고 한다)가 송신된다. 각 가상채널은 물리채널에 대응하는 4자리 수의 주 채널번호와 서브 채널번호로 구성되는 가상채널번호에 의해 식별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애디셔널 뷰 영상에 대해서는 별도 전송경로로 송신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 별도 전송경로에는 방송파가 아닌 것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주 전송경로와 별도 전송경로를 맞춘 것이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채널이 되므로, 양 전송경로를 맞춘 전송경로를 광의의 가상채널이라고 한다.
여기서, 영화 등인 경우에는 2D영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이하, 「2D 프로그램」이라고 한다)과 이 2D영상이 3D화 된 3D영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이하, 「3D 프로그램」이라고 한다)을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동일 시간대에 다른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2D 프로그램의 재생에 의한 2D에서의 시청과 3D 프로그램의 재생에 의한 3D에서의 시청이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영상재생장치(120)에서 서로 전환 가능한 2D 프로그램과 3D 프로그램의 연계(대응)를 인식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확장 PSIP 규격에서는 2D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기재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이하, 「2D용 EIT」라고 한다)와 3D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기재하는 EIT(이하, 「3D용 EIT」라고 한다)를 서로 연계시키기 위한 디스크립터로서 2D-3D-Channel-linkage-descriptor 및 2D-3D-relationship-descriptor를 정의하고 있다.
2D-3D-Channel-linkage-descriptor 및 2D-3D-relationship-descriptor는 2D용 EIT 및 3D용 EIT에 기재된다.
<3. 확장 PSIP 정보>
확장 PSIP 규격의 상세에 대해 종래의 PSIP 규격으로부터 확장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확장 PSIP 규격에서는 MGT(Master Guide Table), VCT 및 EIT에 관한 사양을 확장하고 있다.
(1) MGT, VCT 및 EIT의 상호 관련
도 3은 MGT, VCT 및 EIT의 상호 관련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확장 PSIP 규격에서는 3D영상에 관한 MGT(이하, 「3D용 MGT」라고 한다) 및 3D영상에 관한 VCT(이하, 「3D용 VCT」라고 한다)를 새로 규정하고 있다. 3D용 MGT 및 3D용 VCT에는 PID로 종래의 PSIP 규격에서는 할당되어 있지 않은 0x1FF6을 할당한다. 따라서 종래의 PSIP 규격 밖에 해석할 수 없으며 확장 PSIP 규격을 해석할 수 없는 영상재생장치(이하, 「레거시 재생장치」라고도 한다)에서 3D용 MGT와 3D용 VCT를 취득해 버린다는 오동작이라는 트러블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테이블 ID에 대해서는 3D용 MGT에는 종래의 MGT에 할당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0xC7을 할당한다. 3D용 VCT에는 테이블 ID로 종래의 VCT에 할당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0xC8(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인 경우) 및 0xC9(CVCT(Cable Virtual Channel Table)인 경우)를 할당한다. 또한 이하 VCT에 대해서는 특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TVCT와 CVCT를 구별하여 설명은 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2D용의 MGT와 3D용의 MGT를 PID로 나누고 있으므로 레거시 재생장치가 3D용 MGT를 취득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레거시 재생장치가 3D용 MGT의 내용을 잘못 해석해서 오동작한다고 하는 호환성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3D용 MGT에는 2D용 EIT(도 2 중의 EIT-0(2D), EIT-1(2D) …)의 PID 및 3D용 EIT(도 2 중의 EIT-0(3D), EIT-1(3D) …)의 PID가 기재된다. 3D용 MGT를 취득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는 2D용 EIT 및 3D용 EIT의 PID를 인식하며, 이들 PID를 이용하여 2D용 EIT 및 3D용 EIT를 취득할 수 있다.
또 3D용 VCT에는 2D 프로그램 및 3D 프로그램을 송신하기 위한 가상채널을 정의하는 정의정보(이하, 가상채널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가상채널 엔트리」라고 한다)가 기재된다.
여기서, 각 가상채널 엔트리 중에는 그 가상채널을 특정하기 위해 할당한 source-id가 기재되어 있다. 또, 각 EIT 중에는 그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가상채널의 source-id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영상재생장치(120)는 EIT를 취득한 경우에 그 EIT 중에 기재된 source-id와 VCT에서의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된 source-id를 조합함으로써 EIT와 그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가상채널을 대응시킬 수 있다.
이하, 확장 PSIP 규격에 관한 MGT, VCT 및 EIT의 각 테이블에서의 확장한 부분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 각 테이블에서 table-id 등의 각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엘리먼트」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필드」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및 각 엘리먼트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는 특히 설명을 하지 않는 것은 종래의 PSIP 규격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2) MGT
MGT는 STT(The System Time Table) 이외의 모든 테이블에 관해 각 테이블에 할당되어 있는 PID를 기재하는 테이블이다.
도 4는 MG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구조에 관해서는 2D용의 MGT와 3D용 MGT에서 공통이다.
확장 PSIP 규격에서는 table-type으로 3D용 VCT와 3D용 EIT에 대응하는 값을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table-type으로 3D용 VCT(current-next-indicator='1'), 3D용 VCT(current-next-indicator='0')의 각각 대해 일례로 종래의 PSIP 규격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0x0006, 0x0007을 할당한다. 또, 3D용 EIT(EIT-0(3D)~EIT-127(3D))의 각각 대해 table-type으로 0x0180-0x01FF를 할당한다.
(3) VCT
VCT는 각 가상채널에 대한 가상채널 엔트리가 기재되는 테이블이다.
도 5는 VC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VCT에서 도 5에 나타내는 short-name에서 descriptor까지의 일련의 엘리먼트 및 디스크립터가 1개의 가상채널에 대응한 가상채널 엔트리(501)이다.
확장 PSIP 규격에서는 descriptor에 기재하는 디스크립터로 3D-program-info-descriptor 및 3D-service-location-descriptor를 추가하고 있다. 이하, 추가한 각 디스크립터에 대해 설명한다.
(A) 3D-program-info-descriptor
도 6은 3D-program-info-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와 주된 엘리먼트인 3D-service-type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 도면이다.
3D-service-type은 이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가상채널 엔트리에 의해 정의된 가상채널로 송신되는 3D영상의 제공형태를 나타낸다.
도 6의 표 610은 3D-service-type이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표 610에서의 각 행이 1개의 제공형태에 대응한다. 또, 표 610에서의 제 1 열에는 3D-service-type의 값이 기재되고, 제 2 열에는 제공형태의 명칭이 기재되며, 제 3 열에는 주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영상에 대해 기재되고, 제 4 열에는 별도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영상 및 별도 전송경로의 종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0인 프레임 호환형은 3D영상의 구성형태가 상술한 「프레임 호환」인 형태이다.
프레임 호환형인 경우, 주 전송경로에 있어, Side By Side 형식, Top & Bottom 형식 등의 3D영상이 송신된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1~0x5인 「서비스 호환 : 공용 1~5형」은 3D영상의 구성형태가 상술한 「서비스 호환 : 공용」인 형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비스 호환 : 공용 1~5형」인 경우 레거시 2D영상이 베이스 뷰 영상이 된다. 레거시 2D영상의 부호화는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하여 MPEG2 방식에 의해 실시한다. 또, 애디셔널 뷰 영상의 부호화는 일례로 MPEG2 방식보다 압축 효율이 높은 MPEG4 AVC(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Advanced Video Coding) 방식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서비스 호환 : 공용 1~5형」의 각각은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전송경로가 다른 것과 다르다.
「서비스 호환 : 공용 1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베이스 뷰 영상과 동일한 주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서비스 호환 : 공용 2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서비스 호환 : 공용 3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서비스 호환 : 공용 4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축적 미디어 경유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은 영상송신장치(110)에 의해 USB 메모리 등의 축적 미디어에 축적된 후, 그 USB 메모리가 운반 등이 이루어져서 영상재생장치(120)에 접속된다. 그리고 영상재생장치(120)는 3D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애디셔널 뷰 영상을 축적 미디어로부터 판독하여 사용한다.
「서비스 호환 : 공용 5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다른 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다른 스트림이란 예를 들어 레거시 2D영상이 다중화된 TS(트랜스포트 스트림)와는 다른 그 외의 TS 등을 말한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6~0xA인 「서비스 호환 : 독립 3D1~5형」은 3D영상의 구성형태가 「서비스 호환 : 독립 3D」인 형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비스 호환 : 독립 3D형」에서는 레거시 2D영상과는 별개로 독립 3D영상이 준비된다. 이 경우, 독립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의 일방이 베이스 뷰 영상이 된다. 또, 독립 3D영상을 구성하는 타방의 영상이 애디셔널 뷰 영상이 된다. 독립 3D영상은 MPEG4 MVC(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Multiview Video Coding)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다.
「서비스 호환 : 독립 3D1형~5형」의 각각은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전송경로가 다른 것과 다르다.
「서비스 호환 : 독립 3D 1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베이스 뷰 영상과 같은 주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서비스 호환 : 독립 3D 2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서비스 호환 : 독립 3D 3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서비스 호환 : 독립 3D 4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축적 미디어 경유로 전송된다.
「서비스 호환 : 독립 3D 5형」에서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다른 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B인 프레임 비 호환형은 상술한 3D영상의 구성형태에서의 프레임 비 호환에 대응한다.
프레임 비 호환형은 레거시 2D영상과는 호환성이 없는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으로 구성되는 3D영상만을 송신하는 형태이다. 프레임 비 호환형에서는 일례로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이 각각 MPEG2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다.
영상재생장치(120)는 3D영상을 재생함에 있어서 VCT를 취득하여, VCT에서의 3D영상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 중의 3D-program-info-descriptor로부터 3D-service-type을 판독해 둠으로써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전송형태를 알 수 있다. 영상재생장치(120)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별도 전송경로로 전송되고 있다고 인식한 경우, 후술하는 ES-location-info를 더 참조함으로써 별도 전송경로를 특정하기 위한 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영상재생장치(120)는 ES-location-info에 기재된 정보에 의거하여 별도 전송경로를 특정하여, 별도 전송경로로부터 애디셔널 뷰 영상을 수신한다. 수신의 상세는 후술한다.
(B) 3D-service-location-descriptor
도 7은 3D-service-location-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 및 주된 엘리먼트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 도면이다.
3D-service-location-descriptor는 종래의 PSIP 규격에서의 service-location-descriptor를 3D용으로 확장한 것이다. 3D-service-location-descriptor에서의 각 엘리먼트 및 그 엘리먼트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는 특히 설명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service-location-descriptor에서의 것과 같다.
도 7에 나타낸 stream-type~frame-rate까지의 일련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엔트리(710)에는 VCT(도 5 참조)에서의 가상채널 엔트리(501) 중의Channel-TSID로 나타나는 TSID를 갖는 TS에 의해 전송되는 ES(Elementary Stream)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다.
또, 엔트리(710)에는 영상 스트림(stream-type이 0x02 (video stream) 등 영상 스트림을 나타내는 값에 일치한다)인 ES에 관한 정보(엔트리(711))가 포함되어 있다.
엔트리(711)는 horizontal-resolution, vetical-resolution, frame-rate를 포함한다.
horizontal-resolution에는 영상 스트림으로서 전송되는 영상의 수평해상도가 기재되고, vetical-resolution에는 영상의 수직해상도가 기재되며, frame-rate에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기재된다.
또, 도 7에서의 ES-location~frame-rate까지의 일련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엔트리(720)에는 별도 전송경로에 의해 전송되는 ES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다.
여기서, 도 7 중의 number-elements-from-other-path는 별도 전송경로에서 전송되는 ES의 수를 나타낸다. 모든 ES가 주 전송경로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number-elements-from-other-path에는 값으로 0이 기재된다.
엔트리(720)에서의 ES-location과 ES-location-info는 service-location-descriptor에서는 정의되지 않고, 확장 PSIP 규격에서 정의된 엘리먼트이다.
ES-location에는 별도 전송경로로 애디셔널 뷰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의 별도 전송경로를 식별하는 값이 기재된다. 또, 3D-service-type을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정보를 얻는 것도 가능하므로 ES-location의 기재는 생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7의 표 750은 ES-location가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또한 ES-location은 3 비트의 바이너리 값이다. 도 7의 표 75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ES-location의 값이 000인 경우는 별도 전송경로가 인터넷인 것을 나타낸다. ES-location의 값이 001인 경우는 별도 전송경로가 모바일/휴대용 방송인 것을 나타낸다. ES-location의 값이 010인 경우는 별도 전송경로가 축적 미디어인 것을 나타낸다. ES-location의 값이 011인 경우는 별도 전송경로가 다른 스트림인 것을 나타낸다.
또, ES-location-info는 표 76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ES-location에 의해 식별되는 별도 전송경로의 상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ES-location의 값이 000인 경우 ES-location-info에는 인터넷을 개재한 애디셔널 뷰 영상의 취득처의 URL이 기재된다. 영상재생장치(120)는 ES-location-info에 기재되어 있는 URL에 액세스하여 애디셔널 뷰 영상을 취득한다.
또, ES-location의 값이 001인 경우는 ES-location-info에는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수신 주파수, 채널번호 등의 정보가 기재된다.
또, ES-location의 값이 010 경우는 ES-location-info에는 축적 미디어를 식별하는 식별정보 등이 설정된다. 식별번호의 일례로는 예를 들어 USB 메모리의 각각 고유의 제조번호 등이 이용된다.
또, ES-location의 값이 011인 경우는 ES-location-info에는 다른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수신 주파수, 채널번호, TSID 등의 정보가 기재된다.
영상재생장치(120)는 ES-location-info를 참조함으로써 별도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애디셔널 뷰 영상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별도 전송경로로부터 애디셔널 뷰 영상을 취득하게 된다.
또,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별도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ES가 영상 스트림인 경우, 엔트리(720) 중에 엔트리(711)와 마찬가지 엔트리인 엔트리(721)가 포함되어 있다. 엔트리(711) 및 엔트리(721)에 의해 알 수 있는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의 각각의 수평해상도, 수직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는 예를 들어 영상재생장치(120)에서 이하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애디셔널 뷰 영상이 모바일/휴대용 방송에 의해 송신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애디셔널 뷰 영상의 해상도(수평해상도 및 수직해상도)가 베이스 뷰 영상의 해상도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이나 애디셔널 뷰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베이스 뷰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을 그대로 이용하여 3D영상을 구성할 수는 없다. 그러나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의 해상도나 프레임 레이트를 엔트리(711) 및 엔트리(721)를 이용하여 알게 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는 일방의 영상의 해상도를 타방의 영상의 해상도에 맞추도록 압축이나 신장을 실시하고, 또 양 비디오의 해상도나 프레임 레이트를 맞추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으로부터 3D영상을 생성하여 재생할 수 있다.
(4) EIT
EIT는 각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는 테이블이다.
도 8은 EI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IT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의 2D용 EIT와 확장 PSIP 규격에서의 3D용 EIT에서 다른 점은 없다. 그러나 확장 PSIP 규격에서는 2D용 EIT 및 3D용 EIT의 descriptor로 2D-3D-Channel-linkage-descriptor, 2D-3D-relationship-descriptor가 정의되어 있다. 이하, 각 디스크립터에 대해 설명한다.
(A) 2D-3D-Channel-linkage-descriptor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는 2D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가상채널(이하, 「2D 가상채널」이라고도 말한다)과 이 2D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3D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가상채널(이하, 「3D 가상채널」이라고도 말한다)을 연계시키기 위한 정보를 기재하기 위한 디스크립터이다.
도 9는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 및 주된 엘리먼트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 도면이다.
linkage-direction는 자신의 EIT에 2D용 EIT 및 3D용 EIT의 어느 EIT가 연계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즉 linkage-direction은 자신의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가상채널에 2D 프로그램 및 3D 프로그램의 어느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가상채널이 연계되어 있는가도 나타내고 있게 된다.
도 9의 표 910은 linkage-direction이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표 9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linkage-direction의 값이 00인 경우는 3D용 EIT만 전송되고 있고, 연계된 2D용 EIT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자신의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가상채널에 연계된 가상채널이 없다는 것도 나타내고 있다.
linkage-direction의 값이 01인 경우는 연계되어 있는 3D용 EIT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자신의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2D 가상채널에 연계된 3D 가상채널이 있다는 것도 나타내고 있다.
linkage-direction의 값이 10인 경우는 연계되어 있는 2D용 EIT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자신의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3D 가상채널에 연계된 2D 가상채널이 있다는 것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표 9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Channel-TSID-ref에는 연계되어 있는 EIT가 전송되는 TS의 TSID가 기재된다.
도 9의 표 93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source-id-ref에는 연계되어 있는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가상채널을 식별하는 source-id가 기재된다.
도 9의 표 94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event-id-ref에는 연계되어 있는 EIT에 관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event-id가 기재된다.
도 9의 표 950은 is-different-physical-Channel이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표 95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is-different-physical-Channel은 자신의 EIT에 연계되어 있는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다른 물리채널로 전송되고 있는가(값이 00), 동일한 물리채널로 전송되고 있는가(값이 01)를 나타낸다.
영상재생장치(120)에서는 이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취득함으로써 시청 중의 2D 프로그램 또는 3D 프로그램에 연계된 3D 프로그램 또는 2D 프로그램의 유무를 알 수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는 2D 프로그램과 3D 프로그램의 상호의 전환 가부의 판단이나, 전환 가능한 경우에 그 취지의 EPG 표시 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영상재생장치(120)는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취득함으로써 연계된 EIT에 관한 2D 프로그램 또는 3D 프로그램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TSID나, 연계된 EIT를 특정하기 위한 source-id 및 event-id를 취득할 수 있다. 이들 취득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는 연계된 EIT에 관한 프로그램의 영상을 별도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게 된다.
(B) 2D-3D-relationship-descriptor
2D-3D-relationship-descriptor는 복수의 영상 중 어느 영상을 이용하여 2D영상 및 3D영상을 구성하는가에 대해 기재하기 위한 디스크립터이다.
도 10은 2D-3D-relationship-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 및 주된 엘리먼트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 도면이다.
(a) 2D-presentation-allowed
2D-presentation-allowed는 3D영상을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 또는 애디셔널 뷰 영상의 어느 일방을 2D영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허가하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2D-presentation-allowed는 영상의 제작자가 3D와 2D의 각 특성을 고려해 3D영상과 2D영상을 별개에 작성하고 있고, 3D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중 일방의 영상을 2D영상으로서 표시해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에 이용된다. 이러한 표시를 금지하는 경우의 일례로는 2D영상은 빈번하게 장면 전환(scenechange)을 실행하도록 제작되어 있으나 3D영상에서는 안정 피로방지의 관점에서 빈번한 장면 전환을 피해 제작되어 있고, 3D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중 일방만을 2D영상으로서 표시하면 장면 전환이 적은 재미가 부족한 영상이 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다.
도 10의 표 1010은 2D-presentation-allowed가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표 10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2D-presentation-allowed의 값이 00인 경우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 중 어느 일방을 이용한 2D표시도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2D-presentation-allowed의 값이 01인 경우 애디셔널 뷰 영상에 의한 2D표시가 허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2D-presentation-allowed의 값이 10인 경우 베이스 뷰 영상에 의한 2D표시가 허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2D-presentation-allowed의 값이 11인 경우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의 어느 비디오를 이용한 2D표시도 허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b) leftview-flag
leftview-flag는 베이스 뷰 영상이 3D영상에서의 좌측 눈 영상 및 우측 눈 영상의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도 10의 표 1020은 leftview-flag의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표 10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leftview-flag의 값이 00인 경우 베이스 뷰 영상이 우측 눈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leftview-flag의 값이 01인 경우 베이스 뷰 영상이 좌측 눈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leftview-flag의 값이 10인 경우 베이스 뷰 영상이 좌측 눈 영상 및 우측 눈 영상의 어느 쪽도 아닌 것을 나타낸다. 이 leftview-flag를 참조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는 3D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베이스 뷰 영상을 좌측 눈 영상 및 우측 눈 영상의 어느 연상으로 이용하면 좋은가 판단할 수 있다.
(c) content-identical-status
content-identical-status는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적어도 일방이 레거시 2D영상에 일치하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이 content-identical-status를 이용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에서의 3D영상의 표시에서 2D영상의 표시로 전환하는 동작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의 신속화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3D-service-type이 「서비스 호환 : 독립 3D1~5형」인 경우, 영상재생장치(120)에서는 MPEG4 MVC 방식의 복호를 실시하는 디코더를 동작시키지만, 전력 절약화, 사용 메모리량 삭감의 관점으로부터 2D영상 표시를 위한 MPEG2 방식의 복호를 실시하는 디코더에 대해서는 동작시키지 않다. 여기서, 3D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2D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전환하려면 , MPEG4 MVC 방식의 복호를 실시하는 디코더를 정지시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등의 자원을 해방한 후, MPEG2 방식의 복호를 실시하는 디코더의 초기화를 실시해, MPEG2 방식의 복호를 개시한다고 하는 순서가 필요하다. 이것들 순서의 실행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3D영상으로부터 2D영상으로 표시를 바꿀 때에, 영상 표시의 일시정지, 블랙 아웃등의, 사용자에게 제시하는데 부적절한 표시가 발생 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3D영상을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을 2D영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어 허가되고 있는 것이 미리 인식 되어 있으면, 영상재생장치(120)는 MPEG4 MVC 방식의 디코드 처리를 계속해, 3D영상을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만을 2D영상으로서 계속 출력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영상에 무심코 네 3D표시로부터 2D표시로 순간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술과 같이 부적절한 표시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도 10의 표 1030은 content-identical-status가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표 103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content-identical-status의 값이 000인 경우,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의 모두 레거시 2D영상에 일치하지 않는 즉 3D를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에 대해서 2D버젼의 영상이 전송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content-identical-status의 값이 001인 경우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레거시 2D영상에 일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content-identical-status의 값이 010인 경우는 베이스 뷰 영상이 레거시 2D영상에 일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content-identical-status의 값이 011인 경우는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의 양쪽 모두가 레거시 2D영상에 일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content-identical-status의 값이 100인 경우는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의 모두가 레거시 2D영상에 일치하지 않지만,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이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d) same-contents-length-flag
same-contents-length-flag는 레거시 2D영상에 관한 2D 프로그램과 독립 3D영상에 관한 3D 프로그램과의 시간길이의 이동을 나타낸다.
2D 프로그램과 3D 프로그램의 시간길이가 다른 경우, 변환처의 프로그램이 이미 종료하고 있는 경우나, 변경원과 변환처의 프로그램으로 표시 내용이 전후 하는 등, 프로그램을 서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엘리먼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방의 프로그램에서 타방의 프로그램에의 변환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3D 프로그램의 시간길이과 2D 프로그램의 시간길이가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상호의 변환 하행원 하지않고서,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해 표시하는 등 부적절한 표시를 피하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의 표 1040은 same-contents-length-flag의 값과 그 설명을 나타내는 일람표이다. 표 104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same-contents-length-flag의 값이 0인 경우는 레거시 2D영상에 관한 2D 프로그램과 독립 3D영상에 관한 3D 프로그램의 시간길이가 다른 것을 나타낸다. same-contents-length-flag의 값이 1인 경우는 레거시 2D영상에 관한 2D 프로그램의 시간길이과 독립 3D영상에 관한 3D 프로그램의 시간길이가 같은 것을 나타낸다.
<2. 구성>
<2-1. 영상송신장치(110)>
영상송신장치(110)는 2D영상 및 3D영상을 상술한 3D-service-type에서 나타내는 제공형태로 제공하는 장치이며,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도 11은 영상송신장치(11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영상송신장치(110)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기억부(1101), AV 처리부(1102), 송신처리부(1103), 송신처리부(1104), 송신처리부(1105), 제어부(1106) 및 기입부(1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입부(1107)에는 별도 전송경로인 축적 미디어로서의 USB 메모리(121)가 접속된다.
(1) 기억부(1101)
기억부(1101)는 불휘발성의 축적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기억부(1101)에는 3D영상(1160), 독립 3D영상(1163), 3D영상(1164), PSIP 정보(1165) 및 3D-service-type(1170)이 기억되어 있다.
3D영상(1160)은 구성형태가 「서비스 호환 : 공용」인 3D영상이며, 좌측 눈 영상(1161) 및 우측 눈 영상(1162)으로 구성된다.
독립 3D영상(1163)은 구성형태가 「서비스 호환 : 독립 3D」인 3D영상이다.
또, 3D영상(1164)는 구성형태가 서비스 비 호환인 3D영상이다.
PSIP 정보(1165)는 확장 ATSC 규격에 의거한 PSIP 정보이며, 상술한 MGT, VCT 및 EIT를 포함한다. 또, 상술한 MGT, VCT 및 EIT의 각 디스크립터 및 각 엘리먼트에는 영상재생장치(120)가 3D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의 제공형태에 따른 값이 기재되는 것으로 한다.
3D-service-type(1170)은 상술한 3D-program-info-descriptor에 포함되는 3D-service-type과 동일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도 6의 표 610) 참조). 3D-service-type(1170)은 영상재생장치(120)가 3D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의 제공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2) AV 처리부(1102)
AV 처리부(1102)는 AV 처리 LSI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1106)에 의해 제어되며, 영상의 부호화 및 스트림의 다중화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AV 처리부(1102)는 영상 부호화부(1111~1113) 및 다중화처리부(1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영상 부호화부(1111)
영상 부호화부(1111)는 레거시 2D영상 부호화기능, 프레임 호환 3D영상 부호화기능 및 서비스 비 호환 3D영상 부호화기능을 갖는다. 이하 각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a) 레거시 2D영상 부호화기능
레거시 2D영상 부호화기능으로서 영상 부호화부(1111)는 입력되는 레거시 2D영상을 MPEG2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영상 ES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좌측 눈 영상(1161)은 레거시 2D영상에 상당한다. 2D영상을 MPEG2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b) 프레임 호환 3D영상 부호화기능
프레임 호환 3D영상 부호화기능으로서 영상 부호화부(1111)는 입력되는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을 각각 MPEG2 Video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하고, Side By Side 형식(또는 Top&Bottom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영상 ES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으로부터 Side By Side 형식(또는 Top&Bottom 형식)의 영상 ES를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 서비스 비 호환 3D영상 부호화기능
서비스 비 호환 3D영상 부호화기능으로서 영상 부호화부(1111)는 입력되는 3D영상을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의 각각을 MPEG2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베이스 뷰 영상을 부호화한 영상 ES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을 부호화한 영상 ES의 각각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B) 영상 부호화부(1112)
영상 부호화부(1112)는 입력되는 2D영상을 MPEG4 AVC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영상 ES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2D영상을 MPEG4 AVC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 영상 부호화부(1113)
영상 부호화부(1113)는 입력되는 3D영상을 MPEG4 MVC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영상 ES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3D영상을 MPEG4 MVC 방식에 의거하여 부호화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D) 다중화처리부(1121)
다중화처리부(1121)는 입력되는 영상 ES를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화하고, TS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PSIP 정보(1165)를 포함시켜서 다중화함으로써 TS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중화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3) 송신처리부(1103)
송신처리부(1103)는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이용하여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용 LSI 및 방송파 송신용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신처리부(1103)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변조해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입력되는 스트림을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4) 송신처리부(1104)
송신처리부(1104)는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용 LSI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처리부(1104)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제어부(1106)에 의해 지정되는 통신처(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상재생장치(120))에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영상송신장치(110)에는 URL이 할당되어 있고, 이 URL은 상술한 ES-location-info에 기재된다. 영상재생장치(120)는 ES-location-info에 기재된 URL을 이용하여 영상송신장치(110)를 특정하게 된다.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데이터(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스트림)를 송수신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5) 송신처리부(1105)
송신처리부(1105)는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행하기 위한 통신용 LSI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처리부(1105)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변조해 모바일/휴대용 방송파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입력되는 스트림을 모바일/휴대용 방송파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6) 제어부(1106)
제어부(1106)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송신장치(11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1106)의 기능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어부(1106)는 주요한 기능으로 부호화 지시기능, 상류처리부 지시기능 및 송신 지시기능을 갖는다. 이하, 각 기능에 대해 순차 설명한다.
(A) 부호화 지시기능(도 14의스텝 S1402 참조)
부호화 지시기능으로서 제어부(1106)는 3D-service-type(1170) 및 부호화부 선택 표를 참조하여,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1113)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기억부(1101)에 기억되어 있는 영상 중 어느 것을 부호화하는가를 통지한다.
도 12 (a)는 부호화부 선택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부호화부 선택 표는 3D-service-type의 값, 영상 부호화부(1111)에서 부호화되는 영상, 영상 부호화부(1112)에서 부호화되는 영상, 영상 부호화부(1113)에서 부호화되는 영상의 대응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3D-service-type이 0x0인 경우, 부호화부 선택 표의 영상 부호화부(1111)에 대응하는 난에는 「3D영상(1160)」이라는 기재가 이루어져 있다. 또 영상 부호화부(1112) 및 영상 부호화부(1113)에 대해서는 동작시키지 않으나, 이것을 도면상에서는 「×」로 표현하고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를 이용하여 3D영상(1160)을 부호화하도록 통지한다.
(B) 상류처리부 지시기능(도 14의스텝 S1404 참조)
상류처리부 지시기능으로서 제어부(1106)는 3D-service-type(1170) 및 상류처리부 선택 표를 참조하여 다중화처리부(1121)에 대해 다중화처리의 대상이 되는 스트림을 출력하는 처리부(이하, 「상류처리부」라고 한다)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 선택한 상류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AV 처리부(1102)에 지시한다.
도 12 (b)는 상류처리부 선택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류처리부 선택 표는 3D-service-type의 값에 대응하는 다중화처리부(1121)의 상류처리부, 재 다중화처리의 실행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3D-service-type의 값이 0x0인 경우 상류처리부 선택 표에는 다중화처리부(1121)의 상류처리부로서 「영상 부호화부(1111)(3D영상(1160))」라는 기재가 이루어지며, 재 다중화처리에 대해서는 실행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도면상 「×」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면상 「○」으로 표현하고 있는 경우 실행 필요라는 것을 나타낸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0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부(1121)를 이용하여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재 다중화처리가 필요인 경우에는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2개의 상류처리부로부터 수신한 2개의 스트림에 대해 각각 다중화를 실시하고, 또, 이들 2개의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1개의 TS를 생성하도록 지시하게 된다.
또, AV 처리부(1102)에 대해서는 영상 ES에 대해서만 부호화하여 다중화하도록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MPEG 방식의 부호화, 다중화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 자막데이터 등에 대해서도 부호화 및 다중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C) 송신 지시기능(도 14의스텝 S1406 참조)
송신 지시기능으로서 제어부(1106)는 판독한 3D-service-type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송신처리부를 선택하고, 선택한 송신처리부에 대해 스트림을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7) 기입부(1107)
기입부(1107)는 USB 메모리에의 데이터의 기입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용하는 USB 메모리 및 기입할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어부(1106)에 의해 지정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106)는 데이터를 기입할 USB 메모리로 ES-location-info에 기재되는 식별정보를 갖는 USB 메모리(121)를 지정하게 된다.
<2-2. 영상재생장치(120)>
영상재생장치(120)는 상술한 3D-service-type에 따른 제공형태로 제공되는 2D영상 및 3D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장치이며,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구성된다.
도 13은 영상재생장치(12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영상재생장치(120)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수신처리부(1311), 수신처리부(1312), 수신처리부(1313), AV 복호부(1314), 표시부(1315), 입력부(1316), 제어부(1317) 및 판독부(13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수신처리부(1311)
수신처리부(1311)는 지상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용 튜너로 구성되어 있고,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써 TS를 추출하고, 추출한 TS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신처리부(1311)는 추출한 TS를 AV 복호부(1314)에 출력한다. 지상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복조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2) 수신처리부(1312)
수신처리부(1312)는 모바일/휴대용 방송파의 수신용 튜너로 구성되어 있고, 모바일/휴대용 방송파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써 TS를 추출하고, 추출한 TS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신처리부(1312)는 추출한 TS를 AV 복호부(1314)에 출력한다. 모바일/휴대용 방송파의 수신, 복조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3) 수신처리부(1313)
수신처리부(1313)는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용 LSI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처리부(1313)는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TS를 수신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신처리부(1313)는 수신한 TS를 AV 복호부(1314)에 출력한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4) AV 복호부(1314)
AV 복호부(1314)는 AV 처리 LSI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TS로부터 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AV 복호부(1314)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다중 분리부(1331), 영상 복호부(1332) 및 표시제어부(1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다중 분리부(1331)
다중 분리부(1331)는 디 멀티플렉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된 TS를 다중 분리함으로써 TS로부터 영상 ES, PSIP 정보 등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중 분리부(1331)는 추출한 영상 ES를 영상 복호부(1332)에 출력하고, PSIP 정보를 제어부(1317)에 출력한다. 또, TS를 다중 분리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B) 영상 복호부(1332)
영상 복호부(1332)는 영상 ES를 복호하는 복호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영상 ES를 복호함으로써 2D영상 및 3D영상을 나타내는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영상 복호부(1332)는 생성한 영상신호를 표시제어부(1333)에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 복호부(1332)는 복호처리부(1351), 복호처리부(1352) 및 복호처리부(13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호처리부(1351)는 MPEG2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영상 ES를 복호함으로써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MPEG2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영상 ES를 복호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복호처리부(1352)는 MPEG4 AVC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영상 ES를 복호함으로써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MPEG4 AVC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영상 ES를 복호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복호처리부(1353)는 MPEG4 MVC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영상 ES를 복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MPEG4 MVC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영상 ES를 복호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영상 복호부(1332)에서 복호처리부(1351), 복호처리부(1352) 및 복호처리부(1353) 중 어느 것을 사용해 영상 ES를 복호하는가는 제어부(1317)에 의해 지시되는 것으로 한다.
(C) 표시제어부(1333)
표시제어부(1333)는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이하, 「화면표시신호」라고 한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표시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EPG 화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중첩함으로써 화면표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EPG 화상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영상신호와 화면표시신호는 일치하게 된다. 표시제어부(1333)는 화면표시신호를 표시부(1315)에 출력한다.
(5) 표시부(1315)
표시부(1315)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입력되는 화면표시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6) 입력부(1316)
입력부(1316)는 리모컨 및 리모컨신호의 수광부, 키패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 키패드 등을 조작함으로써 입력되는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여 제어부(1317)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7) 제어부(1317)
제어부(1317)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재생장치(12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1317)의 기능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어부(1317)는 주요한 기능으로 EPG 표시제어기능, 3D영상재생 제어기능 및 영상전환 제어기능을 갖는다. EPG 표시제어기능은 EPG로서 표시할 화상(이하, 「EPG 화상」이라고 한다)을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도 15 및 도 16 참조)이다. 3D영상재생 제어기능은 3D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도 17 참조)이다. 영상전환 제어기능은 3D영상의 표시 및 2D영상의 표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도 18 및 도 19 참조)이다.
(8) 판독부(1318)
판독부(1318)는 USB 메모리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어느 USB 메모리를 사용하는가에 대해서는 제어부(1317)에 의해 지정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317)는 데이터를 판독할 USB 메모리로 ES-location-info에 기재되는 식별정보를 갖는 USB 메모리(121)를 지정하게 된다.
<3. 동작>
<3. 1. 영상송신장치(110)에 의한 영상 송신처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된 영상송신장치(110)에 의한 영상 송신처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영상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영상송신장치(110)에서의 제어부(1106)는 기억부(1101)로부터 송신할 3D영상에 관한 3D-service-type(1170)를 판독한다(스텝 S1401).
제어부(1106)는 판독한 3D-service-type 및 부호화부 선택 표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영상 부호화부와 그 영상 부호화부에 의해 부호화되는 영상을 특정한다(스텝 S1402). 그리고 제어부(1106)는 특정한 영상 부호화부를 이용해서 특정한 영상을 부호화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3D-service-type의 값이 0x0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를 이용하여 3D영상(1160)을 부호화하도록 지시한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1~0x5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를 이용하여 베이스 뷰 영상으로서의 좌측 눈 영상(1161)을 부호화하고, 또, 영상 부호화부(1112)를 이용하여 애디셔널 뷰 영상으로서의 우측 눈 영상(1162)을 부호화하도록 지시한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6~0xA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를 이용하여 레거시 2D영상으로서의 좌측 눈 영상(1161)을 부호화하고, 또, 영상 부호화부(1113)를 이용하여 독립 3D영상(1163)을 부호화하도록 지시한다. 3D-service-type의 값이 0xB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를 이용하여 3D영상(1164)을 부호화하도록 지시한다.
AV 처리부(1102)는 제어부(1106)로부터 지시된 영상을 기억부(1101)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영상을 지시된 영상 부호화부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스텝 S1403).
다음에, 제어부(1106)는 판독한 3D-service-type 및 상류처리부 선택 표에 의거하여 상류처리부를 특정한다(스텝 S1404). 그리고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다중화처리부(1121)를 이용하여 상류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3D-service-type의 값이 0x0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0x1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이 다중화처리와는 별도로 제어부(1106)는 다중화처리부(1122)를 이용해 영상 부호화부(1112)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106)는 각각 다중화된 양 스트림을 다중화처리(재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0x2~0x5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이 다중화처리와는 별도로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2)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0x6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레거시 2D영상에 관한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이 다중화처리와는 별도로 제어부(1106)는 영상 부호화부(1113)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독립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스트림의 각각)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각각 다중화된 양 스트림을 다중화처리(재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0x7~0xA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레거시 2D영상에 관한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이 다중화처리와는 별도로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3)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독립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스트림의 각각)을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0xB인 경우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영상 부호화부(1111)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스트림 각각에 대해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106)는 AV 처리부(1102)에 대해 각각 다중화된 양 스트림을 다중화처리(재 다중화처리)를 하도록 지시한다.
AV 처리부(1102)는 제어부(1106)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류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을 다중화처리를 한다(스텝 S1405).
다중화처리부(1121)는 3D-service-type의 값에 따라서 각 엘리먼트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 PSIP 정보(1165)를 기억부(1101)로부터 판독하여 다중화한다. 또, 음성에 관한 스트림, 자막에 관한 스트림 등,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한 방송에서 다중화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도 다중화한다.
다음에, 제어부(1106)는 판독한 3D-service-type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송신처리부를 선택하고, 선택한 송신처리부에 대해 입력되는 스트림을 송신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1406).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06)는 3D-service-type의 값이 0x0, 0x1, 0x6 및 0xB인 경우 송신처리부(1103)에 대해 다중화처리부(1121)로부터 출력되는 3D영상이 부호화 및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106)는 3D-service-type의 값이 0x2~0x5 및 0x7~0xA인 경우 송신처리부(1103)에 대해 다중화처리부(1121)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 뷰 영상이 부호화 및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106)는 3D-service-type의 값이 0x5 및 0xA인 경우 송신처리부(1103)에 대해 다중화처리부(1121)로부터 출력되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부호화 및 다중화된 스트림(상술한 「다른 스트림」)을 수신하여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106)는 3D-service-type의 값이 0x2 및 0x7인 경우 송신처리부(1104)에 대해 다중화처리부(1121)로부터 출력되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부호화 및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서, 3D-service-type의 값이 0x4 및 0x9인 경우에 대해서는 미리 영상송신장치(110)의 사용자와 영상재생장치(120)의 사용자 사이에서 영상송신장치(110)에 있어서 ES-location-info에 기재되는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축적 미디어(일례로 USB 메모리(121))에 영상을 축적하고, 사람의 손을 개재하여 그 축적 미디어를 운반해서 영상재생장치(120)에 장착한다는 약속이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약속에 따라서 영상이 축적 미디어를 개재하여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영상재생장치(12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06)는 애디셔널 뷰 영상을 사전 축적을 위해 베이스 뷰 영상의 송신에 앞서서 기입부(1107)를 이용하여 USB 메모리(121)에 기입한다. 그리고 USB 메모리(121)는 사람의 손에 의해 운반되어 영상재생장치(120)에 장착된다.
또, 제어부(1106)는 3D-service-type의 값이 0x3 및 0x8인 경우 송신처리부(1105)에 대해 다중화처리부(1122)로부터 출력되는 애디셔널 뷰 영상이 부호화 및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송신처리부(1103~1105) 각각은 제어부(1106)로부터 지시된 스트림을 송신한다(스텝 S1407).
<3. 2. 영상재생장치에서의 EPG 표시처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된 영상재생장치(120)에 의한 EPG 표시처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EPG 작성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EPG 표시처리는 주로 제어부(1317)가 EPG 표시제어기능으로서의 도 15에 나타내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서, EPG 표시의 전제로 영상재생장치(120)는 TS를 취득한 상태인 것으로 한다. 즉, 영상재생장치(120)에 있어서 수신처리부(1311)에 의해 지상 디지털 방송파가 수신되어 복조됨으로써 TS가 추출되고(스텝 S1501), TS가 다중 분리부(1331)에 의해 다중분리되어 있다(스텝 S1502).
다음에, 제어부(1317)는 다중 분리부(1331)에 대해 TS에서 PID가 0x1FF6인 패킷을 추출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1503). 다중 분리부(1331)는 TS로부터 PID가 0x1FF6인 패킷을 추출함으로써 3D용 MGT 및 3D용 VCT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3D용 MGT 및 3D용 VCT를 제어부(1317)에 송신한다. 3D용 MGT와 3D용 VCT는 테이블 ID(3D용 MGT는 0xC7, 3D용 VCT는 0xC8)에 의해 식별된다.
제어부(1317)는 3D용 MGT를 참조함으로써 3D용 MGT에 기재되어 있는 2D용 EIT 및 3D용 EIT의 PID를 취득한다. 또, 제어부(1317)는 3D용 VCT를 참조함으로써 2D 프로그램 및 3D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각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를 취득한다.
제어부(1317)는 다중 분리부(1331)에 대해스텝 S1503에서 취득한 2D용 EIT 및 3D용 EIT의 PID를 이용하여 2D용 EIT 및 3D용 EIT를 추출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1504). 다중 분리부(1331)는 이 지시에 따라서 TS로부터 2D용 EIT 및 3D용 EIT를 추출해 제어부(1317)에 송신한다.
제어부(1317)는 각 EIT에 기재되어 있는 source-id와 각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되어 있는 source-id를 대조하여,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EIT에서 나타내고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와 이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를 관련시킨다.
또, EIT에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개시시각, 계속시간, 프로그램명 등)가 기재되어 있다. 또, 가상채널 엔트리에는 가상채널을 정의하는 정보(가상채널의 명칭, 주 채널번호, 부 채널번호 등)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제어부(1317)는 일 예로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전자프로그램 표(1602)를 기재한 EPG 화상(1601)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프로그램 표(1602)의 각 열은 1개의 가상채널에 대응하고 있고, 그 가상채널로 전송되는 각 프로그램의 정보를 시계열로 배열되어 있다.
화상(1611)~화상(1614)는 각 가상채널의 채널번호를 표시하는 화상이다. 각 가상채널의 채널번호는 주 채널번호와 부 채널번호를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화상(1611)에서의 「4-1ch」은 주 채널번호가 4, 부 채널번호가 1인 가상채널의 채널번호이다.
또, 화상(1621), 화상(1622), 화상(1631), 화상(1632), 화상 1641, 화상(1642) 및 화상(1651) 각각은 1개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며, 각 화상 중에는 프로그램명 등이 기재된다.
일례로 화상(1621)은 프로그램명이 「드라마 1」이며, 개시시각이 「16 : 00」이고, 계속시간이 「2시간」인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화상(1621) 및 화상(1622)이 나타내는 프로그램은 채널번호가 「4-1ch」인 가상채널에 의해 전송되므로 화상(1611) 아래에 시계열로 배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프로그램 표에 대한 설명을 일단 끝내고 도 15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스텝 S1506에서, 제어부(1317)는 취득한 2D용 EIT 및 3D용 EIT의 각각에 대해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포함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05).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스텝 S1505에서 YES), 이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포함하는 EIT(이하, 「연계원 EIT」라고 한다)에는 연계된 EIT(이하, 「연계처 EIT라고 한다)가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317)는 연계처 EIT를 취득한다(스텝 S1506).
제어부(1317)는 2D-3D-Channel-linkage-descriptor 내의Channel-TSID-ref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TSID, source-id-ref에 의해 표시되는 source-id, event-id-ref에 의해 표시되는 event-id에 의해 식별되는 EIT를 수신처리부(1311) 및 다중 분리부(1331)를 이용하여 취득한다. TSID, source-id 및 event-id에 의해 특정되는 연계처 EIT의 취득은스텝 S1501~스텝 S150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처리로 취득할 수 있다.
이상의스텝에 의해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1317)는 EPG 화상(일례로 상술한 도 16에 나타내는 EPG 화상(1601))을 생성한다(스텝 S1507). 그리고 제어부(1317)는 EPG 화상을 표시제어부(1333)에 대해 출력한다.
표시제어부(1333)는 EPG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315)에 출력한다(스텝 S1508). 표시부(1315)는 EPG 화상(1601)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여기서, EPG 화상(1601)에서는 연계원의 EIT를 포함하는 가상채널(일례로 가상채널번호가 5-1ch)에 관한 열과 연계처의 EIT를 포함하는 가상채널(일례로 가상채널번호가 15-3ch)에 관한 열을 배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프로그램(예를 들어 영화 1(2D))에 대해 그 프로그램에 연계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영화 1(3D))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에게 편리성이 증가한다.
<3. 3. 영상재생장치에서의 3D영상의 재생처리>
도 17은 영상재생장치(120)에서의 영상 재생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제로 영상재생장치(120)는 도 16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EPG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부(1316)를 이용하여 전자프로그램 표(1602)에 정보가 표시되는 프로그램 중 시청을 요망하는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사용자 지시를 입력한다(스텝 S1701).
제어부(1317)는 지정된 프로그램에 관한 EIT, VCT에 의거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가상채널을 특정한다.
제어부(1317)는 VCT를 참조하여 특정된 가상채널을 규정하는 가상채널 엔트리 중에 3D-program-info-descriptor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02).
제어부(1317)는 3D-program-info-descriptor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702에서 NO)에는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3D영상은 송신되지 않고 레거시 2D영상만 송신되고 있으므로, 수신처리부(1311), AV 복호부(1314) 및 표시부(1315)를 이용하여 레거시 2D영상을 수신(스텝 S1721)하여 레거시 2D영상을 재생한다(스텝 S1722).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이용하여 레거시 2D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17)는 3D-program-info-descriptor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702에서 YES)에는 3D-program-info-descriptor 중의 3D-service-type을 참조한다(스텝 S1703).
제어부(1317)는 3D-service-type이 「서비스 호환 : 공용 2형」~ 「서비스 호환 : 공용 5형」, 「서비스 호환 : 독립 3D 2형」~ 「서비스 호환 : 독립 3D 5형」의 어느 것을 나타내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04).
3D-service-type이 「서비스 호환 : 공용 2형」~ 「서비스 호환 : 공용 5형」, 「서비스 호환 : 독립 3D 2형」~ 「서비스 호환 : 독립 3D 5형」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1704에서 YES) 제어부(1317)는 특정된 가상채널을 규정하는 가상채널 엔트리에 의거하여 베이스 뷰 영상을 주 전송경로로부터 취득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1705). 예를 들어 제어부(1317)는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된 modulation-mode, carrier-frequency,Channel-TSID 엘리먼트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처리부(1311)에 대해 베이스 뷰 영상을 전송하는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베이스 뷰 영상의 복호에 복호처리부(1351)(「서비스 호환 : 공용 2~5형」인 경우) 또는 복호처리부(1353)(「서비스 호환 : 독립 3D 2~5형」인 경우)를 이용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317)는 애디셔널 뷰 영상을 별도 전송경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1706).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17)는 가상채널 엔트리 중의 3D-service-location-descriptor 중의 ES-location-info를 참조하여 별도 전송경로의 상세에 대해 정보를 취득하고, 별도 전송경로에 대응하는 수신처리부에 대해 애디셔널 뷰 영상의 수신을 지시한다. 또,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애디셔널 뷰 영상의 복호에 복호처리부(1352)(서비스 호환 : 공용 2~5형인 경우), 또는 복호처리부(1353)(서비스 호환 : 독립 3D 2~5형인 경우)을 이용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서, 상술한 별도 전송경로의 특정에 대하여 설명을 보충한다.
3D-service-type의 값이 「서비스 호환 : 공용 2형」 및 「서비스 호환 : 독립 3D 2형」을 나타내는 경우(ES-location의 값은 000), ES-location-info에는 인터넷을 개재한 애디셔널 뷰 영상의 취득처의 URL이 기재된다. 따라서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3)에 대해 이 URL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처로부터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TS를 취득하도록 지시한다. 수신처리부(1313)는 이 URL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처로부터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TS를 취득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서비스 호환 : 공용 3형」 및 「서비스 호환 : 독립 3D 3형」을 나타내는 경우(ES-location의 값은 001), ES-location-info에는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변조 모드, 캐리어 주파수, 채널번호 등의 정보가 기재된다. 따라서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2)에 대해 이 수신 주파수, 채널번호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수신해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TS를 취득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의거하여 수신처리부(1312)는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수신해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TS를 취득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서비스 호환 : 공용 4형」 및 「서비스 호환 : 독립 3D 4형」을 나타내는 경우(ES-location의 값은 010), ES-location-info에는 축적 미디어를 식별하는 식별정보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TS는 이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USB 메모리(121)에 이미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317)는 판독부(1318)에 대해 이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USB 메모리(121)에서 3D영상에 관한 TS를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판독부(1318)는 USB 메모리(121)에서 3D영상에 관한 TS를 판독하여 AV 복호부(1314)에 대해서 출력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서비스 호환 : 공용 4형」 및 「서비스 호환 : 독립 3D 4형」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영상송신장치(110)에 대해 ES-location-info에 기재되는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축적 미디어(일례로 USB 메모리(121))에 애디셔널 뷰 영상을 축적하고, 사람의 손을 개재하여 그 축적 미디어가 운반되어 영상재생장치(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영상재생장치(120)는 애디셔널 뷰 영상을 축적 미디어로부터 판독한다. 이에 의해 애디셔널 뷰 영상이 축적 미디어를 개재하여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영상재생장치(120)로 전달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서비스 호환 : 공용 5형」 및 「서비스 호환 : 독립 3D 5형」을 나타내는 경우(ES-location의 값은 011), ES-location-info에는 다른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변조 모드, 캐리어 주파수, 채널 TSID 등의 정보가 기재된다. 따라서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1)에 대해 이들 변조 모드, 캐리어 주파수, 채널 TSID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이 TSID에 의해 식별되는 TS를 송신하고 있는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의거하여 수신처리부(1311)는 방송파를 수신해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TS를 취득한다. 여기서, 수신처리부(1311)는 복수의 물리채널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고, 베이스 뷰 영상에 관한 TS와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TS가 다른 물리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되고 있는 경우에도 양 영상에 관한 TS를 병행해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3D-service-type이 「서비스 호환 : 공용 2~5형」 및 「서비스 호환 : 독립 3D 2~5형」의 어느 것도 나타내지 않는 경우(스텝 S1704에서 NO), 제어부(1317)는 주 전송경로를 개재하여 3D영상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711).
스텝 S1711에 관해, 구체적으로는 3D-service-type이 프레임 호환형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1)에 대해 레거시 2D영상을 수신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3D영상의 복호에 복호처리부(1351)를 이용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서비스 호환 : 공용 1형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1)에 대해 3D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수신처리부(1311)는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복조해서 TS를 AV 복호부(1314)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베이스 뷰 영상의 복호에 복호처리부(1351)를 사용하여 애디셔널 뷰 영상의 복호에 복호처리부(1352)를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서비스 호환 : 독립 3D1형」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1)에 대해 3D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3D영상의 복호에 복호처리부(1353)를 이용하도록 지시한다.
또, 3D-service-type의 값이 프레임 비 호환형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1)에 대해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을 전송하고 있는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3D영상의 복호에는 복호처리부(1351)를 이용하도록 지시한다.
이상과 같이 3D-service-type의 값이 프레임 호환형, 「서비스 호환 : 공용 1형」, 「서비스 호환 : 독립 3D 1형」, 프레임 비 호환형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처리부(1311)는 제어부(1317)에 의한 지시에 의거하여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해서 복조하여 TS를 AV 복호부(1314)에 출력한다. 또, AV 복호부(1314)에서 다중 분리부(1331)가 입력된 TS에 대해 다중 분리를 실행한다. 다중 분리부(1331)는 다중 분리에 의해 베이스 뷰 영상에 관한 영상 ES와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영상 ES 각각을 추출하고, 각각을 AV 복호부(1314)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17)에 의해 지시된 복호 처리부가 다중 분리에 의해 추출된 영상 ES를 복호하고, 복호에 의해 생성한 3D영상에 관한 영상신호를 표시제어부(1333)에 출력하게 된다.
스텝 1707에서, 제어부(1317)는 표시제어부(1333)가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화면표시신호를 생성해 표시부(1315)에 출력하도록 한다(스텝 S1707). 그리고 표시부(1315)는 화면표시신호에 의거한 3D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3. 4. 영상재생장치에서의 3D영상 표시에서 2D영상 표시로의 전환처리(「서비스 호환 : 독립 3D」인 경우)>
이하, 「서비스 호환 : 독립 3D」인 경우의 영상재생장치(120)에서의 3D영상 표시에서 2D영상 표시로의 전환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3D영상 표시에서 2D영상 표시로의 전환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영상재생장치(120)에서의 제어부(131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316)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2D영상으로의 전환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1801).
2D영상으로의 전환 지시를 취득하면, 제어부(1317)는 표시 중인 3D 프로그램에 관한 3D용 EIT의 2D-3D-relationship-descriptor에서 2D-presentation-allowed와 content-identical-status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17)는 2D-presentation-allowed가 01이며, 또한, content-identical-status가 001 또는 011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802).
스텝 S1802에서의 판단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스텝 S1802에서 YES),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표시 중인 3D영상을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의 재생 정지를 지시한다(스텝 S1803). 그리고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표시 중인 3D영상을 구성하는 애디셔널 뷰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2D영상을 재생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1804).
스텝 S1802에서의 판단결과가 부정적인 경우(스텝 S1803에서 NO), 제어부(1317)는 2D-presentation-allowed가 10이며, 또한, content-identical-status가 010 또는 011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811).
스텝 S1811에서의 판단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스텝 S1811에서 YES),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표시 중인 3D영상을 구성하는 애디셔널 뷰 영상의 재생 정지를 지시한다(스텝 S1812).
그리고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표시 중인 3D영상을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2D영상을 재생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1813).
스텝 S1811에서의 판단결과가 부정적인 경우(스텝 S1811에서 NO)에는 제어부(1317)는 AV 복호부(1314)에 대해 재생 중인 3D영상의 재생 정지를 지시한다(스텝 S1821).
그리고 제어부(1317)는 수신처리부(1311), AV 복호부(1314)에 레거시 2D영상을 취득해 표시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1822). 이 지시에 따라 수신처리부(1311) 및 AV 복호부(1314)는 레거시 2D영상을 취득하여 복호하고, 표시부(1315)가 레거시 2D영상을 표시한다.
<3. 5. 영상재생장치에서의 2D영상 표시에서 3D영상 표시로의 전환처리(「서비스 호환 : 공용」인 경우)>
이하, 레거시 2D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3D영상 표시로 전환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2D영상 표시에서 3D영상 표시로의 전환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영상재생장치(120)에서의 제어부(131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316)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3D영상으로의 전환 지시를 취득한다(스텝 S1901).
3D영상으로의 전환 지시를 취득하면, 제어부(1317)는 표시 중인 2D 프로그램에 관한 EIT의 2D-3D-relationship-descriptor로부터 leftview-flag를 추출하고, leftview-flag의 값이 00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902).
스텝 S1902에서의 판단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스텝 S1902에서 YES), 제어부(1317)는 베이스 뷰 영상(레거시 2D영상)을 우측 눈 영상, 애디셔널 뷰 영상을 좌측 눈 영상으로 하여 3D영상을 재생하도록 각 수신 처리부, AV 복호부(1314), 표시부(1315) 각각에 지시한다(스텝 S1903).
영상재생장치(120)는 베이스 뷰 영상(레거시 2D영상)을 우측 눈 영상, 애디셔널 뷰 영상을 좌측 눈 영상으로 하여 3D영상을 재생한다.
스텝 S1902에서의 판단결과가 부정적인 경우(스텝 S1902에서 NO), 제어부(1317)는 leftview-flag의 값이 01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911).
스텝 S1911에서의 판단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스텝 S1911에서 YES), 제어부(1317)는 베이스 뷰 영상(레거시 2D영상)을 좌측 눈 영상, 애디셔널 뷰 영상을 우측 눈 영상으로 하여 3D영상을 재생하도록 각 수신 처리부, AV 복호부(1314), 표시부(1315) 각각에 지시한다(스텝 S1912). 영상재생장치(120)는 베이스 뷰 영상(레거시 2D영상)을 좌측 눈 영상, 애디셔널 뷰 영상을 우측 눈 영상으로 하여 3D영상을 재생한다.
스텝 S1911에서의 판단결과가 부정적인 경우(스텝 S1911에서 NO), 제어부(1317)는 3D영상의 재생을 할 수 없다는 취지를 기재한 표시화상(이하, 「에러표시화상」이라고 한다)을 작성하고, 이 에러표시화상을 나타내는 영상신호를 표시제어부(1333)에 출력한다. 표시제어부(1333)는 레거시 2D영상에 에러표시화상을 중첩하고, 이 중첩한 영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표시부(1315)에 출력한다.
표시부(1315)는 레거시 2D영상에 에러표시화상이 중첩된 영상을 표시한다.
<4. 변형 예>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영상송신장치 및 영상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송수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예시한 영상 송수신시스템을 이하와 같이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영상 송수신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ES-location-info에 대해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일례로 도 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ES-location-info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ES-location의 값이 011인 경우에 이용하는 별도 전송경로의 상세로 다른 스트림에 관한 TSID를 나타내는 TSID-ref, 다른 스트림이 전송되는 가상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source-id-ref가 기재된다. 또, ES-location의 값이 000인 경우에 이용하는 별도 전송경로의 상세로 URL이 기재된다. 또, ES-location의 값이 010인 경우에 이용하는 별도 전송경로의 상세로 축적 미디어를 식별하는 식별정보가 기재된다. 식별정보의 일례로는 예를 들어 USB 메모리의 각각에 고유한 제조번호 등이 이용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ES-location의 값이 001인 경우에는 ES-location-info에는 모바일/휴대용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수신 주파수, 채널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ES-location-info에는 별도 전송경로의 상세를 나타내는 엘리먼트는 아니나 WithinSamePhysicalChannel을 기재하고 있다.
도 20의 표 2001은 WithinSamePhysicalChannel이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이다.
표 200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WithinSamePhysicalChannel은 별도 전송경로로서의 물리채널이 레거시 2D영상을 송신하는 물리채널과 동일(값이 00)한가 아닌가(값이 01)를 나타내고 있다.
영상재생장치(120)에서 별도 전송경로로 전송되는 영상이 레거시 2D영상과 동일한 물리채널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별도 전송경로로 전송되는 영상을 레거시 2D영상을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튜너로 수신할 수 있는데 반해, 다른 물리채널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레거시 2D영상을 수신하는 튜너와는 다른 튜너가 필요하게 된다. 영상재생장치(120)는 이 엘리먼트를 참조하여 자신의 장치가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는가 여부 등 자신의 장치의 수신 능력에 의거하여 3D영상의 수신 가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영상재생장치(120)는 자신의 장치가 구비하는 튜너가 1개인 경우, 이 엘리먼트를 이용한 3D영상의 재생에 2개의 튜너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면, 이 3D영상에 관한 3D 프로그램에 연계된 2D 프로그램에 관한 2D영상을 재생하는 등의 대체적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2)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연계처의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정의하여 연계원의 EIT에 기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마다 연계처의 프로그램의 유무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연계의 유무가 프로그램마다 바뀌는 것이 아니라, 1개의 가상채널에 다른 가상채널이 항상 연계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이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연계처의 가상채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VCT에서의 연계원의 가상채널 엔트리에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기재하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에 기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던,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event-id를 나타내는 event-id-ref에 대해서는 기재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2D-3D-relationship-descriptor에 대해서도,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와 마찬가지로 각 엘리먼트의 값이 프로그램마다 바뀌는 것이 아니라, 가상채널마다 값을 특정할 수 있으면 충분한 것과 같은 경우에는 EIT에 기재하는 것이 아닌 VCT의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2D-3D-relationship-descriptor에 기재된 엘리먼트는 반드시 2D-3D-relationship-descriptor에 기재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테이블이나 디스크립터 등에 기재해도 좋다.
예를 들어 2D-3D-relationship-descriptor에 기재하는 content-identical-status를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에 기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3)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별도 전송경로가 축적 미디어인 경우에는 영상송신장치(110)에서 애디셔널 뷰 영상을 USB 메모리에 기입하고, 이 USB 메모리를 영상재생장치(120)로 운반하여 접속함으로써 베이스 뷰 영상을 수신하기 전에 애디셔널 뷰 영상을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영상재생장치(12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으나, 영상재생장치(120)가 베이스 뷰 영상을 수신하기 전에 축적 미디어로부터 애디셔널 뷰 영상을 판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영상재생장치(120)에 소정의 USB 메모리를 미리 접속해 두고, 영상송신장치(110)가 레거시 2D영상의 송신에 앞서 네트워크 등을 개재하여 애디셔널 뷰 영상을 영상재생장치(120)에 송신하고, 영상재생장치(120)가 그 수신한 애디셔널 뷰 영상을 USB 메모리로 기록해 두는 것으로 해도 좋다.
(4)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용 EIT와 3D용 EIT의 연계를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이용하여 실행하고 있었으나, 다른 방법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EIT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event-id의 값의 결정방식에, 어느 EIT와 다른 EIT를 연계시키기 위한 특정 규칙을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특정 규칙의 일례로는 도 2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14 비트로 구성되는 event-id의 최상위 비트인 비트 13을, 자신의 EIT가 2D용 EIT(값이 0)나 3D용 EIT(값이 1)를 나타내는 비트라고 정한다. 또, 비트 12를 연계된 EIT가 있는(값이 1)가, 없는(값이 0)가를 나타내는 비트라고 정한다. 그리고 연계된 양 EIT의 event-id의 비트 11~비트 0은 동일 값으로 하는 것으로 정한다.
도 21의 EIT1(2101)와 EIT2 (2102)의 경우에는 비트 11~비트 0이 동일하나 비트 12가 0이므로 연계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1의, 비트 13이 0인 2D용 EIT3(2111)과 비트 13이 1인 3D용 EIT4(2112)는 각각 비트 12가 1이며, 비트 11~비트 0이 동일하므로 연계되어 있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2D-3D-channnel-linkage-descriptor를 이용하지 않고 2D용 EIT와 3D용 EIT를 연계시킬 수 있다.
또, 비트 3~비트 0에는 비트 13~비트 4까지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기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전송로 노이즈 등에 의한 event-id에 대한 에러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5)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용 EIT와 3D용 EIT를 연계시킴으로써 2D용 프로그램과 3D용 프로그램을 연계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마다가 아니라,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을 항상 연계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일례로 도 2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연계의 유무에 대해 규정하는 2D-3D-linkage-info를 2D 가상채널 및 3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에 엘리먼트로서 추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22는 2D-3D-linkage-info가 취할 수 있는 값과 그 설명의 일람표를 나타낸다. 2D-3D-linkage-info는 2 비트의 바이너리 값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2D-3D-linkage-info의 값이 00인 경우에는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의 연계가 없고, 또, 2D용 EIT와 3D용 EIT의 연계도 없는 것을 나타낸다.
2D-3D-linkage-info의 값이 01인 경우에는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의 연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2D-3D-linkage-info의 값이 02인 경우에는 2D용 EIT와 3D용 EIT의 연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연계의 대상은 2D용 EIT와 3D용 EIT 및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D용, 3D용의 차이가 아니라, 2K1K의 해상도를 갖는 영상에 관한 EIT와 4K2K의 해상도를 갖는 영상에 관한 EIT를 연계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2K1K의 해상도를 갖는 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가상채널과 4K2K의 해상도를 갖는 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가상채널을 연계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촬영 앵글이 다른 영상에 관한 EIT를 서로 연계시켜도 좋고, 촬영 앵글이 다른 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가상채널을 서로 연계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6)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자프로그램 표에 관해 도 16의 전자프로그램 표(1602)와 같이 서로 연계된 프로그램, 서로 연계된 가상채널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연계원의 EIT를 포함하는 2D 가상채널에 관한 열과 연계처의 EIT를 포함하는 3D 가상채널에 관한 열을 나란히 배열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서로 연계된 프로그램, 서로 연계된 가상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A) 예를 들어 pop-up 화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변형 예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2D 가상채널(일례로 가상채널번호가 5-1ch)과 이에 연계된 3D 가상채널(일례로 가상채널번호가 15-3ch)이 있는 경우에, 도 2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자프로그램 표(2301)에 일방의 가상채널(일례로 연계원의 EIT에 관한 2D 가상채널)에 관한 열만 표시한다. 그리고 연계원의 EIT에 의해 나타내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1631)에 연계처의 EIT에 관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표시(일례로 화상(1631) 중의 「3D 있음」의 문자)를 기재해 둔다.
그리고 전자프로그램 표 2301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지시하는 사용자 지시로 화상 1631이 선택된 경우에,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자프로그램 표 상에 pop-up 화상 2401을 표시한다.
pop-up 화상 2401에는 지시한 프로그램을 2D로 보는가(버튼 2411), 3D로 보는가(버튼 2412), 보지 않는가(버튼 2413)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지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해 둔다. 그리고 버튼 2411~2413 중 일방이 선택된 경우에 영상재생장치(120)는 그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영상의 재생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상 서로 유사한 내용인 2D 프로그램의 내용과 이에 연계된 3D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해 표시하기 위해 전자프로그램 표(1602)에서의 가상채널에 관한 2열 분의 영역을 점유해 버리는 것을 회피하여, 표시를 위한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전자프로그램 표에서 2D에 의한 시청과 3D에 의한 시청의 선택을 시청하는 가상채널 열을 선택하는 조작보다도 사용자 입장에서 알기 쉬운 조작에 의해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녹화 기능도 갖는 경우, 상기의 「곧 본다」나 「3D로 본다」이외에, 「2D로 녹화한다」나 「3D로 녹화한다」 등의 버튼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명시적으로 2D에서의 녹화인가, 3D에서의 녹화인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것으로 하면, 「2D로 녹화한다」가 선택된 경우에 2D로 표시하는데 필요한 비디오 스트림(레거시 2D영상에 관한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만을 기록하고, 독립 3D영상, 애디셔널 뷰 영상에 대해서는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영상을 기록하는데 필요한 기록 용량을 3D로 표시하는데 필요한 비디오 스트림 등까지 기록하는 경우보다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낸 pop-up 화상의 표시를 실행하는 대신, 전자프로그램 표를 표시하는 화면으로부터 도 25에 나타내는 상술한 pop-up 화상과 동일 내용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B) 전자프로그램 표에서 일례로 도 2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2D 가상채널에 관한 열과 3D 가상채널에 관한 열을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변형 예에 관한 도 26의 전자프로그램 표 2602에서는 2D 가상채널(도면,중 4-1ch, 5―1ch, 17―1ch)에 관한 열을 모두 배치한 후에 3D 가상채널(도면,중 15-1ch, 27―1ch)에 관한 열을 배치하고 있다. 전자프로그램 표 2602에서 커서 26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프로그램(도면 중에서는 「영화 1(3D)」)에 관한 섬 네일 영상(2651)이 표시된다. 커서 2650에 의해 선택되는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에서 3D 프로그램으로, 또 3D 프로그램에서 2D 프로그램으로 전환되면 섬 네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도 2D영상과 3D영상 사이에서 전환되게 된다.
여기서, 전자프로그램 표에서 2D 가상채널에 관한 열과 3D 가상채널에 관한 열이 혼재하면 커서 2650을 이동시킴으로써 섬 네일 영상이 2D영상과 3D영상으로 빈번하게 전환되어 사용자가 불쾌하게 느낄 수 있다. 본 변형 예에 의하면 이와 같은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영상재생장치(120)에서 3D영상과 2D영상의 전환처리는 사용하는 복호 처리부의 변경 등 다른 처리에 비해 부하가 높은 처리이다. 본 변형 예에 의하면 2D영상과 3D영상의 전환빈도를 줄여서 영상재생장치(120)에서의 처리 부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측에서 각 2D 가상채널에 할당하는 가상채널번호의 범위와 각 3D 가상채널의 가상채널번호의 범위를 미리 구분하여 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측에서는 통상 전자프로그램 표에서 가상채널번호가 오름 순으로 배열되도록 각 가상채널에 관한 열을 배열하기 때문이다.
(7)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영상재생장치(130) 등의 레거시 재생장치는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2D 프로그램 및 이 2D 프로그램에 연계된 3D 프로그램이 확장 ATSC 규격에 의거하여 송신되고 있는 경우에 3D 프로그램이 송신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없었다. 그러나 레거시 재생장치에서 3D 프로그램의 재생 자체는 할 수 없으나 연계된 3D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면 3D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키거나, 3D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로의 교체를 촉진하는 등의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변형 예에서는 레거시 재생장치가 연계된 3D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프로그램명 등)를 종래의 ATSC 규격에 의거하여 수신하여 제시할 수 있는 PSIP 정보를 송신한다.
도 27은 본 변형 예에 관한 MGT, VCT 및 EIT의 개요 및 이들의 관련을 기재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의 전제로 어느 2D 프로그램에 관한 EIT(2701)와 3D 프로그램에 관한 EIT(2702)가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2D 프로그램은 2D 가상채널(2711)로 송신되고 3D 프로그램은 3D 가상채널(2712)로 송신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레거시 재생장치가 수신 가능한 MGT(2721)(PID는 0x1FFB이다)에는 EIT(2701)의 PID가 기재된다. 또, 레거시 재생장치가 수신 가능한 VCT(2731)(PID는 0x1FFB이다)에는 2D 가상채널(2711)에 대해 규정하는 가상채널 엔트리(2D)(2732)가 기재된다. 또, VCT(2731)에는 더미의 3D 가상채널(2713)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더미 3D)(2733)를 기재한다. 여기서, 가상채널 엔트리(2733)에 기재되는 정보는 고유한 값을 기재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source-id를 제외하고 가상채널 엔트리(2732)에 기재한 정보와 동일하게 해 둔다.
또, 더미의 가상채널(2713)로 송신되는 더미의 3D 프로그램에 관한 EIT(2703)가 송신할 EIT에 추가되어 있다. 이 EIT(2703)에는 3D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로 EIT(2702)에 기재되어 있는 3D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다. EIT(2703)의 source-id로는 가상채널(2713)을 특정하는 값(가상채널 엔트리(2733)에 기재된 source-id와 같은 값)이 기재된다.
이상과 같은 PSIP 정보를 영상송신장치(110)가 송신함으로써 PSIP 정보를 수신한 레거시 재생장치에서는 EPG에서의 가상채널(2713)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로 EIT(2703)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즉, 연계된 3D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레거시 재생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더미의 3D 가상채널(2713)의 선국이 지시되었다고 해도 가상채널 엔트리(더미 3D)(2733)의 기재에 의거하여 가상채널의 수신을 실행함으로써 실제로는 2D 가상채널(2711)을 수신하게 되므로 3D영상을 재생하려고 한다고 해서 오동작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2D 프로그램에 관한 EIT에 기재하는 프로그램명 및 연계된 3D 프로그램 및 더미의 3D에 관한 EIT에 기재하는 프로그램명에 대해서는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프로그램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EIT(2701)에 기재된 프로그램명이 「지식재산 수지개선강좌(3D)」인 경우에는 EIT(2702) 및 EIT(2703)에 기재하는 프로그램명을 「지식재산 수지개선강좌(3D)」로 하면 좋다.
또, 종래의 ATSC 규격 및 확장 ATSC 규격에서는 영상송신장치(110)는 EIT에 대응시켜서 각 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시청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ETT(Extended Text Table)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3D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로 ETT에 「이 프로그램은 ATSC 3D TV에서는 3D로 즐길 수 있습니다」 등 시청자에 대한 고지를 실행하는 기재를 삽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도 2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ETT(2810)에 대해서는 EIT에 대응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상채널(2820)에 대응시켜서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레거시 재생장치에서 사용자에 대해 연계의 유무를 프로그램 단위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채널 단위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의 3D 가상채널에 대한 ETT에 「이 채널은 ATSC 3D에 대응한 TV에서는 3D로 시청을 즐길 수 있습니다.」라고 한 메시지를 기재한다. 이 ETT를 수신한 레거시 재생장치는 EPG에서 더미의 가상채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때에 이 ETT에 기재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레거시 재생장치는 사용자에 대해 2D 가상채널에 연계된 3D 가상채널이 송신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8)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presentation-allowed에 관해, 특히, 3D영상을 MPEG4 MVC 방식으로 부호화한 경우에 3D영상을 구성하는 베이스 뷰 영상 및 애디셔널 뷰 영상 중 어느 영상을 2D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특히,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이 동일 영상인 경우(2D영상인 경우)이면 애디셔널 뷰 영상을 2D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는 MPEG4 MVC 방식에 의해 베이스 뷰 영상(2901)과 애디셔널 뷰 영상(2902)을 부호화하는 처리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베이스 뷰 영상(2901)은 MPEG4 AVC 방식으로 참조 화상 없이 부호화(2911) 한다.
부호화(2911)된 베이스 뷰 영상(2901)은 복호(2912)되어서 애디셔널 뷰 영상(2902)을 부호화할 때의 참조 화상으로서 참조 픽처 버퍼(2921)에 저장된다.
애디셔널 뷰 영상(2902)은 참조 픽처 버퍼(2921)에 저장된 참조 화상을 참조하면서 부호화된다.
이 경우에는 화질의 관점에서 애디셔널 뷰 영상이 2D표시를 위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2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좌우의 영상이 동일한 경우에 MPEG4 MVC 등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면 한쪽의 영상을 참조하면서 압축된 영상이 고화질이 되기 때문이다.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이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 애디셔널 뷰 영상은 참조 픽처 버퍼 내의 참조 화상(압축시의 노이즈, 왜곡을 포함한다)과 애디셔널 뷰 영상에 관한 화상(노이즈, 왜곡 없음)의 차분을 취해서 그 차분을 압축 부호화하게 된다. 따라서 참조 화상에 포함되는 압축시의 노이즈나 왜곡이 완화되어 베이스 뷰 영상보다 고화질로 압축 부호화 되게 되기 때문이다.
(9)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확장 PSIP 정보로 3D용 MGT를 추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3D용 MGT에 기재되어야 할 내용을 전송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3D용 MGT의 내용 중 2D용 MGT에 기재되지 않은 부분을 기재하는 디스크립터를 정의하여 도 4에 나타내는 2D용 MGT에 기재해도 좋다. 이와 같이 MGT를 구성함으로써 레거시 재생장치에서는 새로운 디스크립터는 참조하지 않게 되므로 3D용 MGT의 내용을 인식하는 일은 없으며, 확장 PSIP 정보를 해석하는 영상재생장치에서만 3D용 MGT의 내용을 인식시킬 수 있다.
(10)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ES-location의 값이 000인 경우에 ES-location-info에 기재하는 정보로 인터넷을 개재하여 취득처로서의 URL을 기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취득처를 특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개재한 취득처로는 URL에 한정하지 않으며, IP주소 등이라도 좋다. 또, ES-location-info에 애디셔널 뷰 영상이 저장된 파일의 파일명이나, 애디셔널 뷰 영상의 취득에 대한 인증의 필요 여부 등 애디셔널 뷰 영상의 취득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1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3D-service-type이 제시할 수 있는 제공형태로 11개의 예를 제시하였으나, 11개의 제공형태를 모두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3D-service-type이 제시할 수 있는 제공형태로 다른 제공형태를 정의해도 좋다. 예를 들어 3D-service-type이 제시할 수 있는 제공형태로 2D영상과 깊이 맵의 정보를 이용한 제공형태를 추가해도 좋다.
(12)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의 엘리먼트로 linkage-direction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연계원의 EIT가 2D용 EIT이고 연계처의 EIT가 3D용 EIT인 경우, 연계원의 EIT가 3D용 EIT이고 연계처의 EIT가 2D용 EIT인 경우의 구별을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EIT에서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의 엘리먼트로 linkage-direction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영상재생장치(120)에서 연계처의 EIT가 전송되고 있는 가상채널이 2D 가상채널인 경우에 연계처의 EIT가 2D용 EIT라고 판단하고, 연계처의 EIT가 전송되고 있는 가상채널이 3D 가상채널인 경우에 연계처의 EIT가 3D용 EIT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3)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 예에서는 EIT에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삽입함으로써 프로그램끼리를 연계시키고 있었으나, 연계할 수만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2D 프로그램에 관한 PMT(Program Map Table)와 이것에 연게되어 있는 3D 프로그램에 관한 PMT에 동일한 레거시 2D영상의 엘리멘터리 PID를 등록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Service-Location-Descriptor에 대해서도 PMT와 마찬가지로 2D 프로그램에 관한 Service-Location-Descriptor와 3D 프로그램에 관한 Service-Location-Descriptor에 동일한 레거시 2D영상의 엘리멘터리 PID를 등록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ATSC 규격에 규정된 범위 내에서 연계할 수 있다.
(14) 또,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을 연계시키는 경우에, 2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하는 program-number(이하, 「2D-PN」라고 한다)의 값과 3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하는 program-number(이하, 「3D-PN」라고 한다)의 값을 특정 관계를 나타내도록 규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3D-PN=2D-PN+1이 되도록 3D-PN과 2D-PN을 정한다.
이 규정에 의거하여 VCT의 각 가상채널 엔트리에서의 program-number를 조합함으로써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을 연계시킬 수 있다.
또, 특정 관계로 16 비트로 구성되는 program-number의 일부를 동일한 값으로 함으로써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을 연계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15)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 예에서는 VCT에서 각 가상채널 엔트리에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삽입함으로써 가상채널끼리를 연계시키고 있었으나, 다른 수법에 의해 연계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가상채널 엔트리에서의 ATSC 규격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Reserved) 영역을 다른 가상채널에의 연계가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엘리먼트(이하, 「LinkStatus」라고 한다)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LinkStatus는 2 비트의 엘리먼트로 한다.
상위 1 비트는 값이 0인 경우 자신의 가상채널 엔트리에서 나타내는 가상채널이 2D 가상채널인 것을 나타내고, 값이 1인 경우 3D 가상채널인 것을 나타낸다.
또 하위 1 비트는 값이 1인 경우 자신의 가상채널 엔트리의 전후에 기재되는 가상채널 엔트리에서 나타내는 가상채널이 연계된 가상채널인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 하위 1 비트는 VCT에 가상채널 엔트리가 나란히 기재되는 경우에,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이 연계되어 있을 때에는 그 2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의 다음에 연계된 3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가 기재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즉 「자신의 가상채널 엔트리의 전후에 기재되는 가상채널 엔트리」는 자신의 가상채널 엔트리가 2D 가상채널을 규정하는 것인 경우에는 「자신의 가상채널 엔트리의 뒤에 기재되는 가상채널 엔트리」를 말한다. 또, 자신의 가상채널 엔트리가 3D 가상채널을 규정하는 것인 경우에는 「자신의 가상채널 엔트리의 전에 기재되는 가상채널 엔트리」를 말한다. 이상과 같이, 이 LinkStatus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립터를 추가하는 일 없이 가상채널의 연계의 유무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상술한 LinkStatus에서는 2 비트를 이용하여 자신의 가상채널이 2D인가 3D인가의 구별도 나타내고 있었으나, 1 비트를 이용하여 연계의 유무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좋다.
(16)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 예에서는 VCT에서 각 가상채널 엔트리에 2D-3D-Channel-linkage-descriptor를 삽입함으로써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을 연계시키고 있었으나, 다른 수법에 의해 연계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VCT로 3D용 VCT를 추가하고 있었으나, 3D용 VCT에 대해서는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VCT에 가상채널 엔트리에 나란히 기재하는 경우에 연계하는 2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와 3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를 연속해서 기재하는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연계시켜도 좋다.
또, 연계시키는 2D 가상채널과 3D 가상채널에 대해 가상채널번호를 특정 규칙에 따라서 부여하는 것으로 규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3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번호를 2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번호에 값 10을 가산한 번호로 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번호에 대해 특정 규칙에 합치하는 것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연계된 가상채널을 특정할 수 있다.
(17)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의 시간길이가 다른 2D 프로그램과 3D 프로그램이 연계시켜서 병행하여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시간길이가 짧은 일방의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한 때에 영상재생장치(120)가 어떤 처리를 실행하는가에 대해서는 특히 설명하지 않았다. 이 경우,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 종래의 PSIP 규격에 의거하여 일방의 프로그램에서 타방의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DCCT(Directed Channel Change Table)를 송신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에 대해 변환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DCCT의 DCC Departing Request Descriptor(또는 DCC Arriving Request Descriptor)에 「3D 프로그램이 종료하였으므로 대응하는 2D 프로그램으로 전환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기재하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영상재생장치(120)에서 DCCT를 수신하여, DCCT에 따라서 일방의 프로그램에서 타방의 프로그램으로 전환할 때에 DCC Departing Recquest Descriptor(또는 DCC Arriving Request Descriptor)에 기재된 메시지를 표시시킬 수 있으며, 재생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나 선택 중의 가상채널이 갑자기 전환되어 사용자가 곤혹스럽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영상재생장치(120)에서 사용자 지시에 의하지 않고 일방의 프로그램에서 타방의 프로그램의 재생으로 전환하지 않으며,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사용자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타방의 프로그램의 재생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영상재생장치(120)에서 2D 프로그램만 재생하고 있고, 이에 연계된 3D 프로그램의 영상송신장치(110)로부터의 송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3D 프로그램의 송신이 개시된 경우에, 영상재생장치(120)가 3D 프로그램의 시청을 실시하는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술한 경우, 영상재생장치(120)가 DCCT에 의거하여 일방의 프로그램에서 타방의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 하였으나, 이 전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영상재생장치(120)에서 이미 설명한 2D-3D-Channel-linkage-descriptor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연계처의 EIT 및 가상채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및 선택하는 가상채널을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영상재생장치(120)는 프로그램 및 가상채널을 전환한다는 취지의 표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8)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독립 3D영상의 부호화는 MPEG4 MVC 방식에 의거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부호화를 실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H. 265(ISO/IEC 23008-2 HEVC)에 의거하여 부호화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MPEG2 방식, MPEG4 AVC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 영상에 대해서도 부호화가 가능하면 충분하며, 부호화방식을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9)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3D-relationship-descriptor를 EIT에 기재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전송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2D-3D-relationship-descriptor를 영상 ES 내에 기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PEG2 방식인 경우에는 user-data에 기재하는 것으로 하고, MPEG4 AVC 방식 및 MPEG4 MVC 방식인 경우에는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에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영상송신장치(110)에서 2D-3D-relationship-descriptor의 내용을 프레임 단위, GOP 단위로 지정하여 영상재생장치(12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content-identical-status를 EIT의 2D-3D-relationship-descriptor에 기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content-identical-status에 대해서도 2D-3D-relationship-descriptor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상 ES 내에 기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20)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비 호환형인 경우에 부호화된 각 영상은 지상 디지털 방송파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일방의 영상을 별도 전송경로로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3D-service-type이 취할 수 있는 값으로 별도 전송경로 각각에 대응하는 값을 정의해서 추가하면 좋다.
(2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별도 전송경로의 예로 인터넷, 모바일/휴대용 방송, 축적 미디어, 다른 스트림(방송)을 들었으나, 애디셔널 뷰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경로이면 충분하다.
(22)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용 VCT에 기재된 내용을 3D용 VCT에도 기재한다는 전제에서 설명을 하였으나, 3D용 VCT에 2D용 VCT의 내용을 기재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확장 ATSC 규격을 해석하는 영상재생장치(120)에서는 3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를 얻기 위해 3D용 VCT를 취득하고, 별도 2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를 얻기 위해서 2D용 VCT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D용 MGT에 기재된 내용을 3D용 MGT에도 기재한다는 전제에서 설명을 하였으나, 3D용 MGT에 2D용 MGT의 내용을 기재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확장 ATSC 규격을 해석하는 영상재생장치(120)에서는 3D용 MGT에 더하여 2D용 MGT에 대해서도 별도 취득할 필요가 있다.
(23)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3D-program-info-descriptor, 3D-service-location-descriptor를 3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으나, 2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에 기재해도 좋다.
이 경우, 3D-program-info-descriptor, 3D-service-location-descriptor는 2D 가상채널에 관한 2D영상(일례로 베이스 뷰 영상) 표시를 3D영상 표시로 전환하는 경우에 어느 전송경로로부터 애디셔널 뷰 영상을 취득하면 좋은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영상재생장치(120)는 2D 가상채널에 관한 가상채널 엔트리를 참조함으로써 애디셔널 뷰 영상의 전송경로를 알 수 있다. 즉, 영상재생장치(120)에 가상채널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3D-program-info-descriptor, 3D-service-location-descriptor의 기재에 의거하여 애디셔널 뷰 영상을 취득하여, 베이스 뷰 영상과 애디셔널 뷰 영상으로부터 3D영상을 구성해서 재생시킬 수 있다.
(24)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영상송신처리, EPG 표시처리, 3D영상의 재생처리, 3D영상과 2D영상의 표시를 전환하는 처리 등을 영상송신장치(110) 및 영상재생장치(120)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에 접속된 각종 회로에 실행시키기 위한 기계어 혹은 고급언어의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지는 제어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또는 각종 통신로 등을 개재하여 유통시켜서 반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록매체에는 IC카드,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플랙시블 디스크, ROM, 플래시메모리 등이 있다. 유통, 반포된 제어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판독될 수 있는 메모리 등에 저장됨으로써 이용에 제공되며, 그 프로세서가 그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각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 또, 프로세서는 제어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외에, 컴파일하여 실행하거나 혹은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25)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기능 구성요소(AV 처리부(1102), 송신처리부(1103), 송신처리부(1104), 송신처리부(1105), 제어부(1106), 기입부(1107), 수신처리부(1311), 수신처리부(1312), 수신처리부(1313), AV 복호부(1314), 표시부(1315), 입력부(1316), 제어부(1317) 및 판독부(1318) 등)는 그 기능을 실행하는 회로로 실현되어도 좋고, 1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각 기능 구성요소는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 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콘피거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치환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26) 상술한 실시형태 및 각 변형 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해도 좋다.
<5. 보충>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영상재생장치, 영상송신장치의 구성 및 그 변형 예와 효과에 대해 더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송신장치는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로,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과 상기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채널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으로 영상과 상기 가상채널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에는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 중 일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영상을 송신하는 가상채널의 정의정보에는 상기 3D영상을 구성하는 타방의 영상의 전송형태를 나타내는 전송형태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재생장치에서 3D영상을 수신하기 위해 가상채널을 선택할 때에 정의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일방의 영상의 전송경로와 타방의 영상의 전송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방의 영상과 타방의 영상이 다른 전송경로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도 영상재생장치에서 양 영상을 취득하여 3D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2) 또, 상기 전송형태정보는 상기 일방의 영상의 전송경로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재생장치에서 일방의 영상을 수신하는 전송경로와는 다른 전송경로로부터 타편의 영상을 취득할 필요가 있는가 여부에 대해서 인식하고, 필요한 경우에 그 다른 전송경로로부터 타편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3) 또, 상기 전송경로의 종별은 방송, 네트워크 및 상기 타방의 영상을 사전 축적한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재생장치에서 타편의 영상을 어느 전송경로로부터 취득하면 좋은가를 인식하여, 그 전송경로로부터 타방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4) 또, 상기 전송형태정보는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타방의 영상에 대해서도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방의 영상과 동일 전송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재생장치에서 타방의 영상에 대해서도 일방의 영상을 수신하는 전송경로로부터 수신하면 좋다는 것을 인식하여, 그 전송경로로부터 타방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5) 또, 상기 가상채널정보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규격에 준한 VCT(Virtual Channel Table)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재생장치에서 VCT를 수신함으로써 일방의 영상과 동일한 전송경로 기타 다양한 전송경로로 송신될 수 있는 타방의 영상에 대해 그 전송경로의 종별을 인식하여, 그 전송경로로부터 타방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송신방법은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가 실행하는 영상송신방법으로,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과 상기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채널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으로 영상과 상기 가상채널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취득되는 복수의 영상에는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 중 일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영상을 송신하는 가상채널의 정의정보에는 상기 3D영상을 구성하는 타방의 영상의 전송형태를 나타내는 전송형태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재생장치에서 3D영상을 수신하기 위해 가상채널을 선택한 때에 정의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일방의 영상의 전송경로와 타방의 영상의 전송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방의 영상과 타방의 영상이 다른 전송경로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도 영상재생장치에서 양 영상을 취득하여 3D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재생장치는 영상을 가상채널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로, 복수의 가상채널 각각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채널정보와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하는 영상에 관한 가상채널을 정의하는 정의정보가 3D영상을 구성하는 일방의 영상의 전송형태를 나타내는 전송형태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형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일방의 영상을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영상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3D영상을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3D영상을 구성하는 일방의 영상을 수신하는 동시에 일방의 영상과 동일한 전송경로 기타 다양한 전송경로로 송신될 수 있는 타방의 영상에 대해서도 취득하여, 일방의 영상과 타방의 영상을 이용하여 3D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송신장치는 영상재생장치에 대해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로, 2D영상에 대응된 3D영상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1개의 가상채널에 의해 상기 3D영상과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 및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는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연계정보를 포함한다.
또,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 및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규격에 준한 EIT(Event Information Table)이며, 상기 연계정보는 event-id 및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가상채널을 특정하는 source-id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송신장치에서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연계시킬 수 있고,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이 대응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 전자프로그램 표를 생성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9) 또,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에 상기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의 적어도 1개에 대해 상기 2D영상과 동일한가 여부를 나타내는 일치상태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신하고, 상기 영상재생장치는 상기 일치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재생장치에서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영상 중 하나를 표시함으로써 3D영상의 재생처리에서 2D영상의 재생처리로 전환을 실행하는 일 없이 표시하는 영상을 3D에서 2D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송신방법은 영상재생장치에 대해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가 실행하는 영상송신방법으로, 3D영상에 대응시킨 2D영상을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1개의 가상채널에 의해 상기 3D영상과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 및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는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연계정보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재생장치에서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연계시킬 수 있고,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이 대응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 전자프로그램 표를 생성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1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재생장치는 3D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로, 1개의 가상채널에 의해 2D영상에 대응시킨 3D영상과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 및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가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연계정보를 포함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이 대응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 전자프로그램 표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연계시키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이 대응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 전자프로그램 표를 생성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관한 영상송신장치는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 중 일방에 대한 전송경로를 영상재생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을 송신하는 것이며, 2D영상 및 3D영상을 송수신하는 영상 송수신시스템 등에 유용하다.
100 영상 송수신시스템
110 영상송신장치
120 영상재생장치
121 USB 메모리
130 영상재생장치
501 가상채널 엔트리
710, 711, 720, 721 엔트리
1101 기억부
1102 AV 처리부
1103~1105 송신처리부
1106 제어부
1107 기입부
1111~1113 영상 부호화부
1121~1123 다중화처리부
1160 3D영상
1161 좌측 눈 영상
1162 우측 눈 영상
1163 독립 3D영상(서비스 호환)
11643D 영상(서비스 비 호환)
1165 PSIP 정보
1311~1313 수신처리부
1314 AV 복호부
1315 표시부
1316 입력부
1317 제어부
1318 판독부
1331 다중 분리부
1332 영상 복호부
1333 표시제어부
1351 복호처리부(MPEG2)
1352 복호처리부(MPEG4 AVC)
1353 복호처리부(MPEG4 MVC)

Claims (4)

  1. 영상재생장치에 대해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로,
    2D영상에 대응시킨 3D영상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와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는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연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에 상기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의 적어도 1개에 대해 상기 2D영상과 동일한가 여부를 나타내는 일치상태정보를 포함하며 송신하며,
    상기 영상재생장치는 상기 일치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 및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규격에 준한 EIT(Event Information Table)이며,
    상기 연계정보는 event-id 및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가상채널을 특정하는 source-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장치.
  3. 영상재생장치에 대해서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송신장치가 실행하는 영상송신방법으로,
    2D영상에 대응시킨 3D영상을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와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는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연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스텝은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에 상기 3D영상을 구성하는 2개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영상의 적어도 1개에 대해 상기 2D영상과 동일한가 여부를 나타내는 일치상태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며,
    상기 영상재생장치는 상기 일치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송신방법.
  4. 3D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로,
    2D영상에 대응시킨 3D영상과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 및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가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연계정보를 포함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2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과 상기 3D영상에 관한 프로그램이 대응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 전자프로그램 표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KR1020147000826A 2012-05-24 2013-05-23 영상송신장치, 영상송신방법 및 영상재생장치 KR20150021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51222P 2012-05-24 2012-05-24
US61/651,222 2012-05-24
US201261654307P 2012-06-01 2012-06-01
US61/654,307 2012-06-01
US201261656303P 2012-06-06 2012-06-06
US61/656,303 2012-06-06
US201261660104P 2012-06-15 2012-06-15
US61/660,104 2012-06-15
PCT/JP2013/003283 WO2013175796A1 (ja) 2012-05-24 2013-05-23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方法、及び映像再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87A true KR20150021487A (ko) 2015-03-02

Family

ID=4962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826A KR20150021487A (ko) 2012-05-24 2013-05-23 영상송신장치, 영상송신방법 및 영상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6450B2 (ko)
JP (1) JP6148232B2 (ko)
KR (1) KR20150021487A (ko)
CA (1) CA2841186A1 (ko)
MX (1) MX2014000675A (ko)
WO (1) WO2013175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6936B2 (en) * 2013-10-09 2024-03-19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optional overlays
JP7159057B2 (ja) * 2017-02-10 2022-10-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自由視点映像生成方法及び自由視点映像生成システム
CN110121080A (zh) * 2018-02-05 2019-08-13 北京大学 虚拟现实视频传输和下载播放的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JP2021057767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346A (ja) 1997-08-18 1999-03-09 Sony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伝送装置、並びに送信方法、受信方法、伝送方法
WO2010058547A1 (ja) * 2008-11-18 2010-05-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特殊再生を考慮した再生装置、集積回路、再生方法
JP2012516069A (ja) * 2009-01-20 2012-07-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3dビデオ及び3dオーバレイをビデオインタフェース上で送信し、合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5541488B2 (ja) * 2009-02-0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8954308B2 (en) * 2009-02-23 2015-02-10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odeling of multi-layered power/ground planes using triangle elements
JP2011066871A (ja) * 2009-08-21 2011-03-31 Sony Corp コンテンツ伝送方法及び表示装置
JP2011082666A (ja) 2009-10-05 2011-04-21 Sony Corp 信号伝送方法、信号送信装置及び信号受信装置
US9210354B2 (en) * 2009-12-15 2015-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and transmission
US20110149020A1 (en) * 2009-12-17 2011-06-23 Ilya Klebanov Method and system for video post-processing based on 3d data
KR101694821B1 (ko) * 2010-01-28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스트림에 대한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와 그 장치,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과 그 장치
CN102918857B (zh) * 2010-04-02 2015-11-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用于提供二维和三维内容的数字广播内容的方法和设备以及用于接收数字广播内容的方法和设备
JP2011250218A (ja) 2010-05-28 2011-12-08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信方法
US9258541B2 (en) * 2010-08-17 2016-02-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US20120050154A1 (en) * 2010-08-31 2012-03-01 Adil Jagma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d user interface in 3d televisions
JP2012244411A (ja) * 2011-05-19 2012-12-10 Sony Corp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52766A1 (en) 2014-06-05
WO2013175796A1 (ja) 2013-11-28
MX2014000675A (es) 2014-04-02
CA2841186A1 (en) 2013-11-28
US9596450B2 (en) 2017-03-14
JP6148232B2 (ja) 2017-06-14
JPWO2013175796A1 (ja)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0000B (zh) 产生用于提供三维多媒体服务的数据流的方法和设备以及用于接收所述数据流的方法和设备
JP5775884B2 (ja) 多視点ビデオストリームに係わるリンク情報を利用する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リンク情報を利用する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6181848B2 (ja) 3d放送信号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5956441B2 (ja) 受信再生装置、送信装置、受信再生方法及び送信方法
US20140157342A1 (en)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 method
JP5981915B2 (ja) 送信装置、受信再生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再生方法
JP5991596B2 (ja) 映像処理装置、送信装置、映像処理システム、映像処理方法、送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JP6148232B2 (ja)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方法、及び映像再生装置
US20140147088A1 (en)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playing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playing method
KR20120058702A (ko) 디지털 방송에서 서비스 호환 방식 전송 방법
CN103843330A (zh) 发送设备、发送方法、接收设备以及接收方法
JP5957770B2 (ja) 映像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集積回路
KR20110068821A (ko) 송, 수신 장치 및 송, 수신 방법
EP3026902A1 (en)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41906A1 (en)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30250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video information
KR20120056190A (ko) Hdtv 방송 서비스와 호환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53938A (ko) 신호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