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191A -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 Google Patents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191A
KR20150021191A KR20130098215A KR20130098215A KR20150021191A KR 20150021191 A KR20150021191 A KR 20150021191A KR 20130098215 A KR20130098215 A KR 20130098215A KR 20130098215 A KR20130098215 A KR 20130098215A KR 20150021191 A KR20150021191 A KR 20150021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einforcing bar
steel bar
portions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종
Original Assignee
이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종 filed Critical 이은종
Priority to KR2013009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191A/ko
Publication of KR2015002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별도의 미장 작업을 요하지 않고 작업 공정이 단순하여 시공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며, 미려한 외관을 주는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1개 이상 형성되는 식생용 통공을 구비함과 동시에 사방에 각각 식생 공간(PS)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 및 1/4 원호로 형성되는 다수의 호형의 요입부 및 상기 인접한 요입부들 사이로 돌출되는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식생용 호안블록과; 인접하여 놓여지는 호안블록들의 서로 접하는 날개부들을 결속하여 주도록 사용되는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와, 상기 철근 결속부재를 끼워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들의 측단부면에서 시작하여 소정 거리까지 상기 철근 결속부재의 수평부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표면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는 철근안치홈과, 상기 철근안치홈의 내측 단에서 ┐자 형상을 이루도록 직각 방향인 수직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철근 결속부재의 수직부를 끼워 수용하는 철근 끼움구멍으로 된 철근 결속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Joint structure of the bank protector brocks for grass growing}
본 발명은 일반 경사지의 법면(法面)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생(植生)시킬 수 있는 식생 공간을 구비하는 식생용 블록을 인접되는 타 블록과 상호 연결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 하천 둑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호안 블록들을 깔아 법면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여 오고 있으며, 특히 상기 호안 블록은 콘크리트 몰탈 제품으로 일정형상의 크기로 성형되어 짜 맞추기 방식으로 법면에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이 단순히 4각 형상의 블록으로만 형성하여 호안 블록을 짜 맞추기 형태로 시공하는 경우 호안 블록의 주위에 풀이 자랄 공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식물을 심을 수가 없었던 관계로 환경적 측면에서 호안의 미관을 크게 해칠 뿐만 아니라 자연 상태 계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일 예로 시공된 호안 블록이 지면을 폐쇄시켜 풀이 자라지 못함에 따라서 하천에 곤충들이 살수 없게 되고, 따라서 새들이 날아들지 않으며 또한 곤충의 유충들을 먹고사는 어패류의 생식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블록의 내부에 식생 공간을 구비하는 식생용 블록들이 설치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시공 지면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인접된 블록끼리 접면 시공되는 방식이어서 시공 면에서 전면으로의 토압이 발생되는 경우 토압발생부의 블록이 개별적으로 돌출 이탈되어 시공 상태가 와해되는 등 안정성을 기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블록의 시공이 경사도가 완만한 곳에만 한정되는 것이어서 사용효과와 목적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측 방향의 마감부위가 약화 또는 훼손되어 종 라인 전체가 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이에 대한 억제 또는 방지구조가 마련되지 못해 종 라인 전체가 횡으로 유동, 이탈될 수 있어 시공 상태를 와해시킬 수 있는 우려가 커서 블록의 시공 상태를 완벽하게 안정화시켜 줄 수 없다는 문제가 늘 지적되어 왔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 등록특허 10-1200190호에서는 식물 등의 식생이 가능하면서 인접한 블록끼리의 체결구조를 개선토록 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상기한 선행 특허발명을 도시한 것으로, 중앙에 식생용 통공(3)을 몸체의 상하로 관통되게 구비함과 동시에 사방에 각각 식생 공간(PS)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호형의 요입부(2)을 구비하는 식생용 블록(1)의 각 요입부(2)의 사이마다, 외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연결부(11)의 내측 양단에 직교되게 걸림부(12)를 구비하는 "T"자형으로 된 복수개의 몰드 수용홈(10)을 형성하고, 상기 몰드 수용홈(10)에 끼워져 설치되며 연결부(21)의 양단에 상기 몰드 수용홈(10)의 걸림부(12)에 끼워지는 걸림 날개부(2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I"형의 결속 보강심재(20)를 구비하되, 상기 각 몰드 수용홈(10)의 연결부(11) 내측 면에 대향되는 상태로 요입 형성되는 계단형의 걸림턱(30)과; 상기 각 몰드 수용홈(10)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되어 몰드 수용홈(10)의 하부가 지면과 격리되도록 하는 바닥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블록에 인장 외력의 발생 시 걸림턱(30)을 통해 인장 응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여러 군데로 분산, 감소되도록 하여, 몰드 수용홈(10)에 충진 양생되는 결속용 몰드가 블록의 인장 외력에 대해 보다 강한 지지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균열이나 파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몰드 수용홈(10)의 걸림부(12) 내의 결속용 몰드부가 파단되는 경우에도 블록을 이어주는 연결부(21) 내의 몰드가 걸림턱(30)을 통해 몰드 수용홈(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결속 지지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각 블록의 안정적인 결속상태가 가능하게 만들며, 또한 바닥부(40)를 통해 몰드 수용홈(10) 부근의 블록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블록의 내구성의 향상을 통한 사용수명의 연장을 기함과 아울러 몰드 수용홈(10) 내에 매설되는 결속 보강심재(20)가 지면의 습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어 부식의 억제를 통한 사용수명의 연장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결속 보강심재(20)를 바닥부(40) 상에 재치시킨 상태에서 결속용 몰드를 타설하게 되는 관계로 결속 보강심재(20)의 매설 깊이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각 블록 결속 구조 간의 기능적 편차 발생을 방지하여 지지 강성에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호안 식생 블록은 시공 시 각 블록을 결속함에 있어, 몰드 수용홈(30)의 하부 측은 바닥부(40)에 의해 막혀 있는 반면, 상부 측은 개방된 형태로 그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결속용 몰드를 약간 충진한 다음 철재 재질의 I자 형상의 결속 보강심재(20)를 양측 블록의 몰드 수용홈(30)에 끼운 후 다시 그의 상부를 결속용 몰드로 채우고 블록 상면과 평평한 면이 되도록 미장 처리를 하게 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블록을 공장에서 생산한 상태에서는 블록 자체의 외관이 미려하나, 현장 시공을 통해 블록 간의 결속을 위해 별도로 시멘트 재료를 배합하여 형성되는 결속용 몰드를 메워 미장 처리하게 되면, 결속용 몰드가 블록 본체의 색상 및 질감과의 구별되는 차이를 가져와 얼룩이 진 것처럼 지저분하게 보여져 호안의 경관을 해치게 되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둘째, 시공 현장에서 시멘트를 배합하여 결속용 몰드를 메우고 결속 보강심재(20)를 끼운 후 다시 그 위에 결속용 몰드를 채운 후 상부면을 평평하고 매끈하게 미장 처리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시공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으며,
셋째, 결속 보강심재(20)가 I(또는 H)자 형강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결속 보강심재(20)의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넷째, 결속용 몰드가 단단히 양생되기 까지에는 많은 시간의 경과가 필요하며, 시공을 마치고 아직 굳기 전에 큰 비가 내리거나 또는 사람들이 접근하여 밟게 되면, 결속용 몰드가 파이거나 하여 철근 심재가 노출되거나 또는 외관이 보기 흉한 형태로 시공될 뿐 아니라 아직 결속용 몰드가 굳지 않아 철근 심재가 버팀부재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해 체중을 실어 사람에 의해 밟혀진 블록이 주저 않으면서 인접한 블록과 단층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200190호(2012. 11. 05일 등록; 발명의 명칭: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시공 현장에서 별도의 미장 작업을 요하지 않고 작업 공정이 단순하여 시공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며, 미려한 외관을 주는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과 블록의 사방을 철근을 이용하여 결속시켜 블록의 이탈과 침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철근의 결속 작업의 편의성이 증진된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는 1개 이상 형성되는 식생용 통공을 구비함과 동시에 사방에 각각 식생 공간(PS)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 및 1/4 원호로 형성되는 다수의 호형의 요입부 및 상기 인접한 요입부들 사이로 돌출되는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식생용 호안블록과; 인접하여 놓여지는 호안블록들의 서로 접하는 날개부들을 결속하여 주도록 사용되는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와, 상기 철근 결속부재를 끼워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들의 측단부면에서 시작하여 소정 거리까지 상기 철근 결속부재의 수평부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표면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는 철근안치홈과, 상기 철근안치홈의 내측 단에서 ┐자 형상을 이루도록 직각 방향인 수직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철근 결속부재의 수직부를 끼워 수용하는 철근 끼움구멍으로 된 철근 결속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철근 끼움구멍은 원형 또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철근 결속부재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를 사용하여 인접한 양측 블록에 걸쳐 형성되는 ┌┐ 형상의 철근 결속수용부에 끼워붙여 결합하여 접속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질감의 상이함과 얼룩을 발생시키게 되는 별도의 미장 처리 공정을 생략하여도 호안블록의 고정이 가능하여, 호안에 블록을 축조 시 미려함이 보장되고, 블록의 축조 설치를 위한 작업 공정이 단순하여 시공 비용과 설치공기의 저감이 가능하며, 블록의 이탈과 침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철근의 부식의 방지와 사용 수명의 연장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단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A-A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에서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를 끼워 삽입하는 철근 끼움구멍을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한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을 시공 시 인접한 블록 사이를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를 끼워 삽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어 보여준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단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A-A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식생용 호안블록의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 부호 50으로 나타낸 식생용 호안블록(50)은 몸체(52)에 서로 대칭으로 위치하는 1개(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일 때) 이상 복수개, 바람직하기는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2개(몸체 52의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 2개를 이어 붙인 형태의 직사각형일 때)의 식생용 통공(54)이 각기 각각의 좌우 정사각형 형상 내의 정 중앙 위치에 지면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또는 도 3의 형상2개를 이어 붙여 4개의 식생용 통공을 가진 정사각형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블록(50)의 사방 측면으로 각각 식생 공간(아래의 부호 56의 반원 2개 또는 1/4원 4개가 합하여 구성되는 원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 및 1/4 원호로 형성되는 다수의 호형 요입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호형 요입부(56)는 직사각형 형상의 호안블록(50)의 네 코너에는 1/4 원호로 형성되고, 길이가 긴 측벽면에는 1/4 원호들 사이로 반원(1/2 원호)의 원호로 형성되며, 이들 호형 요입부(56)들은 함께 접속되는 다른 블록들의 호형 요입부들과 만나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완성된 식생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인접하는 호형 요입부(56)들 사이로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날개부(6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블록 시공 시 인접하여 놓여지는 호안블록들(도 9 및 도 10의 부호 50a와 부호 50b 참조)의 서로 측면(58)이 접하는 날개부(60)(60)들을 결속하여 주도록 사용되는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62)와, 상기 철근 결속부재(62)를 끼워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60)들의 측단부면(58)에서 시작하여 식생용 통공(54)을 향한 소정 거리까지 상기 철근 결속부재(62)의 수평부(62a)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표면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는 철근안치홈(66a)과, 상기 철근안치홈(66a)의 내측 단에서 ┐자 형상을 이루도록 직각 방향인 수직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철근 결속부재(62)의 수직부(62b)를 끼워 수용하는 철근 끼움구멍(66b)으로 된 ㄱ자 형상의 철근 결속수용부(66)가 마련되어져 있다.
상기 철근 끼움구멍(66b)은 도시한 것 같이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하게 되나,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철근 끼움용의 장공(66c)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장공(66c)은 상기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62)의 수직부(62b)를 끼워 붙일 때 약간의 유격을 허용하여 철근의 삽입 조립성을 좋게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철근 결속부재(62)는 그의 외표면을 통상적인 도금 처리를 하여 부식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여기서 부호 52a는 블록의 미관을 위하여 디자인적 측면에서 몸체(52)로부터 돌출시킨 돌출장식부로서, 이 돌출 장식부(52a)는 글자 그대로 미관을 위한 것이어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같은 구성의 호안블록(50)을 이용하여 축조 시 호안블록 간의 결속구조를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단위 블록(50a)의 주변으로 다른 블록(50b)을 각각의 측면(58)을 일치시켜 나란히 위치시키면, 양측 블록(50a)(50b)의 ㄱ 자 형상의 철근 결속수용부(66)는 2개가 서로 대칭되게 만나 ┌┐ 형상이 되며, 이 상태에서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62)의 수직부(62b)를 상기 철근 결속수용부(66)의 철근 끼움구멍(66b)에 맞추어 내리눌러 삽입하게 되며, 이때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62)의 수평부(62a)가 철근안치홈(66a)에 수용되어지게 되면 철근 결속부재(62)의 결속 작업이 간단히 완료되는 것이며, 이 같이 하여 철근 결속부재(62)의 수평부(62a)가 철근안치홈(66a) 내에 수용되면 블록의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아 보행자가 걸리게 되는 일이 없으며(이 철근 안치홈의 깊이는 철근 직경보다 약간 깊게 하는 것도 허용된다), 또 요홈에 의해 보호될 뿐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면 철근안치홈(66a)의 나머지 부분이 흙 등으로 메워지게 되어 철근의 노출이 차단되어지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철근 안치홈(66a)에는 ∩ 형상의 보호캡을 끼워 붙여 철근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62)를 간단히 끼우는 작업만으로 배열된 블록들의 설치 작업이 종료되므로, 미장 등의 처리 공정이 없어 시공 시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저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예들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자들은 숙련된 기술자들이 이러한 변형예를 채용할 것을 예상하며, 발명자들도 본 발명을 이상에서 특별히 설명한 것 외에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주제와 균등한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요소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히 언급하거나 배제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50(50a,50b) : 식생용 호안블록
52 : 몸체
54 : 식생용 통공
56 : 호형 요입부
58 : 측 벽면
60 : 날개부
62 :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
62a : 수평부
62b : 수직부
66 : ㄱ 자 형상의 철근 결속수용부
66a : 철근 안치홈
66b : 철근 끼움구멍
66c : 철근 끼움 장공

Claims (3)

1개 이상 형성되는 식생용 통공을 구비함과 동시에 사방에 각각 식생 공간(PS)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 및 1/4 원호로 형성되는 다수의 호형의 요입부 및 상기 인접한 요입부들 사이로 돌출되는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식생용 호안블록과; 인접하여 놓여지는 호안블록들의 서로 접하는 날개부들을 결속하여 주도록 사용되는 ┌┐ 형상의 철근 결속부재와, 상기 철근 결속부재를 끼워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들의 측단부면에서 시작하여 소정 거리까지 상기 철근 결속부재의 수평부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표면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는 철근안치홈과, 상기 철근안치홈의 내측 단에서 ┐자 형상을 이루도록 직각 방향인 수직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철근 결속부재의 수직부를 끼워 수용하는 철근 끼움구멍으로 된 철근 결속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끼움구멍은 원형 또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결속부재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130098215A 2013-08-20 2013-08-20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150021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215A KR20150021191A (ko) 2013-08-20 2013-08-20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215A KR20150021191A (ko) 2013-08-20 2013-08-20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191A true KR20150021191A (ko) 2015-03-02

Family

ID=5301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215A KR20150021191A (ko) 2013-08-20 2013-08-20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1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208A (zh) * 2017-07-28 2017-11-24 朱明� 一种自嵌式生态护坡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208A (zh) * 2017-07-28 2017-11-24 朱明� 一种自嵌式生态护坡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0093A (ko) 식생 옹벽패널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021191A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101392008B1 (ko) 시공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로관
KR101598148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100086150A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KR200401232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247608B1 (ko)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100696297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20120003971U (ko) 조립식 옹벽블록
KR101489443B1 (ko)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1325225B1 (ko) 조립식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리텐션 구조물
KR101407084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0582651B1 (ko) 건축물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구조
KR20130010792A (ko) 물 저장기능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71373Y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200371374Y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