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736A -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736A
KR20150020736A KR20157003881A KR20157003881A KR20150020736A KR 20150020736 A KR20150020736 A KR 20150020736A KR 20157003881 A KR20157003881 A KR 20157003881A KR 20157003881 A KR20157003881 A KR 20157003881A KR 20150020736 A KR20150020736 A KR 20150020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os terminal
mobile data
mobile pos
execu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오리 훙
페이쿠 리
광펑 탄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G07F7/088Details of the card reader the card reader being part of the point of sale [POS] terminal o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itself
    • G07F7/0886Details of the card reader the card reader being part of the point of sale [POS] terminal o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itself the card reader being portable for interacting with a POS or ECR in realizing a payment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5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판매시점관리(POS, point-of-sale) 단말에서 생성된 작업 명령을 지정하는 명령 실행 요청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상기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확인되었거나 또는 능동적으로 획득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계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BILE DATA TERMINALS}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판매/서비스 시점 관리(POS, point-of-sale/service) 단말 등의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리테일(retail) POS 단말 및 다양한 수송 POS 단말 등의 모바일 POS 단말을 포함한다. 모바일 POS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갖는 POS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이곳에서 저곳으로 장소가 옮겨질 수 있다. 무선 액세스 POS 단말은 그것의 휴대성과 유용한 이동성으로 인해, 운송업, 보험업, 택배, 모바일 리테일(예를 들어, 방문 판매(door-to-door sales), 출장 서비스(on-site service), 모바일 푸드 트럭(food trucks), 모바일 서비스 트럭(service trucks) 등)의 산업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다양한 지역 또는 장소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서비스 요원(personnel)(예를 들어, 서비스 중개자(agent) 또는 제공자(operator))들에게 배부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소지한 서비스 중개자는 적합한 지불 카드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스와이프함(swiping)으로써 고객 및 거래처에게 제공되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 지불받는다. 그러나, 서비스 요원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통해 고객 또는 거래처에게 카드-스와이핑(card-swip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중에, 관련된 작업들은 모니터링될 수 없다. 더하여, 모니터링되지 않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이동은 또한 승인되지 않았거나 불법적인 활동 또는 사용의 심각한 리스크를 야기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원이 자금 세탁, 불법 현금화(illegal cashing) 등의 불법적인 목적을 얻기 위해 보험 서비스 산업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카드-스와이핑 서비스를 통해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되지 않은 모바일 POS 단말은 보안 문제를 일으킨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위치 정보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을 포함하는 명령 실행 요청을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을 경우,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모바일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위치 정보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을 포함하는 명령 실행 요청을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요청 획득 모듈; 및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을 경우,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하는 유효성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이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판매시점관리(POS, point-of-sale) 단말을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데이터 서버(예를 들면, 운영 서버)가 모바일 POS 단말에서 생성된 작업 명령을 지정하는 명령 실행 요청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운영 서버가 명령 실행 요청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운영 서버는 상기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운영 서버는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며, 운영 서버는, 확인되었거나 또는 능동적으로 획득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예를 들면, 모바일 POS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 및 위치 정보에 따라 명령 실행 요청을 개시한다. 운영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지역 내인지 여부를, 명령 실행 요청 내의 그것의 위치 정보에 따라 판정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있지 않을 경우, 작업 명령은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래 의도된 목적이 아닌 다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이동하는 위험성이 줄어들 수 있다. 나아가,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 및 모바일 데이터 서버의 작업 환경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g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효성 확인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단말과 모바일 데이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통신에 관한 시간순서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위치 정보의 유효성 확인의 시간순서도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중개자와 소비자가 관여된 카드-스와이핑 결제 작업의 예시적 이용 사례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의 시간순서도이다.
오늘날 모바일 상점들이 점점 더 성행하고 있다. 많은 전통적인 상점들(예를 들어, 레스토랑, 식품점, 백화점, 미용실, 네일샵 등)은 일반적인 오프라인 거래(brick and mortar) 영업점보다는 지역(locations)에 대해 상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쪽을 택하고 있다. 또한 고객에게 상품 및 서비스를 방문 판매 또는 출장 배달 역시 온라인 및/또는 전화 주문 서비스와 결합되면서 인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상거래 환경에서는 무선 판매 시점 관리(POS, point-of-sale) 단말 및 무선 서비스 시점 관리(point-of-service) 단말 등의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점점 유용해지고 있다. 서비스 중개자가 소지한 모바일 POS 단말은, 모바일 POS 단말을 통한 결제 카드(예를 들어,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기프트 카드 등) 스와이핑(swiping), 및/또는 전자 결제 장치(예를 들어, 허용 가능한 결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갖춘 스마트폰)와의 통신(예를 들어, BlueToothTM 또는 다른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서비스 중개자가 고객에게 전달되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고객으로부터 지불받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모바일 POS 단말을 또한, 수송 중의 패키지 픽업, 배송, 및 보관 변경 시의 상품 및/또는 지불의 핸드-오프(hand-off) 및 수용(acceptance)을 아우르는 운송 및 해운에 사용되기도 한다.
때때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예를 들어,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하고, 요청 작업(예를 들어, 구매 및 결제 작업, 현금 지불 작업 등)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중개자가 특정한 지리 영역에서만 적합한 자격을 획득하였을 경우, 결제 거래가 요청되면 그 서비스 중개자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가 승인된 지리 영역 내임을 확인하는(verify) 것이 바람직하다.
때로는 모바일 POS가 다수의 지리적 장소에서 작동하도록 허가된다고 해도 상이한 지리적 장소에 대해서는 상이한 작업 절차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이한 지리적 장소와 관련한 사기죄 통계(fraud statistics), 비즈니스 환경, 생활 수준, 세율 등의 차이 때문에, 때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허가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이한 절차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때로, 모바일 POS 단말은 수많은 종류의 서로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이러한 모바일 POS 단말들의 성능은 서로 다른 상점 및/또는 서비스 중개자들 간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POS 단말의 성능의 높은 다양성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POS 단말들의 서로 다른 위치 성능(location capability)에 적응하고, 서로 다른 모바일 POS 단말들에 대하여 위치 정보의 적합한 모니터링 및 확인(verification)을 제공하는 운영 서버(operation server)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때로, 몇몇 모바일 POS 단말들은 템퍼링(tempering) 및/또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에러의 제한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모바일 POS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모바일 POS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의 적절한 확인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때로, 운영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수집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특정적 서비스 정보 및/또는 추천사항을 생성하여 모바일 POS 단말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예를 들어, 모바일 POS 단말(102)) 및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예를 들어, 운영 서버(104)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위치 서버(106)를 포함함)가 작동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는 예시적 환경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POS 단말(102)은 운영자(operator)(108)(예를 들어, 판매원, 출납원, 배달원 등 비즈니스를 위해 승인된 서비스 중개자)가 소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은, 사용자 입력 수신(예를 들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또는 키패드, 터치-감지 디스플레이, 터치 패드 등), 결제 기기 판독(예를 들어, 지불 카드 판독기, 바코드 스캐너, BlueToothTM 전자 쿠폰 판독기 등) 및 정보 제공(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프린터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춘 컴퓨팅 장치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102)은, 부가적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부속품(attachments)(예를 들어, 카드 판독기, 바코드 스캐너)를 갖추거나 또는 갖추지 않은,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다른 전자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현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은, 인근의 하나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모바일 POS 단말의 실시간 지리 좌표(예를 들면,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제공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 추적 장치(positioning device)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셀룰러폰 네트워크(cellular telephone network))에 액세스하고, 근방의 셀룰러 기지국(cellular base stations)(112)까지의 상대적인 거리에 기초하여 지리적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102)의 운영자(108)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14)(예를 들어, 스마트폰, 셀룰러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선택적으로 소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102)은 협범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BlueToothTM)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14)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자(108)가 고객(116)과 거래를 실행할 때, 운영자(108)는, 예를 들어, 필요한 입력을 타이핑하거나 POS 단말(102)에 의해 제공되는 적절한 메뉴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거래 요청을 모바일 POS 단말(102)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는, 결제 거래에 있어서, 운영자(108)가 고객(116)에 의해 제공되는 지불 카드(118)(예를 들어, 신용 카드, 기프트 카드, 특수 ID 카드 등)를 받아서 모바일 POS 단말(102)의 카드 판독기를 통해 그 카드(118)를 스와이프한다(swipe). 다른 예시로, 몇몇 실시예에서는, 운영자(108)는 선택적으로, 고객(116)으로 하여금 고객(116)이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120)(예를 들어, 스마트폰, 셀룰러폰, 태블릿 컴퓨터 등)를 사용하여 지불 또는 전자 쿠폰을 보내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객(116)은 선택적으로, 개인 서명 또는 패스코드(passcode)를 모바일 POS 단말(102)로 제공함으로써, 상품, 패키지, 서비스, 현금 및 또는 크레딧(credit)의 수신에 관한 통지(acknowledgement)를 모바일 POS 단말(102)에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에 필요한 정보가 고객(116) 및 운영자(108)에 의해 제공되면, 모바일 POS 단말(102)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122)(예를 들어, GSM, EDGE, CDMA, TDMA, Bluetooth, Wi-Fi, VoIP, Wi-MAX 또는 기타 적합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 서버(operation server)(104)와 통신하여 거래 요청(예를 들어, 명령 실행 요청)을 제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퍼레이션 서버(104)는, 거래 요청 내에 들어있는 정보를 확인하여, 그 거래가 승인되는지, 그리고 요청된 거래의 실행이 진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운영 서버(104)는 요청된 거래의 승인 이전에 모바일 POS 단말(102)의 현재 위치를 획득 및/도는 확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운영 서버는 위치 서버 (106), 모바일 디바이스(102), 모바일 디바이스(114) 및/또는 모바일 POS 단말(102)과 직접 통신하여,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 및/또는 확인한다. 운영 서버(104)가 위치 정보를 획득 및 확인하고 요청된 거래를 실행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POS 단말(102))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200)의 블록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운영 서버(104) 및 위치 서버(106)를 포함하는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로서 역할을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시적 시스템(200)과 유사한 독립된 시스템들이, 각각 운영 서버(104) 및 위치 서버(106)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또는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출력(I/O, input/output) 인터페이스(206)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0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bus) 또는 신호선(signal line)(210)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모리(204) 또는 메모리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204)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212), I/O 모듈(21), 통신 모듈(216) 및 운영 제어 모듈(operation control module)(218)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 명령 및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에 연결되어, 위와 같은 프로그램, 모듈 및 명령을 수행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데이터 구조로부터/데이터 구조에, 판독/기록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2)은, 단일 코어(single core) 또는 멀티 코어(multi-core)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2)은 일반적 용도의 프로세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2)은 특수 용도의 프로세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2)은, 하나 이상의 개인용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터(handheld computers), 태블릿 컴퓨터,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가지며 다양한 운영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폭넓은 하드웨어 플랫폼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모리9204)는,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고체 메모리 장치(random access solid state memory devices) 등의,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광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비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프로세싱 유닛(202)으로부터 멀리 위치해 있는(remotely located)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메모리(204), 또는 대안으로서 메모리(204)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I/O 인터페이스(206)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터치 스크린,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 등의 입/출력 장치를 시스템(200)의 I/O 모듈(214)로 연결시킨다. I/O 인터페이스(206)는, I/O 모듈(214)과 함께,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이를 처리한다(process). I/O 인터페이스(20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14)은 또한, 시스템(200) 상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명령에 따라, 출력(예를 들어, 소리, 이미지,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몇몇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08)는 유선 통신 포트(들) 및/또는 무선 송신 및 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유선 통신 포드(들)은,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USB(Universal Serial Bus), FIREWIR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한다. 무선 회로는, RF 신호 및/또는 광신호를,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한다. 무선 통신은, GSM, EDGE, CDMA, TDMA, Bluetooth, Wi Fi, VoIP, Wi-MAX 또는 다른 임의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등,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08)는,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 및/또는, 셀룰러폰 네트워크,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갖춘 시스템(200)과, 다른 장치들 간의 통신을 이네이블한다(enable). 통신 모듈(216)은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08)를 통해 시스템(200)과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모바일 POS 단말(102), 모바일 디바이스(114)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facilitate).
몇몇 실시예에서, 운영 시스템(202)(예를 들어,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딩된(embedded) 운영 시스템)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task)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standalone computer system) 상에서 구현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복수의 컴퓨터들에 걸쳐서 나누어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의 몇몇 모듈 및 기능은 서버부(server portion)과 클라이언트부(client portion)으로 나누어지며, 클라이언트부는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POS 단말(102), 모바일 디바이스(114)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 상에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 상에 존재하는 서버부와 통신한다. 시스템(200)은 운영 시스템의 일례일 뿐이고, 시스템(200)은 도시된 것 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할 수 있고, 또는, 컴포넌트의 구성 또는 배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특정적인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에서 실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작업 제어 모듈(operation control module)(218)을 메모리(204)에 저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작업 제어 모듈(218)은 이하의 서브모듈들, 또는 이들의 부분집합(subset) 또는 확대집합(superset)을 더 포함한다: 요청 획득 모듈(request acquisition module)(220) 및 유효성 확인 모듈(validity checking module)(222). 몇몇 실시예에서, 유효성 확인 모듈(222)은, 위치 획득 모듈(location acquisition module)(224), 위치 확인 모듈(location verification module)(226), 근접성 확인 모듈(proximity verification module)(228), 및 수행 모듈(execution module)(2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서브 모듈들 각각은, 이하의 작업 제어 모듈(218)의 데이터 구조 및 데이터 소스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부분집합 또는 확대집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승인된 거래(예를 들어, 지불, 현금화, 확인(confirmation) 등)를 가지고 있는 거래 기준 데이터베이스(transaction criteria database)(232), 거래 수행 기준(예를 들어, 위치-기준, 승인 기준 등), 모바일 데이터 단말과 연관된 위치 이력 정보(historic location information)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234), 위치 특정적(locale-specific) 정보 및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location-based service database)(236). 몇몇 실시예에서, 작업 제어 모듈은 선택적으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다른 연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들(238)(예를 들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작업 제어 모듈(218)의 서브 모듈 및 데이터 구조들의 구조, 기능 및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10 및 첨부된 설명들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3a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POS 단말(102))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요청된 작업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이 프로세스는 선택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서버(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 또는 작업 서버(104))에 의해 수행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2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부터 명령 실행 요청(instruction execution request)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명령 실행 요청은 선택적으로, 신용 카드 지불 거래를 승인하기 위한 요청, 특정 계좌로 자금을 이체하기 위한 요청 등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명령 실행 요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되는(triggered) 작업 명령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개시되는 명령 실행 요청은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획득되고, 그 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입력된 작업은, 명령 실행 요청 내에 있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에 따라 결정되며;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의 위치는,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그것의 위치 정보에 따라 획득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명령 실행 요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대한 명확한 위치 정보는 포함하지 않지만, 그 대신 모바일 데이터 단말,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운영자 및/또는 고객을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다른 위치 획득 및 위치 확인 절차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 식별하기 위해 위치 정보가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에 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포지셔닝(positioning) 기능이 모바일 데이터에 추가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단계 S302의 이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 내에서 제공되는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satellite positioning system)(예를 들어, GPS 시스템)으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의 경도 및 위도의 포지셔닝을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의 경도 및 위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명령 실행 요청을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과, 위상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경도 및 위도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준비됨.
몇몇 실시예에서, 위성 위치결정 모듈(satellite positioning module)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외부적으로 연결되거나 모바일 데이터 단말 내에 구비됨으로써, 위성 위치결정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포지셔닝(positioning)이 이루어진다. 특히,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일 수 있다.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의 경도 및 위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질적인 작업 절차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규칙적으로 포지셔닝되어(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매분 또는 10분마다) 그것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백그라운드 내에서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도 1의 위치 서버(106)의 데이터베이스)에 위치 정보가 업로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 상의 카드-스와이핑 결제 작업 또는 사전 승인 작업 등과 같은 기타 작업을 개시하기 위한 입력을 통해 작업 명령이 생성된다. 이 때,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가장 최근의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 프로세스에 의해 획득된 현재 경도 및 위도와, 작업 명령을 패키징하여, 명령 실행 요청을 생성한다. 그 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백엔드(backend) 상의 모바일 데이터 서버(도 1의 작업 서버(104))를 향해 명령 실행 요청을 전송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단계 S302의 이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지역 또는 셀의 지역번호 또는 셀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몇몇 실시예에서, 지역번호 또는 셀 번호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내의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통신을 통해 획득된다. 예를 들어, 셀룰러폰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베이스 스테이션은 특정한 주파수 및 신호 시그니쳐(signature)를 이용하여 근접하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과 통신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근접하는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작업 명령과,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근접하는 기지국에 연관된 지역번호 또는 셀 번호에 따라, 명령 실행 요청을 전송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모바일 통신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인 경우,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중일 때,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인접한 기지국에 등록을 해야 한다. 각각의 기지국이 대응하는 지역 신호 정보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통신 프로세스에서, 모바일 단말은,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 지역 또는 셀 번호 등과 같은 지역 신호 정보를 획득한다. 기지국(들)과의 통신을 통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통신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 내의 스위치로 전송하고, 그 후에 통신 네트워크 내의 스위치는 통신 데이터를 수신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작업 서버(104) 또는 위치 서버(106))에 전달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이 위치해 있는 지역의 지역번호를 획득하고, 지역번호를 위치 정보로 취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예를 들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작업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작업 명령을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현재 획득된 지역번호와, 명령 실행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작업 명령을 패키징한다. 그 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백엔드 상의 모바일 데이터 서버(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 또는 작업 서버(104))로 명령 실행 요청을 전송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계 S304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명령 실행 요청에 포함된 그것의 위치 정보에 따라 판단 또는 판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306으로 진행되며,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308로 진행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지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사용이 허가 또는 승인된 미리 결정된 지역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비즈니스가 특정한 한 도시 내에서만 운영되도록 허가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특정한 비즈니스에 연관된 모바일 데이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실행 요청을 승인하기 위하여, 특정한 도시를 미리 결정된 지역인 것으로 이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지역은 선택적으로, 둘 이상의 연속적인 및/또는 분리된 소구역(sub-region)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개시된 명령 실행 요청을 수신한 후에,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입력 작업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한 작업 입력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위치 정보에 따라, 작업이 입력되는 중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인 것으로 판정되면, 입력 작업이 유효하며 대응하는 작업 명령의 수행이 승인됨을 나타내며; 그리고, 작업이 입력되는 중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관련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대응하는 작업 명령의 수행은 금지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단계 S304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포지셔닝되고 그것의 위치 정보가 획득된 이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가 또한 위치 정보에 따라 직접 판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예를 들어, 도 1의 작업 서버(104) 또는 위치 서버(106))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면, 예를 들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운영자에게 그가 승인된 작업 영역의 바깥으로 이동한 것을 알리기(alert) 위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선택적으로 경보 정보를 생성하여, 경보 메시지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되돌려 보낸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포지셔닝 및 모니터링이 계속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모바일 데이터 단말 모니터링은 위치 정보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단계 S304의 특정한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10에서는,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수신된 지역번호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에 관한 쿼리(query)를 만든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셀룰러폰 등)일 경우,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하는 위치 정보는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지역번호 또는 셀 번호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입력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지역번호에 따라 판정을 해내고,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지역번호에 따라 지역번호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를 획득한다.
단계 S312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획득된 지리적 위치가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도 3a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지리적 위치가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306으로 진행되며, 획득된 지리적 위치가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할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308로 진행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있는지 여부는 지역번호를 기초로 하여 획득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 판정된다. 판정에 기초하여,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사용이 미리 승인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모바일 단말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306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명령 실행 요청에서 요청된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한다.
단계 S308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명령 실행 요청에서 요청된 작업 명령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셀프-포지셔닝 능력(예를 들어, GPS를 사용)이 구비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근접한 기지국의 지역번호 또는 셀 번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근접한 기지국은 이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는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명령 실행 요청을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서브밋할(submitting) 때,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오직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셀프-포지셔닝 능력을 가지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추론하기(infer) 위해,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사용되는 다른 정보(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14 및/또는 120)의 전화번호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ID)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우편번호(zip code) 또는 위치의 명칭을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관한 현재 위치로서 수동으로 입력하며, 우편번호 또는 위치 명칭은 명령 실행 요청 내의 모바일 데이터 서버로 전송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대해 위치 정보가 획득되고 확인될 수 있는 상이한 방법들을 다룰 수 있다.
도 3c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예를 들어,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에 관한 흐름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3c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1의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 또는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의 작업 서버(104)에 의해 수행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프로세스는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작업 제어 모듈(218)에 의해 행해진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에서 생성되는 작업 명령을 지정하는(specifying) 명령 실행 요청을,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320). 예를 들어, 명령 실행 요청은 선택적으로, 신용카드 지불 거래, 쿠폰 현금화 거래, 현금 인출 거래, 계좌이체 거래, 지불 확인 거래, 전달 확인 거래 등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운영자 또는 고객은, 명령 실행 요청의 생성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및 입력을 모바일 POS 단말(예를 들어, 지불 카드 스와이핑,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예를 들어, ‘구매’ 버튼) 상에 선택 입력 제공 등)에 제공한다. 모바일 POS 단말에 명령 실행 요청이 생성되면, 이는 이후에 승인 및 실행을 위해 모바일 데이터 서버(예를 들어, 도 1의 작업 서버(104))로 전송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은, WiFi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무선 전화망, CDMI 네트워크 등의,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명령 실행 요청을 전송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명령 실행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모바일 데이터 서버(예를 들어, 작업 서버)는, 명령 실행 요청이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22). 전술한 바와 같이, 때때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셀프-포지셔닝 능력을 반드시 갖지는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셀프-포지셔닝 능력을 가지지 않을 경우,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명령 실행 요청과 함께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셀프-포지셔닝 능력을 가지지 않지만,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 서버로 명령 실행 요청을 전송할 경우, 명령 실행 요청은 선택적으로, 명령 실행 요청의 전송을 위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속해 있는 근접한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식별자를 사용하여 기지국의 위치를 판정하고,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대한 대략적 위치(rough location)로서 기지국의 위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근접한 기지국으이 지역번호 또는 셀 번호를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셀프-포지셔닝 능력, 예를 들면, GPS, AGPS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삼각측량(triangulation)을 가지며, 이러한 경우,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선택적으로, 현재 위치를 판정하고, 현재 위치 정보(예를 들어, 지리-좌표(geo-coordinates))를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운영자 또는 고객은 선택적으로 그들의 현재 위치의 우편번호 또는 명칭을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제공하고,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선택적으로 현재 위치의 우편번호 또는 명칭을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한다. 때때로, 고의의 부당 변경(deliberate tampering) 및/또는 장비 결함으로 인해 명령 실행 요청 내에 제공된 위치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다. 위치 정보가 모바일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휴대될 수 있는 방식은 가변성이 높기 때문에,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위치 정보가 명령 실행 요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또, 위치 정보를 취하는 특정한 형식에 따라, 명령 실행 요청을 상이하게 취급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실행 요청이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S324):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능동적으로(proactively) 획득하기 위한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한다(S326).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셀프-포지셔닝 능력을 갖지 않고, 또 운영자 또는 고객이 어떠한 현재 위치 정보도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명령 실행 요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관한 어떠한 현재 위치 정보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타임스탬프(timestamp)는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위치 정보에 부가되며, 그 위치 정보가 충분히 최근의 것이 아님을 타임스탬프가 나타낼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명령 실행 요청이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명령 실행 요청으로부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않으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다른 수단을 통해 능동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능동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보다 더 최신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3자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안전하고 공정한 프로세스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정보는 부당 변경(tampering)으로 인해 부정확해질 가능성이 줄어든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실행 요청이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는 판단에 따라서(S328):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real-time location verification procedure)를 수행한다(330). 몇몇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가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능동적으로 획득되는 경우에는, 실시간 확인 프로세스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위치 정보가 명령 실행 요청 내의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에는, 실시간 위치 확인 프로세스가 위치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현재 위치가 획득 및/또는 확인되었을 때,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확인되었거나 또는 능동적으로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32).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POS 단말이 현재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요청된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한다(S334).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POS 단말이 현재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다고 판정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요청된 작업 명령의 실행을 개시한다(S336).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교정 메시지(remedial message)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며, 이 때 교정 메시지는, 명령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모바일 POS 단말의 운영자에게로의 명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교정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운영자가 명령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보다 엄격한(stringent) 승인 프로세스를 기술한다(describe). 예를 들어, 교정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운영자가 명령 실행 요청을 되살리기(revive) 위해 취할 수 있는 보다 엄격한 승인 프로세스를 기술한다. 보다 엄격한 승인 프로세스는 선택적으로, 관리자(supervisor)에게로의 호출, 또는 상업 또는 법적 권한에 의해 제공되는 특별한 패스코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교정 메시지는 운영자에게 그가 요청된 작업에 대해 허가된 지역에서 벗어났음을 알리고, 그 운영자에게 그가 승인된 지역으로 되돌아왔을 때 요청을 재전송하도록 요구한다(ask).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명령 실행 요청에 관한 권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경보 메시지(alert message) 전송한다. 예를 들어, 불법 거래가 의심될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자동적으로 법률 집행에 알림으로써(alert), 해당 거래가 적시에 기록되고 조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경보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이용하여 운영자 또는 고객의 부지 중에 모니터링 기관(monitoring authority)에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때때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셀프-포지셔닝 능력(예를 들어, 내장 또는 외부 GPS 모듈)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의 움직임은 모바일 POS 단말에 연결된 포지셔닝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서버(예를 들어, 도 1의 위치 서버(106))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명령 실행 요청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관한 가장 최근의(up-to-date)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위치 서버에 접속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제3자 위치 서버에 접속하여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며, 이 때의 현재 위치는 POS 단말의 위치 이력과 일치하도록 위치 서버에 의해 확인된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데이터에 의해 위치 서버로 제공되는 위치 정보가 시간 또는 거리에 있어서 설명되지 못한 차이를 보인다면, 위치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연결된 위치결정 시스템이 더 이상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유효하지 않다거나, 또는, 위치 이력이 모바일 POS 단말에 의해 전송된 현재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통지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뫄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는 위치 서버에 의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며,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그것의 현재 위치를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로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선택적으로 명령 실행 요청에 포함된 현재 위치를 위치 서버와 함께 확인하며, 이에 따라 위치 서버에 의해 저장된 위치 이력을 감안함으로써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위치의 어떠한 부당 변경(tampering)도 발견될 수 있다.
도 3d는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예시적 위치 획득 프로세스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운영자 또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고객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되어 있으며, 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물리적 가깝게 근접하여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전화 디바이스(114)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를 이용한다. 위치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와 일치함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근접성 확인 프로세스(proximity verification process)를 수행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한다(S340). 모바일 전화 장치가 모바일 데이터 서버와의 통신을 구축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전화 장치로부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요청 및 획득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 장치는 선택적으로 그것의 위치를 임의의 기술(예를 들어, GPS, AGPS, 인근 기지국들의 위치를 이용한 삼각측량 등)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 장치와 모바일 데이터 서버 간의 통신은, 임의의 유효한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면, 전화 통화, SMS, WiFi 방송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인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어, 운영자 ID 번호, 고객 ID 번호, 전화번호, 또는 다른 적합한 유니크 어드레스(unique address) 또는 ID 번호)에 기초하여 모바일 전화 장치의 주소의 접속 주소(contact address)를 판정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모바일 전화 장치로부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로의 모바일 전화 장치의 물리적 근접성(physical proximity)를 확인하기 위한 실시간 근접성 확인 절차(real-time proximity verification procedure)를 수행한다(S342).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로의 모바일 전화 장치의 물리적 근접성을 확인하면,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로서 사용한다(S344).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는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식별된 고객의 셀룰러 전화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는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식별된 운영자의 셀룰러 전화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위험도가 낮은 거래에 있어서는 근접성 확인 프로세스가 선택적으로 생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그것의 현재 위치를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제공하였을 경우라도, 모바일 전화 장치로부터의 위치 획득이 위치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몇몇 실시예에서, 운영자의 전화 장치와 고객의 전화 장치가 모두 유효할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운영자의 전화 장치보다 고객의 전화 장치를 더 선호한다.
도 3e는 실시간 근접성 확인 수행을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실시간 근접성 확인 절차를 수행할 때,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명령 실행 요청에 대해 개별적으로 인코딩된 정보를 생성한다(S350). 몇몇 실시예에서, 인코딩된 정보는 랜덤하게(randomly) 생성된 패스프레이즈(passphrase)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코딩된 정보는 이미지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코딩된 정보는 인간 사용자에 의해서는 판독(decipher) 및 변경(alter)이 어려운 바코드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스프레이즈, 이미지 및/도는 바코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 및 명령 실행 요청과 연관된 정보(예를 들어, ID, 시간, 위치, 거래 형태 등)을 인코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확인 메시지(verification message)를 모바일 전화 장치로 전송하며(S352), 확인 메시지는, 각각의 인코딩된 정보를 포함하고, 확인 메시지의 수신인에게, 미리 결정된 시간창(time window) 내에서 모바일 POS 단말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코딩된 정보를 리턴하도록(return) 요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 장치가 모바일 데이터 서버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모바일 전화 장치는, 모바일 전화 장치의 사용자, 예를 들어, 운영자 또는 고객에게, 확인 메시지를 즉시 디스플레이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 명령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 들면, 패스코드를 타이핑하거나, BlueToothTM을 통해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하는 등, 인코딩된 정보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입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코딩된 정보는 선택적으로 인코딩된 신호(예를 들어, 파형 또는 펄스)이며, 인코딩된 신호는 근접장(nearfield) 송신 방법을 사용하여(예를 들면, BlueToothTM, 적외선 또는 광송신 방법을 사용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각각의 인코딩된 정보를 미리 결정된 시간창 내에서 수신한다(S354).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각각의 인코딩된 정보를 미리 결정된 시간창 내에서 수신한 것에 대응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각각의 인코딩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모바일 전화 장치 및 모바일 POS 단말이 서로 물리적으로 가깝게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56). 예를 들어, 인코딩된 정보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부터 모바일 데이터 서버로 올바르게 전송되어 되돌아가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 및 모바일 전화 장치의 물리적 근접성이 확인된 것으로 판정한다. 인코딩된 정보가 미리 결정된 시간창 내에서 수신되지 않을 경우, 또는 수신된 인코딩된 정보가 변경 또는 부당 변경될(altered or tampered)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과 모바일 전화 장치의 물리적 근접성이 확인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고,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현재 위치로서 사용될 수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할 때,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독립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술한 위치 획득 방법을 사용한다. 도 3f는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S360).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 장치는 고객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 장치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운영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하여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S362).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와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그들이 매칭되는지를 판정한다(S364).
몇몇 실시예에서는,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가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에 매칭된다고 판정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로의 모바일 전화 장치의 물리적 근접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시간 근접성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S366).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로의 모바일 전화 장치의 물리적 근접성을 확인하면,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검증한다(validate)(S368).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가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에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정되거나, 또는 모바일 POS 단말로의 모바일 전화 장치의 물리적 근접성이 확인될 수 없다고 판정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무효로 한다(invalidate)(S370).
몇몇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가 무효화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또한 명령 실행 요청에 관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한다(S372).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가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몇몇 실시예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가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모니터링 기관으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위치 획득 및 확인 프로세스는, 운영자 또는 고객의 모바일 전화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고도-보안 거래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운영자 및 고객 모두에 의해 동시적이면서 협동적인 행위(simultaneous and cooperative actions)가 그들의 모바일 전화 장치 각각에서 수행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인코딩된 메시지(예를 들어, 바코드, 이미지, 패스프레이즈)의 상이한 부분을 운영자 및 고객에게 전송하여, 완전한 인코딩된 메시지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서 상이한 부분들로부터 어셈블링되고(assemble) 모바일 데이터 서버로 리턴될 것을 요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요청하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requesting mobile data terminal)이 현재 미리 결정된 지역(예를 들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허가 또는 사전 승인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요청된 작업이 승인되었더라도,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승인 절차, 상이한 정보, 상이한 세율, 상이한 가격, 상이한 할인 등이 미리 결정된 지역의 서로 다른 소구역들 내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작업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미리 결정된 지역의 제1 소구역 내이면, 제1 가격, 세율 또는 할인율이 적용되고; 현재 위치가 미리 결정된 지역의 제2 소구역 내이면, 제2 가격, 세율 또는 할인율이 적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location-specific service recommendations)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업체들의 쿠폰 또는 광고가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상거래와 관련된 서비스 추천만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푸드트럭(food truck)에서 구매를 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앉아서 점심식사를 할 수 있는 근처 공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작업 명령의 성공적인 실행을 확인 메시지(confirmation message) 내에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을 모바일 POS 단말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거래 영수증이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다시 제공되면,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은 선택적으로 영수증에 인쇄되거나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서 영수증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들을 생성하고; 그것들을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것에 대신하거나 더하여서, 모바일 데이터 섭서는 선택적으로, 명령 실행 요청과 연관된 고객의 모바일 전화 장치로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들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요청된 거래가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완료되기를 고객이 기다리는 동안에, 고객은 자신의 모바일 전화 장치 상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추천들을 검토할(review) 수 있다. 또한 고객은 모바일 데이터 서버로부터 자신의 모바일 전화 장치로 전달된 쿠폰들을 저장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작업 명령의 성공적인 실행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모바일 POS 단말로 전송되었으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의 전송을 중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고객이 추천 전송을 중지한다는 명확한 입력을 보낼(issue) 때까지, 고객의 모바일 전화 장치로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을 더 전송한다.
도 3g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8 또는 S340의 이후에,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이하의 단계들을 더 수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계 S380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불러와서(invoke)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작업 명령을 실행할 때,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다라 위치 기반 서비스(예를 들면, 지도 정보, 위치 기반 서비스 추천, 교통 정보, 방향 등)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작동될(invoked)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와 가까운 식품, 생활 시설 등에 관한 정보와 같이, 위치 정보와 관련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계 S382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작업 명령의 실행 결과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되돌려 보낸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작업 명령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대응하는 실행 결과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 출력함에 있어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촉진하기 위해, 실행 결과 및 생성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가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되돌려 보내진다. 예를 들어, 카드 스와이핑 결제가 완료된 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결제 금액, 결제 시간 등의 실행 결과를 인쇄 영수증의 형태로 출력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인쇄 영수증의 뒷면에 인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요청 획득 모듈(402)(도 2에 모듈(220)로 도시된 것과 같음) 및 유효성 확인 모듈(404)(도 2에 모듈(222)로 도시된 것과 같음)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요청 획득 모듈(402)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부터 명령 실행 요청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때의 명령 실행 요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틔거링된(triggered) 작업 명령 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명령 실행 요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과 그것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요청 획득 모듈(402)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개시된 명령 실행 요청을 획득한 후,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작업 명령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작업 입력을 식별한다. 그 후에 요청 획득 모듈(402)은,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의 위치를 획득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위치결정 기능이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추가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위치의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아래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 상에 제공되는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으로 그것의 위치결정을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장소의 경도 및 위도를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서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과, 경도 및 위도에 따라서, 명령 실행 요청을 개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위성 위치결정 모듈이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에 구비된다. 위성 위치결정 모듈은 외부적으로 연결되거나 모바일 데이터 단말 내에 구비됨으로써, 위성 위치결정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포지셔닝이 이루어진다. 특히,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은 GPS 또는 AGPS일 수 있다.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의 경도 및 위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질적인 작업 절차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규칙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포지셔닝하여 그것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백그라운드 내에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도 1의 위치 서버(106)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작업 명령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에서 제공되는 카드-스와이핑 결제 작업 또는 사전 승인 작업 등과 같은 기타 작업에서의 입력을 통해 생성된다. 이 경우, 백엔드(backend) 상의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로 명령 실행 요청을 개시하기 위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은, 현재의 포지셔닝에 의해 획득된 경도 및 위도와, 작업 명령을 패키징하여, 명령 실행 요청을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은 또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지역의 지역번호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통해 획득하고,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작업 명령과 지역번호에 따라 명령 실행 요청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모바일 단말인 경우,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중일 때,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먼저 인접한 기지국에 등록을 한다. 각각의 기지국이 대응하는 지역 신호 정보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통신 프로세스에서, 모바일 단말은,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 지역번호 등과 같은 지역 신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기지국에 등록을 해야 한다.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통신 데이터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내의 스위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이 위치해 있는 지역의 지역번호를 획득하고, 지역번호를 위치 정보로 취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을 식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은 모바일 단말 상의 작업 입력을 통해 작업 명령을 생성하고, 백엔드 상의 모바일 데이터로 명령 실행 요청을 개시하기 위해, 현재 획득된 지역번호와 작업 명령을 패키징하여 명령 실행 요청을 획득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효성 확인 모듈(404)는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효성 확인 모듈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유효성 확인 모듈은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부 또는 거절하고; 유효성 확인 모듈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유효성 확인 모듈은 작업 명령을 실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지역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사용이 승인된 미리 결정된 지역이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해 개시된 명령 실행 요청을 수신한 후에,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입력 작업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서 일어났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의한 작업 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할 것이다. 위치 정보에 따라, 작업 입력 중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이는 입력 작업이 유효함을 나타낸다.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대응하는 작업 명령을 실행하도록 허용된다.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가, 작업 입력 중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위치해 있는 곳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위험을 줄이기 위해 대응되는 작업 명령의 실행이 거절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또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포지셔닝되고 그것의 위치 정보가 획득된 이후에, 그것의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직접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으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경보 정보를 생성하여 경보 정보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로 되돌려 보낼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으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포지셔닝을 계속하도록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에게 통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유효성 확인 모듈(404)이 쿼리 유닛(query unit)(404), 판단 유닛(judgment unit)(410) 및 실행 유닛(execution unit)(412)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쿼리 유닛(408)은 지역번호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에 대한 쿼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모바일 단말이면, 대응되는 위치 정보는 지역번호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 쿼리 유닛(408)은, 지역번호에 따라 동일한 판단을 하고, 지역번호에 따라 지역번호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를 획득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단 유닛(4100은 지리적 위치가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으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하고,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으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가 실행 유닛(412)에 통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단 유닛(410)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미리 결정되니 지역 내에 모바일 단말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이, 모바일 단말의 사용이 사전에 승인된,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행 유닛(412)은 작업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불러와서(invoking) 위치 정보에 따라 위치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작업 명령을 실행함에 있어서, 위치 정보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불러올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와 가까운 식품, 생활 시설 등에 관한 정보와 같이, 위치 정보와 관련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술한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며, 이 때 전송 모듈은 작업 명령의 실행 결과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되돌려 보내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작업 명령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대응하는 실행 결과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 출력함에 있어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촉진하기 위해, 전송 모듈은 실행 결과와 생성된 위치 기반의 서비스 정보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로 되돌려 보낸다. 예를 들어, 카드 스와이핑 결제가 완료된 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결제 금액, 결제 시간 등의 실행 결과를 인쇄 영수증의 형태로 출력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인쇄 영수증의 뒷면에 인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입력 작업 명령을 안전하게 실행한 후에 위치 정보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을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까지 더 제공한다.
전술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특정한 적용 예시가 제공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그것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셀프-포지셔닝 기능을 규칙적으로 수행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은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위치 서버(106)의 위치 데이터베이스)에 획득된 위치 정보를 업로드 및 저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3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경보 정보를 생성하여, 웹페이지,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경보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의 모니터링을 인식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중개자 및 소비자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에 카드-스와이핑 결제 작업을 입력한다. 도 10에 도시되 바와 같이,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은 카드-스와이핑 결제 작업 명령과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명령 실행 요청을 개시한다. 개시된 명령 실행 요청을 수신한 후에,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위치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카드-스와이핑 결제 작업의 실행을 거절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는, 카드-스와이핑 결제 작업이 실행될 때,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불러온다(invoke).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로 되돌려 보낸다. 이 때, 모바일 데이터 서버(100)의 전송 모듈은 작업 명령의 실행 결과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로 되돌려 보냄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단말(406)은 실행 결과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의 인쇄를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에 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에, 트리거링된 작업 명령 및 위치 정보에 따라 명령 실행 요청을 개시하고, 그 후에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위치해 있는 곳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인지 여부를, 명령 실행 요청 내의 위치 정보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현재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 본래의 승인된 목적과는 전혀 다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작업 명령이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위치 정보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 단말의 모니터링은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흐름의 전체 또는 일부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상 흐름이 그 안에 포함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디스켓, 광디스크,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 방법만을 설명한ㄴ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상대적으로 구체적이고 상세하나, 이는 본 발명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몇몇의 변형 및 개선이 가해질 수 있으며 그러한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특허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초하여야 한다.

Claims (20)

  1. 모바일 판매시점관리(POS, point-of-sale)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POS 단말에서 생성된 작업 명령을 지정하는 명령 실행 요청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상기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확인되었거나 또는 능동적으로 획득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계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상기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상기 요청된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가: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의 물리적 근접성(physical proximity)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근접성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의 물리적 근접성을 확인하면,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는,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식별된 고객의 셀룰러 전화인,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가: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상기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location-specific service recommendations)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명령의 성공적인 실행에 관한 확인 메시지 내에 상기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모바일 POS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작업은:
    상기 모바일 POS 단말에서 생성된 작업 명령을 지정하는 명령 실행 요청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상기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확인되었거나 또는 능동적으로 획득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상기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상기 요청된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하는 단계르,ㄹ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의 물리적 근접성(physical proximity)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근접성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의 물리적 근접성을 확인하면,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는,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서 식별된 고객의 셀룰러 전화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상기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location-specific service recommendations)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명령의 성공적인 실행에 관한 확인 메시지 내에 상기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5.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작업은:
    상기 모바일 POS 단말에서 생성된 작업 명령을 지정하는 명령 실행 요청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상기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명령 실행 요청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확인되었거나 또는 능동적으로 획득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상기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상기 요청된 작업 명령의 실행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위치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의 물리적 근접성(physical proximity)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근접성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의 물리적 근접성을 확인하면,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POS 단말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전화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명령 실행 요청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이 상기 미리 결정된 지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이,
    상기 모바일 POS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location-specific service recommendations)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명령의 성공적인 실행에 관한 확인 메시지 내에 상기 위치 특정적 서비스 추천을 상기 모바일 POS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KR20157003881A 2012-07-12 2013-07-10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0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241231.2A CN103546878B (zh) 2012-07-12 2012-07-12 移动数据终端的控制方法和系统
CN201210241231.2 2012-07-12
PCT/CN2013/079138 WO2014008860A1 (en) 2012-07-12 2013-07-10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bile data termi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736A true KR20150020736A (ko) 2015-02-26

Family

ID=4991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3881A KR20150020736A (ko) 2012-07-12 2013-07-10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32346A1 (ko)
EP (1) EP2873043A4 (ko)
JP (1) JP5788126B1 (ko)
KR (1) KR20150020736A (ko)
CN (1) CN103546878B (ko)
WO (1) WO2014008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045A (ko) * 2015-03-31 2016-11-16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기기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9434B (zh) * 2012-04-27 2017-10-17 星贝瑞有限公司 权限认证的方法、系统及装置
JP6277959B2 (ja) * 2012-11-30 2018-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レシート発行システム、プリンター、及びレシート発行方法
US20150046326A1 (en) * 2013-08-06 2015-02-12 Panini S.P.A. Digital check scanner,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ceability of checks
KR101564907B1 (ko) * 2014-01-09 2015-11-13 주식회사 투게더 터치 스크린용 식별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JP5703452B1 (ja) * 2014-03-06 2015-04-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5374075B (zh) * 2014-08-27 2017-07-28 深圳市金溢科技股份有限公司 Psam、管理器、管理方法及系统、车辆收费管理系统
CN104574535A (zh) * 2014-08-27 2015-04-29 深圳市金溢科技股份有限公司 Psam及其管理方法、系统、车辆收费管理方法及系统
CN105447608B (zh) * 2014-08-27 2020-08-25 深圳市金溢科技股份有限公司 Psam管理方法、系统、psam管理器、车辆收费管理方法及系统
CN105376286B (zh) 2014-08-29 2019-12-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获取位置信息的方法及装置
JP6565194B2 (ja) * 2015-01-15 2019-08-28 富士通株式会社 端末判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50991A (zh) * 2015-04-09 2015-08-19 银联商务有限公司 终端位置判断方法及装置
EP3093814A1 (de) * 2015-05-13 2016-11-16 Schwarz Dienstleistung KG System, verfahren, endgerät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verknüpfung eines nutzers eines mobilen endgeräts mit mindestens einem datensatz
CN105488102A (zh) * 2015-11-18 2016-04-13 广东安居宝智能控制系统有限公司 停车信息的查询方法及系统
CN105590382B (zh) * 2015-12-01 2018-01-23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Pos终端的移机监控系统及移机监控方法
JP6560131B2 (ja) * 2016-01-20 2019-08-14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現金引き出しシステム及び現金引き出し方法
US20170221058A1 (en) * 2016-02-02 2017-08-03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account holder payment device control
US20170349058A1 (en) * 2016-06-07 2017-12-07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Fleet management system for outdoor power equipment
SG10201610340WA (en) * 2016-12-09 2018-07-3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Control of permissions for making transactions
CN108805554A (zh) * 2018-04-20 2018-11-13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一种受理终端、用户终端以及支付方法
CN110046883B (zh) * 2018-12-25 2024-02-09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线下支付机具的监控方法及系统
WO2020172706A1 (en) * 2019-02-25 2020-09-03 Whitecoat Operating Pty Limited Proximity proofing electronic transactions
JP6998409B2 (ja) 2020-01-14 2022-01-18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TWM603151U (zh) * 2020-07-23 2020-10-21 連宇股份有限公司 攜帶式銷售終端機
US11703351B2 (en) * 2020-12-22 2023-07-18 Mineral Earth Sciences Llc Generating a local mapping of an agricultural field for use in performance of agricultural operation(s)
US11200306B1 (en) 2021-02-25 2021-12-14 Telcom Ventures, Ll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user identity for location-based deliveri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724A (en) * 1989-12-08 1999-02-09 Online Resources & Communications Corporation Targeting advertising in a home retail banking delivery service
JP4421164B2 (ja) * 2000-03-16 2010-02-24 ハレックス 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 光支払送受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決済システム
JP2002288744A (ja) * 2001-03-23 2002-10-04 Nec Eng Ltd カード認証システム
JP2003150883A (ja) * 2001-11-14 2003-05-23 Pegasus Net Kk Gps機能付き携帯電話によるクレジットカード認証システム
US20120005096A1 (en) * 2002-02-05 2012-01-05 Jack Dorsey Method of conducting financial transactions
US7003316B1 (en) * 2002-02-22 2006-02-21 Virtual Fonl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transactions
EP1469368B1 (en) * 2003-04-17 2008-05-28 Marshfield LLC Security method and system with cross-checking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data
US7853521B2 (en) * 2003-12-23 2010-12-14 The Western Union Company Global positioning system to manage risk for POS terminal
CA2508083A1 (en) * 2005-05-20 2006-11-20 Ingenico Canada Ltd. Automated payment system with additional capability
US8571580B2 (en) * 2006-06-01 2013-10-29 Loopt Llc. Displaying the location of individuals on an interactive map display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373528B (zh) * 2007-08-21 2014-04-02 联想(北京)有限公司 基于位置认证的电子支付系统、设备、及方法
CN101464981A (zh) * 2007-12-18 2009-06-24 黄金富 通过手机定位认证卡主身份的银行卡账户保安系统和方法
US8707319B2 (en) * 2008-06-26 2014-04-22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Resource location verification by comparing and updating resource location with a location of a consumer device after a threshold of location mismatches is exceeded
US20100057620A1 (en) * 2008-08-31 2010-03-04 Zilog, Inc. Mobile personal point-of-sale terminal
US8416065B2 (en) * 2009-06-30 2013-04-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Overlay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identifying same
CN101742469B (zh) * 2009-11-24 2012-05-30 候万春 手机rfid非接触交易归属控制的系统和方法
US20110137804A1 (en) * 2009-12-03 2011-06-09 Recursio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roving transactions
EP2596462A1 (en) * 2010-07-20 2013-05-29 Moqom Limited Cardholder mobile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8566233B2 (en) * 2010-07-29 2013-10-22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payment authorization
CN101916487A (zh) * 2010-08-13 2010-12-15 周绍君 一种防止纳税人超地理范围开票的系统和方法
US8699994B2 (en) * 2010-12-16 2014-04-15 Boku, Inc.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ively authenticate via mobile communications
CN103035081B (zh) * 2011-09-29 2015-08-1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无线pos机的交易权限验证方法、装置及系统
CN102521936A (zh) * 2011-12-20 2012-06-27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防异地pos套现的方法
CN102419846A (zh) * 2011-12-30 2012-04-18 快钱支付清算信息有限公司 一种基于pos机网络的非接近场支付系统和方法
WO2013159110A1 (en) * 2012-04-20 2013-10-24 Conductiv Software, Inc. Multi-factor mobile transaction authentication
CN102750789B (zh) * 2012-05-25 2015-04-22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具有定位功能的pos终端及电子终端支付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045A (ko) * 2015-03-31 2016-11-16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기기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3043A4 (en) 2015-08-05
EP2873043A1 (en) 2015-05-20
JP5788126B1 (ja) 2015-09-30
CN103546878A (zh) 2014-01-29
JP2015531905A (ja) 2015-11-05
WO2014008860A1 (en) 2014-01-16
US20140032346A1 (en) 2014-01-30
CN103546878B (zh)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0736A (ko) 모바일 데이터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4101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urchases at a gas station
US119956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mobile device to automatically initiate payments
US20210209581A1 (en) Computing system implementing a network transaction service
US20170364901A1 (en) Identifying user computing device specific locations
US9547862B2 (en) Electronic payment restriction
US20170076274A1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203432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ird party payment at point of sale terminals
US10496977B2 (en) Storing and forwarding payment transactions
US20130185124A1 (en) Mobile Card Processing Using Multiple Wireless Devices
US20150269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yment mechanism with a plurality of merchants
US11847636B2 (en) Seamles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acceptance of, authorizing access to, and tracking purchases made with a new credit account
US201201097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payment through a device user interface
US20230045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cured transfer of a service associated with a loyalty point between mobile devices
US20200143465A1 (en) Out-of-band verification for an electronic application
US11188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preauthorization and geographic location data
US201401565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mobile payment of a vendor or service provider via a demand draft
JP5908507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のため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3060136A1 (en) Seamles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acceptance of, authorizing access to, and tracking purchases made with a new credit account
WO2013109372A1 (en) Mobile card processing using multiple wireless devices
KR20130042724A (ko) 고객 위치 정보 기반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185187B1 (ko) 신용 카드 결제용 사인 패드 장치
US202101423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processing
KR101592635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결제 관리서버 및 결제 관리시스템
KR20220124404A (ko) 지오펜싱을 응용한 전자영수증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