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033A -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033A
KR20150020033A KR20140055839A KR20140055839A KR20150020033A KR 20150020033 A KR20150020033 A KR 20150020033A KR 20140055839 A KR20140055839 A KR 20140055839A KR 20140055839 A KR20140055839 A KR 20140055839A KR 20150020033 A KR20150020033 A KR 20150020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code
message
recogni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경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 (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to KR2014005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0033A/ko
Publication of KR2015002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A가,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상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서버측으로 전송하여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과정과, 서버가 상기 저장소의 일련번호를 단말A측에 전달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저장소 일련번호와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일측에 삽입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이미지의 인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쇄물이 오프라인으로 단말B에 전달되면, 단말B가 상기 인식코드를 스캔하여 기록된 정보들을 검출하는 과정과, 단말B가 상기 검출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저장소에 접근하여, 상기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단말B가 상기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서비스 가입자A가 개인적인 내용의 메시지를 타인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인쇄물의 QR코드에 담아 서비스 가입자B에게 전달하고, 서비스 가입자B는 상기 인쇄물을 촬영하는 간단한 스마트폰의 조작만으로 단말화면을 통해, 상기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의 QR코드 기술을 우리 일상에 활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scription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METHOD FOR VIRTUAL IMAGE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본 발명은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식코드를 이용하는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QR코드는 'Quick Response' 코드의 약자로서, 일본의 덴소 웨이브사의 등록상표인 Quick Response에서 유래했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보완하고,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 바코드이다. 이 코드를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인식기로 스캔하면 자동으로, 정보가 제공되는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숫자, 한자, 알파벳 등 문자 데이터는 물론 동영상까지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업 홍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숫자는 최대 7,089자, 문자는 최대 4,296자, 한자 등 아시아 문자 최대 1,817자를 담을 수 있다.
바코드는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반면, QR코드는 가로,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가짐으로써 기록할 수 있는 정보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켰다.
최근, 수년간 급속도로 보급된 스마트폰은 모바일 통신과 개인 컴퓨터의 기능(운영체계 실장, 어플리케이션 구동, 인터넷접속 기능)을 결합하여 이제는 우리의 실생활에 일부가 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app)'이라 한다)은 그 수를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또 진화를 거듭하고 있어 실생활에 유익한 아이디어로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은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 QR코드의 보급이나 이용하는 기술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유용성과 실용도에 비해 아직도 미비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종래 기술은 QR코드를 스캔했을 때 단순히 지정 웹에 접속하고 입력된 정보를 열람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에 소정의 인식코드를 삽입하는 것으로 각종 컨텐츠를 해당 사진과 함께 전달하는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은,
단말A가,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상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서버측으로 전송하여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과정과, 서버가 상기 저장소의 일련번호를 단말A측에 전달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저장소 일련번호와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일측에 삽입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이미지의 인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쇄물이 오프라인으로 단말B에 전달되면, 단말B가 상기 인식코드를 스캔하여 기록된 정보들을 검출하는 과정과, 단말B가 상기 검출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저장소에 접근하여, 상기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단말B가 상기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은,
단말A가,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상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기록한 QR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일측에 삽입하는 과정과, 단말A가, 상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이미지의 인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쇄물이 오프라인으로 단말B에 전달되면, 단말B가 상기 전달된 인쇄물을 촬영하는 과정과, 단말B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QR코드를 검출하고 기록된 메시지 내용을 추출하는 과정과, 단말B가 상기 QR코드에 기록된 매시지 내용을 상기 촬영된 이미지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QR코드를 검출하고 기록된 메시지 내용을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 상의 QR코드를 인식하여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QR코드의 데이터 영역에서, 저장된 메시지 내용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정보를 단말화면에 표시가능한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QR코드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비밀번호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비밀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QR코드에 기록된 내용들을 상기 촬영된 이미지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 가입자A가 개인적인 내용의 메시지를 타인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인쇄물의 QR코드에 담아 서비스 가입자B에게 전달하고, 서비스 가입자B는 상기 인쇄물을 촬영하는 간단한 스마트폰의 조작만으로 단말화면을 통해, 상기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의 QR코드 기술을 우리 일상에 활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의 동작 흐름도.
도3a는 이미지 선택 및 QR코드 생성을 위한 단말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3b는 미리보기와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4a는 본 발명에 따라 사진의 QR코드를 스캔하는 절차를 예시한 도면.
도4b는 본 발명에 따라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라 인쇄물을 촬영하는 절차를 예시한 도면.
도6b는 본 발명에 따라 QR코드를 인식하고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 사진에 삽입된 인식코드(예: QR코드, bar코드 등)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해당 사진에 기록된 메시지가 스마트폰(or 태블릿 PC 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A 단말기(100, or 단말기A), 인쇄기기(200), 사용자B 단말기(300, or 단말기B), 서버(40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A 단말기(100)는,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원하는 사진을 선택(예: 사진촬영이나 앨범에서 선택)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내용(메시지)을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내용이 기록된 이미지를 서버(400)의 특정 저장소에 저장한다. 상기 메시지는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400)측 저장소의 일련번호와 서버(400)의 URL주소를 저장하는 인식코드(예: QR코드, bar코드 등)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사진에 삽입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인식코드로서 QR코드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이후, 사용자A 단말기(100)는 상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사진)를 인쇄하기 위해, 상기 인쇄기기(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기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인쇄기기로서,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A 단말(100) 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이미지의 인쇄물을 출력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은 사용자 단말(100, 3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A 단말(100)과 접속하고, 상기 메시지 내용이 기록된 이미지를 특정 저장소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B 단말(300)이 접속하여 특정 저장소의 정보를 요구하면, 해당 저장소의 정보(예: 메시지 내용이 기록된 이미지 파일)를 상기 단말(300) 측에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B 단말기(300)는, 상기 출력된 인쇄물을 오프라인으로 건네 받은 경우, 건네받은 사진의 QR코드를 스캔하고 QR코드로부터 서버(400)의 유알엘(URL) 정보와 소정의 일련번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유알엘(URL) 정보를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여 서버(400) 내에 상기 일련번호를 갖는 저장소로부터 상기 메시지가 기록된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단말기B(300)의 사용자는 단말화면을 통해, 상기 이미지(예: 사진)와 함께 이미지에 기록된 메시지를 볼 수 있게 된다.
도4에 도시된 사용자B 단말기(300)의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예: 버튼 터치 등)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로서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노트북 컴퓨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QR코드 리더기,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 스마트폰, 혹은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QR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예: 사운드 스토어 서비스 앱)을 구비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QR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버(200)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이하, '앱스토어(App store)'라 한다)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QR코드를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과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QR코드는 바코드보다 훨씬 작은 공간에 보다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QR코드는 주로 광고와 홍보업계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점차 우리생활 주변의 주요 정보 전달수단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공간의 제약으로 충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없을 때 QR코드를 활용할 수 있고 QR코드를 통해 인터넷의 지정 사이트에 빠르고 쉽게 접속하여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앱(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이 사진에 삽입된 QR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사진과 함께 입력된 메시지(예: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를 스마트폰(or 태블릿 PC 등)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
사용자가 단말(100)에 저장된 서비스 앱을 실행하면, 앱의 실행에 따라 앱의 메인 화면(M110)이 단말A(100)에 나타나면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선택(예: '사진촬영' or '앨범에서 선택')하거나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S10) 도3a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QR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단말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서비스 앱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서비스 앱(app)을 미리 다운로드하여, 스마트 사용자 단말기(100)에 인스톨(install)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은 단말 제조시 제어부(미도시, CPU)에 실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앱을 제어부로 본다.
사용자는 우선, 앱의 메인 화면(M110)에서, '사진촬영'버튼이나 '앨범에서 선택'버튼을 입력(터치)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or 촬영)한다. (S20)
그리고, 앱의 메인 화면(M110)에서, '메시지 입력'버튼이 선택(터치)되면, '텍스트 입력'모드, '사운드 입력'모드, '이모티콘 입력'모드, '2D애니메이션 입력'모드, '3D애니메이션 입력'모드 등 다양한 모드의 메시지 입력창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원하는 모드의 메시지 입력이 가능하다. 2D나 3D애니메이션 입력모드의 경우, 다양한 상황에 적용 가능한 2D와 3D애니메이션 컨텐츠를 확보함으로써,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하면, 도3a의 M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A(100)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표시하며 입력을 수행한다. (S30~S40)
입력절차가 수행되는 동안 만일, 사용자가 '저장'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A(100)는 도3a의 M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QR코드를 생성하거나 QR코드 생성없이 상기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S50) 상기 메시지가 사운드나 이모티콘이나 2차원(2D) 애니메이션이나 3차원(3D)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한정된 QR코드의 저장공간을 고려하여 해당 컨텐츠(예: 이모티콘이나 2차원(2D) 애니메이션이나 3차원(3D) 애니메이션)의 데이터 대신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 메시지에서 '예'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A(100)는 우선, 상기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과정(S50)의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서버(400)의 특정 저장소에 저장한다. (S60~S70) 그리고, 서버(400)는 상기 저장소의 일련번호를 단말A(100)측으로 전송한다. (S80)
그리고, 단말A(100)은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저장소의 일련번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일련번호와 상기 서버(400)의 URL주소를 코드화하여 QR코드를 생성한다. (S90)
그리고, 상기 생성된 QR코드를 도3b의 M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일측에 삽입한다. (S90) 일반적인 QR코드의 크기는 약 2cm 정도지만,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QR코드를 약 1/4 크기로 줄인 마이크로 QR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40에서, 사용자가 '미리보기'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A(100)는 도3b의 M1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B(300)의 화면에 보여지는 최종화면을 미리보기로서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예: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가 만족스럽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도3b의 M1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버튼이 선택되면, 단말A(100)는 상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휴대용 인쇄기기(200) 측으로 전송한다. 도3b는 미리보기와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인쇄기기(200)는 상기 단말A(100)측으로부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미지를 출력(인쇄)한다. (S100)
본 발명은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의 일 예로서, 친구 사이인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가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에게 비밀 메시지(예: 사랑고백)를 전달하는 상황을 연출한 것이다.
일단, 상기 단말A(100)의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인쇄물(예: 사진)을 친구인 단말B(300)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며(S110), 단말B(300)의 사용자는 사진을 전달받으면 우선, 사진에 QR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진상에 QR코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에 저장된 서비스 앱을 실행한다. (S120)
서비스 앱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도4a의 단말 화면(M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버튼을 선택하면, 단말B(300)는 전달받은 사진의 QR코드를 스캔하고 QR코드로부터 서버(400)의 유알엘(URL) 정보와 소정의 일련번호를 검출한다. (S130) 도4a는 본 발명에 따라 사진의 QR코드를 스캔하는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단말B(300)는 상기 과정 S130을 통해 서버(400)의 유알엘(URL) 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유알엘(URL) 정보를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여 서버(400) 내에 상기 일련번호를 갖는 저장소에 접근한다. (S140)
이후, 상기 일련번호의 저장소에서 저장 정보(예: 메시지가 기록된 이미지 파일)가 검출되면, 서버(200)는 검출된 정보를 단말B(300)로 전송한다. (S150 ~ S160)
상기 검출된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B(300)는 도4b의 단말화면(M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된 정보(예: 메시지가 기록된 이미지 파일)를 디스플레이 한다. (S170) 도4b는 본 발명에 따라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A(100)의 사용자로부터 인쇄물(예: 사진)을 전달받은 단말B(300)의 사용자는 전달받은 사진의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단말B(300) 화면을 통해, 상기 이미지(예: 사진)와 함께 비밀 메시지(예: 사랑고백)를 볼 수 있게 된다.
도4에 도시된 사용자B 단말기(300)의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예: 버튼 터치 등)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로서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100)에 저장된 서비스 앱을 실행하면, 앱의 실행에 따라 앱의 메인 화면(M110)이 단말A(100)에 나타나면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선택(예: '사진촬영' or '앨범에서 선택')하거나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S210)
사용자는 우선, 앱의 메인 화면(M110)에서, '사진촬영'버튼이나 '앨범에서 선택'버튼을 입력(터치)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or 촬영)한다. (S220)
이후, 사용자가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하면, 도3a의 M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A(100)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표시하며 입력을 수행한다. (S230~S240)
입력절차가 수행되는 동안 만일, 사용자가 '저장'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A(100)는 도3a의 M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예'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A(100)는 QR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예: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를 QR코드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QR코드를 도3b의 M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일측에 삽입한다. (S250 ~ S260) 상기 메시지가 사운드나 이모티콘이나 2차원(2D) 애니메이션이나 3차원(3D)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한정된 QR코드의 저장공간을 고려하여 해당 컨텐츠(예: 이모티콘이나 2차원(2D) 애니메이션이나 3차원(3D) 애니메이션)의 데이터 대신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240에서, 사용자가 '미리보기'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A(100)는 도3b의 M1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B(300)의 화면에 보여지는 최종화면을 미리보기로서 화면에 출력한다.
이후, 도3b의 M1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버튼이 선택되면, 단말A(100)는 상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휴대용 인쇄기기(200) 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인쇄기기(200)는 상기 단말A(100)측으로부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미지를 인쇄물로서 출력한다. (S270)
그리고, 상기 단말A(100)의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인쇄물(예: 사진)을 친구인 단말B(300)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며(S280), 단말B(300)의 사용자는 사진을 전달받으면 우선, 사진에 QR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진상에 QR코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에 저장된 서비스 앱을 실행한다. (S290)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 서비스 앱 화면에서, ?篤?버튼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전달받은 사진을 촬영한다. 도6a는 본 발명에 따라 인쇄물을 촬영하는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단말B(300)는 상기 인쇄물의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이미지의 일측(예: 우측 하단)에 위치한 QR코드를 인식하고 도6b의 M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를 검출한다. (S300) 그리고 검출된 QR코드의 데이터 영역에서, 저장된 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들을 단말화면에 표시가능한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으로 변환시킨다.
단말B(300)는 이렇게 변환된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등(예: 사랑고백)을 도6b의 M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된 이미지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S310) 도6b는 본 발명에 따라 QR코드를 인식하고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절차들(S210~S310)을 통해, 단말A(100) 사용자는 개인적인 내용의 메시지를 타인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인쇄물의 QR코드에 담아 전달할 수 있고, 단말B(300)의 사용자는 상기 인쇄물을 촬영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단말화면을 통해, 상기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사용자B 단말기(300)의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예: 버튼 터치 등)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로서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메시지 전달의 경우, QR코드에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QR코드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단말A(100)는 상기 단계 S60(또는 S260)에서, 비밀번호 설정절차를 수행한다. 단말A(100)의 사용자는 단말B(300)의 사용자와 약속된 번호를 비밀번호로서 설정한다.
단말B(300)는 상기 단계 S140(또는 S310)에서, 비밀번호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단말B(300)의 사용자는 단말A(100)의 사용자가 미리 알려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비밀번호 인증절차를 통과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 예들이 제어부(or 서비스 앱(App)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고, 제어부(or 서비스 앱(App))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 가입자A가 개인적인 내용의 메시지를 타인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인쇄물의 QR코드에 담아 서비스 가입자B에게 전달하고, 서비스 가입자B는 상기 인쇄물을 촬영하는 간단한 스마트폰의 조작만으로 단말화면을 통해, 상기 QR코드에 담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의 QR코드 기술을 우리 일상에 활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00, 300: 사용자 단말기 200 : 인쇄기기
400 : 서버

Claims (9)

  1. 단말A(100)가,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상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단말A(100)가 상기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서버(400)측으로 전송하여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과정과;
    서버(400)가 상기 저장소의 일련번호를 단말A(100)측에 전달하는 과정과;
    단말A(100)가, 상기 저장소 일련번호와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일측에 삽입하는 과정과;
    단말A(100)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이미지의 인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쇄물이 오프라인으로 단말B(300)에 전달되면, 단말B(300)가 상기 인식코드를 스캔하여 기록된 정보들을 검출하는 과정과;
    단말B(300)가 상기 검출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서버(400)에 접속하고 상기 저장소에 접근하여, 상기 메시지가 입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단말B(300)가 상기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A(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의 인쇄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QR(Quick Response)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5. 단말A(100)가,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상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단말A(100)가 상기 메시지 내용을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일측에 삽입하는 과정과;
    단말A(100)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이미지의 인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쇄물이 오프라인으로 단말B(300)에 전달되면, 단말B(300)가 상기 전달된 인쇄물을 촬영하는 과정과;
    단말B(300)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상기 인식코드를 검출하고 기록된 메시지 내용을 추출하는 과정과;
    단말B(300)가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촬영된 이미지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를 검출하고 기록된 메시지 내용을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 상의 인식코드를 인식하여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인식코드의 데이터 영역에서, 저장된 메시지 내용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메시지 내용을 단말화면에 표시가능한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인식코드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비밀번호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비밀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된 내용들을 상기 촬영된 이미지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는
    QR(Quick Response)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40055839A 2014-05-09 2014-05-09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50020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839A KR20150020033A (ko) 2014-05-09 2014-05-09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839A KR20150020033A (ko) 2014-05-09 2014-05-09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645A Division KR101440766B1 (ko) 2013-08-09 2013-08-09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033A true KR20150020033A (ko) 2015-02-25

Family

ID=5257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5839A KR20150020033A (ko) 2014-05-09 2014-05-09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00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43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더코더 가상 근거리 통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43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더코더 가상 근거리 통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766B1 (ko)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US9280643B2 (en) Establishing access to a secure network based on user-created credential indicia
US962149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168968B2 (en)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9420144B2 (en) Image forming device to provide preview image for editing manuscript image,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nd edit the preview image, and methods thereof
CN112119623B (zh) 基于帐户组共享内容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US8718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 electronic resource based upon a hand-drawn indicator
WO2019128179A1 (zh) 移动终端间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527330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103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sending a two-dimensional code in a message
US20170068946A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os terminal, pay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50020033A (ko)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US20150317332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for managing data and method thereof
WO2018161761A1 (zh) 无线网络接入方法、终端和存储介质
KR20160017354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101979618B1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101978419B1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200001430A (ko) Qr코드가 인쇄된 출력물의 데이터 등록방법과 다운방법
JP2017111542A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情報処理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17355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60017352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230048230A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160017353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240062847A (ko) O2o 환경에서 nft 기반 컨텐츠 검증 방법
JP2019165465A (ja) 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