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330B1 -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330B1
KR102527330B1 KR1020150131406A KR20150131406A KR102527330B1 KR 102527330 B1 KR102527330 B1 KR 102527330B1 KR 1020150131406 A KR1020150131406 A KR 1020150131406A KR 20150131406 A KR20150131406 A KR 20150131406A KR 102527330 B1 KR102527330 B1 KR 10252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input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928A (ko
Inventor
하정수
임준학
남궁보람
이현주
고재찬
박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330B1/ko
Priority to US15/220,548 priority patent/US10156917B2/en
Priority to EP16185365.0A priority patent/EP3145115B1/en
Priority to CN201610831772.9A priority patent/CN106547435B/zh
Publication of KR2017003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7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distinctive intermediate devices or communication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1Key generation or deri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7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without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71Key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보안을 강화시키고 별도의 외부 저장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NPUT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펜과 같은 입력 장치를 함께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좀더 정교하고 편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USB와 같은 저장 장치를 이용하는 유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무선 통신 방식은 편리하기는 하나 보안에 취약하고, 3G, 4G 네트워크 망이나 Bluetooth 또는 WiFi 망에 접속되어야 하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부품의 사이즈가 크고 전력 소모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선 통신 방식은 보안에는 강점이 있으나, 별도로 외부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이 불편하였다.
이에 따라, 보안을 강화시키고 별도의 외부 저장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6613호(2011.05.06.)
선행기술문헌 2: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4/0267339호(2014.09.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장치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키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입력 장치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능키가 눌려지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입력 장치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능키가 눌려지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 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암호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암호 키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기 설정된 패턴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능키가 눌려지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능키가 눌려지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 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을 강화시키고 별도의 외부 저장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형태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형태의 입력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 장치(100)는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대해 입력 장치(100)의 일부가 접촉되어 터치가 되면서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00)는 주로 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장치(100)의 입력 방식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간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입력 장치(100)에서의 입력은 터치 입력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터치 입력을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을 받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입력 장치(100)가 펜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TV,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EPD(Electrophoretic Display), E-PAPER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이 입력 가능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00)의 일부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접촉된 상태에서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100)의 일부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접촉된 상태에서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된 컨텐츠가 선택되는 방법은 입력 장치(100)의 일부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접촉된 상태에서 드래그 방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입력 장치(100)의 일부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대해 단발성 접촉 즉, 싱글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입력 장치(100)의 일부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기 설정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입력 장치(100)와 접촉 가능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입력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간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00)는 펜 형태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접촉되는 입력 장치(100)의 일부는 펜 팁(pen-t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펜 팁이란 직접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접촉되어 선을 그리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Mac address로 구현될 수 있고, 암호 키는 통신을 하는 상대방끼리 하나의 통신 세션 동안에만 사용하는 암호 키를 의미하며 암호 키는 추후 설명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부분에서는 프로세서(120)가 기 설정된 제1 이벤트 발생 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선택된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도 수신하여 함께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된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링크 Address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내에서 선택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자체가 아닌 선택된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2 이벤트 발생 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Mac address로 구현될 수 있고, 암호 키는 통신을 하는 상대방끼리 하나의 통신 세션 동안에만 사용하는 암호 키를 의미하며 암호 키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2 이벤트 발생 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만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선택된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선택된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링크 Address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내에서 선택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을 통해,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복수의 기능 실행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이 입력되어 컨텐츠 전송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을 통해,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복수의 기능 실행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이 입력되어 컨텐츠 수신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 장치(100)의 펜 팁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컨텐츠 전송 기능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후 입력 장치(100)의 펜 팁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입력을 통해 컨텐츠 수신 기능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기능키(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에 관한 설명은 미리 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능키(130)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키(13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기능키로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눌려지는 물리적인 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기능키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00)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능키가 눌려지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입력 장치(1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능키가 눌려지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00)의 펜 팁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능키(130)가 눌려지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00)의 펜 팁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능키(130)가 눌려지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 형태의 입력 장치 및 펜 형태의 입력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입력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면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도 3a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형태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가 펜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펜의 제1 영역에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가 포함되어 있고, 펜의 제2 영역에는 기능키(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술한 펜 팁은 펜의 가장 아래쪽 끝단에 위치한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BLE 회로는 펜과 사용자 단말 장치 간의 통신 및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저장부(미도시)에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기능키(130)는 도 3a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직접 눌려질 수 있는 물리적인 버튼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능키(130)를 누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펜 형태의 입력 장치(100)는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형태의 입력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의 펜 팁(30)에는 공진 회로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센서 보드(10)에는 윈도우, 디스플레이, FPCB(Flecible PCB)를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센서 보드(10)에 전류가 인가되면 FPCB는 EM field(20)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EM field(20)를 통해 입력 장치(100)의 펜 팁(30)에 포함된 공진 회로에 에너지가 전달되게 된다.
이후, 센서 보드(10)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센서 보드에 연결된 유도 전류 측정기는 입력 장치(100)의 펜 팁(30)의 공진 회로에 남아 있는 공명에 의한 유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 보드 윈도우 상의 위치 별로 스캔하여 유도 전류에 의한 신호의 강도 차이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00)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능키가 눌려지면서 제어 신호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400)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펜 입력 기능, 편집 기능, 복사 기능, 검색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유저 인터페이스(5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능키가 눌려지면서 제어 신호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면 제2 유저 인터페이스(5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저 인터페이스(500)는 마찬가지로 펜 입력 기능, 편집 기능, 복사 기능, 검색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5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400)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500)의 형태는 일 예일 뿐이며, 다른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4에 도시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400)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410)가 입력 장치(100)를 통해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도 5에 도시된 제2 유저 인터페이스(500)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510)가 입력 장치(100)를 통해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기능키(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기능키(130)에 관해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140)는 ROM(미도시), RAM(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OM(미도시)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될 수 있고, RAM(미도시)에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복사되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 채, 입력 장치(1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암호 키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제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입력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스템(700)은 입력 장치(100),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100)는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이며,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수신된 암호 키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입력 장치(1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암호 키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고, 이렇게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직접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보낼 수도 있으나 브로드 캐스팅 형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 뿐만 아니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브로드 캐스팅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브로드 캐스팅된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에게 전송되는 것이 맞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암호 키에 기초하여 수신된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제대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 키에 기초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복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간에 통신 연결이 완료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선택된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을 통해,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서 복수의 기능 실행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이 입력되어 컨텐츠 전송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 상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을 통해,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 상에서 복수의 기능 실행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100)의 입력이 입력되어 컨텐츠 수신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입력 장치(100)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입력 장치(1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입력 장치(100)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입력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 및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각 구성은 도 3a 내지 도 5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가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고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컨텐츠 내보내기 기능을 실행하는 메뉴를 선택하면(101),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Mac 주소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입력 장치(100)로 전송한다(201).
그리고, 입력 장치(100)가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컨텐츠 가져오기 기능을 실행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Mac 주소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면(102),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수신된 암호 키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Mac 주소를 암호화하고(301),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Mac 주소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Mac 주소와 함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302).
이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Mac 주소를 암호 키에 기초하여 복호화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202).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203).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910)가 입력 장치(100)를 통해 선택된 후, 입력 장치(100)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9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1 유저 인터페이스(920)에서 입력 장치(100)를 통해 내보내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930)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 상에 입력 장치(100)에 의해 제2 유저 인터페이스(9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940)에서 입력 장치(100)를 통해 가져오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950)가 선택되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 상에는 입력 장치(100)를 통해 선택된 오브젝트(9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입력 장치(100)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수신된 암호 키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 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선택된 오브젝트(910)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프로세서(120)의 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입력 장치(10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 기 설정된 패턴의 입력이 감지되면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입력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입력된 기 설정된 패턴에 기초하여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 상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입력하면, 입력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 등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가지고 전자 서명을 하는 경우 이러한 전자 서명은 기 설정된 패턴 입력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통해 전자 서명을 하는 경우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대해 입력 장치(100)를 통해 전자 서명 시, 입력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생성된 암호 키 및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식별자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전자 결재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프로세서(120) 및 입력 장치(100), 제1 사용자 단말 장치(200),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은 전자 서명시 전자 결재가 이루어지는 실시 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는 다양한 종류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파일은 음악, 사진, 그림, 텍스트, 동영상,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1010).
그리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020).
여기서,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입력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장치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능키가 눌려지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입력 장치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능키가 눌려지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암호 키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장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제어부 등과 같은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입력 장치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기능키
140: 저장부

Claims (20)

  1.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눌려지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기능키가 눌려지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삭제
  8.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암호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암호 키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기 설정된 패턴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암호 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가 선택되고 기 설정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능키가 눌려지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에 구비된 기능키가 눌려지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암호 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20. 삭제
KR1020150131406A 2015-09-17 2015-09-17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2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06A KR102527330B1 (ko) 2015-09-17 2015-09-17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220,548 US10156917B2 (en) 2015-09-17 2016-07-27 Inpu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6185365.0A EP3145115B1 (en) 2015-09-17 2016-08-23 Inpu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610831772.9A CN106547435B (zh) 2015-09-17 2016-09-19 输入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06A KR102527330B1 (ko) 2015-09-17 2015-09-17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928A KR20170033928A (ko) 2017-03-28
KR102527330B1 true KR102527330B1 (ko) 2023-05-02

Family

ID=5692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06A KR102527330B1 (ko) 2015-09-17 2015-09-17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56917B2 (ko)
EP (1) EP3145115B1 (ko)
KR (1) KR102527330B1 (ko)
CN (1) CN106547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7809B1 (en) * 2015-12-08 2022-10-04 Verily Life Sciences Llc NFC beacons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chemical sensor and a reader device
CN107197346B (zh) * 2017-05-27 2021-06-1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终端及蓝牙设备回连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36435B1 (ko) * 2018-03-13 2022-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US10986209B2 (en) * 2018-04-19 2021-04-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ecure and reliable on-demand source routing in a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CN111898158B (zh) * 2020-07-23 2023-09-26 百望股份有限公司 一种ofd文档的加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2901A1 (en) 2005-06-14 2006-12-14 Li Yi Q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ed data transfer
US20070208930A1 (en) 2006-03-01 2007-09-06 Microsoft Corporation Keytote component
US20140267339A1 (en) * 2013-03-15 2014-09-18 Adobe Systems Incorporated Secure Cloud-Based Clipboard for Touch Devices
CN104603763A (zh) 2012-08-23 2015-05-06 三星电子株式会社 信息传输方法和系统、装置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3239A1 (fr) * 2006-07-24 2008-01-30 Nagravision S.A. Méthode de stockage et d'exploitation d'un évènement audio/video diffusé
EP2273405A1 (en) * 2009-07-07 2011-01-12 Irdeto Access B.V. Processing recordable content in a stream
KR101091983B1 (ko) * 2009-10-29 2011-12-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US9265074B2 (en) * 2011-10-06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Pen-based conte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3251609A (ja) * 2012-05-30 2013-12-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icチップ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097578B1 (ko) * 2012-12-10 2020-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US10033773B2 (en) * 2012-12-10 2018-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apparatus
US9275005B2 (en) 2012-12-13 2016-03-01 Google Inc. Device commissio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2901A1 (en) 2005-06-14 2006-12-14 Li Yi Q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ed data transfer
US20070208930A1 (en) 2006-03-01 2007-09-06 Microsoft Corporation Keytote component
CN104603763A (zh) 2012-08-23 2015-05-06 三星电子株式会社 信息传输方法和系统、装置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20140267339A1 (en) * 2013-03-15 2014-09-18 Adobe Systems Incorporated Secure Cloud-Based Clipboard for Touch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47435A (zh) 2017-03-29
US10156917B2 (en) 2018-12-18
KR20170033928A (ko) 2017-03-28
CN106547435B (zh) 2020-06-09
US20170083117A1 (en) 2017-03-23
EP3145115A1 (en) 2017-03-22
EP3145115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330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5453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361857B2 (en) Electronic stamp system for security intensif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95757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oning using mobile device
US10586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file by using a plurality of cloud storages
KR20140018403A (ko) 터치 스크린을 통한 보안 입력
TWI688866B (zh) 一種資料共用系統及方法
US20180004464A1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server,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50068002A (ko)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13281A1 (en) Method of configuring permission for sharing data and touch link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WO2019128179A1 (zh) 移动终端间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5095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ignature
JP4760986B2 (ja) 情報処理装置
CN11063304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364859B1 (ko) 스캔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스캔 이미지 처리 방법
JP2016018334A (ja) 入力操作補助具、入力操作補助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50000286A (ko) 보안 환경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036794B1 (ko) 태블릿 기기
CN104346417B (zh) 一种书签信息的同步方法及装置
CN106708512B (zh) 一种移动终端的otg功能的开启方法及移动终端
US9229629B2 (en)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communicative connection method between multiple devices, and interface controlling method
WO2018105304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50020033A (ko)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KR101390097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
CN10574068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