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002A -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002A
KR20150068002A KR1020130153695A KR20130153695A KR20150068002A KR 20150068002 A KR20150068002 A KR 20150068002A KR 1020130153695 A KR1020130153695 A KR 1020130153695A KR 20130153695 A KR20130153695 A KR 20130153695A KR 20150068002 A KR20150068002 A KR 2015006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loud
portable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호
박상준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002A/ko
Priority to US14/560,162 priority patent/US9980131B2/en
Publication of KR2015006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등록 디바이스 정보와 등록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휴대기기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접근 대상인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디바이스로 결정된 경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증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휴대기기를 디바이스에 접근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증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강화된 보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DEVT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인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인증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스마트 TV,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보안의 중요성도 증대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인증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사용자 인증은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디바이스 인증과, 디바이스를 이용한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서비스 인증을 포함한다. 서비스 인증은 스마트 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바이스 인증에는 디바이스의 OS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즉,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인증을 진행하며, 디스플레이에 대한 특정 패턴을 이용한 인증을 수행하기도 한다.
서비스 인증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게 되며, 해당 디바이스 내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저장된 로컬 정보를 이용하는 자동 로그인을 구현하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디바이스 인증의 경우 패스워드나 패턴의 유출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일반적으로 복수 사용자의 등록이 불가능하고, 오직 등록된 1명의 사용자만 인증이 가능하다. 일부 태블릿 PC의 경우 복수의 사용자 등록이 가능한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이메일, SNS 등의 사용에 있어 복수 사용자들 간에 개인 프라이버시가 보장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인증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마다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억해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자동 로그인이 적용된 경우,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정보가 유출되면 사실상 보안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는 추세에 맞추어, 디바이스와 분리된 원격 저장소에 데이터 저장영역이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요가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디바이스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공유하도록,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등록 디바이스 정보와 등록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휴대기기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접근 대상인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디바이스로 결정된 경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더 저장하며, 제어부는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제2인증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및 어플리케이션 타입 또는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웹 주소 및 웹 페이지 타이틀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에는, 휴대기기의 사용을 위한 제3인증정보가 더 저장되며, 제3인증정보는 사용자의 생체인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디바이스로부터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수신하며, 휴대기기는 수신된 인증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디바이스의 인증에 응답하여 휴대기기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휴대기기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는 디지털 펜, 손목밴드, 시계,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휴대기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등록 휴대기기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휴대기기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휴대기기가 등록 휴대기기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휴대기기로 결정된 경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휴대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사용자 인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더 수신하며, 제어부는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휴대기기로부터 제2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2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휴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휴대기기로부터 클라우드 UI 재생 요청을 더 수신하며, 제어부는 휴대기기로부터의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는 제1인증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고,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출력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디바이스의 동작상태에 대응하도록 클라우드 UI를 표시할 수 있다.
클라우드 UI는 클립보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며, 출력부는,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UI는 클립보드 서비스 또는 웹하드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 정보와 광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클립보드로 저장하고자 하는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관심영역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클립보드로 저장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관심영역의 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관심영역의 메타 데이터를 더 추출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제어방법은, 휴대기기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저장된 등록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 대상인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접근 대상인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로 결정된 경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가 더 저장되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제2인증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의 저장부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및 어플리케이션 타입 또는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웹 주소 및 웹 페이지 타이틀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에는, 휴대기기의 사용을 위한 제3인증정보가 더 저장되며, 제3인증정보는 사용자의 생체인식 정보를 포함하고, 제3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휴대기기의 사용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로부터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인증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인증에 응답하여 휴대기기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는 디지털 펜, 손목밴드, 시계,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휴대기기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저장된 등록 휴대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된 휴대기기가 등록 휴대기기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접근된 휴대기기가 등록 휴대기기로 결정된 경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휴대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제2인증정보는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휴대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로부터 클라우드 UI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휴대기기로부터의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인증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UI는 디바이스의 동작상태에 대응되게 표시될 수 있다.
클라우드 UI는 클립보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클립보드 서비스 또는 웹하드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 정보와 광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여 클립보드로 저장하고자 하는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관심영역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클립보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영역의 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관심영역의 메타 데이터를 더 추출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복수의 디바이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디바이스 로그인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화면을 제공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인증이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7 내지 도 22은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UI를 제공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은 인증정보가 저장된 휴대기기(100)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200)와, 디바이스(200)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기기(100)는 인증정보의 저장 및 디바이스(200)로의 전송이 가능하며, 디지털 펜, 손목밴드, 시계 등의 사용자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디지털기기(디지털 액세서리, 스마트 액세서리, 또는 앱세서리(Appcessory) 라고도 한다)나, 휴대폰(스마트 폰),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속목밴드, 시계 등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기기(100)는 최근 각광받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Wearable Computing)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휴대기기(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휴대기기(100)가 해당 디바이스(200)에 접근(approach)하면, 인증정보가 디바이스(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접근은 접촉(contact)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휴대기기(100)에는 인증정보의 전송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관한 등록 디바이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인증정보는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을 위한 사용자 계정정보로서 예를 들어,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 이상의 디바이스가 동일한 사용자 계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기기(100)와 디바이스(200)가 동일한 계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도 8의 201, 202, 203) 예를 들어, 스마트폰(201)과 태블릿(202)이 동일한 사용자 계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증은 디바이스(200)의 사용을 위한 디바이스 인증과, 디바이스를 이용한 특정 서비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한 서비스 인증을 포함한다.
휴대기기(100)는 서비스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인증정보는 디바이스(20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휴대기기(100)로부터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제1실시예). 여기서, 본 발명은 서비스 인증정보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되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제2실시예).
디바이스(200)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는 복수의 디바이스(도 8의 201, 202, 203)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제3실시예).
본 발명의 디바이스(200)는 TV(스마트 TV 또는 IPTV),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tablet PC), 휴대폰(스마트 폰), 차량용 내비게이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다양한 디지털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휴대기기(100)와 디바이스(200) 정보를 관리하며, 휴대기기(100)와 디바이스(200)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기기(100) 및 디바이스(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300)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는 스토리지 서비스와, 후술하는 클립보드 서비스를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는 제1입력부(110), 제2출력부(220), 제1근거리 통신부(130), 제1저장부(140), 제1사용자 인증부(150) 및 제1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기기(100)는 경우에 따라 제1 네트워크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1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제1입력부(110)는 휴대기기(110)에 마련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적인 키패드 즉,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제1입력부(110)는 사용자가 UI를 터치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1제어부(170)에 전달하며, 제1입력부(110)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인터랙션 즉, 터치 또는 터치 제스쳐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110)가 음성인식이 가능한 디지털기기인 경우, 제1입력부(110)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출력부(12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음성 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운드출력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근거리 통신부(130)는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근거리 통신부(130)는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제1인증정보를 해당 디바이스(200)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은 초음파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초음파를 통한 데이터 통신으로 정보를 교환하면, 기기(100, 200)에 새로운 센서/하드웨어(Hardware)를 추가할 필요없이 대부분의 기기에서 그대로 활용 가능하므로, 복잡한 사전 세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통신에 사용되는 패킷(packet)(20)은 총 10개의 단위 패킷(information character)으로 구성되며, 단위 패킷 당 10비트(bit)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통신 패킷(20)의 총 비트 수는 8+8+8+(8*10)+8 = 112 bit (14byte)가 된다.
패킷(20) 내부의 코드 정보는 char# i_char preamble, Start_code, end_code의 우선 순위를 가지며, 우선 순위에 따라 패리티(parity) 기술 난이도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Bit 내부 “1” count 하위 3bit parity : Char#
Bit 내부 “1” even-odd 하위 1bit parity : char
도 2의 패킷(2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포함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프리앰블(Preamble)은 패킷의 시작지시 정보와, 동기화, 위상 결정에 사용되는 코드를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동기화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작 코드(start_code)와 종료 코드(end_code)는 information char의 시작과 종료(끝)를 지시한다.
Char# 는 총 information char 개수를 나타내며, 패킷 조합 시 사용된다.
i_char 는 실제 정보 즉, 제1인증정보를 포함하며, 도 2와 같이Command, mykeyID, deviceID, objectID, Token을 포함하며, 총 10개의 i_char가 사용될 수 있다. i_char의 각 구성에 포함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Command: Web Log-in, 정보 전달, Copy, Paste등의 명령
mykeyID: 행위자의 개인 식별 정보
deviceID: 초음파 정보 전달 기기의 식별 정보
objectID: Cloud에 저장된 object 접속 정보
Token: 수신기기 중 특정기기 즉, 등록 디바이스만 정보수신을 하도록 하는 암호 정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100)는 도 3과 같은 송신 모듈레이션(Tx modulation) 과정을 통해 제1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신호를 접근된 디바이스(200)에 송신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1실시예의 휴대기기(100)는 도 3의 모듈레이션 과정을 통해 제2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신호를 디바이스(200)에 더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기기(100)는 i_char 정보를 입력받고(401), i_char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char#의 값을 결정한다(402). 그리고, char# 및 i_char 의 오류를 검사하여(403, 404), 도 2와 같은 패킷(20)을 구성하게 된다. 이후, 휴대기기(100)는 구성된 패킷(20)에 대한 위상을 결정하여(405), 최종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한다(406). 이렇게 생성된 초음파 신호는 휴대기기(100)의 OS,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android)로 반환되고,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디바이스(20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생성 및 디바이스(200)로 전송된 초음파 신호는 디바이스(200)에서 수신 및 디모듈레이션되며,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초음파 신호의 디모듈레이션 과정은 후술하는 디바이스(200)와 관련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통신 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ata over sound, Data over LED,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통신 또는 USB, 오디오 잭(Audio Jack) 등을 이용한 유선통신으로도 구현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1저장부(140)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4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저장부(140)는 제1제어부(160)에 의해 억세스되며, 제1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제1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휴대기기(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OS)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저장부(140)에는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제1인증정보가 저장되며, 인증 대상인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등록 디바이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인증정보는 사용자 계정정보(개인 식별정보)로서 아이디(ID) 및/또는 패스워드(PW)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저장부(140)에는 서비스 인증을 위한 제2인증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제2인증정보는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페이스북, 네이버 등)을 사용 즉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구글 크롬, 사파리 등의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며, 제2인증정보는 웹 브라우저 실행에 따른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또한, 제2인증정보는 웹 브라우저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특정 UR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사이트)에 접속 즉,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정부에서 발행되는 민원 서비스, 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에서 발행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제2인증정보는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저장부(140)는 휴대기기(100) 사용을 위한 제3인증정보가 더 저장된다. 제3인증정보는 등록된 사용자 외에 휴대기기(1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맥박, 지문 등의 생체인식 정보, 숫자 비밀번호, 자물쇠 비밀번호,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기기(100)에는 디바이스(200)에 대한 디바이스 인증정보 및/또는 서비스 인증정보가 저장되기 때문에, 보다 강화된 보안을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채인식 정보를 이용한 인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외의 휴대기기(100) 사용을 제한하며, 휴대기기(100)의 분실에도 대비할 수 있다.
제1사용자 인증부(150)는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제3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휴대기기(100)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제1사용자 인증부(150)는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맥박, 지문 등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휴대기기(100)의 실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네트워크 통신부(160)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제1네트워크 통신부(160)는 인터넷을 포함하여 외부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170)는 휴대기기(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70)는 제1입력부(11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 제1근거리 통신부(130) 또는 제1네트워크 통신부(160)의 데이터 송수신의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휴대기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70)는 휴대기기(100)가 디바이스(200)에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인증정보를 제1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200)로 송신한다. 제1제어부(170)는 제1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등록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접근 대상 디바이스(200)가 등록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디바이스인 경우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해당 등록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기기(100)의 일측(예를 들어, 전면 상부)에는 휴대기기(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미도시)가 마련되어, 접근 대상 디바이스(20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가 제1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1제어부(170)가 휴대기기(100)에 마련된 특정 버튼의 조작 시에 근접된 디바이스(200)로 제1인증정보를 송신하도록 구현 가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는 제1제어부(170)가 등록 디바이스(200)에서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해당 디바이스(200)로 더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2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0)는 제2입력부(210), 제2출력부(220), 제2근거리 통신부(230), 제2저장부(240), 제2사용자 인증부(250), 제2 네트워크 통신부(260) 및 제2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바이스(200)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 경우, 디바이스(20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처리되는 영상신호는 방송신호,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기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제2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2제어부(270)에 전달한다.
제2입력부(210)는 디바이스(200)에 마련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적인 키패드 즉,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제2입력부(210)는 사용자가 UI를 터치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2제어부(270)에 전달하며, 제2입력부(210)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인터랙션 즉, 터치 또는 터치 제스쳐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저항방식 및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스타일러스 등의 입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디바이스(20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아이콘)를 터치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0) 또는 별도로 구비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미도시)는 터치스크린에서부터 수신된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검출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와 Y좌표)로 변환한다. 제2제어부(270)는 변화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상의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와 Y좌표를 산출하고,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는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롱 탭(long tap), 더블 탭(double tap)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바이스(210)가 음성인식이 가능한 디지털기기인 경우, 제2입력부(210)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출력부(22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음성 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운드출력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근거리 통신부(230)는 휴대기기(1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은 초음파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400)는 휴대기기(100)로부터 제1인증정보 또는 제2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초음파 신호는 도 4과 같은 수신 음파 디모듈레이션(Rx sound demodulation) 과정을 통해 디바이스(400)에서 인지된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200)에 수신된 초음파 신호는 버퍼에 저장된다(501). 그리고, 저장된 신호로부터 정보 신호를 자르고(502), 위상 신호를 보정하여(503), 위상이 결정된다(504). 이후, 디모듈레이션(505) 및 패러티 검사(506)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1 또는 제2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추출된다(406). 이렇게 추출된 신호는 디바이스(200)의 OS,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android)로 반환되고, 제2제어부(270)가 제1 또는 제2 인증정보를 인지하여, 인증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통신 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통신 또는 USB, 오디오 잭(Audio Jack) 등을 이용한 유선통신으로도 구현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2근거리 통신부(230)는 휴대기기(100)로부터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제1인증정보를 수신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2근거리 통신부(230)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인증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휴대기기(100)로부터 더 수신할 수 있다.
제2저장부(240)는 제2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2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의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저장부(240)는 제2제어부(2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2제어부(2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제2저장부(2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2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2저장부(240)는 터치 및/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터치 정보(예를 들어, 검출된 터치 위치의 X와 Y좌표, 터치 검출 시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제2저장부(240)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종류(예를 들어, 플릭,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도 저장할 수 있으며, 제2제어부(270)는 입력된 사용자 터치를 제2저장부(240)의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제2저장부(240)는 입력되는 터치 또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어 터치스크린(190)에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비디오 소스 등),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사운드 소스 등) 및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촉각 피드백(예를 들어, 햅틱 패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제1 및 제2 저장부(240, 270), 제어부(170, 270) 내 롬, 램 또는 휴대기기(100) 또는 디바이스(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저장부(240, 2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저장부(240)에는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제1인증정보가 저장되는 휴대기기(100)를 식별하기 위한 등록 휴대기기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저장부(240)에는 제1인증정보에 대응하여 디바이스(200)의 인증된 사용자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제2사용자 인증부(250)는 제2근거리 통신부(230)을 통해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여기서, 제2사용자 인증부(250)는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족의 구성원 1,2,3이 하나의 디바이스(200)를 사용하는 경우, 구성원 1이 자신의 휴대기기(100)(휴대폰)을 디바이스(200)에 접근시키면, 구성원 1의 제1인증정보가 디바이스(200)에 전달되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한다. 같은 방식으로, 구성원 2가 자신의 휴대기기(100)(손목밴드)를 디바이스(200)에 접근시켜,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로그인 화면(맞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는 인터넷을 포함하여 외부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인증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더 수신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0)는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270)는 제2입력부(21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 제2근거리 통신부(230) 또는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의 데이터 송수신의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바이스(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270)는 제2근거리 통신부(230)를 통해 디바이스(200)에 접근하는 휴대기기(200)로부터 제1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70)는 제2저장부(240)에 미리 저장된 등록 휴대기기 정보를 참조하여, 접근되는 휴대기기(200)가 디바이스의 인증장치로서 미리 등록된 휴대기기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휴대기기인 경우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200)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제어부(270)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등록 휴대기기(100)로부터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2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200)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제어부(270)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등록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3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3저장부(340), 제3 네트워크 통신부(360) 및 제3제어부(370)를 포함한다.
제3저장부(340)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휴대기기(100) 및 디바이스(200)를 관리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저장부(340)는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로 구현되며, 데이터 베이스는 서비스 제공 및 관리 대상인 휴대기기와 디바이스들의 인증 및 사용 권한에 사용자 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인증 영역(341), 휴대기기 및/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추출되는 클립보드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립보드 영역(342),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하드 영역(34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영역(341)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기기(10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200) 정보가 등록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클립보드 영역(342) 및 웹하드 영역(34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휴대기기(100) 또는 디바이스(200)를 통해 사용자 인증 영역(341)의 정보를 확인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인증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3저장부(340)의 사용자 인증 영역(341)에는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인증(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제2인증정보가 더 저장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3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3네트워크 통신부(360)는 휴대기기(100) 및/또는 디바이스(2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제3네트워크 통신부(360)는 인터넷을 포함하여 외부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휴대기기(100) 또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제3네트워크 통신부(360)를 통해 제3저장부(341) 내의 클립보드 영역(342) 및 웹하드 영역(343)에 억세스할 수 있다.
제3제어부(370)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3제어부(370)는 휴대기기(100) 및 디바이스(200)를 관리하고, 제3네트워크 통신부(360)를 통한 휴대기기(100) 또는 디바이스(200)의 억세스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 즉, 휴대기기(100) 또는 디바이스(200)에 필요한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휴대기기(100)를 이용하여, 열쇠로 문을 여는 것과 같은 직관적인 방식으로 디바이스(2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휴대기기(100)는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각종 서비스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추가/삭제 가능하도록 하여 만능 열쇠고리(key holder)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기기(100)를 이용한 디바이스(2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마이 키 인증(MyKey Identification), 마이 키 서비스(MyKey Service) 또는 마이 키 로그인(MyKey Log-in)이라고 한다.
도 5와 같이, 휴대기기(100)에는 디바이스 인증 정보(제1인증정보)로서 마이 키 서비스용 아이디(ID)/패스워드(PW)가 저장 및 관리된다.
또한, 휴대기기(100)에는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접속을 위한 Web/Apps 로그인용 아이디(ID)/패스워드(PW)(제2인증정보)가 저장 및 관리된다. 제2인증정보는 제1저장부(140) 내에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별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별로 웹주소(Web URL), 웹페이지 타이틀(Web Page Title)에 대응하는 아이디/패스워드, 어플리케이션 별로 어플리케이션 이름(App Name), 어플리케이션 타입(App Type)에 대응하는 아이디/패스워드가 각각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가 누구인지 따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없이 휴대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디바이스 인증)하고, 디바이스(200)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이하, App 라고도 한다)에 대한 서비스 인증을 수행하며, 아울러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기기(100)를 디바이스(200)에 갖다 대는 방식으로 휴대기기(100)가 디바이스(200)에 접근(approach)하면, 디바이스(200)에서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휴대기기(100)에 저장된 제1인증정보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휴대기기(100)는 접근 대상 디바이스(200)가 등록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디바이스로 결정된 경우에 제1인증정보를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휴대기기(100)로부터의 제1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바이스(200)는 해당 사용자에게 디바이스(200)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도 함께 인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200)는 마이 키 서비스가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영역(341)에 저장된 휴대기기(100) 및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 인증이 완료되어 마이 키 서비스가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상태의 디바이스(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별도의 서비스 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또는 접속하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정보(주소)를 휴대기기(100)로 전달하여 대응하는 인증정보를 요청한다.
휴대기기(10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 디바이스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서비스(AppName, AppType, WebURL, Web Title 등)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기기(100)로부터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제2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자동 로그인(도 2의 Web/Apps Log-in)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웹페이지 접속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디바이스(200)에 저장하지 않고도 해당 서비스에 대한 자동 로그인이 가능하므로, 디바이스(200)의 보안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증 시스템과 비교하여 볼 때, 제2인증정보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1인증정보를 이용한 디바이스 인증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과 같이, 휴대기기(100)에는 디바이스 인증 정보(제1인증정보)로서 마이 키 서비스용 아이디(ID)/패스워드(PW)가 저장 및 관리된다.
클라우드 서버(300)에는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접속을 위한 Web/Apps 로그인용 아이디(ID)/패스워드(PW)(제2인증정보)가 저장 및 관리된다. 제2인증정보는 사용자 인증영역(341)에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별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별로 웹주소(Web URL), 웹페이지 타이틀(Web Page Title)에 대응하는 아이디/패스워드, 어플리케이션 별로 어플리케이션 이름(App Name), 어플리케이션 타입(App Type)에 대응하는 아이디/패스워드가 각각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가 누구인지 따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없이 휴대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디바이스 인증)하고,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디바이스(200)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이하, App 라고도 한다)에 대한 서비스 인증을 수행하며, 아울러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기기(100)를 디바이스(200)에 갖다 대는 방식으로 휴대기기(100)가 디바이스(200)에 접근(approach)하면, 디바이스(200)에서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휴대기기(100)에 저장된 제1인증정보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디바이스(200)는 휴대기기(100)로부터의 제1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바이스(200)는 마이 키 서비스가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디바이스(200)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도 함께 인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은 디바이스(200)가 휴대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제2네트워크 통신부(3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송신하고, 클라우드 서버(300)가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사용자 인증 영역(341)의 정보와 비교하여 수행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 결과를 디바이스(200)로 통지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 인증이 완료되어 마이 키 서비스가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상태의 디바이스(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별도의 서비스 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또는 접속하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정보(주소)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여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요청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 디바이스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서비스(AppName, AppType, WebURL, Web Title 등)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제2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자동 로그인(도 2의 Web/Apps Log-in)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웹페이지 접속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디바이스(200)에 저장하지 않고도 해당 서비스에 대한 자동 로그인이 가능하므로, 디바이스(200)의 보안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는 디바이스의 접근에 응답하여 제1인증정보(MyKey ID)를 근거리 통신에 의해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601).
디바이스(200)는 휴대기기(100)로부터 제1인증정보(MyKey ID)를 수신한다(602).
한편, 제2제어부(270)는 디바이스(200)에서 현재 MyKey 서비스가 백그라운드로 동작 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603).
여기서, MyKey 서비스가 동작 중 즉, 디바이스(200)의 사용 인증이 이미 수행된 경우, 디바이스(200)는 제1인증정보와 관련된 요청사항을 무시하고(604), 그 결과(디바이스가 이미 인증됨)를 휴대기기(100)로 통지한다.
반면, MyKey 서비스가 동작 중이지 않은 경우, 즉 디바이스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사용자 인증부(250)가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한다(605). 여기서, 디바이스(200)의 제2사용자 인증부(250)는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디바이스(200)에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70)는 제1인증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에 대한 인증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의 확인에 따라, 수신된 제1인증정보(MyKey ID)가 유효(valid)한지 여부가 결정된다(606).
제1인증정보가 유효하도록 결정된 경우, MyKey 서비스가 시작되며(607), MyKey 인증 결과는 휴대기기(100)로 통지된다(607).
또한, 제1인증정보가 유효하지 않도록 결정되면, 디바이스(200)는 제1인증정보와 관련된 요청사항을 무시한다(608).
휴대기기(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MyKey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610), 그 결과를 제1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611).
도 8은 본 발명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복수의 디바이스(201, 202, 203)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의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복수의 디바이스(201, 202, 203)에 제1인증정보(MyKey ID)를 전송하고, 복수의 디바이스(201, 202, 203) 각각은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인증 즉, 디바이스 로그인(Device Log-in)을 한다. 여기서, 복수의 디바이스(201, 202, 203) 각각에 전달되는 제1인증정보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202)에 복수의 사용자가 각기 독립적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200)에서의 직접적인 ID/PW 입력없이, 휴대기기(100)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디바이스(201, 202, 203)는 도 8과 같이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의 로그인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201, 202, 203)에서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버(300)로의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휴대기기(100)를 이용한 디바이스 로그인이 수행되면, 디바이스(200)는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디바이스 로그인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화면을 제공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린이로 등록된 휴대기기(101)가 디바이스(202)(태블릿)에 접근하면, 어린이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디바이스(202)로 전송되어 디바이스 인증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제2제어부(270)는 어린이 전용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2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70)는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제1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어린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어린이 전용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어린이 전용화면은 어린이용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인으로 등록된 휴대기기(102)가 디바이스(202)(태블릿)에 접근하면, 노인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디바이스(202)로 전송되어 디바이스 인증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제2제어부(270)는 노인 전용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2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70)는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제1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노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노인 전용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노인 전용 화면은 아이콘, 텍스트 등의 UI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3)가 가족 공용 기기인 스마트 TV인 경우에도, 각 가족 구성원의 로그인에 대응하여 사용자 별 맞춤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아버지로 등록된 휴대기기(103)가 디바이스(202)(스마트 TV 또는 스마트 TV의 사용자 입력장치로 제공되는 리모컨)에 접근하면, 아버지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디바이스(203)로 전송되어 디바이스 인증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제2제어부(270)는 초기화면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아이콘(21)을 더 표시하도록 제2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70)는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제1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아이콘(21)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21)을 선택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인증이 이루어진 디바이스(200)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App)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실행될 수 있다 (701).
디바이스(200)는 선택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인증 즉, 별도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702).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제2제어부(27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703).
여기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제2제어부(270)는 제1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기기(100)에 선택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정보(제2인증정보)를 요청하거나, 제1네트워크 통신부(1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선택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정보(제2인증정보)를 요청한다(704).
휴대기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제2인증정보 즉,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ID/PW 요청을 수신하고(705), 인증정보를 요청한 디바이스(200)가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한다(706).
요청 디바이스(200)가 등록된 디바이스가 아닌 경우, 제2인증정보와 관련된 요청사항은 종료된다(707).
반면, 요청 디바이스가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요청을 수신한 휴대기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D/PW 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708).
여기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D/PW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인증정보와 관련된 요청사항은 종료된다(709).
반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D/PW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ID/PW가 디바이스(200)로 전달된다(710).
디바이스(200)는 휴대기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ID/PW를 수신하고(711), 수신된 ID/PW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접속 즉, 로그인한다(712).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속이 성공되지 않은 경우 즉, 수신한 ID/PW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그 결과로서 에러메시지를 제2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711).
반면,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속이 성공한 경우 즉, 수신한 ID/PW가 일치되는는 경우, 사용자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714).
도 12의 인증과정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 또는 웹 브라우저에서 별도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웹사이트(URL)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인증이 이루어진 디바이스(200)에서 소정 브라우저 또는 웹사이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실행/접속될 수 있다 (801).
디바이스(200)는 선택 및 실행/접속에 따른 웹사이트(브라우저 실행에 따른 홈 사이트, 예를 들어, google.com 포함)가 사용자 인증 즉, 별도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802).
해당 웹사이트의 주소(Web URL)이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제2제어부(270)는 브라우저 실행 및/또는 해당 URL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한다(803).
여기서, 해당 Web URL이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제2제어부(270)는 제1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기기(100)에 Web URL의 인증정보(제2인증정보)를 요청하거나, 제1네트워크 통신부(1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Web URL 의 인증정보(제2인증정보)를 요청한다(804).
휴대기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제2인증정보 즉, Web URL 의 ID/PW 요청을 수신하고(805), 인증정보를 요청한 디바이스(200)가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한다(806).
I요청 디바이스(200)가 등록된 디바이스가 아닌 경우, 제2인증정보와 관련된 요청사항은 종료된다(807).
반면, 요청 디바이스가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요청을 수신한 휴대기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고자 하는 Web URL에 대응하는 ID/PW 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808).
여기서, 접속하고자 하는 Web URL 에 대응하는 ID/PW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인증정보와 관련된 요청사항은 종료된다(809).
반면, Web URL에 대응하는 ID/PW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ID/PW가 디바이스(200)로 전달된다(810).
디바이스(200)는 휴대기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접속하고자 하는 Web URL 에 대응하는 ID/PW를 수신하고(811), 수신된 ID/PW를 이용하여 해당 URL에 접속 즉, 로그인한다(812).
여기서, Web URL로의 접속이 성공되지 않은 경우 즉, 수신한 ID/PW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그 결과로서 에러메시지를 제2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814).
반면, Web URL로의 접속이 성공한 경우 즉, 수신한 ID/PW가 일치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 및 웹브라우저의 실행 및/또는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814).
도 14는 본 발명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인증이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202)(태블릿)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웹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웹브라우저가 별도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 휴대기기(10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로그인을 위한 제2인증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202)에서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google.com에 접속하면, 해당 웹사이트의 이용(예를 들어, 이메일)을 위한 로그인(22)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google.com의 로그인 ID/PW 가 디바이스(202) 내에 저장되지 않으며, 휴대기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ID/PW를 요청하여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된 ID/PW를 이용하여 로그인 및 해당 서비스(이메일)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휴대기기(1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도록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디바이스(201, 202, 203)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clipboard) 서비스와 웹하드(web hard) 서비스(이하, 스토리지(storage) 서비스 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클립보드 서비스는 휴대기기(100) 또는 디바이스(201, 202, 203)에서의 클립보드로 저장 또는 복사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복사 및 붙이기(copy & paste))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의 클립보드 저장영역(342)에 해당 클립보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1, 202, 203)를 통해 사용자에게 리스트로 제공한다. 클립보드 데이터는 노트, 사진, 비디오, 웹링크,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립보드 서비스는,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클립보드로 저장하도록 선택된 클립보드 데이터가 다른 기기에서 붙여넣기 또는 실행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기기(100)에서의 복사 및 붙이기 명령에 따라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를 소정 디바이스(201)에서 조회 또는 다운로드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201)에서 생성된 클립보드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202)에서 억세스할 수도 있다.
클립보드 저장영역(342)은 사용자 별로 클립보드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며,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1, 202, 203)에 디스플레이된 자신의 클립보드 리스트에서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클립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웹하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휴대기기(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1, 202, 203)에서 소정 파일을 웹하드에 저장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파일은 클라우드 서버(300)의 웹하드 영역(343)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억세스 가능하게 된다. 웹하드 저장영역(343)은 사용자 별로 파일이 저장 및 관리되며, 사용자는 디바이스(201, 202, 203)에 디스플레이된 자신의 저장파일 리스트에서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웹하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휴대기기(100)는 디바이스(201, 202, 203)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디바이스 인증 완료가 확인되면, 클라우드에 저장된 클립보드 또는 웹하드 정보를 디바이스(201, 202, 203)에 제공하도록 클라우드 서버(300)에 요청한다. 여기서, 휴대기기(100)의 제1제어부(17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추출 및 정보 실행 명령을 제1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1, 202, 203)에 전달하고, 명령을 수신한 디바이스(201, 202, 203)의 제2제어부(270)는 추출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하거나,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디바이스(201, 202, 203)로 수신하여 실행하도록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201, 202, 203)는 휴대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인증이 완료되면,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 정보를 확인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정보(클립보드 및 웹하드 정보)를 수신한다.
디바이스(201, 202, 203)의 제2제어부(27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이하, 클라우드(cloud) UI 또는 마이키 스크린(MyKey Screen) 이라고도 한다)(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2출력부(220)를 제어한다. 디바이스(201, 202, 203)에 표시된 클라우드 UI는 휴대기기(100)의 요청에 따라 클립보드 데이터 및/또는 웹하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UI(30)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광고 또는 관련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및/또는 웹하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텍스트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련 트렌드를 클라우드 UI(30)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컨텐츠 타입에 따른 광고 정보를 클라우드 UI(30)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을 주로 저장하는 사용자에 대하여는 관련 음반에 대한 광고를 클라우드 UI(30)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휴대기기(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1, 202, 203)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 휴대기기(100), 디바이스(201, 202, 203)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며, 휴대기기(100)에서 디바이스(201, 202, 203)의 클라우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유효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유효한 사용자로 판별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저장된 정보(클립보드 데이터 및/또는 웹하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버(300)의 저장부(340)에는 클립보드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립보드 영역(342), 웹하드 데이터가 저장되는 웹하드 영역(343)이 마련된다. 클립보드 영역(342)에는 기기에서 저장이 요청되는 클립보드 데이터가 저장되며,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는 휴대기기(100)와 디바이스(201, 202, 203)에 제공될 수 있다. 웹하드 영역(343)은 클라우드 서버(300)의 특정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휴대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제1인증정보) 이용하여 웹하드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는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제1인증정보(MyKey ID)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UI(30)의 재생 요청을 인증 디바이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901). 여기서, MyKey ID 와 클라우드 UI 재생 요청은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시점에 전달 가능하다.
이에 응답하여, 디바이스(200)는 휴대기기(100)로부터 MyKey ID 와 클라우드 UI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902).
그리고, 디바이스(200)는 제1인증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여, 등록된 ID인지 여부를 확인한다(903).
여기서, MyKey ID 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클라우드 UI 재생과 관련된 요청사항은 무시된다(904).
반면, MyKey ID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제어부(270)는 제1네트워크 통신부(14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확인된 MyKey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클라우드 UI 정보를 수신하여, 제2출력부(220)를 통해 클라우드 UI(30)를 재생한다(905).
그리고, 휴대기기(100)의 요청에 따른 클라우드 UI의 재생 결과가 휴대기기(100)로 통지되고, 그 결과가 휴대기기(100)의 제1출력부(120)를 통해 표시된다(906).
도 17 내지 도 22은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UI를 제공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디바이스(201)에 클립보드 UI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의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201)는 클립보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201)의 제2출력부(220)에는 도 17(a)와 같이 사용자의 클라우드에 직접적으로 억세스 하기 위한 클라우드 UI로서 아이콘(MyKey 아이콘)(31) 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MyKey 아이콘(31)을 선택하면, 도 17(b)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300)의 클립보드 영역(342)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전체 리스트 뷰(32)가 표시되거나, 도 17(c)와 같이 카테고리 뷰(33)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디바이스(201)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 시 전체 리스트 뷰(32)나, 카테고리 뷰(33)가 바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7의 클라우드 UI(31, 32, 33)는 디바이스(201)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와 상관없이 제공되며, 그 위치는 제2출력부(220) 내에서 가변된다. 또한, 디바이스(201)에서 클라우드 접속이 수행됨을 휴대기기(100)의 제1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 통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의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201)는 웹하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201)의 제2출력부(220)에는 도 18(a)와 같이 사용자의 클라우드에 직접적으로 억세스 하기 위한 클라우드 UI로서 아이콘(MyKey 아이콘)(34)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MyKey 아이콘(34)을 선택하면, 도 18(b)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300)의 웹하드 영역(343)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스토리지 뷰(35)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디바이스(201)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 시 스토리지 뷰(35)가 바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8의 클라우드 UI(34, 35)는 디바이스(201)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와 상관없이 제공되며, 그 위치는 제2출력부(220) 내에서 가변된다. 또한, 디바이스(201)에서 클라우드 접속이 수행됨을 휴대기기(100)의 제1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 통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는 클라우드 접속에 따른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를 각각 대응하는 클라우드 UI로서 제공받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디바이스(201)는 클립보드와 웹하드 데이터를 하나의 클라우드 UI로서 제공받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300)는 클립보드나 웹하드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 또는 광고를 클라우드 UI(36)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보드 또는 웹하드 데이터가 텍스트인 경우, 해당 텍스와 관련된 URL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클립보드 또는 웹하드 컨텐츠의 타입 또는 내용에 따라 관련 광고 정보가 클라우드 UI(36)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추가 정보 또는 광고를 제공받아서 디바이스(20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서는 디바이스(201, 202)에서 클라우드 클립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바이스(202)의 제2출력부(220)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조작,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에 따른 연속적인 입력을 통해 클립보드로 저장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즉, 터치의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한 포인터(41)를 제2출력부(220)에 표시하고, 포인트(41)에 의해 설정된 관심 영역의 정보를 클립보드로 저장하도록 선택 가능한 저장 아이콘(42)을 제2출력부(220)에 더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휴대기기(100)를 통해 클립보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바이스(210)가 포인터 UI(41)를 제1출력부(220)에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 아이콘(42)을 선택하면, 제2제어부(270)는 관심 영역의 정보 예를 들어, 텍스트, 그림 등의 정보가 추출하여,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70)는 추출된 관심 영역 정보를 제2저장부(240)에 더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추출된 정보를 제3네트워크 통신부(360)를 통해 수신 및 클립보드 영역(342)에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그 결과(저장 성공)를 디바이스(202)로 통지하며, 디바이스(202)의 제2출력부(220)에는 성공 메시지(43)가 표시된다. 여기서, 디바이스(202)는 휴대기기(100)로 클립보드 데이터 저장을 더 통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기기(100)의 제1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는 새로운 데이터가 클라우드 클립보드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보드 영역의 정보를 추출하는데 있어, 화면상에 표시되는 텍스트 외에 추가적으로 메타 데이터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바이스(202)의 제2출력부(220)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연속적인 입력을 통해 클립보드로 저장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즉, 터치의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한 포인터(44)를 제2출력부(220)에 표시하고, 포인트(441)에 의해 설정된 관심 영역의 정보를 클립보드로 저장하도록 선택 가능한 저장 아이콘(45)을 제2출력부(220)에 더 표시한다.
사용자가 저장 아이콘(45)을 선택하면, 제2제어부(270)는 관심 영역의 정보로서, 텍스트와, 그림 정보뿐 아니라 관련된 메타 데이터 정보를 더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21과 같이 관심 영역에 전화 아이콘이 포함된 경우, 연결된 전화번호 정보까지 더 추출된다. 추출된 정보는 제2네트워크 통신부(2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70)는 추출된 관심 영역 정보를 제2저장부(240)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22에서는 클라우드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디바이스(201)의 실행상태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바이스(201)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클립보드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휴대기기(100) 또는 디바이스(201)를 조작하여 클립보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a)와 같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클립보드 서비스가 선택되면, 제2제어부(270)는 클립보드 UI(51)를 브라우저 URL 입력창(52) 근처에 표시하도록 제2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여기서, 클립보드 UI(51)에는 클립보드 영역(342)에 저장된 URL 리스트가 추출되어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클립보드 UI(51)는 브라우저 바디 상에 예를 들어, 검색창 근처에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2(b)와 같이 이메일, 노트 등을 작성하는 텍스트 에디터(text editor)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클립보드 서비스가 선택되면, 클립보드 UI(53)는 텍스트 입력창(54) 근처에 표시될 수 있으며, 클립보드 UI(53)에는 클립보드 영역(342)에 저장된 텍스트 리스트가 추출되어 표시된다.
같은 방식으로, 도 22(c)와 같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클립보드 서비스가 선택되면, 클립보드 UI(55)는 이메일 수신자 입력창(56) 근처에 표시될 수 있으며, 클립보드 UI(55)에는 클립보드 영역(342)에 저장된 정보 중 이메일 리스트가 추출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도 22(d)와 같이 전화걸기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클립보드 서비스가 선택되면, 클립보드 UI(57)는 키패드(58) 근처에 표시될 수 있으며, 클립보드 UI(55)에는 클립보드 영역(342)에 저장된 정보 중 연락처 리스트가 추출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200)의 동작상태에 응답하여 클립보드 UI(51, 53, 55, 57)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디바이스 인증정보(ID/PW)를 기기마다 입력할 필요없이, 휴대기기를 디바이스에 접근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외워서 입력하거나, 실행 중인 기기에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강화된 보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컴퓨팅을 이용한 스마트 액세서리를 사용자 인식 분야에 접목하여, 사용성 및 서비스 접근 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를 이용한 직관적인 클라우드 접속 및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방안을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실행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10, 120, 130 : 디바이스
111 : 영상수신부 112 : 제1영상처리부
113 : 디스플레이부 114: 제1접속부
115 : 제1통신부 116 : 사용자입력부
117 : 제1저장부 118 : 제1제어부
122 : 제2영상처리부 124: 제2접속부
125 : 제2통신부 127 : 제2저장부
128 : 제2제어부
300: 관리서버 350: 제3통신부
370: 제3저장부 380 : 제3제어부
400: 마켓서버 450: 제4통신부
470: 제4저장부 480 : 제4제어부

Claims (56)

  1. 휴대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등록 디바이스 정보와 상기 등록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기기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접근 대상인 상기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디바이스로 결정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제2인증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및 어플리케이션 타입 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웹 주소 및 웹 페이지 타이틀이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휴대기기의 사용을 위한 제3인증정보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3인증정보는 사용자의 생체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수신된 인증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디지털 펜, 손목밴드, 시계,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2. 디바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등록 휴대기기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기기가 등록 휴대기기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휴대기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상기 제2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2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7.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8.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상기 휴대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9.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0. 제19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UI 재생 요청을 더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의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상기 제1인증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상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UI는 상기 클립보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UI는 상기 클립보드 서비스 또는 상기 웹하드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 정보와 광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클립보드로 저장하고자 하는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클립보드로 저장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영역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영역의 메타 데이터를 더 추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9. 휴대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가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저장된 등록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 대상인 상기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접근 대상인 상기 디바이스가 등록 디바이스로 결정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에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가 더 저장되며,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제2인증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의 저장부에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및 어플리케이션 타입 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웹 주소 및 웹 페이지 타이틀이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에는, 상기 휴대기기의 사용을 위한 제3인증정보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3인증정보는 사용자의 생체인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기기의 사용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6. 제29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인증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7. 제29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기기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39. 제29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디지털 펜, 손목밴드, 시계,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제어방법.
  40.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휴대기기가 상기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저장된 등록 휴대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된 상기 휴대기기가 등록 휴대기기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접근된 상기 휴대기기가 등록 휴대기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인증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1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인증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되는 웹 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4.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정보는 상기 민원 서비스 또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인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5.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초음파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 통신, 적외선 통신, USB, 오디오 잭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6.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증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결과를 상기 휴대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7. 제30항 내지 제42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8. 제47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UI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의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증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클립보드 데이터 또는 웹하드 데이터의 발생, 추가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UI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상태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UI는 상기 클립보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립보드 서비스와 웹하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클립보드 서비스 또는 상기 웹하드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 정보와 광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4.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여 클립보드로 저장하고자 하는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클립보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영역의 메타 데이터를 더 추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20130153695A 2013-12-11 2013-12-11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8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95A KR20150068002A (ko) 2013-12-11 2013-12-11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14/560,162 US9980131B2 (en) 2013-12-11 2014-12-04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95A KR20150068002A (ko) 2013-12-11 2013-12-11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02A true KR20150068002A (ko) 2015-06-19

Family

ID=5327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695A KR20150068002A (ko) 2013-12-11 2013-12-11 휴대기기,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80131B2 (ko)
KR (1) KR201500680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37B1 (ko) * 2015-10-02 2017-01-2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Cen/xfs 기반 어플리케이션 인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WO2019235740A1 (ko) * 2018-06-05 2019-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nfc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48215A (ko) * 2019-10-23 2021-05-03 김의섭 확장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 및 확장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0595B2 (ja) 2015-07-01 2017-12-20 e−Jan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405890B1 (en) 2015-11-19 2016-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asy login on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N105635115A (zh) * 2015-12-21 2016-06-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对待登录设备进行登录的方法和装置
US9640061B1 (en) * 2015-12-31 2017-05-02 Google Inc. Remote alarm hushing with acoustic presence verification
CN105956427A (zh) * 2016-04-28 2016-09-2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871903A (zh) * 2016-05-25 2016-08-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信息安全管控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10334434B2 (en) * 2016-09-08 2019-06-25 Vmware, Inc. Phone factor authentication
CN109890018A (zh) * 2019-01-29 2019-06-14 深圳傲智天下信息科技有限公司 音频的蓝牙传输方法、蓝牙收发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327998A (zh) * 2022-09-08 2022-11-11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用于工业人机界面的移动终端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9609B2 (en) 1999-10-04 2011-09-13 Dialware Inc. Sonic/ultrasonic authentication method
JP2005338995A (ja) 2004-05-25 2005-12-08 Olympus Corp 情報媒体
US20060183462A1 (en) * 2005-02-11 2006-08-17 Nokia Corporation Managing an access account using personal area networks and credentials on a mobile device
US8191161B2 (en) 2005-12-13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authentication
JP4738520B2 (ja) * 2009-09-18 2011-08-0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2844749B (zh) * 2010-05-08 2016-05-1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对文件执行转写请求
US20120096368A1 (en) 2010-10-14 2012-04-19 Microsoft Corporation Cloud-based virtual clipboard
US20120297187A1 (en) * 2011-05-17 2012-11-22 Google Inc. Trusted Mobile Device Based Security
US8396452B1 (en) * 2012-05-04 2013-03-12 Google Inc. Proximity login and logoff
US9363251B2 (en) * 2013-10-01 2016-06-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dential management between electronic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37B1 (ko) * 2015-10-02 2017-01-2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Cen/xfs 기반 어플리케이션 인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WO2019235740A1 (ko) * 2018-06-05 2019-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nfc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48215A (ko) * 2019-10-23 2021-05-03 김의섭 확장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 및 확장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3672A1 (en) 2015-06-11
US9980131B2 (en)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13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82517B2 (en) Setup procedures for an electronic device
EP310158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20210397306A1 (en) User interfaces for setting up an electronic device
US9913142B2 (en) Device-level authorization for viewing content
US11635928B2 (en) User interfaces for content streaming
US101649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US11468162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uthentication credentials for user accounts
US11636192B2 (en) Secure login with authentication based on a visual representation of data
KR102340569B1 (ko)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사용한 장치 인증 및 페어링 방법
US20100281268A1 (en) Personalizing an Adaptive Input Device
CN114647833A (zh) 用于对另一设备进行解锁的经认证的设备
JP2013540321A (ja) 多重アクセスレベルロック画面
KR20130007956A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TW201621706A (zh) 使用近場通訊來以權限控制進行共享內容
KR102095912B1 (ko) 보안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643048B2 (en) Mobile key enrollment and use
US20220392455A1 (en)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user profile management
US20230234537A1 (en) Mobile key enrollment and use
US20180024976A1 (en) Annota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20140164186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20230300415A1 (en) Setup procedures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00286A (ko) 보안 환경 전환 장치 및 방법
CN11063304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1960615B2 (en)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user profil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