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19B1 -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19B1
KR101978419B1 KR1020160105620A KR20160105620A KR101978419B1 KR 101978419 B1 KR101978419 B1 KR 101978419B1 KR 1020160105620 A KR1020160105620 A KR 1020160105620A KR 20160105620 A KR20160105620 A KR 20160105620A KR 101978419 B1 KR101978419 B1 KR 10197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ent
terminal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372A (ko
Inventor
이삼희
권준경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6010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가입자A가 이미지와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콘텐츠가 인쇄물 자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서비스 가입자B가 인쇄물의 인식코드를 디코딩함으로써 편집된 콘텐츠를 이미지와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은 1) 단말A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2) 앱 화면에서 선택된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 3)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4) 상기 단말A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서버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저장정보를 상기 단말A측에 전송하는 단계; 6) 상기 단말A가 상기 저장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 및 7) 상기 단말A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본 발명은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가입자A가 이미지와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콘텐츠가 인쇄물 자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서비스 가입자B가 인쇄물의 인식코드를 디코딩함으로써 편집된 콘텐츠를 이미지와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QR코드는 'Quick Response' 코드의 약자로서, 일본의 덴소 웨이브사의 등록상표인 Quick Response에서 유래했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보완하고,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 바코드이다. 이 코드를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인식기로 스캔하면 자동으로, 정보가 제공되는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숫자, 한자, 알파벳 등 문자 데이터는 물론 동영상까지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업 홍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숫자는 최대 7,089자, 문자는 최대 4,296자, 한자 등 아시아 문자 최대 1,817자를 담을 수 있다.
바코드는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반면, QR코드는 가로,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가짐으로써 기록할 수 있는 정보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켰다.
최근, 수년간 급속도로 보급된 스마트폰은 모바일 통신과 개인 컴퓨터의 기능(운영체계 실장, 어플리케이션 구동, 인터넷접속 기능)을 결합하여 이제는 우리의 실생활에 일부가 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app)'이라 한다)은 그 수를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또 진화를 거듭하고 있어 실생활에 유익한 아이디어로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은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 QR코드의 보급이나 이용하는 기술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유용성과 실용도에 비해 아직도 미비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종래 기술은 QR코드를 스캔했을 때 단순히 지정 웹에 접속하고 입력된 정보를 열람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가입자A가 이미지와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콘텐츠가 인쇄물 자체에는 편집한 콘텐츠가 드러나지 않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인쇄물을 전달받은 서비스 가입자B가 인쇄물의 인식코드를 디코딩하여 이미지와 함께 서비스 가입자A가 편집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 가입자A가 패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인쇄물과 함께 패스워드를 전달받은 서비스 가입자B만이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은 1) 단말A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이미지를 선택('사진 촬영' 또는 '앨범에서 선택' 포함, 이하 동일)하는 단계; 2) 앱 화면에서 선택된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 3)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4) 상기 단말A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서버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저장정보를 상기 단말A측에 전송하는 단계; 6) 상기 단말A가 상기 저장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 및 7) 상기 단말A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단계에서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한다는 것은 콘텐츠를 '입력'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편집'의 정의는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또한 8) 상기 인쇄기기에서 인쇄된 인쇄물과 패스워드를 오프라인에서 전달하는 단계; 9) 단말B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인쇄물에서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10) 앱 화면에서 상기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 11) 상기 단말B가 상기 저장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저장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접근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및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12) 상기 단말B가 전송받은 편집정보에 의해 상기 이미지와, 편집된 콘텐츠를 표현 또는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스티커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된 이미지상에 상기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앱 화면에는 텍스트 입력모드, 사운드 입력모드, 이모티콘 입력모드, 2차원(2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3차원(3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스티커 입력모드 및 동영상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앱 화면에는 패스워드 설정 메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0)단계에서, 상기 앱 화면에는 패스워드 입력창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종류, 내용, 크기, 각도, 칼라, 실행순서, 좌표정보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되는 상기 저장정보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상기 서버의 저장소의 일련번호 또는 상기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한 후, 이를 단말A에 저장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앱에는 상기 콘텐츠가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앨범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가입자A가 이미지와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인쇄물 자체에는 콘텐츠가 드러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인쇄물을 전달받은 서비스 가입자B가 인쇄물의 인식코드를 디코딩하여 이미지와 함께 서비스 가입자A가 편집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서비스 가입자A가 패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인쇄물과 함께 패스워드를 전달받은 서비스 가입자B만이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어, 보안이 요구되는 콘텐츠나 비밀스러운 콘텐츠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하고 코드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콘텐츠가 코드화된 인쇄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코드화된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이미지와 함께 편집된 콘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A 단말기(100, or 단말A), 인쇄기기(200), 사용자B 단말기(300, or 단말B), 서버(40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A 단말기(100)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원하는 이미지(사진)를 선택(예: 사진촬영이나 앨범에서 선택)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입력 포함)한다. 편집이 완료되면, 이미지와 함께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서버(400)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이미지와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특정 저장소에 저장하고, 사용자A 단말기(100)측에 저장소의 일련번호와 서버(400)의 URL주소 등 저장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A 단말기(100)는 상기 서버(400)측에서 전달받은 저장정보가 기록된 인식코드(예: QR코드, bar코드 등)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사진에 삽입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인식코드로서 QR코드를 적용하여 설명하지만, 이와 달리 본 발명에는 다양한 인식코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이미지)에 있는 특정 사물의 외곽선 등을 인식코드로 활용하거나, 복수의 칼라를 갖는 바(또는 특정 패턴)로 구성되는 칼라코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특정 사물의 외곽선 등을 인식코드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A 단말기(100)는 인식코드를 삽입할 필요없이 사진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인식코드를 이미지에 삽입한다'는 것은 '인식코드가 이미지에 내포된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지'라고 표현하였으나, 상기 이미지는 사진, PDF파일, 각종 텍스트파일 등 스마트기기에서 불러들여 읽을 수 있는 모든 파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후, 사용자A 단말기(100)는 상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사진)를 상기 인쇄기기(200)로 전송하여 인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기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인쇄기기로서,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A 단말(100) 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이미지의 인쇄물을 출력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은 사용자 단말(100, 3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인쇄기기는 사무용 인쇄기기일 수 있고, 단말A(100)와 유선통신으로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인쇄된 인쇄물(QR코드 포함)은 오프라인에서 사용자B에게 전달된다.
상기 사용자B 단말기(300)는, 건네받은 사진(QR코드가 포함된 인쇄물)의 QR코드를 스캔하고 QR코드로부터 서버(400)의 유알엘(URL) 정보와 저장소(DB서버)의 일련번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유알엘(URL) 정보를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여 서버(400) 내에 상기 일련번호를 갖는 저장소로부터 상기 콘텐츠가 기록된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화면에 표현 또는 실행한다.
단말기B(300)의 사용자는 앱 화면을 통해, 상기 이미지(사진)와 함께, 인쇄물에는 표현되지 않은 콘텐츠를 볼 수 있게 된다.
사용자B 단말기(300)의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예: 버튼 터치 등)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로서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노트북 컴퓨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나 데스크탑 PC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QR코드 리더기,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QR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예: 사운드 스토어 서비스 앱)을 구비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QR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버(200)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이하, '앱스토어(App store)'라 한다)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미지 위에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한 인쇄물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사용자A 단말기(100, 단말A)에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앱(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실행하고, 시크릿뷰 생성메뉴(512) 클릭하면, 이미지를 선택(예: '사진촬영' or '앨범에서 선택')하는 안내 메세지가 팝업된다. 한편, 서비스 앱의 메인화면(500)에는 시크릿뷰 생성메뉴(512) 이외에 시크릿뷰 리더(511)과 뒤로가기(514) 및 휴지통(513)이 있다. 시크릿뷰 리더(511)는 사용자B 단말기(300)에서 인쇄물의 QR코드를 인식하여 편집된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고, 뒤로가기(514)는 전 단계로 가기 위한 것이고, 휴지통(513)은 후술할 시크릿뷰 자체 앨범에 있는 이미지, 편집한 이미지(콘텐츠가 포함된 이미지)를 삭제하기 위한 것이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앱 화면(500)에서 이미지를 선택하면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각종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를 편집한다'의 의미는 '콘텐츠를 입력한다' 또는 '콘텐츠를 구성한다' 또는 '콘텐츠를 생성한다'는 의미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동일하게 사용된다.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는 이모티콘, 사운드, 텍스트,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스티커 및 동영상 등이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입력모드(521)가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모티콘 입력모드(521a), 사운드 입력모드(521b), 텍스트 입력모드(521c), 전화번호 입력모드(521d), URL입력모드(521e) 등이 구비된다.
또한 편집을 위한 앱 화면의 우측 상단에는 패스워드 설정메뉴(522), 저장메뉴(523), 전송메뉴(524) 등이 구비된다(도 2 및 도 4 참조).
도 5를 참조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이모티콘 입력모드(521a)를 터치하면, 복수의 이모티콘이 표시되며, 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531)이 선택된 이미지(10) 위에 오버랩된다. 오버랩된 이모티콘(531)을 드래그하여 이미지(1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틸팅버튼(531a)을 이용하여 각도(방향)를 조정하여 기울어지게 할 수 있고, 크기조정버튼(531c)을 이용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삭제버튼(531b)를 터치하여 선택된 이모티콘(531)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운드 입력모드(521b)를 터치하고 원하는 사운드, 예를 들어 배경음악을 삽입하거나 육성을 녹음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운드가 입력되면, 사운드 입력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532)가 뜬다. 상기 표시부(532)에도 삭제버튼이 구비되어 입력된 사운드를 삭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텍스트 입력모드(521c)를 터치하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텍스트(533)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텍스트(533)는 크기와 색, 글씨체 등을 선택할 수 있고 드래그하여 위치를 옮길 수 있고,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각도 틸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화번호 입력모드(521d)를 터치하면 자판에 의해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또는 단말A의 전화번호부에 있는 전화번호를 이름과 함께 불러올 수 있다.
다음으로, URL 입력부(521e)를 터치하면, 자판에 의해 특정 URL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 및 내용으로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생성된 콘텐츠는 삭제버튼(531c 참조)을 마련하여 삭제할 수 있다.
콘텐츠의 편집이 완성되면, 저장메뉴(523)를 터치하여 사용자A 단말기에 콘텐츠가 편집된 이미지를 1차적으로 저장을 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저장메뉴(523)를 터치하게 되면 사용자A 단말기(100)에 설치된 서비스 앱에 있는 자체 앨범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A 단말기(100)에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게 되면, 후에 다시 불러들여 인쇄할 수도 있고, 이어서 콘텐츠 편집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지통'버튼을 터치하여 앨범에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A는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 설정메뉴(522)를 터치하면 패스워드 입력창이 자판과 함께 나타나고, 사용자A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도 2 및 도 7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A가 앱 화면에서 전송메뉴(524)를 터치하면, 이미지(10)와, 콘텐츠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400)는 이를 특정 저장소에 저장한다(도 2 및 도 7 참조). 상기 콘텐츠 편집정보는 콘텐츠의 종류, 내용, 크기, 각도, 칼라, 실행순서, 좌표정보 및 우선순위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텍스트인 경우, 그 내용과, 크기, 각도(틸팅유무), 위치(좌표정보), 칼라, 글씨체 등이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가 사운드나 동영상인 경우에는 그 내용과, 실행되는 시간 등이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콘텐츠가 이모티콘이나 스티커, 애니메이션인 경우에는 선택한 이모티콘 또는 스티커, 애니메이션 자체가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한 이모티콘 등의 식별부호(ID)가 전송, 저장되며, 이 때, 위치(좌표정보), 크기, 각도, 칼라 등이 함께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각 콘텐츠들이 동시에 표현 또는 실행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각 콘텐츠가 시계열적으로 표현 또는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육성파일이 먼저 실행되고, 그 후에 텍스트가 표현되도록 편집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각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이러한 우선순위도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10)와, 콘텐츠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서버(400)로 전송되고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400)는 단말A(100)측에 저장정보를 전송한다. 단말A(100)측에 전송되는 저장정보는 상기 이미지(10),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상기 서버(400)의 저장소의 일련번호 및 상기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A(100)는 상기 저장정보를 기록한 QR코드(20)를 생성하고, 이를 이미지(10)에 삽입한다.
이러한 과정이 수행되면, 단말A(100)의 앱 화면에는 미리보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미리보기 화면에는 인쇄할 이미지(10, QR코드 포함)가 디스플레이되고, 이 때 앱 화면에는 인쇄 매수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542)과, 인쇄버튼(541)이 표시된다(도 2 및 도 8 참조).
상기 단말A(100)에서 인쇄버튼(541)을 터치하면, 연결된 인쇄기기(도 1의 '200' 참조)에서 미리보기 화면에 있는 이미지(10)가 인쇄된다. 이 때, 인쇄기기(200)는 무선통신하는 휴대용 또는 유선통신하는 사무용 인쇄기기를 포함한다.
도 9는 인쇄기기에서 인쇄한 인쇄물(30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인쇄물(300)에는 선택된 이미지(10)에 QR코드(2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는 QR코드(20)에 코드화하여 인쇄물(10) 자체에는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A는 인쇄물(30)을 사용자B에게 패스워드와 함께 오프라인에서 전달한다. 이 때 패스워드는 인쇄물(30)과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고, 인쇄물과 별도로 전화, 메일 등 다른 방법과 시간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사용자B가 콘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패스워드와 함께 인쇄물(30)을 전달받은 사용자B는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메인화면(도 3의 '500' 참조)에서 시크릿뷰 리더(511)를 터치하면, 단말B(300)의 카메라가 실행되면서 디스플레이창에 사각 가이드 프레임(551)이 나타난다. 이 때, 인쇄물(30)을 사각 가이드 프레임(551) 내에 위치시킨 후 인식버튼(552)을 터치한다(도 2 및 도 10 참조).
이러한 동작으로 QR코드(20)가 인식되면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 입력창이 팝업된다(도 2 및 도 11 참조).
사용자B가 사용자A로부터 전달받은 패스워드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단말B(300)가 서버(400)의 URL과 저장소의 일련번호 등 저장정보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저장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B(300)는 상기 서버(400)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서버(400)로부터 이미지 및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로 인해 단말B(300)는 앱 화면에 이미지(10)와 함께 콘텐츠(531,533,534,535)가 오버랩되어 표현되거나 실행된다. 즉, 텍스트, 이모티콘, 애니메이션, 스티커 등은 이미지 위에 표현되고, 사운드나 동영상 등도 이미지와 함께 실행되거나 편집된 시간배열에 따라 실행되는 것이다(도 2 및 도 12 참조).
또한 콘텐츠 중에 사운드나 동영상이 포함된 경우, 반복 청취 또는 시청을 위해 별도의 아이콘이나 버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위에 오버랩된 전화번호(534)를 터치하면 해당 전화번호로 송신하거나, 유알엘(535)을 터치하면 해당 유알엘로 접속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B는 이에 의해 이미지(10)와 함께 사용자A가 편집한 콘텐츠(531,533,534,535)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인쇄물을 이용한 비밀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의 일 예로서,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가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비밀 메세지를 전달하는 상황을 연출한 것이다.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는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와 함께 찍은 사진(10) 위에 정성이 담긴 비밀 콘텐츠(531,533,534,535)를 편집한다. 이 때, 콘텐츠(531,533,534,535)는 문자, 육성 녹음, 배경음악, 이모티콘,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이다. 이와 같이 편집된 콘텐츠는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서버(400)에 업로드한다.
그리고, QR코드(20)가 삽입된 사진(30)을 인쇄하고, 패스워드와 함께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는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와 같이 찍은 사진(30)에 있는 QR코(20)를 인식하고, 패스워드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가 편집한 콘텐츠(531,533,534,535)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진(30,인쇄물) 자체에는 콘텐츠(531,533,534,535)가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531,533,534,535)를 비밀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패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보안이나 사생활 보호에도 효과적이다.
100, 300: 사용자 단말기
200 : 인쇄기기
400 : 서버

Claims (5)

1) 사용자 A가 단말A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2) 사용자 A가 앱 화면에서 선택된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
3) 상기 단말A가 상기 이미지 및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서버가 상기 이미지 및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저장하고, 저장정보를 상기 단말A측에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단말A가 상기 저장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
6) 상기 이미지 상에 편집된 상기 콘텐츠가 코드화되어 감춰진 대신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에서 인쇄하는 단계;
7) 사용자 B가 단말B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인쇄기기에서 인쇄되어 오프라인으로 전달받은 인쇄물에서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8) 상기 단말B가 상기 저장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저장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접근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및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9) 상기 단말B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편집정보에 의해 상기 인쇄물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상기 콘텐츠를 표현 또는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B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인쇄물에 인쇄된 이미지와 동일하고,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종류, 내용, 크기, 각도, 칼라, 실행순서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선택된 이미지상에 상기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앱 화면에는 텍스트 입력모드, 사운드 입력모드, 이모티콘 입력모드, 2차원(2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3차원(3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스티커 입력모드 및 동영상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A에서는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고,
상기 단말B에서는 상기 패스워드를 확인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삭제
삭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되는 상기 저장정보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상기 서버의 저장소의 일련번호 또는 상기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1020160105620A 2016-08-19 2016-08-19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10197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620A KR101978419B1 (ko) 2016-08-19 2016-08-19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620A KR101978419B1 (ko) 2016-08-19 2016-08-19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483A Division KR20160017353A (ko) 2014-08-05 2014-08-05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72A KR20160102372A (ko) 2016-08-30
KR101978419B1 true KR101978419B1 (ko) 2019-05-14

Family

ID=5688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620A KR101978419B1 (ko) 2016-08-19 2016-08-19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798A1 (ko) * 2017-11-06 2019-05-09 디에스글로벌 (주) 사용자 편집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015A (ko) * 2011-01-17 2012-07-25 민의기 큐알코드를 이용한 사진앨범제작방법과 이에 따른 사진앨범
KR20130005525A (ko) * 2011-07-06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 2차원 바코드의 생성 및 유통이 가능한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의 2차원 바코드 생성 및 유통 방법
KR101368827B1 (ko) * 2012-04-24 2014-03-03 주식회사 파수닷컴 콘텐츠의 객체별 권한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객체별 권한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61616A (ko) * 2012-11-13 2014-05-22 (주)더미디어스토리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72A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704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US10931664B2 (en) Establishing access to a secure network based on user-created credential indicia
CN102377873B (zh) 显示信息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CN102349046B (zh) 用于选择文本信息的方法和设备
KR101942308B1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277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Modification of Videos and Images Within a Social Network Format
US962149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1237637A (zh) 个性化多媒体短信的实现方法和装置
KR101121439B1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단말기
CN104917672A (zh) 邮件签名设置方法及装置
KR101392928B1 (ko) 이동 단말기, 그것의 제어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콘텐츠 출력 시스템
KR101978419B1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101979618B1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60017354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CN108725004B (zh) 印刷方法及印刷品信息展示方法
KR20160017353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60017352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60017355A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CN105760805A (zh) 一种二维码的识读方法及系统
KR20160107055A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1430A (ko) Qr코드가 인쇄된 출력물의 데이터 등록방법과 다운방법
KR101729377B1 (ko)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KR20150020033A (ko) 인쇄물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전달 서비스 방법
CN112783407B (zh) 截图方法及装置
CN113037913A (zh) 一种电子名片存储、读取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6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26

Effective date: 201903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