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616A -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616A
KR20140061616A KR1020120128149A KR20120128149A KR20140061616A KR 20140061616 A KR20140061616 A KR 20140061616A KR 1020120128149 A KR1020120128149 A KR 1020120128149A KR 20120128149 A KR20120128149 A KR 20120128149A KR 20140061616 A KR20140061616 A KR 2014006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zard
photo
photo album
unit
al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진
Original Assignee
(주)더미디어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미디어스토리 filed Critical (주)더미디어스토리
Priority to KR102012012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1616A/ko
Publication of KR2014006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G06F16/4393Multimedia presentations, e.g. slide shows, multimedia alb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 형식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앨범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위자드(wizard)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자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를 색인하여 앨범명칭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위자드 선택부(20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색인하여 포토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컨텐츠 색인부(300); 포토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도록 위자드의 페이지별 프레임 각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배치하여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생성하는 포토앨범 제작부(400); 및 포토앨범 제작부(400)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취합하여 별도의 패키징 작업 없이 표준화된 XML 데이터 형식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하는 포토앨범 생성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터치만으로 포토앨범 저작툴과 뷰어의 조작이 가능하고, 직관적인 UI로 구성된 인터랙션 기능을 내재화함으로써, 이미지의 배치만으로 손쉽게 포토앨범을 제작하이 가능하며, 파일 패키징 단계 없이 스크립트를 저장하고 읽는 방식을 지원함으로써, 포토앨범 작업 내용과 제작된 앨범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제작된 포토앨범이 스마트폰, 태블릿 PC는 물론 일반 PC에서 포토앨범 뷰어를 통해 실행됨으로써, 각 플랫폼과 OS별로 별도의 중복 개발 작업 불필요하며, 제작된 앨범은 뷰어 없이 실행 가능한 앨범 앱(App)과 HTML5 지원하는 웹브라우저 Viewing 방식을 지원함으로써, 포토앨범 뷰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포토앨범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DUCING PHOTO ALBUM INTERNALIZING INTERACTION OF WIZARD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사용자가 특별한 프로그래밍 기술 없이도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위자드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인터렉션 기능을 포함한 포토앨범의 제작을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1. 시장의 상황
스마트폰 사용자가 전체폰 사용자의 절반 이상을 넘어섰고 태블릿 PC 사용자도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스마트 환경에 맞게 서비스와 콘텐츠들도 진화하고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들의 서비스와 콘텐츠 이용 패턴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디지털'이란 수식어를 붙일 필요가 없을 정도로, 대부분의 디바이스, 서비스, 콘텐츠 등이 디지털로 구현 되어 있다.
포토와 연관된 산업 및 서비스들도 스마트 환경에 맞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의 상태(presence, status) 정보를 담은 '포토'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가 그 영역을 빠르게 확산해 나가고 있다.
반면에, 포토를 모아 관리하고 보관하는 포토앨범 서비스는 아직까지 스튜디오 또는 사진관 등 전문가의 손을 거쳐야만 하는 오프라인 서비스로 남아 있다. 그러한 상황에도 돌/성장 앨범을 중심으로 아빠, 엄마 등 비전문가의 셀프앨범 제작 추세가 확장되어 나가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 수준의 카메라를 탑재한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은 이러한 추세의 또 다른 진화를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다.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에서 화려한 포토 편집 기능을 기반으로 포토 공유를 하는 포토 어플리케이션(이하,'앱') 서비스들은 사용자들로부터 높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이렇게 전문가 수준으로 편집된 포토를 '개별 포토 단위'로 보관과 관리를 하고는 있지만, 개별 포토들을 한꺼번에 모아 볼 수 있는 포토앨범의 제공 수준은 높지 않은 상태이다.
즉, 하나 혹은 다수의 포토들에 프레임을 입힌 뒤 화면(페이지)에 콜라주 방식으로 섞어놓는 서비스들은 다수 제공이 되고 있다. 또한, 오프라인에서와 같이 하나의 앨범(책)으로 묶어 제공하는 완성된 형태의 포토앨범들도 일부 제공되고 있기는 하나, 미래는 물론 현재의 스마트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수준이다. 즉, 멀티미디어 인터랙션 기능을 내재화한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포토앨범은 아직까지 제공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한 시장조사 기관의 보고서에 의하면, 스마트폰에서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순위에, 커뮤니케이션, 게임, 날씨, 뉴스 다음으로 음악과 함께 '포토'가 차지하고 있다(2012년 2월, 닐슨코리아 '애플리케이션 활용도').
포토 서비스는 이용단계에 따라 촬영, 편집, 보관, 공유, 보기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스마트 환경 이전의 포토 서비스와의 차이점은, 스마트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위의 단계별 포토 서비스를 단절되거나 독립된 형태가 아닌 서로 연결된 서비스로 Seamless하게 이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포토 서비스를 살펴보면, '인식', '음성제어'기술을 활용한 촬영 서비스, 수동 카메라의 '필터'기능 서비스, 포토 에디팅 기술을 활용한 포토 편집/합성 서비스, 프레임, 아이콘, 글자, 배경 등을 제공하는 액서서리형 서비스, 포토를 보기 쉽게 관리/정리하는 서비스, 포토를 원격으로 보관하는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SNS(직접 혹은 연동방식)를 통한 포토의 공유 서비스, 포토/화보 서비스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포토 서비스들은 단일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이 결합된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포토 편집과 공유 기능을 결합한 포토 서비스가 가장 많이 제공되고 또한 사용자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오프라인 서비스로 존재되던 포토앨범은, 스마트 환경에서 양적, 물적인 측면에서 여타의 포토기반 서비스들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오프라인 포토 서비스 중, 포토'인화/현상'서비스는 '아날로그化'라는 태생적인 한계로 인해 구매 프로세스만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전문가 서비스(온라인 포토 인화 서비스)로 존재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포토'촬영'은 디지털카메라 수준의 카메라를 탑재한 스마트 디바이스들로 인해, 포토 '편집'은 PC기반의 전문 편집 프로그램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무료 혹은 무료에 가까운 가격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포토의 '보관과 공유'는 인터넷, 네트워크, 스토리지 기술 진화에 기반하여, 포토 서비스는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에서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즉, 기존의 포토 기술과 빠르게 발전하는 연관 기술을 활용을 통한 상호 모방과 재창조가 용이하고,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의 접근이 널리 허용되면서 수준 높은 포토 편집과 자유로운 SNS 를 기반으로 포토 서비스의 전성기를 이끈 것이다.
반면, 포토앨범은 기존의 촬영, 편집 등의 포토서비스와는 다른 영역이 존재한다. 즉, 앨범의 정의,'인화한 사진을 붙여 정리, 보존하기 위한 책'에서 표현되듯, '책'을 만드는 절차(Depth)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eBook이나 디지털매거진, 디지털 만화와 반드시 동일한 프로세스는 아니지만, 앨범으로 만드는 디지털 퍼블리싱(Publishing)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아쉽게도, 디지털 퍼블리싱 기술은, 일반 사용자가 범용적으로 접근 가능한 보급형 서비스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을 포토 기술과 결합하여 일반 사용자가 이용가능 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아울러, 최근 태블릿 PC를 기반으로 한 포토앨범 서비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디지털 포토앨범은 기존 앨범의 이용 패턴을 그대로 이용하려 하고 있으며 그 예가 되는 것이 가판대 방식의 앨범 구성, 책장 넘김 효과, 앨범 배경과 프레임 제공, 텍스트 입력 기능 등이 그것이다. 또한 앨범들은 포토의 확대/축소, 회전, 자르기(Crop)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포토앨범은 UI/UX와 기능 등 전반적인 사용성은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포토앨범의 기술적 수준이 미디어스토리의 포토앨범과 유사한 서비스들은 다음과 같다.
1) Photomore (iPad 통한 제공)
Photomore는 제공되는 프레임에 포토를 배치하여 앨범을 제작하는 앨범서비스로 테마별로 앨범 책장을 구성한다. 앨범은 20페이지로 구성되며, 페이지의 추가, 삭제, 이용이 자유롭다. 앨범에 필요한 포토들을 미리 선택하여 목록들을 만든 뒤, 포토 배치 시 하단의 포토 목록에서 포토 썸네일을 Drag & Drop 방식으로 프레임에 배치하면 된다.
유료 서비스($2.99)의 차별화 기능은 포토의 멀티 선택/배치와 가로/세로 모드 지원이 있다.
2) HP Photobook (iPad 통한 제공)
HP Photobook은 앨범에 필요한 포토를 선택하면, 페이지 및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설정되어 웹방식으로 앨범이 제작되는 포토앨범 서비스이다. 포토 내용 및 날짜를 이용하여 그룹핑되고, 포토는 자동으로 편집되어 배치된다. 앨범 제작 완료 후에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포토의 추가/이동, 텍스트의 추가, 배경의 변경, 페이지의 추가/이동/삭제가 가능하다. 제작된 앨범은 PDF로의 변환하여 email 등을 통한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HP Photobook은 휴렛패커드에서 만든 앨범 앱으로 무료로 제공 중이며, 유료 온라인 프린팅 서비스가 제공된다.
2. 고객의 요구
스마트 환경에서의 포토 서비스는 보다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포토앨범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스마트 시대가 열린 것은 아니다. 즉, 풍부한 멀티미디어 인터랙션 효과를 포함하는 전자책, 전자잡지의 수준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은 다른 유사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때 최소한 동일한 기대치를 갖게 된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의 높아진 니즈 수준과 더불어 서비스의 UI 및 키조작 등의 이용방법 등은 직관적이고 간단해야만 한다.
3. 종래기술과 그 문제점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포토앨범을 제작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40485호(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자인 포토 북과 그 제작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제공방법)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0960호(전자 앨범 편집 장치와 그 제어 방법)외에 다수의 선행문헌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40485호에는,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사운드파일 그리고 텍스트파일과 같은 다양한 파일을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상에서 에디팅하여 플레시플레이어가 지원되는 모든 O/S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도록 바탕 페이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각 페이지, 각 페이지 콘트롤 및 필요한 효과를 구현하는 각종의 함수 라이브러리 및 이를 구현하는 스크립트, 각 페이지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파일들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뷰어의 플랫폼을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포토앨범 멀티미디어 저작. 정적인 포토들과 동영상, 사운드 파일 등을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방식의 포토 북의 제작을 제공하나, 웹 저작툴을 이용한 저작방식으로, 뷰어는 플래시 방식을 사용하며, 인터랙션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0960호에는, 제1레이아웃 데이터에 따라서 복수 페이지 상에 화상/화상들을 배치하는 화상 배치 수단과, 복수의 페이지 중의 페이지 상에 배치된 화상/화상들의 수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량에 따라, 제2레이아웃 데이터를 선택하는 레이아웃 데이터 선택 수단 및, 레이아웃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2레이아웃 데이터에 따라서, 페이지 상에 화상/화상들을 자동으로 재배치하는 화상 재배치 수단
그러나, 포토앨범을 자동으로 저작하되, 포토들의 수량을 인식하고 수량에 따라 페이지와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저작하는 구성인바, 대량의 포토이미지들을 정해진 틀이 일괄적으로 맞춰 포토앨범을 제작하기 때문에 사용자 요구와 부합하는 포토앨범의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현재 제공중인 디지털 포토앨범들의 대다수가 멀티미디어 기능이 부족하거나 부재한 상태이고, 스마트 디바이스가 갖는 장점인 인터랙션 기능이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은 단점이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장점과 특징들을 담아내지 못한 채 오프라인 앨범을 스마트폰에 옮겨서 보는 단순한 뷰어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4. 발명 동기
전술한 바와 같이 포토앨범에 풍부한 멀티미디어 인터랙션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스마트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기대치도 충족시켜 주고, 템플릿을 통한 제작 과정을 통해 보다 쉽게 포토앨범을 제작하게 하려고 한다. 즉, 서비스를 통해, 일반 사용자들도 스마트 환경 하에서 포토앨범을 쉽고, 간단하게 눈으로 확인하면서 제작(Authoring)하고 보고(Viewing), 보관(Storing)하고, 공유(Sharing)할 수 있는 스마트 포토앨범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스마트 환경에서 일반 사용자는 자발적으로 생각하고, 만들고, 참여하고, 소통/공유하는 활동들을 통해,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고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미디어스토리의 포토앨범은 그러한 의미 창출 과정에 기여하는 서비스가 되고자 한다. 즉, 포토앨범을 통해, 니즈는 높으나 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은 돌/성장 및 웨딩 등의 오프라인 포토앨범 구매 사용자들은, 스마트 환경에 최적화된 나만의 혹은 우리만의 스마트 포토앨범을 퍼블리싱하여 간직하고 공유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을 적게 갖게 될 것이다. 그리고 졸업, 우정, 커플, 가족, 여행 등의 스토리가 담긴 앨범들도 손쉽게 제작하고 공유하게 함으로써 가족, 친구 혹은 커뮤니티간 소통의 수단이 될 것이다. 모델, 연예인 지망생들은 전문가의 손을 거치지 않고도, 자신만의 프로필 앨범, 화보 앨범들의 셀프 제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인터렉션 기능들이 내재화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포토, 동영상, 오디오 또는 텍스트를 별도의 코드편집 및 패키징 작업 없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페이지 내에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op-up, Hot Spot, Slide, Scroll, Tracking, Animation 또는 3D Gallery 중에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역동적이고 차별화된 포토앨범을 생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렉션 기능들이 내재화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포토앨범의 편집상황을 뷰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SMS 또는 SNS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URL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포토앨범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은, 컨텐츠 형식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앨범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위자드(wizard)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자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를 색인하여 앨범명칭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위자드 선택부(20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색인하여 포토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컨텐츠 색인부(300); 포토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도록 위자드의 페이지별 프레임 각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배치하여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생성하는 포토앨범 제작부(400); 및 포토앨범 제작부(400)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취합하여 별도의 패키징 작업 없이 표준화된 XML 데이터 형식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하는 포토앨범 생성부(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방법은,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가 컨텐츠 형식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앨범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위자드(wizard)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a) 단계; 위자드 선택부(200)가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자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를 색인하여 앨범명칭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b) 단계; 컨텐츠 색인부(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색인하여 포토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c) 단계; 포토앨범 제작부(400)가 포토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도록 위자드의 페이지별 프레임 각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배치하여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생성하는 (d) 단계; 및 포토앨범 생성부(500)가 생성된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취합하여 별도의 패키징 작업 없이 표준화된 XML 데이터 형식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터치만으로 포토앨범 저작툴과 뷰어의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관적인 UI로 구성된 인터랙션 기능을 내재화함으로써, 이미지의 배치만으로 손쉽게 포토앨범을 제작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 패키징 단계 없이 스크립트를 저장하고 읽는 방식을 지원함으로써, 포토앨범 작업 내용과 제작된 앨범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된 포토앨범이 스마트폰, 태블릿 PC는 물론 일반 PC에서 포토앨범 뷰어를 통해 실행됨으로써, 각 플랫폼과 OS별로 별도의 중복 개발 작업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된 앨범은 뷰어 없이 실행 가능한 앨범 앱(App)과 HTML5 지원하는 웹브라우저 Viewing 방식을 지원함으로써, 포토앨범 뷰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포토앨범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의 포토앨범 제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백그라운드 뷰어모듈과, 인터렉티브 뷰어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의 포토앨범 공유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방법의 제S5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포토앨범 제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S)은,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 위자드 선택부(200), 컨텐츠 색인부(300), 포토앨범 제작부(400) 및 포토앨범 생성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 또는 사진 파일은 JPG, PDF 또는 PNG 포맷을 지원하고, 멀티미디어(동영상) 파일은 HTML을 포함하는 스크립트 포맷, EPUB(electronic publication) 포맷 또는 MP4 포맷을 지원하며, 오디오 파일은 MP3 포맷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S)은, 앱(App) 형태로 다운로드되어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는 것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로컬기기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S)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는 컨텐츠 형식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앨범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위자드(wizard)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되, 위자드의 각 페이지는 기 설정된 컨셉(Tone & Manner) 또는 태마에 따라 복수개의 포토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때, 위자드에는 스토리라인과 매칭되는 인터렉션 효과들이 기 설정되어 내재화되며, 앨범 하나의 이야기로 구성된 스토리라인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자드 선택부(200)는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자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를 색인하고, 앨범명칭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또한, 컨텐츠 색인부(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색인하여 포토 라이브러리를 생성한다.
또한, 포토앨범 제작부(400)는 포토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도록 위자드의 페이지별 프레임 각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배치하여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목록을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되, 좌우로 스와이프(swipe)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포토앨범 제작부(400)는 포토 라이브러리에서 색인한 컨텐츠 또는 즉석 촬영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되, 인터랙션 기능을 통해 위자드의 페이지별로 각 프레임에 배치된 컨텐츠를 즉각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삭제, 수정 또는 추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포토앨범 제작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프레임에 텍스트, 아이콘, 동영상, 녹음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삽입하여 배치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포토앨범 생성부(500)는 포토앨범 제작부(400)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취합하여 별도의 패키징 작업 없이 표준화된 XML 데이터 형식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토앨범 제작부(400)는 애니메이션 설정부(410), 오디오/비디오 설정부(420), 오버레이 제어부(430), 팝업 제어부(440), Slide 제어부(450), 갤러리 제어부(460), 텍스트 제어부(470), 아이콘 제어부(480) 및 포토편집 제어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애니메이션 설정부(410)는 콘텐츠의 위치이동(상하좌우), Fade in/Out, Zoom in/Out, 및 Gif(다수 이미지 교체) 변환을 제어하고, 각기 상이한 애니메이션들의 확장자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은 확장자와 부합하도록 인코딩 변환을 제어한다.
또한, 오디오/비디오 설정부(420)는 음원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자동으로 제어하되, 기 설정된 특정버튼이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컨텐츠가 재생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오버레이 제어부(430)는 페이지 이동과 관계없이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동일한 위치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최초 드래그&드롭이 이루어진 위치의 좌표데이터이고, 이러한 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팝업 제어부(4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팝업(Pop-up)형태로 돌출되어 화면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Slide 제어부(4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가 드래그(Drag)되는 것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갤러리 제어부(460)는 복수개의 이미지를 3D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되, 3D 인터페이스는 Coverflow(아이튠즈 앨범보기 형태), Cylinder(원통형 3D 형태), Rotary(컨베이어 벨트 형태) 또는 Linear(일직선 형태) 등의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제어부(4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의 페이지에 텍스트 삽입, 수정 또는 삭제를 제어한다.
또한, 아이콘 제어부(4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의 페이지에 아이콘 삽입, 수정 또는 삭제를 제어한다.
그리고, 포토편집 제어부(49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의 페이지에 배치된 컨텐츠의 이동, 확대, 축소, 회전 또는 자르기(Crop)를 제어한다.
아울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S)의 디스플레이 제어부(6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제어부(600)는 백그라운드 뷰어모듈(610)을 통해 컨텐츠 색인부(300)에 의해 색인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렉티브 뷰어모듈(620)을 통해 포토앨범 제작부(400)에 의해 생성된 포토앨범을 XML에 정의된 속성과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백그라운드 뷰어모듈(6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들은 이미지, PDF, HTML 또는 EPUB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인터렉티브 뷰어모듈(62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여 특정 프레임에 배치된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터치에 따른 상호작용을 통한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S)의 포토앨범 공유부(7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포토앨범 공유부(700)는 포토앨범 생성부(500)에 의해 생성된 포토앨범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휴대단말기 또는 태블릿PC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포토앨범의 공유는 블루투스, Zigbee, 3G, 4G, WIFI 또는 WIBRO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행되며,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포토앨범 앱(App)의 제어에 따라 허가된 휴대단말기와 공유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가 컨텐츠 형식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앨범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위자드(wizard) 라이브러리를 구성한다(S10).
이어서, 위자드 선택부(200)가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자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를 색인하고, 앨범명칭을 입력받아 저장한다(S20).
뒤이어, 컨텐츠 색인부(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색인하여 포토 라이브러리를 생성한다(S30).
이어서, 포토앨범 제작부(400)가 포토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도록 위자드의 페이지별 프레임 각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배치하여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생성한다(S40).
그리고, 포토앨범 생성부(500)가 생성된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취합하여 별도의 패키징 작업 없이 표준화된 XML 데이터 형식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한다(S50).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방법의 제S5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단계 이후, 디스플레이 제어부(600)가 백그라운드 뷰어모듈(610)을 통해 컨텐츠 색인부(300)에 의해 색인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S60).
이어서, 디스플레이 제어부(600)가 인터렉티브 뷰어모듈(620)을 통해 포토앨범 제작부(400)에 의해 생성된 포토앨범을 XML에 정의된 속성과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한다(S70).
그리고, 포토앨범 공유부(700)가 포토앨범 생성부(500)에 의해 생성된 포토앨범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휴대단말기 또는 태블릿PC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제어한다(S80).
이하,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마이앨범 제작 예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마이앨범 제작을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앨범의 명칭을 입력하고, 커버로 사용할 사진을 등록한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앨범에 삽입될 사진을 등록한다. 이때, 마이앨범에 삽입될 사진의 위치는 인터랙션 기능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으로 변경될 수 있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배경이미지와 도 11에 사진이 삽입된 원형 이미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뒤이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이미지를 등록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마다 교체될 복수개의 이미지를 등록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터치&드래그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교체될 복수개의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기법에 의해 회전하는 이미지와 기본사진을 등록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미지에 삽입될 이미지를 등록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에 등록될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마이앨범 제작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발명은 단순히 정해진 틀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종래의 포토앨범과 차별화된다.
즉,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포토, 동영상, 오디오 또는 텍스트를 별도의 코드편집 및 패키징 작업 없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페이지 내에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100: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 200: 위자드 선택부
300: 컨텐츠 색인부 400: 포토앨범 제작부
410: 애니메이션 설정부 420: 오디오/비디오 설정부
430: 오버레이 제어부 440: 팝업 제어부
450: Slide 제어부 460: 갤러리 제어부
470: 텍스트 제어부 480: 아이콘 제어부
490: 포토편집 제어부 500: 포토앨범 생성부
600: 디스플레이 제어부 610: 백그라운드 뷰어모듈
620: 인터렉티브 뷰어모듈 700: 포토앨범 공유부

Claims (8)

  1.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형식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앨범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위자드(wizard)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
    상기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자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를 색인하고, 앨범명칭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위자드 선택부(20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색인하여 포토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컨텐츠 색인부(300);
    상기 포토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도록 위자드의 페이지별 프레임 각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배치하여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생성하는 포토앨범 제작부(400); 및
    상기 포토앨범 제작부(400)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취합하여 별도의 패키징 작업 없이 표준화된 XML 데이터 형식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하는 포토앨범 생성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앨범 제작부(400)는,
    상기 포토 라이브러리에서 색인한 컨텐츠 또는 즉석 촬영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되, 인터랙션 기능을 통해 페이지별로 각 프레임에 배치된 컨텐츠를 즉각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앨범 제작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프레임에 텍스트, 아이콘, 동영상, 녹음데이터 또는 음향데이터를 삽입하여 배치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앨범 제작부(400)는,
    콘텐츠의 위치이동(상하좌우), Fade in/Out, Zoom in/Out, Gif(다수 이미지 교체) 변환을 제어하는 애니메이션 설정부(410);
    음원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자동 또는 수동(특정버튼 터치)으로의 재생을 제어하는 오디오/비디오 설정부(420);
    페이지 이동과 관계없이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오버레이 제어부(43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팝업(Pop-up)형태로 돌출되어 화면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팝업 제어부(44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가 드래그(Drag)되는 것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Slide 제어부(450);
    복수개의 이미지를 3D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되, 3D 인터페이스는 Coverflow(아이튠즈 앨범보기 형태), Cylinder(원통형 3D 형태), Rotary(컨베이어 벨트 형태) 또는 Linear(일직선 형태) 등의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갤러리 제어부(46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의 페이지에 텍스트 삽입을 제어하는 텍스트 제어부(47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의 페이지에 아이콘 삽입을 제어하는 아이콘 제어부(480);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의 페이지에 배치된 컨텐츠의 이동, 확대, 축소, 회전 또는 자르기(Crop)를 제어하는 포토편집 제어부(4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색인부(300)에 의해 색인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백그라운드 뷰어모듈(610)과, 상기 포토앨범 제작부(400)에 의해 생성된 포토앨범을 XML에 정의된 속성과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인터렉티브 뷰어모듈(620)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뷰어모듈(6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는, 이미지, PDF, HTML 또는 EPUB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렉티브 뷰어모듈(62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여 특정 프레임에 배치된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앨범 생성부(500)에 의해 생성된 포토앨범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포토앨범 공유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포토앨범의 공유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포토앨범 앱(App)의 제어에 따라 허가된 휴대단말기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8.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가 컨텐츠 형식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앨범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위자드(wizard)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
    (b) 위자드 선택부(200)가 위자드 라이브러리 구성부(100)에 의해 생성된 위자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위자드를 색인하고, 앨범명칭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컨텐츠 색인부(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는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색인하여 포토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
    (d) 포토앨범 제작부(400)가 포토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와 대응하도록 위자드의 페이지별 프레임 각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배치하여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포토앨범 생성부(500)가 생성된 컨텐츠 목록(리스트)을 취합하여 별도의 패키징 작업 없이 표준화된 XML 데이터 형식으로 포토앨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방법.
KR1020120128149A 2012-11-13 2012-11-13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1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49A KR20140061616A (ko) 2012-11-13 2012-11-13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49A KR20140061616A (ko) 2012-11-13 2012-11-13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616A true KR20140061616A (ko) 2014-05-22

Family

ID=5089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49A KR20140061616A (ko) 2012-11-13 2012-11-13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16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892A (ko) * 2016-08-19 2016-08-26 디에스글로벌 (주)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60102372A (ko) * 2016-08-19 2016-08-30 디에스글로벌 (주)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US9652704B2 (en) 2013-08-09 2017-05-16 Ds Global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KR20190005319A (ko) * 2017-07-06 2019-01-16 (주)스냅스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2704B2 (en) 2013-08-09 2017-05-16 Ds Global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KR20160101892A (ko) * 2016-08-19 2016-08-26 디에스글로벌 (주)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60102372A (ko) * 2016-08-19 2016-08-30 디에스글로벌 (주)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KR20190005319A (ko) * 2017-07-06 2019-01-16 (주)스냅스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0817B2 (en) Theme-based slideshows
KR10200531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3842936B (zh) 将多个实况视频剪辑和静态照片记录、编辑和合并为成品组合作品
US93423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ultimedia container
US100614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US20080288869A1 (en) Boolean Search User Interface
US95355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home multimedia container
WO20130632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video content on mobile devices
GB2507036A (en) Content prioritization
US9405500B1 (en) Photo album device and system
US108243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JP2017192073A (ja) 表示制御方法、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61616A (ko) 인터랙션을 내재화한 위자드 방식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2678A (ko) 전자 앨범 제작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15023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7094800A1 (ja)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5027350B2 (ja) 画像フォルダ伝送再生装置及び画像フォルダ伝送再生プログラム
JP2018092254A (ja)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CN102982831A (zh) 用于制作个人化影音编辑系统
KR10176466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패키지 생성방법
KR102581745B1 (ko)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JP2017102217A (ja)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5677119B2 (ja) フォトブック作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Harrington et al. An Editor's Guide to Adobe Premiere Pro
Carlson Photos for OS X and iOS: Take, edit, and share photos in the Apple photography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