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749A -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749A
KR20150019749A KR20130096946A KR20130096946A KR20150019749A KR 20150019749 A KR20150019749 A KR 20150019749A KR 20130096946 A KR20130096946 A KR 20130096946A KR 20130096946 A KR20130096946 A KR 20130096946A KR 20150019749 A KR20150019749 A KR 20150019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alarm sound
unit
specific frequency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황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749A/ko
Publication of KR20150019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가청 주파수 내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부 및 차량의 전자장치에 설치되어 전자장치의 동작에 따른 경보음을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ALARM SOUND OUTPUT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청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경보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승자가 차량 내에 탑승하여 주행하거나 하차할 때, 차량은 운전자 및 승객에게 다양한 경보음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운전자가 도어를 열면 도어 열림 경보음을 출력하고, 주행 중 우회전 또는 좌회전할 때 턴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턴시그널 신호음을 출력하며, 탑승자가 시동을 오프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풀면 시트벨트 경보음을 출력하는 등 여러 가지 주행 안전이나 주행 상태에 따른 경보음을 탑승자에게 출력한다.
한편, 사람은 주변 환경, 나이 등에 따라 개인별로 청력이 다양하게 마련이다. 인간의 가청주파수는 20~20,000㎐인데, 나이가 많거나 소음 등에 노출된 사람은 20,000㎐에 가까운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듣지 못한다. 반대로 저주파 대역의 음성을 들을 수 없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차량의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경보음은 탑승자 개개인의 청력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 결과, 탑승자마다 경보음을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2004-0043553호(2004.05.24)의 '자동차의 경보음 발생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청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경보음을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자신의 청력에 적합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경보음을 출력하여 탑승자가 경보음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 상황 등에 따른 경보음을 탑승자에게 전달하여 탑승자가 차량의 주행 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시 안전성과 그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는 가청 주파수 내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부; 및 차량의 전자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에 따른 경보음을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 설정부는 테스트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가청 주파수 내에서 상기 테스트 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테스트 음으로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 내에서 단위 주파수 대역씩 증가시키면서 상기 테스트 음을 출력하여 상기 테스트 음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 별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테스트 음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후보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최종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청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경보음을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자신의 청력에 적합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경보음을 출력하여 탑승자가 경보음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황 등에 따른 경보음을 탑승자에게 전달하여 탑승자가 차량의 주행 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시 안전성과 그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는 주파수 대역 설정부(10) 및 경보음 출력부(20)를 포함한다.
주파수 대역 설정부(10)는 가청 주파수(audio frequency) 내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다.
가청 주파수는 인간이 귀로 소리로 느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그 주파수 대역은 20~20,000㎐이다.
주파수 대역 설정부(10)는 이 20~20,000㎐ 내에서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단위 주파수 대역씩 증가시키고, 이 과정에서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 대역을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한다.
단위 주파수 대역은 가청 주파수을 증가시키는 최소 단위의 주파수 대역으로써, 예를 들어 1㎑가 설정될 수 있다. 단위 주파수 대역은 상기한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대역 설정부(10)에서 설정되며, 경보음 출력부(20)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위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이며, 경보음 출력부(20)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경보음을 출력한다.
한편, 주파수 대역 설정부(10)는 입력부(11), 스피커(12), 표시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스피커(12)는 단위 주파수 대역씩 증가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테스트 음을 출력한다. 스피커(12)는 테스트 음을 출력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나, 차량에 구비된 통상의 스피커(12)가 채용될 수 있다.
입력부(11)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제어명령으로는 단위 주파수 대역씩 증가되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으로 테스트 음을 스피커(12)로 출력하도록 하는 테스트 음 출력 명령, 테스트 음 출력 명령에 따라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후보 주파수 대역 설정 명령, 후보 주파수 대역 중에서 어느 하나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 설정 명령, 특정 주파수 대역을 취소시키는 특정 주파수 대역 취소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11)로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다양한 제어명령이 모두 입력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3)는 차량의 운행 정보, 예를 들어 차량 속도, 주행거리, 회전 방향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주파수 대역 설정부(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4)는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가청 주파수 내에서 단위 주파수 대역씩 증가시키면서 스피커(12)를 통해 해당 주파수 대역으로 테스트 음을 단계적으로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4)는 테스트 음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고, 이들 후보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최종 설정한다.
여기서, 후보 주파수 대역을 우선 설정하고 이 후보 주파수 대역 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최종 설정하는 이유는 탑승자가 테스트 음을 1회만 청취할 경우에는 자신의 청력에 적합한 최적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탑승자는 후보 주파수 대역을 우선적으로 설정한 후, 이들 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최종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청력에 적합한 최적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표시부(13)를 통해 상기한 단위 주파수 대역, 단위 주파수 대역 중 선택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주파수 대역 중 선택된 특정 주파수 대역을 표시하고, 운전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표시한다.
더욱이, 제어부(1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면,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을 경보음 출력부(20)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으로 전달한다.
경보음 출력부(20)는 차량의 전자장치에 설치되어 전자장치의 동작에 따른 경보음을 주파수 대역 설정부(10)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한다.
경보음은 차량의 각종 전자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소리로써, 이 경보음으로는 안전벨트 상태 신호, 브레이크 상태 신호, 선루프 개방 상태 신호, 키 탈거 상태 신호, 제한 속도 상태 신호, 도어 개방 상태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상, 경보음 출력부(20)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 조건이 만족되면, 경보음 음원을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필터링하여 해당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주파수 대역 설정 과정 및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주파수 대역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4)는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음 출력 명령에 따라 가청 주파수 내에서 주파수 대역을 단위 주파수 대역씩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테스트 음을 출력하고, 이 과정에서 후보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S11).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테스트 음 출력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가청 주파수 중 1㎑부터 단위 주파수 대역, 즉 1㎑씩 20㎑까지 증가시키고, 주파수 대역을 단위 주파수 대역씩 증가시킬 때마다 스피커(12)를 통해 해당 주파수 대역으로 테스트 음을 출력한다.
이때 단위 주파수 대역씩 주파수 대역을 증가시킬 때마다, 제어부(14)는 입력부(11)를 통해 후보 주파수 대역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이때 후보 주파수 대역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주파수 대역을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은 가청 주파수 내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제어부(14)는 이 과정에서 후보 주파수 대역 설정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한다(S13).
단계(S13)에서의 판단 결과, 후보 주파수 대역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4)는 상기한 후보 주파수 대역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테스트 음을 출력하고, 이 과정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최종적으로 설정한다(S15).
즉, 제어부(14)는 테스트 음 출력이 입력될 때마다,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테스트 음을 출력하고, 이 과정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특정 주파수 대역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는 해당 주파수 대역을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최종적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면, 제어부(14)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경보음 출력부(20)에 전달하고, 경보음 출력부(2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내부의 마이컴(미도시) 등에 저장한다(S17).
경보음 출력부(2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저장한 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S21)하고, 판단 결과 경보음 출력 조건이 만족하면, 경보음 음원을 추출한다(S23). 이후, 경보음 출력부(20)는 경보음 음원을 신호 처리(S25)한 후 기 저장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경보음을 출력한다(S27).
이러한 본 발명은 가청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경보음을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자신의 청력에 적합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경보음을 출력하여 탑승자가 경보음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황 등에 따른 경보음을 탑승자에게 전달하여 탑승자가 차량의 주행 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시 안전성과 그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주파수 대역 설정부 11: 입력부
12: 스피커 13: 표시부
14: 제어부 20: 경보음 출력부

Claims (5)

  1. 가청 주파수 내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부; 및
    차량의 전자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에 따른 경보음을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설정부는
    테스트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가청 주파수 내에서 상기 테스트 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테스트 음으로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 내에서 단위 주파수 대역씩 증가시키면서 상기 테스트 음을 출력하여 상기 테스트 음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 별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테스트 음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후보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최종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KR20130096946A 2013-08-14 2013-08-14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KR20150019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946A KR20150019749A (ko) 2013-08-14 2013-08-14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946A KR20150019749A (ko) 2013-08-14 2013-08-14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49A true KR20150019749A (ko) 2015-02-25

Family

ID=5257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946A KR20150019749A (ko) 2013-08-14 2013-08-14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7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3839B (zh) 一种对周围环境音的处理方法及设备
US20170323639A1 (en) System for providing occupant-specific acoustic functions in a vehicle of transportation
US20130208912A1 (en) Simulation of engine sounds in silent vehicles
EP29666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 management
WO2005082672A1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WO2006011310A1 (ja) 音声識別装置、音声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1666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vacy enhancement
JP6940320B2 (ja) 音出力装置
KR102338041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US11589157B2 (en) Audio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dio device for a vehicle
US20220095046A1 (en) Hybrid in-car speaker and headphone based acoustical augmented reality system
JP2015182755A (ja) 移動体機器制御装置、携帯端末、移動体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機器制御方法
KR101640055B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오디오 장치 및 차량
DE102015015130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US11974103B2 (en) In-car headphone acoustical augmented reality system
KR20150019749A (ko) 차량의 경보음 출력 장치
JP2008001124A (ja) 車載用発音装置
US20220210584A1 (en) Vehicle assistive hearing
KR20160050135A (ko)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WO2022119673A1 (en) In-cabin audio filtering
JP6272142B2 (ja) 車載用音響装置
KR102040918B1 (ko)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JP6464987B2 (ja) 車両の警報装置
KR20170082173A (ko) 차량 내 소음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1669B1 (ko) 차량용 이퀄라이저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