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249A -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249A
KR20150019249A KR1020130095871A KR20130095871A KR20150019249A KR 20150019249 A KR20150019249 A KR 20150019249A KR 1020130095871 A KR1020130095871 A KR 1020130095871A KR 20130095871 A KR20130095871 A KR 20130095871A KR 20150019249 A KR20150019249 A KR 2015001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
display device
photo printer
application gu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406B1 (ko
Inventor
김성민
안효미
이기관
권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406B1/ko
Priority to EP14172487.2A priority patent/EP2838251A3/en
Priority to CN201410267348.7A priority patent/CN104369552B/zh
Priority to US14/315,581 priority patent/US10133469B2/en
Publication of KR2015001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3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6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marking or otherwise tagging one or more displayed image, e.g. for selective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H04N1/00944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using hot folders, i.e. folders or directories which trigger an action when written to or accessed
    • H04N1/00946Details of actions associated with a hot fol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9Image display device

Abstract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GUI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Mapping)하여 스토리지(Storage)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Description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DEVICE CONNECTED TO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반영한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Computer),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TV(Television), 기타 방송 수신 장치 등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현재 스마트폰은 유저가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하거나 특정 영역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이미지의 삭제 및 이동 정보를 반영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GUI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영역에 새로운 사진이 추가된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를 통해 상기 추가된 새로운 사진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GUI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영역에 새로운 사진이 추가된 경우, 상기 새로운 사진이 추가되었음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발생시켜 유저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토 프린터를 통해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식별자 필드(Field)를 적용하여, 출력된 이미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스토리지(Storage) 모듈과, 상기 포토 프린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Mapping)하여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1 어플리케이션GUI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하여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영역에 새로운 사진이 추가된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를 통해 상기 추가된 새로운 사진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GUI를 변경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영역에 새로운 사진이 추가된 경우, 상기 새로운 사진이 추가되었음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발생시켜 유저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포토 프린터를 통해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식별자 필드(Field)를 적용하여, 출력된 이미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 중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 중 다른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노티피케이션을 생성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 아이콘을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에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4 영역에 식별자 필드를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가 복수의 포토 프린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멀티 프린터 아이콘을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가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포토 프린터로부터 전송 받은 메시지를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도시된 아이콘은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예시로 사용된 것이며, 아이콘의 이름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아이콘의 이름이 표시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당해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oller)와 리모컨(remocon)을 혼용하여 사용하지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의미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개폐 상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방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관 중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1)과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 중 다른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방송 수신 모듈(301), 복조부(3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04), 메모리(305), 제어부(306), 비디오 출력부(307), 오디오 출력부(308), 전원 공급부(309), 원격 제어 장치(31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310)에 해당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이하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설명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3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3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302)는, 방송 수신 모듈(3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3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3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3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04)는 외부 장치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3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3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05)는, 제어부(3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06)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3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3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3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6)는, 방송 수신 모듈(301), 복조부(3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6)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307)는, 제어부(3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3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308)는, 제어부(3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3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309)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3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406)는, 역다중화부(410), 영상처리부(420), OSD 생성부(440), 믹서(4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 그리고 포맷터(4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디코더(421) 및 스케일러(4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디코더(421)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상기 스케일러(422)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4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4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450)는, OSD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4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4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4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그리고, 포맷터(4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스크린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5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좌우(도 5의 (b)), 상하(도 5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5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왼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5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로 전송된다.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5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501)를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5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610)는, 무선통신부(614), 사용자 입력부(615), 센서부(617), 출력부(616), 전원공급부(611), 저장부(612), 그리고 제어부(613)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614)는 임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RF 모듈(61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하고, IR 모듈(614b)은 외부 전자 장치(630, 예를 들어 STB)와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로부터 수신한 IR 적외선 코드값을, STB(630)로 포워딩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61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6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로,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614a)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6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614a)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61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614b)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1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617)는 자이로 센서(617a) 또는 가속도 센서(617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617a)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617a)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617b)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616)는 사용자 입력부(61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616)는 사용자 입력부(61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6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616a),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616b),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616c),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616d)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611)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611)는 리모트 컨트롤러(61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612)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13)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13)는, 사용자 입력부(61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617)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6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 또는 STB(6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multimedia device)로 명명할 수도 있고, 도 6의 리모트 컨트롤러(610)내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또한, 본원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10)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10)을 이용하지 않고 터치 방식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듈을 일부 추가하거나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1 내지 도 7 등에 기재된 요소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이하 도면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컨트롤러(710), 커뮤니케이션 모듈(720), 디스플레이 모듈(730), 스토리지 모듈(7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다만,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모듈(720)은 포토 프린터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모듈(7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커뮤니케이션 모듈(720)을 이용하여 포토 프린터와 페어링 및 통신 접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된 포토 프린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모듈(720)은,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부(110)에 해당될 수 있고,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 3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GUI를 스크린에출력하도록 설계되며, 아이콘, 런처 아이콘, 어플리케이션, GUI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TV, 그리고 기타 방송 수신 장치 등이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모듈, 화면 출력 장치 등에 해당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730)은,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설명한 출력부(15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51)에 해당될 수 있고,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 3에서 설명한 비디오출력부(307)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모듈(740)은, 특정 이미지가 특정 저장 공간에 저장된 시간 또는특정 영역으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특정 이미지를 맵핑(Mapping)하여 저장하고, 테이블(Table) 형태로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에 저장한다. 상기 스토리지 모듈(740)은,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160)에 해당될 수 있고,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 3에서 설명한 메모리(305)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710)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모듈(720), 디스플레이 모듈(730), 스토리지 모듈(740) 등 도 7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들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의 컨트롤러는,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Mapping)하여 상기 스토리지(Storage)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801) 내의 제1 영역(810)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801) 내의 제2 영역(820)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801) 내의 제3 영역(830)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제1 어플리케이션 GUI 및 제2 어플리케이션 GUI(801)를 스크린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폰에 포함된 갤러리 또는 사진 앨범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가 스크린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801)가 스크린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폴더로서,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이미지는 제1 영역에서 더 이상 표시되지 않으며,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이미지가 스크린에 표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하여 스토리지 모듈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801)의 제2 영역(820)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 및 제2 어플리케이션 GUI는 오디오, 비디오 및 썸네일(Thumbnail)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유저가 포토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특정 폴더에 옮겨놓았을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자동으로 상기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바로 스크린에 출력해줌으로써, 유저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노티피케이션을 생성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노티피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 GUI(901)가 출력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901)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901)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의 홈 화면(902)에 표시된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상단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910)이 표시된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상단에 노티피케이션이 표시되는 경우 이외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알림 신호(920)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유저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필요 없이, 홈 화면에서 새로운 이미지가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되었음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 아이콘을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에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에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아이콘(1020)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컨트롤러는,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하여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001) 내의 제1 영역(1010)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001) 내의 제2 영역(1020)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001) 내의 제3 영역(1030)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 GUI(1001)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에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아이콘(1040)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출력 아이콘(1040)을 유저가 터치하면,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포토 프린터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호를 상기 포토 프린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출력 아이콘(1040)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001)의 제1 영역에 표시될 수 있고, 유저가 상기 제1 영역을 터치하면 짧은 시간 간격 동안만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0과 같이 설계할 경우, 유저가 특정 이미지를 포토 프린터에서 출력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제거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4 영역에 식별자 필드를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101) 내의 제4 영역(1140)에 식별자 필드(Field)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101) 내의 제1 영역(1110)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101) 내의 제2 영역(1120)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101) 내의 제3 영역(1130)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101) 내의 제4 영역(1140)에 식별자 필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식별자 필드는 상기 제1 영역(1110)에 표시되는 제1 이미지와 특정 유저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필드로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101)의 제4 영역(1140)에 특정 유저의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 필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1110)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상기 제4 영역(1140)에 김성민 이라는 유저의 이름을 기록해 놓으면, 이 후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한 인화지의 최초 소유자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4 영역(1140)에 표시되는 식별자 필드를 출력한 이미지들만 따로 저장한 폴더를 실행한 경우에만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식별자 필드를 추가한 경우, 인화지에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식별자 필드가 함께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QR 코드는 인화지의 현재 소유자를 추적하는 기능으로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초 인화지의 소유자를 김성민으로 기록한 후, 제2 소유자가 상기 QR 코드를 스마트폰 등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2 소유자의 스마트폰 식별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송된 식별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101) 내의 제4 영역(1140)에 표시되는 식별자 필드에 포함되는 소유자의 정보를 제2 유저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포토 프린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출력물의 소유자를 빠르게 기록할 수 있고, 현재 소유자가 누구인지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가 복수의 포토 프린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멀티 프린터 아이콘을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201) 내의 제1 영역(1210)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201) 내의 제2 영역(1220)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201) 내의 제3 영역(1230)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1201) 내의 제4 영역(1240)에 복수의 포토 프린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멀티 프린터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멀티 프린터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가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와 페어링(Pairing)된 경우에 표시되는 아이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의 컨트롤러는, 상기 멀티 프린터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가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는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페어링된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 중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제1 포토 프린터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 프린터 아이콘이 아닌 기본적인 출력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제1 포토 프린터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 각각의 현재 공급된 인화지의 칼라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유저가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가장 적합한 포토 프린터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포토 프린터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설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포토 프린터와 연결하여 이미지를 출력함에 있어서, 유저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전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도 14를 보충 해석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GUI를 출력하고(S1400),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고(S1410),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고(S1420),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하여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하고(S1430),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출력하고(S1440),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S1450),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가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고(S1460),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한다(S1470).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에 대한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고(S1500),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를 비교하고(S1510),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에 제2 인화지 세트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메시지(Message)를 생성하고(S1520),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530). 상기 제1 인화지 세트는 상기 포토 프린터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인화지를 포함하고, 인화지의 크기 및 개수는 각 포토 프린터마다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에 대한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S1500),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화지 세트 정보는, 상기 제1 인화지 세트에 포함된 인화지 개수 및 상기 제1 인화지 세트의 칼라(Color)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마트 시트 (Smart Sheet)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화지 세트는 상기 포토 프린터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인화지를 포함하고, 인화지의 크기 및 개수는 각 포토 프린터마다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인화지 세트는 각 인화지 세트에 포함된 인화지에 최적화된 인화 상태를 결정하는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를 비교하고(S1510),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에 제2 인화지 세트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메시지(Message)를 생성하는 단계는(S1520), 상기 제2 인화지 세트의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마트 시트를 먼저 삽입하도록 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인화지 세트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2 인화지 세트에 포함된 인화지의 칼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2 인화지 세트를 먼저 삽입하여 포토 프린터를 재 설정함으로써, 이미지를 인화할 때 최적의 인화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마트 시트 및 상기 제2 스마트 시트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칩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NFC 칩을 이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각 인화지 세트의 칼라 정보를 포토 프린터로 전송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유저가 출력 요청한 이미지의 개수보다 인화지의 개수가 적을 경우, 스마트 시트를 먼저 삽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최적의 인화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포토 프린터로부터 전송 받은 메시지를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는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를 비교하고,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에 제2 인화지 세트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메시지(1610)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인화지 세트의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마트 시트를 먼저 삽입하도록 하는 제2 메시지(162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1610) 및 제2 메시지(1620)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로 전송한다. 나아가, 유저가 제2 스마트 시트를 공급하기 보다, 이전에 공급된 제1 스마트 시트의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 기존 스마트 시트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3 메시지(1630)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로 전송한다. 상기 포토 프린터로부터 제1 메시지(1610), 제2 메시지(1620), 제3 메시지(1630)를 전송 받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는, 상기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1610)의 특정 영역에 상기 제1 메시지(1610), 제2 메시지(1620), 제3 메시지(1630)를 표시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불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7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10 : 컨트롤러
720 : 커뮤니케이션 모듈
730 : 디스플레이 모듈
740 : 스토리지 모듈

Claims (15)

  1.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GUI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Mapping)하여 스토리지(Storage)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노티피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에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아이콘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4 영역에 식별자 필드(Field)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5.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스토리지(Storage) 모듈;
    상기 포토 프린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GUI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된 시간과 상기 제1 이미지를 맵핑(Mapping)하여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와 연결된 제2 어플리케이션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스토리지모듈에 저장된 시간 이전에 상기 스토리지 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포토 프린터 폴더로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노티피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에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아이콘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GUI 내의 제4 영역에 식별자 필드(Field)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에 대한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에 제2 인화지 세트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메시지(Messag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에 대한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화지 세트 정보는, 상기 제1 인화지 세트에 포함된 인화지 개수 및 상기 제1 인화지 세트의 칼라(Color)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마트 시트 (Smart Sheet)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에 제2 인화지 세트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인화지 세트의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마트 시트를 먼저 삽입하도록 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시트 및 상기 제2 스마트 시트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 방법.
  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포토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
    상기 포토 프린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이미지 출력에 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에 대한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의 인화지 개수가 상기 수신한 커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에 제2 인화지 세트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1 메시지(Message)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출력 요청 개수에 대한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포토 프린터에 공급된 제1 인화지 세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인화지 세트 정보는, 상기 제1 인화지 세트에 포함된 인화지 개수 및 상기 제1 인화지 세트의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마트 시트 (Smart Sheet)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인화지 세트의 칼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마트 시트를 먼저 삽입하도록 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KR1020130095871A 2013-08-13 2013-08-13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71A KR102109406B1 (ko) 2013-08-13 2013-08-13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4172487.2A EP2838251A3 (en) 2013-08-13 2014-06-16 Display device connected to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267348.7A CN104369552B (zh) 2013-08-13 2014-06-16 连接至照片打印机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4/315,581 US10133469B2 (en) 2013-08-13 2014-06-26 Display device connected to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71A KR102109406B1 (ko) 2013-08-13 2013-08-13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249A true KR20150019249A (ko) 2015-02-25
KR102109406B1 KR102109406B1 (ko) 2020-05-28

Family

ID=5098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871A KR102109406B1 (ko) 2013-08-13 2013-08-13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33469B2 (ko)
EP (1) EP2838251A3 (ko)
KR (1) KR102109406B1 (ko)
CN (1) CN104369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1688S1 (en) 2013-06-07 2016-11-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8795S1 (en) * 2013-09-03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3674S1 (en) * 2014-04-30 2016-04-1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451391B1 (en) 2015-05-20 2016-09-20 Ebay Inc. Wireless device pairing management
CN106274112A (zh) * 2015-05-26 2017-01-04 郑淑红 一种现场获取定制化产品的智能转印方法及智能转印系统
USD803250S1 (en) * 2016-03-1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EP3825832A4 (en) 2018-09-11 2021-09-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URE FOR SHARING DATA,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US20210271945A1 (en) * 2018-10-08 2021-09-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coded device having an integrated graphic feature
USD939563S1 (en) * 2018-12-20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2497S1 (en) * 2018-12-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9564S1 (en) * 2018-12-20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6149A1 (en) * 2001-03-02 2002-09-12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ata management
US20040012806A1 (en) * 2002-07-22 2004-01-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properly printing image data at a hardcopy device
US20100214571A1 (en) * 2009-02-26 2010-08-26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Drag-and-drop printing method with enhanced functions
US7843454B1 (en) * 2007-04-25 2010-11-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Animated preview of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393B2 (ja) * 1999-02-09 2004-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装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表示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を表示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10042086A1 (en) * 2000-01-28 2001-11-15 Konica Corporation Print order receiving device, print receiving producing system and print order data product
JP2001337765A (ja) * 2000-05-26 2001-12-07 Sharp Corp アイコンによる印刷制御操作システム
US8218171B2 (en) * 2005-03-30 2012-07-10 Nk Works Co., Ltd. Print order accept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US7724384B2 (en) * 2005-06-29 2010-05-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ing print job based on adjustments made to printer driver settings
JP2007249461A (ja) * 2006-03-15 2007-09-2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270242B2 (ja) * 2006-08-22 2009-05-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リント指示プログラム並びにプリント指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819571B2 (en) * 2010-09-30 2014-08-26 Apple Inc. Manipulating preview panels in a user interface
JP5172997B2 (ja) * 2011-07-15 2013-03-2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操作画面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80032997A1 (en) * 2012-10-09 2018-02-01 George A. Gord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mpt an action by a platform in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AU2013206449A1 (en) * 2012-06-20 2014-01-1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ulti-channel remote payment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9985942B2 (en) * 2012-07-30 2018-05-29 Weckey Portable sign-in service
US9626708B2 (en) * 2013-04-15 2017-04-18 Thirty-One Gifts Llc Photographic memento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6149A1 (en) * 2001-03-02 2002-09-12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ata management
US20040012806A1 (en) * 2002-07-22 2004-01-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properly printing image data at a hardcopy device
US7843454B1 (en) * 2007-04-25 2010-11-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Animated preview of images
US20100214571A1 (en) * 2009-02-26 2010-08-26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Drag-and-drop printing method with enhanced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406B1 (ko) 2020-05-28
US10133469B2 (en) 2018-11-20
CN104369552B (zh) 2017-06-09
EP2838251A2 (en) 2015-02-18
EP2838251A3 (en) 2015-09-16
CN104369552A (zh) 2015-02-25
US20150052467A1 (en)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8201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50019249A (ko)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0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90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31340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935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525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31669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7469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0217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976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1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4950A (ko) 멀티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492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6312B1 (ko) 멀티 스크린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2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62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0784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946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90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433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41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