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235A -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235A
KR20150019235A KR20130095843A KR20130095843A KR20150019235A KR 20150019235 A KR20150019235 A KR 20150019235A KR 20130095843 A KR20130095843 A KR 20130095843A KR 20130095843 A KR20130095843 A KR 20130095843A KR 20150019235 A KR20150019235 A KR 2015001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natural plant
cosmetic composition
lip cosmetic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5501B1 (ko
Inventor
이선경
Original Assignee
이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경 filed Critical 이선경
Priority to KR102013009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5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천연식물과 오일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 ℃에서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천연식물과 오일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과 천연식물오일로 분리하는 단계 및 여과된 천연식물오일과 비즈왁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산패우려가 없어 보존율이 우수하며, 입술의 보습 및 보호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lip cosmetic composition using natural botanical}
본 발명은 산패우려가 없어 보존율이 우수하며, 입술의 보습 및 보호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술은 다른 피부에 비해 수분증발에 취약하며 비타민 결핍이나 식습관, 물리적인 자극, 건조한 날씨로 인해 건조하고 거칠게 손상된다. 입술의 손상요소는 내부적인 요인도 있어 외부적인 처리만으로는 완전히 회복이나 개선이 어려울 수 있으나 손상을 최소화하거나 심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
입술이 트는 것을 방지하려면 입술보호크림을 수시로 발라 수분과 영양을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외부의 건조함이나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입술을 보호하고 입술 메이크업 제품을 매끄럽게 바르기 위한 베이스로서 입술 미용용품을 사용한다.
이러한 입술 미용용품은 다른 피부 용품에 비해 체내 유입 가능성이 높아 천연 성분의 필요성이 더욱 높으며, 입술은 잦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타 피부보다도 염증완화 및 보호보습의 역할이 가능한 소재가 필요하다.
종래에 천연성분을 포함한 유용성 제품은 물, 오일, 알코올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CO2 초임계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또는 천연성분에서 특정 효능이 있는 성분만을 뽑아내어 용해시킨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들은 제품에 과량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수준의 피부 효능이 나타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상기 수용성 성분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입술 미용용품에 이용되는 유용성 성분과 섞이지 않아 다량 혼합하기가 어려우며, 초임계법을 사용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료의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고가의 제조원가와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입술 미용용품 제품에 다양하게 이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천연 성분에서 특정 효능이 있는 성분만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천연 성분 내에서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을 얻기가 어려우며, 대부분 난용성인 경우가 많아 실제 오일 성분에 용해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천연 성분, 예컨대 천연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모든 성분들을 안정하게 다량 함유하여 입술의 보습 및 보호 효과가 우수하고, 산패우려가 없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59428호 한국등록특허 제1106216호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07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산패우려가 없어 보존율이 우수하며, 입술의 보습 및 보호 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하는 단계; (B)상기 분쇄된 천연식물과 오일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 ℃에서 진탕하여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C)상기 천연식물과 오일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과 천연식물오일로 분리하는 단계; 및 (D)상기 여과된 천연식물오일과 비즈왁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은 편백나무 줄기, 연교, 상백피, 민들레 전초 및 녹차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은 편백나무 줄기 및 연교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은 편백나무 줄기 및 연교가 1 : 0.5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분쇄된 천연식물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1 mm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천연식물과 오일은 1: 3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오일은 올리브유, 카놀라유, 면실유 및 아몬드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여과된 천연식물오일과 비즈왁스는 1: 0.2 내지 0.8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1 mm인 자초뿌리 분말을 오일과 혼합한 후 50 내지 70 ℃에서 자초뿌리 분말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은 자초뿌리오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분쇄된 천연식물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1 mm인 자초뿌리 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 물질 없이 천연식물 및 오일만으로 제조되므로 피부자극이 없으며, 물이나 알코올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산패의 우려가 없어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우수한 보존율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의 보습효과 및 보호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민들레 전초오일에 대한 스펙트럼분석기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녹차잎 오일에 대한 스펙트럼분석기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보존율, 보습 및 보호 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하는 단계; (B)상기 분쇄된 천연식물과 오일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 ℃에서 진탕하여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C)상기 천연식물과 오일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과 천연식물오일로 분리하는 단계; 및 (D)상기 여과된 천연식물오일과 비즈왁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천연식물의 수분함량이 2 내지 5%가 되도록 60 내지 70 ℃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한다.
상기 건조된 천연식물의 수분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오일과 혼합하여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킬 때 모든 유효성분이 용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다량의 수분으로 인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이 쉽게 산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된 천연식물은 평균입경이 0.1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mm가 되도록 분쇄된다. 천연식물의 평균입경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분쇄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천연식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최대한 용출시킬 수 없으므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로는 편백나무 줄기, 연교, 상백피, 민들레 전초 및 녹차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백나무 줄기 또는 연교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편백나무 줄기 및 연교가 혼합된 것이다. 상기 민들레 전초는 흰민들레의 뿌리, 줄기, 잎 및 꽃잎을 모두 포함한 것이며, 꽃잎은 극소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편백나무 줄기 및 연교는 1: 0.5 내지 2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0.8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편백나무 줄기 또는 연교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습 및 보호효과 등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천연물질로 사용되는 편백나무 줄기, 민들레 전초 및 녹차잎의 경우에는 상기 특정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 예를 들면 편백나무잎, 녹차 뿌리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존율, 보습, 보호효과 등의 효과가 저하된다.
상기 편백나무는 상록침엽수로서, 추출한 정유 성분들은 스트레스 완화, 심리적 안정, 심폐기능 강화 효과 이외에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피부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임명선 등, 2012). 편백나무의 효능에 대한 연구로는 편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동숙 등, 2012; 임명선 등, 2012: 이채현, 2012),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항산화, 항염 및 면역조절 효과(조소은, 2012), 편백정유를 이용한 퍼머넌트 웨이브(하진희, 2012),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평가(김선홍 등, 2011) 연구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연교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개나리나무의 과실로서, 항암, 혈압강하, 항균 및 항염증 등의 여러 생리적작용을 갖고 있다. 특히, 연교에 존재하는 리그난화합물은 항암, 항균 및 항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작용이 보고되고 있다(신영웅, 2006). 연교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과 효능을 연구한 논문에는 피부 항노화 효과,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여드름 피부관리 실태연구(김미진 등, 2006; 양서진, 최태부, 2011; 차용수, 2013; 윤은재, 2006) 등이 있다.
상기 상백피는 뽕나무 뿌리껍질부분들을 지칭하며, 혈압강하 작용을 비롯하여 혈당강하, 항균작용, 이뇨성 소염작용 등이 있다(노원기, 2011). 항균작용과 피부의 보습과 미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미백제의 개발에 관심이 큰 물질이다(최은영, 2011).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 상백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억제 및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화장품 방부제 개발(지선옥, 2009; 유민정,2011; 최은영, 2011; 권민정, 2013) 등에 대하여 연구되었다.
상기 민들레는 민간에서 강장, 해열, 이뇨, 건위, 거담, 해독제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서양에서도 담즙분비촉진, 항류마티스 및 이뇨작용의 약제로 사용되고 있다(민경천, 2011). 민들레는 약리 효과가 크고 화학 원료들에 비해 독성과 부작용이 적다(임도연, 2011).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는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적용, 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BB 제조 및 임상 적용(김희정, 2011; 김지현 등, 2010; 임도연, 2011) 등이 있다.
녹차나무는 다년생 상옥 관목수로 충치예방, 혈압상승억제, 혈중콜레스테롤 상승억제, 바이러스 감염저지작용 등의 많은 생리활성이 보고되며, 주요 성분은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미선, 2009). 녹차에 대한 화장품 원료의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는 항산화, 생리활성 및 여드름 피부 적용(조은애, 2012; 조일석, 2010; 김청나, 2003) 등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A)단계에서 분쇄된 천연식물과 오일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에서 20 내지 26시간,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4시간 동안 100 내지 150 rpm으로 진탕하여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킨다.
다양한 추출방법 중에서 진탕을 사용하는 것은 천연식물과 오일의 접촉효율을 높여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추출하기 위함이며, 온도를 높임으로써 오일의 점성을 낮추어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가능한 빠르게 용출시킬 수 있다.
(B)단계에서 진탕이 아닌 열수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연식물의 수용성 성분만 추출되므로 입술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적합하지 않다.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밤(balm)과 같은 형태의 화장료를 만들 경우 왁스 등 유지에 용해되지 않아 추가적으로 화학적 유화제를 사용해야한다. 화학적 유화제를 포함하여 방부제, 산화방지제를 추가하지 않은 천연 밤(balm)타입을 만들기 위해 수용성 성분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탕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이 최대한 용출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천연식물에 손상이 가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식물과 오일은 1: 3 내지 1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5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되는데, 천연식물을 기준으로 오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용출시킬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용출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낮아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이 아닌 오일로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용출함으로써 산패의 우려가 없으므로 산화 방지제와 같은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밤(balm)의 형태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오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올리브유, 카놀라유, 면실유 및 아몬드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을 10 마이크로바(microbar)의 초진공하에서 탈기를 하여 산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용존산소를 제거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B)단계에서 진탕된 천연식물과 오일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과 천연식물오일로 분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C)단계에서 여과된 천연식물오일과 비즈왁스를 1: 0.2 내지 0.8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0.6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용도에 따라 식물성 글리세린, 호호바 오일 등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비즈왁스(beeswax)는 유성기제로 사용되어 입술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고형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여과된 천연식물오일을 기준으로 비즈왁스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비즈왁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색을 부여하기 위하여 안료 역할을 하는 자초뿌리가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초뿌리는 수분함량이 2 내지 5%가 되도록 60 내지 70 ℃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한 후 평균입경이 0.1 내지 1 mm가 되도록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자초뿌리 분말은 상기 (B)단계의 분쇄된 천연식물에 첨가하여 오일과 혼합함으로써 이용하거나, 자초뿌리 분말로부터 자초뿌리오일을 얻은 후 이를 상기 (D)단계의 여과된 천연식물오일에 더 첨가하여 비즈왁스와 혼합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초뿌리오일은 자초뿌리 분말과 오일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 ℃의 진탕에서 자초뿌리 분말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자초뿌리 분말의 제조
자초뿌리를 70 ℃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가 되도록 한 후 블렌더로 평균입경이 1 mm가 되도록 분쇄하여 자초뿌리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자초뿌리오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자초뿌리 분말 100 g을 올리브오일 500 g에 침지시켜 60 ℃에서 24시간 동안 150 rpm으로 진탕한 후 500 ㎛이하의 스테인레스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고형분과 분리함으로써 자초뿌리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편백나무 줄기를 70 ℃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가 되도록 한 후 블렌더로 평균입경이 1 mm가 되도록 분쇄한 편백나무 줄기분말 100 g을 올리브유 500 g에 침지시켜 60 ℃에서 24시간 동안 150 rpm으로 진탕한 후 500 ㎛이하의 스테인레스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고형분과 분리된 편백나무 줄기오일을 얻었다. 상기 편백나무 줄기오일과 비즈왁스를 1: 0.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50 ㎖로 제조한 후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자초뿌리오일 5 ㎖, 로즈마리에센셜오일 100 ㎕를 첨가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립밤)을 제조하였다.
상기 자초뿌리오일 및 로즈마리에센셜오일은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 및 향기에 따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2.
편백나무 줄기를 70 ℃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가 되도록 한 후 블렌더로 평균입경이 1 mm가 되도록 분쇄한 편백나무 줄기분말 100 g과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자초뿌리 분말 100 g을 카놀라유 900 g에 침지시켜 60 ℃에서 24시간 동안 150 rpm으로 진탕한 후 500 ㎛이하의 스테인레스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고형분과 분리된 편백나무 줄기와 자초뿌리가 혼합된 혼합오일을 얻었다. 상기 혼합오일과 비즈왁스를 1: 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 kg을 제조한 후 로즈마리에센셜오일 100 ㎕를 첨가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립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편백나무 줄기 대신 연교를 사용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편백나무 줄기 대신 상백피를 사용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편백나무 줄기 대신 민들레 전초를 사용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편백나무 줄기 대신 녹차잎을 사용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편백나무 줄기 대신 편백나무 줄기와 연교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편백나무 줄기분말을 진탕으로 처리하는 대신 90 ℃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편백나무 줄기 대신 측백나무 줄기를 사용하여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건조된 한약재(당귀 20%, 황금 10%, 감초 10%, 황기 10%, 황련 5%, 천문동 5%, 자초 20%, 현삼 5%, 금은화 5%, 천궁 5% 및 백출 5%)를 물/에탄올(3:7)의 혼합 용매에 2일간 추출하고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한약재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한다. 글리세린과 아가파우더를 90 ℃이상으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 한약재 수용성 추출물을 투입하여 분산시킨다.
한편, 베셀에 칸델릴라납(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마이카를 90 ℃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되도록 15분간 분산시킨 후 여기에 상기 분산된 한약재 수용성 추출물(글리세린 및 아가파우더 포함)을 투입하여 혼합기로 70℃, 3600 rpm에서 5분 동안 유화시킨 다음 서서히 아지믹싱하면서 35 ℃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안정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이 인체에 미치는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 피험자 100명을 선정한 후 각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10명씩에게 나눠 첩포실험을 하였다.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팔 안쪽에 도포한 후 실험부위에 48시간 폐쇄 첩포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1시간 이후에 피부자극 유무를 판독하였다.
⊙: 반응이 없음; ○: 반응이 의심됨; □: 약한 반응, 경미한 홍반; △: 강한 반응, 홍반, 구진, 부종; ×: 아주강한 반응, 홍반, 구진, 수포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측백나무 줄기를 이용한 비교예 2는 반응이 의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입술의 수분, 유분 및 거칠기 측정, 육안 평가
임상 피험자의 입술 상태 측정은 통합 피부측정 장비 SMSPⅢ 시스템(USBT-TN, KC 테크놀리지, Seou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을 측정하는 Moisture Sensor, 유분과 거칠기를 측정하는 TB(Triple Lens B)로 입술의 수분, 유분, 거칠기를 분석하고, 피부확대 촬영이 가능한 60x렌즈를 이용하여 입술상태에 대한 육안평가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실내는 21 내지 25 ℃의 온도, 40 내지 50%의 습도를 유지하였으며 최초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1주 사용, 2주 사용한 후 측정 전에 클린징 티슈로 입술의 잔여물을 지운 다음 물로 닦고 체액이 입술에 묻지 않도록 하여 20분간 방치하여 측정하였다. 육안평가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30분 후 다시 측정하였다. 측정 위치는 아랫입술의 좌우상하의 중앙 부위로 하였으며, 모든 측정은 3번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2-1. 입술의 수분 측정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사용 전 38.50±4.796 38.69±3.787 43.00±6.000 35.00±3.559 36.75±8.655 39.75±8.421 40.17±4.882 31.41±5.637 33.10±6.794 38.11±2.994
1주 사용 40.25±2.872 40.19±3.569 43.00±7.165 37.00±1.155 38.25±9.251 43.50±9.037 49.39±8.130 32.16±4.892 35.00±6.428 39.17±5.347
2주 사용 46.00±1.826 46.17±7.356 45.75±5.909 35.50±6.557 37.50±8.226 43.00±9.201 56.96±5.931 32.98±5.752 37.13±5.962 42.12±5.812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입술의 수분유지에 도움이 되며, 입술 외피를 개선하여 입술 수분도의 증가를 더욱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2주 까지 사용 후 입술의 수분도가 7 내지 17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2-2. 입술의 유분 측정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사용 전 4.50±2.646 4.47±2.694 4.00±3.464 2.25±1.893 3.25±3.202 4.25±1.893 4.39±2.994 2.13±2.491 2.46±1.496 3.97±2.169
1주 사용 8.00±4.967 6.13±3.511 5.50±4.041 4.25±2.630 3.75±2.872 3.25±3.862 7.13±2.647 3.07±1.544 3.99±2.001 5.88±3.176
2주 사용 5.25±2.062 5.17±2.964 3.75±2.217 3.25±2.217 4.00±0.816 4.50±1.291 6.03±3.117 2.40±2.100 3.07±2.596 4.76±2.195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입술에 유분을 많이 공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입술은 피지선이 많지 않고 입술자체 유분이 극소량이므로 유분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2-3. 입술의 거칠기 상태 측정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사용 전 33.50±3.697 33.79±2.884 28.75±8.578 27.50±8.426 30.00±0.000 27.25±5.737 35.13±2.884 33.41±2.469 32.79±2.964 29.73±3.594
1주 사용 31.00±4.830 31.89±3.599 26.25±9.430 25.50±8.021 28.75±1.500 25.00±6.377 30.29±3.554 33.00±3.647 31.94±3.760 27.54±2.961
2주 사용 25.00±4.397 25.12±4.513 25.75±4.992 24.50±7.188 28.50±1.291 25.00±3.559 25.11±2.119 32.17±2.496 29.13±2.617 24.49±4.511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입술의 거칠기 상태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면 거칠기 상태가 더욱 감소되므로 편백나무 줄기 또는 편백나무와 연교를 혼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4. 입술의 육안 평가
구분 실시예1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1
사용 전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1주 사용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2주 사용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붉음증이 많이 옅어지거나 사라졌으며 각질이 안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가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붉음증 및 각질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항산화( IC 50 (㎍/㎖)) 측정
메탄올에 용해시킨 0.1 mM DPPH 용액 1 ㎖에 화장료 조성물을 희석하여 500 ㎕씩 넣어주고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하여 565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이는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의 환원성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DPPH 라디칼(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며, 대조군으로는 화장료 조성물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32 33.1 41.4 56.5 59.1 61.0 29.2 81.8 76.4 94.5
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보존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4. 사용감 평가
메이크업 및 미용 전공자(아티스트 및 교수 포함) 100명에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5점 척도법(정도가 클수록 5점에 가까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문항은 하기와 같다.
1. 화장료 조성물의 향이 적당하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이 마음에 든다
3. 화장료 조성물의 묽고 된 정도가 적당하다.
4. 화장료 조성물이 입술에 잘 밀착되고 퍼짐성이 좋다.
5.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이 적당하다.
6.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력이 좋다
7. 입술 보습효과가 적절하다.
8. 입술 보호효과가 적절하다.
9. 화장료 조성물의 전반적인 사용감이 만족스럽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문항 1 2.96±0.994 3.01±1.526 2.97±0.958 2.60±0.804 2.69±0.895 2.76±0.976 3.29±0.941 2.95±0.596 2.51±0.631 3.00±0.167
문항 2 3.56±1.018 3.59±0.994 3.48±0.969 3.43±0.902 2.64±0.959 2.81±1.089 3.84±0.537 3.47±1.094 2.99±1.004 3.29±1.451
문항 3 2.98±0.864 2.87±0.534 3.02±0.899 3.02±0.816 3.14±0.899 2.85±0.809 3.11±1.152 3.01±0.529 2.91±1.100 2.56±1.114
문항 4 3.23±0.908 3.34±1.560 3.18±0.833 3.18±0.783 3.23±0.874 3.20±0.841 3.54±0.842 2.84±0.497 2.85±1.403 3.02±0.814
문항 5 3.04±0.737 3.10±0.843 3.14±0.841 3.09±0.854 3.09±0.818 3.15±0.716 3.20±1.042 2.99±1.358 3.02±1.953 3.00±1.409
문항 6 3.22±0.773 3.19±0.994 3.17±0.697 3.04±0.803 3.24±0.842 3.28±0.780 3.42±0.711 2.71±0.943 2.77±0.162 3.04±1.253
문항 7 3.38±0.693 3.24±1.162 3.29±0.656 3.27±0.694 3.40±0.752 3.32±0.764 3.59±0.754 3.01±0.493 2.98±0.884 3.11±0.997
문항 8 3.26±0.747 3.29±0.496 3.13±0.646 3.22±0.760 3.29±0.701 3.26±0.733 3.60±0.594 2.88±1.522 2.91±0.561 2.94±0.616
문항 9 3.06±0.789 3.11±0.946 3.18±0.857 3.07±0.700 3.04±0.875 3.06±0.862 3.42±1.294 3.01±0.496 3.00±1.527 3.03±1.153
전체 3.19±0.548 3.29±0.991 3.17±0.519 3.10±0.475 3.08±0.563 3.08±0.550 3.40±1.107 2.84±0.693 2.90±0.448 3.05±0.945
위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거의 모든 문항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으로서, 용매의 극성이 크기 때문에 천연식물의 수용성과 저분자의 지질이 함께 추출되는데 이러한 성분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주원료인 식물성유지와 혼합도가 낮고 립밤의 제조시 필요한 오일에 섞으면 층이 분리되고 혼탁되는 경향이 있다.
시험예 5. 스펙트럼분석기 측정
도 1 및 도 2는 각각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민들레 전초오일 및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녹차잎 오일을 스펙트럼분석기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민들레 전초오일 및 녹차잎 오일에서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의 혼합형 흡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상기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는 항산화물질로 화장품에 사용하면 산화를 방지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사람의 피부에서도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시 올리브유 대신 카놀라유, 면실유 또는 아몬드유를 사용하더라도 올리브유를 사용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0)

  1. (A)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하는 단계;
    (B)상기 분쇄된 천연식물과 오일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 ℃에서 진탕하여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C)상기 천연식물과 오일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과 천연식물오일로 분리하는 단계; 및
    (D)상기 여과된 천연식물오일과 비즈왁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은 편백나무 줄기, 연교, 상백피, 민들레 전초 및 녹차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은 편백나무 줄기 및 연교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은 편백나무 줄기 및 연교가 1 : 0.5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분쇄된 천연식물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천연식물과 오일은 1: 3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오일은 올리브유, 카놀라유, 면실유 및 아몬드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여과된 천연식물오일과 비즈왁스는 1: 0.2 내지 0.8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1 mm인 자초뿌리 분말을 오일과 혼합한 후 50 내지 70 ℃에서 자초뿌리 분말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은 자초뿌리오일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분쇄된 천연식물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1 mm인 자초뿌리 분말을 더 첨가하여 오일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95843A 2013-08-13 2013-08-13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1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43A KR101515501B1 (ko) 2013-08-13 2013-08-13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43A KR101515501B1 (ko) 2013-08-13 2013-08-13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235A true KR20150019235A (ko) 2015-02-25
KR101515501B1 KR101515501B1 (ko) 2015-05-04

Family

ID=5257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843A KR101515501B1 (ko) 2013-08-13 2013-08-13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002B1 (ko) * 2015-10-07 2017-03-07 김경희 고광택 립스틱
KR102461841B1 (ko) * 2022-05-25 2022-11-02 주식회사 네츄럴샤인 이중 보습 기능을 제공하는 입술 보호용 립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501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244695B1 (ko)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763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38A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7036B1 (ko) 항산화가 우수한 생약복합재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8741A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944764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30089045A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6999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2487655B1 (ko) 새싹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1358A (ko)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