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972A -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972A
KR20150018972A KR20130095215A KR20130095215A KR20150018972A KR 20150018972 A KR20150018972 A KR 20150018972A KR 20130095215 A KR20130095215 A KR 20130095215A KR 20130095215 A KR20130095215 A KR 20130095215A KR 20150018972 A KR20150018972 A KR 20150018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tructure
electrode
lens
shape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255B1 (ko
Inventor
윤성률
경기욱
박선택
박봉제
남세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255B1/ko
Priority to US14/246,485 priority patent/US9885874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Abstract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조부; 상기 렌즈 구조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제2 전극부;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의 물성을 연질로 변경하는 회로부; 및 상기 제2 전극부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를 지지하는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렌즈 구조부의 하부면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유압부을 더 포함함으로써, 쌍안정성을 가진 투명한 유전 고분자 박막을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렌즈 형상으로 변형시켜 광 특성을 변화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Microlens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쌍안정성을 가진 투명한 유전 고분자 박막을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렌즈 형상으로 변형시켜 광 특성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와 프로젝터 및 TV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고해상도 화면뿐 만 아니라 가상 화면 또는 3차원 영상 제공이 가능하다. 가상 화면 기술은 레이저 광원과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기반의 프로젝션 방법을 사용하며, 3차원 영상 기술은 두 눈에 인식되는 영상의 시차로 인해 발생하는 원근감을 구현하여 입체감을 제공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방법을 통해 주로 구현하고 있으나, 정면의 깊이감으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이므로 영상을 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감의 정도가 확연히 구분되는 기술적 한계가 있고, 3D 화면을 보는 시청자들의 눈의 피로감과 어지럼증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단점이 있다.
현재, 프로젝션, 가상 화면 또는 실사와 유사한 3차원 영상을 다양한 전자기기 상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용도에 적합하게 디자인 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그 용도에 따라 일정한 규격을 가진 수동형 렌즈층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수동형 렌즈층은 레이저 건식 유도 에칭법, 디퓨저(diffuser)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라피 방식, 레이저 화학증착과 FIB(focused ion beam) 밀링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있고, 최근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과정의 간소화 및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해 폴리머 물질의 리플로우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PDMS 몰드와 UV 경화 고분자를 이용한 임프린팅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구조물 소재 특성 및 제작 방법상 유연성이 보장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작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으며, 렌즈 사양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일 전자기기 상에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여전히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3454호는 형상기억물질을 사용한 마이크로 렌즈 시트에 관한 것으로, 형상기억물질 기반의 렌즈형상 구조에 가열이 가능한 시트로 열을 인가하여 소재의 Tg (유리천이온도) 이상으로 온도를 가열하면 평면 구조로 바뀌는 특성을 이용한다.
이는 렌즈 형상 변화를 통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로서, 열 인가 시트층을 이용하여 렌즈층에 열을 인가하여 형상을 변형하므로 단일 층의 구조로 구현하기 어렵고, 렌즈 형상의 변형이 Tg 온도 이상일 때만 평면으로 변형되므로 렌즈 초점거리 조절이 한 단계이상으로 조절하기 어려우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상의 렌즈 개별 혹은 일부 렌즈의 선택적 광특성 변경이 어렵고, 광 특성 중 광각의 변화를 주기는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또한, 열 인가에 의해서만 렌즈 형상이 변화하므로 열 전달 속도를 고려할 때 렌즈의 반응 속도면에서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43610호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 위에 폴리머와 액정의 혼합물을 위치시키고, 혼합물이 전기적 신호에 배열되어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해당 선행기술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폴리머와 액정으로 구성된 혼합물의 배열 정도를 달리하여 3차원 영상 제공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렌즈를 제조할 수 있지만 자외선의 조사로 인해 경화되는 폴리머의 특징으로 인해 공정에서 제조된 렌즈 형상의 능동적 변화가 불가하며, 2차원/3차원 디스플레이 전환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8731호는 레지스트 형성 공정, 리플로우 공정 및 수소분자 및 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이용한 애칭과정을 통해 반구면 형상 돌출 구조를 가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 렌즈의 집광도 향상 및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제조 시 마이크로 렌즈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다.
하지만, 해당 선행기술은 공정에서 제조된 렌즈 형상의 능동적 변화가 불가하여 상황에 맞는 능동적인 렌즈 사양 변화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3454호 (공개일 2009.04.03)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43610호 (공개일 2008.05.19)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8731호 (공개일 2011.10.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쌍안정성을 가진 투명한 유전 고분자 박막을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렌즈 형상으로 변형시켜 광 특성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 소재의 쌍안정 특성을 이용하여 변화된 렌즈 형상의 고형화가 가능하므로 동일한 렌즈 구조에서 프로젝션, 가상 디스플레이 및 3차원 영상 등 다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 디스플레이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2차원/3차원 디스플레이의 영상 전환이 가능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조부; 상기 렌즈 구조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제2 전극부;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의 물성을 연질로 변경하는 회로부; 및 상기 제2 전극부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를 지지하는 기저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상기 렌즈 구조부의 하부면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유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조부는 형상 기억 고분자(Shape memory polymer)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제2 전극부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은나노와이어 (Silver nanowire), 그래핀 (Graphene) 및 ITO (Indium tin oxid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조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따라 변형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복수의 전극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전극부는 독립적인 전극 구조를 가지며, 상이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상기 기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구조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구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조부는 상기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기저부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기저부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조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광원; 상기 기저부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 마이크로 미러; 및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마이크로 미러로 전달하도록 광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광도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은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상기 렌즈 구조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부 상부 일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 하부 일부에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열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극부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를 지지하는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구조부를 입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쌍안정성을 가진 투명한 유전 고분자 박막을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렌즈 형상으로 변형시켜 광 특성을 변화 시킬 수 있고, 렌즈 소재의 쌍안정 특성을 이용하여 변화된 렌즈 형상의 고형화가 가능하므로 동일한 렌즈 구조에서 프로젝션, 가상 디스플레이 및 3차원 영상 등 다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한 얇은 박막층에 열 인가 및 전압 인가를 통해 렌즈 형상으로 구현 또는 렌즈 형상을 실시간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시킬 수 있어서 프로젝션 시 디스플레이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2차원/3차원 디스플레이의 영상 전환이 가능할 뿐 만 아니라 동일한 구조에서 가상 디스플레이 및 3차원 영상 제공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렌즈 형상이 열 인가 및 전압 인가에 의해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어서 추가적인 구동부가 불필요하며, 박막 구조 상에서 렌즈 초점거리 조절, 광각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황에 맞는 가변적 운용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결과를 기존 전자기기 및 유연 전자기기에 적용할 경우 박막형의 간단한 구조로 프로젝션 시 디스플레이 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왜곡없는 평면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화면 상 특정 부분의 축소/확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렌즈 형상 변화를 통해 유연 디바이스에 실감 3차원 디스플레이 구현 기능의 탑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형상 변화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형상 변화에 대한 다른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상의 광원 위치 및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렌즈 구조부의 형상에 따른 광 특성 변화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렌즈 구조부의 형상에 따른 광 특성 변화에 대한 다른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하고 신축성이 우수하며,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을 마이크로 렌즈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초기에 평면 구조로 제작한 후 외부 자극에 의한 초기 변형을 통해 원하는 사양의 렌즈 형상으로 제작하는 광 특성 가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렌즈 형상으로 제작한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형성된 투명 유연 전극을 통해 상기 고분자 박막 전체 혹은 선택적 일부 영역에 열을 인가하여 유전성 고분자 박막의 물리적 특성을 연질로 개질한 후 이에 외부 자극, 특히 전압을 인가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형태의 렌즈 형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초기에 평면 상에 박막 구조로 제작한 쌍안정의 고분자 박막에 상기 방법으로 열을 인가하여 박막의 물리적 특성을 연질로 개질한 후 외부 자극, 특히 전압 인가 혹은 박막 하단면에 유체나 공기 유입을 통한 압력을 인가하여 다양한 형태의 렌즈 형상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렌즈 크기 조절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 및 목적에 따라 초점 거리, 광각 조절이 가능하여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가상 디스플레이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 제공, 상기 디스플레이의 유연 디바이스 접목 및 다기능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렌즈 구조부(101), 제1 및 제2 전극부(102, 103), 회로부(104) 및 기저부(105)를 포함한다.
렌즈 구조부(101)는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으로 형성되며,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렌즈 구조부(101)는 쌍안정 특성 및 유전성을 보유한 고분자인 형상기억고분자 (Shape memory polymer)를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특성을 보유한 형상기억고분자는 PTBA (poly(tert-butyl acrylate))가 대표적일 수 있으나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TBA 중합체 또는 다른 형상기억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조부(101)는 상단면 및 하단면 전체에 도포된 제1, 제2 전극부(102, 103)와 기저부(105) 상단면에서 연결된 회로부(104)를 통해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렌즈 구조부(101)의 상단면 혹은 하단면 상에 열이 전달되면 렌즈 구조부가 가지는 쌍안정의 특성에 의해 렌즈 구조부의 물리적 특성이 연성으로 개질되어 렌즈 구조부(101)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즉, 렌즈 구조부(101)는 제1, 제2 전극부(102, 103)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따라 변형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제2 전극부(102, 103)는 렌즈 구조부(10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렌즈 구조부(101)의 형상 변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이 때, 제1, 제2 전극부(102, 103)는 신축성, 유연성 및 투과도가 우수한 나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나노튜브 (Carbon nanotube), 은나노와이어 (Silver nanowire), 그래핀 (Graphene) 및 ITO (Indium tin oxide)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제2 전극부(102, 103)를 형성하는 물질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다른 전극 소재의 사용도 가능하다.
나아가, 제1, 제2 전극부(102, 103) 중 어느 하나의 전극부는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복수의 전극부를 형성할 수 이다.
이 때, 복수의 전극부는 독립적인 전극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각각의 전극부는 상이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전극부(102, 103) 중 어느 하나의 전극부를 복수의 전극부로 패터닝함으로써, 개별 전극부에서 영역 별로 다른 온도의 열을 인가하거나 다른 크기의 전압 인가가 가능하므로 렌즈 구조부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부(104)는 렌즈 구조부(101)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열을 인가하여 유전성 고분자 박막의 물성을 연질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회로부(104)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작 공정 편리성에 따라 렌즈 구조부(101)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중 어느 한 면 상에서 렌즈 구조부(101)에 열을 인가하는 전극 패턴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특히, 렌즈 구조부(101)의 형상 변화를 위해 렌즈 구조부(101)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전극부(102, 103)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회로부(104)는 전압 인가를 위한 접지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회로부(104)는 렌즈 구조부의(101) 광 특성 구현 시 광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독립적인 영역에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계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는 가변적일 수 있다.
이 때, 회로부(104)는 제1, 제2 전극부와 동일한 소재 또는 다른 금속 전극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10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전극부(103)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형성되는 위치는 회로부(104)가 형성되는 위치와 유사할 수 있다.
이 때, 기저부(105)는 유연하고 투명한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광 특성 가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응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서 유연하거나 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렌즈 구조부가 렌즈 형상으로 설계된 경우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렌즈 형상과 같이 반드시 3차원으로 설계할 필요는 없으며, 도 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2차원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렌즈 구조부(101)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제1, 제2 전극부(102, 103), 회로부(104) 및 기저부(10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제2 전극부(102, 103), 회로부(104) 및 기저부(105)와 그 역할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구조 하단에 유압부(106)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유압부(106)는 유체 또는 공기층을 이용하여 렌즈 구조부(101)의 하단면 상에 압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유연한 고분자 소재 기반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107)로 설계가 가능하며,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하단면에 동일한 압력 혹은 상이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설계 또한 가능하다.
이런 유압부(106)는 렌즈 구조부(101)에 열을 인가하여 렌즈 구조부(101)의 물리적 특성을 연질로 개질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곡면의 처짐 현상 또는 곡면이 굴곡이 많은 구조로 변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물론, 유압부(106)를 이용하여 열을 인가하는 동안에도 렌즈 구조부(101) 상의 곡면을 열 인가전과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전압 인가 시 렌즈 구조부 곡면에서 조절이 가능하여 재현이 가능한 대칭적인 변형을 발생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비록,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전압 인가 시 발생할 수 있는 방전현상을 막기 위한 절연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형상 변화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형상의 렌즈 구조부 상단면 및 하단면 전체에 도포된 제1, 제2 전극부와, 기저부 상단면에서 연결된 회로부를 통해 전류를 인가하면, 렌즈 구조부의 상단면 혹은 하단면 상에 열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렌즈 구조부가 가지는 쌍안정의 특성에 의해 렌즈 구조부의 물리적 특성이 연성으로 개질 된다.
이 때, 렌즈 구조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형성된 제1, 제2 전극부를 통해 일정 전압을 인가하면, 렌즈 구조부(201)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정전기력에 의해 렌즈 구조부가 곡률 방향으로 팽창하여 변형된 렌즈 구조부(202)가 될 수 있다.
렌즈 형상의 렌즈 구조부 양끝 단은 기저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곡률 방향으로의 렌즈 구조부 팽창은 제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 형상은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렌즈 구조부의 변형 정도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므로 렌즈 곡률을 다양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렌즈 초점 조절 및 렌즈 사양 조절이 능동적으로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형상 변화에 대한 다른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전극부를 패터닝하여 독립적인 영역을 가지는 구조 (전극영역: 203, 전극이 없는 영역: 204)로 설계하는 경우 개별 전극부에서 영역 별로 다른 온도의 열을 인가하거나 다른 크기의 전압 인가가 가능하므로 렌즈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부가 다수의 독립 전극부로 설계되고 이 중 3개의 영역 (205, 206, 207)에 인가하는 전류 크기를 달리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별로 인가된 열의 차이에 의해 렌즈 구조부의 영역별 물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 때, 복수의 전극부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거나 차별화된 전압을 인가하면 렌즈 구조부 영역별 물성 차이로 인해 영역별 변형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렌즈 구조부의 형상은 비대칭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물론, 렌즈 구조부는 복수의 전극부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렌즈 구조부의 형상을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광각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렌즈 형상의 렌즈 구조부는 형상 변형 시 다소 유리할 수 있고, 평면 혹은 곡률 반경이 큰 렌즈 구조부도 형상 변형을 통한 광 특성 가변이 가능하다.
이 때, 곡면의 처짐 현상 혹은 곡면이 굴곡이 많은 구조로 변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유압부를 기저부 하단에 결합하는 것은 도 5의 구조뿐 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렌즈를 구현하는 구조에 있어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렌즈 구조부는 목적에 따라 구조물의 배열 형태를 달리 할 수 있으나 다수의 렌즈 형상 구조물이 일정한 열과 행간 거리를 같도록 배열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며, 렌즈 구조부는 회로부 설계에 따라 개별, 영역별 또는 전체 형상 변화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조부 상에서 선택적으로 일부 또는 전체 렌즈 형상 변화를 통해 프로젝션을 포함한 다양한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표면의 위치, 형상 및 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왜곡 현상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경우, 입체 영상이 형성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유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되는 대상물의 형상 변화를 고려한 입체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상의 광원 위치 및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구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특성 가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기저부 에 결합된 광원소자에서 발생하는 광을 렌즈 형상의 렌즈 구조부에 직접 조사(도 7a)하는 구조 또는 광원 구조부에 결합된 광원소자에서 나온 광을 마이크로 미러에서 반사시켜 렌즈 형상의 렌즈 구조부로 조사(도 7b)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한 구성의 경우, 렌즈 어레이의 사용 용도에 따라 기저부는 견고한 소재 혹은 유연 소재가 될 수 있고, 광원소자(302)는 기저부 상단에서 렌즈형상의 렌즈 구조부와 평면상 위치가 동일하게 배치할 수 있으나 렌즈 어레이 상에서 다수의 광원소자와 다수의 렌즈 구조부 사이의 배열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광원 소자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음각 몰드(301) 형태로 광원 소자를 제작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때, 광원소자(302)는 박막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또는 칩 형태의 발광다이오드 일 수 있다.
도 7b에 도시한 구성의 경우, 광도파로(303)와 마이크로 미러(305)로 구성된 광 전달 경로를 형성하여 광원소자(304)에서 제공하는 광을 마이크로 렌즈 즉, 렌즈 구조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광원소자(304)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광원소자의 선택이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광 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광도파로(303)는 노광 공정을 사용하거나 마이크로 몰딩 기법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마이크로 미러(305)는 효율적인 광 반사에 용이한 각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코팅막 또는 박막형 렌즈의 부착은 광 반사에 유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렌즈 구조부의 형상에 따른 광 특성 변화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화를 통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광 특성을 변화 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 렌즈 형상의 렌즈 구조부의 물리적 형상을 변화시키는 경우, 변형된 형상에 따라 광원부의 광원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의 초점(F) 거리, 광각의 조절이 가능하며, 도 6에 도시된 제1 전극부가 다수의 전극부를 가지는 구조에서 다수의 전극부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의 조절을 통해 렌즈 구조부의 일부 또는 전체의 형상변화 제어가 가능하다.
즉, 도 6의 구조의 경우, 광원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의 초점(F) 거리, 광각의 조절 뿐만 아니라, 초점 방향까지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전극부가 구조부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초점거리를 짧게 조절할 수 있고, 전극부가 독립적인 영역으로 나눠져 있는 경우에는 초점거리 변화 및 초점 위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초점 거리 및 광각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프로젝션 및 가상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 가상 악기, 가상 게임용 콘트롤 키패드 등에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픽셀 형태로 1:1 매칭되는 구조로 구현하면 고해상도의 가상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소재를 기반으로 하므로 신체의 일부분 또는 곡률을 가진 구조물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착용형 및 스킨 패치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3차원 이미지 구현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은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렌즈 구조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제1 전극부 상부 일부 또는 제2 전극부 하부 일부에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열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전극부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렌즈 구조부를 지지하는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렌즈 구조부를 렌즈 형상의 입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렌즈 구조부는 형상 기억 고분자(Shape memory polymer)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은나노와이어 (Silver nanowire), 그래핀 (Graphene) 및 ITO (Indium tin oxid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복수의 전극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전극부 각각은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거나 상이한 전압이 인가되어 렌즈 구조부의 변형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렌즈 구조부의 하부면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유압부를 기저부가 형성된 구조물의 하부면에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제조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하부에 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구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술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조부;
    상기 렌즈 구조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제2 전극부;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의 물성을 연질로 변경하는 회로부; 및
    상기 제2 전극부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를 지지하는 기저부;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부의 하부면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유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부는
    형상 기억 고분자(Shape memory polymer)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극부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은나노와이어 (Silver nanowire), 그래핀 (Graphene) 및 ITO (Indium tin oxid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따라 변형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복수의 전극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부는
    독립적인 전극 구조를 가지며, 상이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구조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구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구조부는
    상기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기저부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기저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구조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광원;
    상기 기저부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 마이크로 미러; 및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마이크로 미러로 전달하도록 광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광도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11. 쌍안정의 유전성 고분자 박막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렌즈 구조부의 형상 변화를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상기 렌즈 구조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부 상부 일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 하부 일부에 상기 유전성 고분자 박막에 열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극부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 구조부를 지지하는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구조부를 입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부의 하부면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유압부를 상기 기저부가 형성된 구조물의 하부면에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형상 기억 고분자(Shape memory polymer)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 구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극부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은나노와이어 (Silver nanowire), 그래핀 (Graphene) 및 ITO (Indium tin oxid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극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 구조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복수의 전극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 방법.
KR1020130095215A 2013-08-12 2013-08-12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215A KR102062255B1 (ko) 2013-08-12 2013-08-12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US14/246,485 US9885874B2 (en) 2013-08-12 2014-04-07 Microlens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215A KR102062255B1 (ko) 2013-08-12 2013-08-12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972A true KR20150018972A (ko) 2015-02-25
KR102062255B1 KR102062255B1 (ko) 2020-01-03

Family

ID=5244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215A KR102062255B1 (ko) 2013-08-12 2013-08-12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85874B2 (ko)
KR (1) KR102062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104A (ko) 2016-03-30 2017-10-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젤을 이용한 초점 가변 수정체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052B1 (ko) * 2014-11-03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612362B2 (en) 2015-01-27 2017-04-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hin active optical zoom len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597535A (zh) * 2015-02-16 2015-05-06 杭州清渠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磁效应的光学特性可调控透镜
CN104597599A (zh) * 2015-02-16 2015-05-06 杭州清渠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调控微镜阵列的成像装置
CN104597534A (zh) * 2015-02-16 2015-05-06 杭州清渠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控复眼透镜阵列及其制作方法
US10690849B2 (en) * 2016-06-06 2020-06-23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Integrated micro-lens waveguid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9239935A (zh) * 2018-11-16 2019-01-18 苏州大学 一种莫尔成像系统
KR102214328B1 (ko) * 2019-07-01 2021-02-15 주식회사 멤스룩스 비대칭형 출광 패턴을 갖는 디퓨져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1165794A (ja) * 2020-04-07 2021-10-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427A (en) * 1993-05-25 1996-02-20 Sharp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display unit with a variable lens
KR20030022583A (ko) * 2001-09-11 2003-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2d/3d 겸용 디스플레이
US20070091037A1 (en) * 2005-10-21 2007-04-26 Yee-Chun Lee Energy Efficient Compact Display For Mobile Device
KR20080043610A (ko) 2006-11-14 2008-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3454A (ko) 2006-07-28 2009-04-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형상 기억 물질을 사용한 부유 이미지를 갖는 마이크로렌즈시트
KR20110068039A (ko) * 2009-12-15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소자
KR20110118731A (ko) 2009-03-25 2011-10-31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KR20120011424A (ko) * 2010-07-29 2012-02-08 주식회사 팬택 능동형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6283B2 (en) * 2007-02-05 2014-12-09 University Of Massachusetts Stimuli-responsive surfaces and related methods of fabrication and use
US9442285B2 (en) * 2011-01-14 2016-09-1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Optical component array having adjustable curvature
KR101921172B1 (ko) * 2011-05-18 2018-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427A (en) * 1993-05-25 1996-02-20 Sharp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display unit with a variable lens
KR20030022583A (ko) * 2001-09-11 2003-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2d/3d 겸용 디스플레이
US20070091037A1 (en) * 2005-10-21 2007-04-26 Yee-Chun Lee Energy Efficient Compact Display For Mobile Device
KR20090033454A (ko) 2006-07-28 2009-04-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형상 기억 물질을 사용한 부유 이미지를 갖는 마이크로렌즈시트
KR20080043610A (ko) 2006-11-14 2008-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8731A (ko) 2009-03-25 2011-10-31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KR20110068039A (ko) * 2009-12-15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소자
KR20120011424A (ko) * 2010-07-29 2012-02-08 주식회사 팬택 능동형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104A (ko) 2016-03-30 2017-10-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젤을 이용한 초점 가변 수정체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85874B2 (en) 2018-02-06
KR102062255B1 (ko) 2020-01-03
US20150043067A1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8972A (ko)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Yuan et al. Ultrafast three-dimensional printing of optically smooth microlens arrays by oscillation-assisted digital light processing
US9523797B2 (en) Microlens array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52532B1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Zhou et al. Fabrication of large-scale microlens arrays based on screen printing for integral imaging 3D display
KR102211497B1 (ko)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US9134568B2 (en) Varifocal lens
US7738194B2 (en)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19771B2 (en) Deformable optical element, methods of making and uses thereof
KR20050085915A (ko) 고분자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JP2006313248A (ja) 液晶レンズ
TWI498600B (zh) 形成具柱狀透鏡陣列之薄膜之方法
TWI624695B (zh) 軟性液晶透鏡陣列
US1022253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20530590A (ja) 可撓性の液晶セル及びレンズ
TW201113558A (en) Zoom lens array and switchable two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JP2022058422A (ja) 可撓性の調整可能屈折力の液晶セル及びレンズ
Qiu et al. Fabrication of microlens array with well-defined shape by spatially constrained thermal reflow
JP2008233251A (ja) 画像表示装置
Ren et al. A new bistable electroactive polymer for prolonged cycle lifetime of refreshable Braille displays
US10274648B2 (en) Adaptive thermal micro lens
CN108828849A (zh) 柔性液晶透镜及其电阻渐变电极的制备方法
Peng et al. Bistable electroactive polymers for refreshable tactile displays
KR102099393B1 (ko) 반사형 표시 장치
KR20150012400A (ko) 가변 물성 촉각 디스플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