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39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393A
KR20150018393A KR1020140097451A KR20140097451A KR20150018393A KR 20150018393 A KR20150018393 A KR 20150018393A KR 1020140097451 A KR1020140097451 A KR 1020140097451A KR 20140097451 A KR20140097451 A KR 20140097451A KR 20150018393 A KR20150018393 A KR 20150018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terminal
discovery
subfram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33B1 (ko
Inventor
노태균
이경석
안재영
예충일
송평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1480049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531945B/zh
Priority to PCT/KR2014/007276 priority patent/WO2015020431A1/ko
Priority to US14/910,804 priority patent/US20160192426A1/en
Publication of KR2015001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은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를 위한 제1 서브프레임과 디스커버리 신호를 위한 제2 서브프레임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단말은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이 서로 동일한 경우,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디스커버리를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고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METHOD OF DEVICE TO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접성 기반으로 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 간(Device to Device) 통신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3GPP LTE에서도 단말 간 통신을 위한 다양한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단말 간 통신을 위해서는 단말은 상대 단말은 발견하는 절차가 필요하며, 단말은 상대 단말을 발견하기 위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이러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효과적인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를 위한 제1 서브프레임과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위한 제2 서브프레임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디스커버리를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고 상기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셀별로(cell-specifically)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자원 영역이 포함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자원 영역이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의 자원 영역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서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셀 별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물리계층 상량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의 자원 영역에서는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고, 상기 자원 영역의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자원 영역에서,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을 제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외된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디스커버리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셀별(cell-specifically) 또는 단말별(UE-specifically)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셀별 또는 단말별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상량링크 액/낵(Ack/Nack)을 포함하는 물리계층 상량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주기적인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그리고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상량링크 액/낵은 하향링크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의 초전송(initial transmission)에 해당하는 물리계층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에 대한 상향링크 액/낵일 수 있으며, 상기 물리계층 상량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량링크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의 초전송(initial transmission) 또는 재전송(retransmission)에 해당하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이 상대 단말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단말이 제1 단말 그룹 및 제2 단말 그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할되는 단계,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영역이 제1 자원 그룹 및 제2 자원 그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할되는 단계,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단말 그룹이 상기 제1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에서, 상기 단말 제2 그룹이 상기 제2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2 기간에서, 상기 제2 단말 그룹이 상기 제1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기간에서, 상기 제1 단말 그룹이 상기 제2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그룹은 상기 제2 자원 그룹보다 자원의 량이 적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이 분할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을 상기 제1 단말 그룹, 상기 제2 단말 그룹, 제3 단말 그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에서, 상기 제3 단말 그룹은 상기 제2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3 기간에서, 상기 제3 단말 그룹은 상기 제1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3 기간에서, 상기 제1 단말 그룹 및 상기 제2 단말 그룹은 상기 제2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이 분할되는 단계는, 기지국이 상기 그룹의 개수를 상기 복수의 단말로 알려주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단말이 각각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그룹과 상기 제2 자원 그룹은 시간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시간 영역은 옵셋, 제1 주기, 상기 제1 주기를 복수 개 포함하는 제2 주, 그리고 비트맵을 포함하는 변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그룹과 상기 제2 자원 그룹은 주파수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각 자원 그룹은 물리자원블록쌍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주기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그룹 및 상기 제2 자원 그룹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제외한 자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단말 간 디스커버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디스커버리(discovery)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디스커버리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커버리 방식의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디스버리 방식의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복수의 그룹에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기본적인 방법(basic scheme)과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을 비교한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의 다중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와 같은 자원 영역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과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자원이 겹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device)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머신 타입 통신 단말(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TCD)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MTCD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은 하나의 셀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의미로 사용된다. 실제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적인 기지국은 복수의 셀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물리적인 기지국은 명세서에 기재된 기지국은 여러 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각 셀마다 다르게 할당되는 할당되는 파라미터는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값으로 할당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 간에는 서로 직접 신호를 주고 받으며, 단말은 상대 단말을 발견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디스커버리(discovery)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의 1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간 디스커버리는 단말들이 모두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1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간 디스커버리는 단말들이 모두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의 1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간 디스커버리는 단말들 중 일부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있고 나머지는 커버리지 밖에는 경우(즉, 부부적인 네트워크 커버리지인 경우)에서 발생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디스커버리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간 디스커버리의 연결 관계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과 수신하는 단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서, 110은 일대일(one-to-one) 디스커버리, 120은 일대다(one-to-many) 디스커버리, 130은 다대일(many-to-one) 디스커버리를 나타낸다.
일대일 디스커버리(110)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도 하나이고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도 하나인 경우를 나타낸다. 일대다 디스커버리(120)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하나이나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인 복수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다대일 디스커버리(130)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복수 개이고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하나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대일 디스커버리(11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일대다 디스커버리인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각 단말은 일대일 디스커버리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대일 디스커버리인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각 단말은 일대일 디스커버리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간 디스커버리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결정하는 주체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제1 디스커버리 방식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결정하는 주체가 기지국인 경우이며, 제2 디스커버리 방식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결정하는 주체가 단말인 경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커버리 방식의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제1 단말(320)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며, 제2 단말(320')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다. 제1 단말(320)은 제1 기지국(310)에 속해 있는 단말이며 제2 단말(320')은 제2 기지국(310')에 속해 있는 단말일 수 있지만, 제1 단말(320) 및 제2 단말(320')은 동일한 기지국에 속해 있을 수 있다.
도 3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결정하는 주체를 기지국으로 가정하였지만, 디스커버리가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디스커버리 신호를 결정하는 주체가 기지국이 아닐 수 있다. 단말들이 모두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 단말 중 하나가 코디네이터(coordinator)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코디네이터는 도 3에서의 기지국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들 중 일부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있고 나머지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즉, 도 1의 120의 경우),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 중 하나가 릴레이 노드(relay node)로 선정될 수 있다. 이때, 릴레이 노드는 도 3에서의 기지국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디스커버리 방식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결정하는 주체는 기지국이 될 수도 있고,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디스커버리 방식은 디스커버리 요청(S310), 측정 요청(S320), 측정 보고(S330), 전송 할당(S340), 수신 할당(S350),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S360), 디스커버리 보고(S37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의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일부 단계는 상황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도 3에서는 제1 단말(320)이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하였는데, 도 3과 달리 제1 기지국(310)은 제1 단말(320)에게 수신 할당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기지국(310)으로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10). 도 3에서는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하는 제1 단말(320)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하는 단말과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달리, 제2 단말(320')이 디스커버리 요청을 제2 기지국(310')으로 전송하고, 제1 단말(320)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디스커버리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전송하는 디스커버리 요청은 생략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요청에는 디스커버리 대상이 되는 단말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 요청에는 개방된 디스커버리(open discovery)인지 폐쇄된 디스커버리(restricted discovery)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310)은 제1 단말(320)로 측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20).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물리 자원,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 포맷 등을 결정하기 위해, 제1 기지국(310)은 제1 단말(320)로 측정 요청을 전송한다. 측정 요청에는 측정해야 할 물리 자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측정 요청을 수신한 제1 단말(320)은 측정 요청에 따라 해당 물리 자원을 측정하여, 제1 기지국(310)으로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S330). 측정 보고에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한(선호하는) 물리 자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보고에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한(선호하는) 전송전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은 제1 단말(320)로 전송 할당을 전송할 수 있다(S340). 제1 단말(320)은 전송 할당에 따라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전송 할당 정보에는 전송 할당인지 수신 할당인지에 대한 구별자, 주기적인 전송인지 비주기적인 전송인지에 대한 구별자, 주기적인 전송일 경우 활성화인지 해제인지에 대한 구별자, 비주기적인 전송일 경우 전송 회수, 스크램블링 코드, 물리 자원, 전송 포맷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송 할당은 물리계층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또는 물리계층 하향링크 데이터채널 Physical Downlink Data Channel, PDD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전송 할당이 물리계층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수신 성공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물리계층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성공적으로 복조한 경우에만 수신 성공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주기적인 전송일 경우 활성화인지 해제인지에 대한 구별자는 전송 할당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이 구별자는 매체접근제어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 하향링크 제어 요소(control element)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2 기지국(310')은 제2 단말(320')로 수신 할당을 전송할 수 있다(S320'). 이 수신 할당(S320')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단말(320')이 수신 할당을 수신하는 경우, 제2 단말(320')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제2 단말(320')이 수신 할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2 단말(320')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 대해 블라인드(blind) 복조를 수행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기지국(310')은 단말(320')로 시스템 정보를 통해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줄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시스템 정보는 3GPP LTE에서 SI(System Information) 또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등이 될 수 있다.
수신 할당 정보에는 전송 할당인지 수신 할당인지에 대한 구별자, 주기적 전송인지 비주기적인 전송인지에 대한 구별자, 주기적인 전송일 경우 활성화인지 해제인지에 대한 구별자, 비주기적 전송일 경우 전송 회수, 스크램블링 코드, 물리자원, 전송 포맷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수신 할당은 물리계층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또는 물리계층 하향링크 데이터채널 Physical Downlink Data Channel, PDD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전송 할당이 물리계층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수신 성공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물리계층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성공적으로 복조한 경우에만 수신 성공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주기적인 전송일 경우 활성화인지 해제인지에 대한 구별자는 수신 할당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이 구별자는 매체접근제어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 하향링크 제어 요소(control element)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 제2 단말(320')은 디스커버리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S370). 한편, 제2 단말(320')은 디스커버리 보고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단말(320')이 디스커버리 보고를 전송하는 경우, 제2 단말(320')은 디스커버리 보고를 제2 기지국(310') 또는 제1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보고에는 디스커버리 식별자,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전력,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 지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디스버리 방식의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제1 단말(420)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고, 제2 단말(420')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다. 제2 디스커버리 방식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의 물리 자원, 전송 포맷, 전송 전력 등을 결정한다. 제2 디스커버리 방식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는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에서 선택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는 제1 단말(420)과 제2 단말(420')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기지국이 제1 단말(420)과 제2 단말(420')로 시스템 정보를 미리 알려줄 수 있다. 제1 단말(420)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해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S410). 제2 단말(420')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 대해 블라인드 복조를 수행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단말(420)이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임의 선택을 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해시함수(hash function)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해시 함수의 입력은 단말의 식별자, 셀의 식별자 또는 단말의 식별자와 셀의 식별자의 조합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단말의 식별자는 3GPP LTE에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TMSI(SAE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이 될 수 있다. 단말이 RRC_CONNECTED 상태일 경우에는 C-RNTI, IMSI 또는 S-TMSI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단말이 RRC_IDLE 상태일 경우에는 IMSI 또는 M-TMS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셀의 식별자는 3GPP LTE에서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또는 가상 셀 식별자(Virtual Cell ID) 등이 될 수 있다. 셋 번째 방식은 물리적인 측정을 기반으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제2 단말(420')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 후 디스커버리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S420). 한편, 제2 단말(420')은 디스커버리 보고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단말(420')이 디스커버리 보고를 전송할 경우, 제2 단말(420')은 디스커버리 보고를 제1 단말(420) 또는 제2 단말(420')이 속한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보고에는 디스커버리 식별자,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전력,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 지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 집합을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Discovery Resource Region, DRR)이라고 정의한다.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변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각 변수 집합을 구성하는 변수는 옵셋(offset), 제1 주기, 제2 주기, 비트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하나의 변수 집합으로 표현된다.
먼저, 옵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의 값 0을 기준으로 비트맵이 시작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옵셋의 값은 0부터 제1 주기의 값 또는 0부터 제2 주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옵셋의 값이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프레임 또는 프레임이 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의 한 예로 3GPPP LTE에서는 1ms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자원 단위가 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한 예로 3GPPP LTE에서는 10ms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자원 단위가 될 수 있다.
비트맵의 길이는 1부터 제1 주기의 값까지 가질 수 있다. 비트맵의 각 비트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비트맵 값인 0 또는 1을 통해서, 해당 서브프레임이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다.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이 비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되는 경우, 비트맵 방식이 유용하다. 한편,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이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의 길이만 알면 된다. 따라서, 각 벽수 집합을 구성하는 변수로 비트맵이 아닌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는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기를 단위로 동일한 비트맵이 제2 주기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비트맵은 제2 주기 동안 제2 주기를 제1 주기로 나눈 값만큼 반복된다. 그리고, 다음 제2 주기 동안 비트맵은 이전 제2 주기긴 동안의 비트맵과 동일할 수 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1 주기의 값의 단위는 서브프레임 또는 프레임이 될 수 있고, 제2 주기의 값의 단위는 프레임이 될 수 있다.
한편,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나타내는 변수의 집합이 복수 개인 경우, 각 변수 집합에 포함 또는 배제를 나타내는 변수인 '포함 여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두 개의 변수 집합으로 표현할 경우, 첫 번째 변수 집합의 포함여부는 '포함'이고, 두 번째 변수 집합의 포함여부는 '배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첫 번째 변수 집합이 나타내는 영역을 포함하고, 두 번째 변수 집합이 나타내는 영역을 제외한다.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나타내는 변수 집합이 복수 개일 경우, 각 변수 집합은 상기에서 설명한 '포함 여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각 변수 집합이 나타내는 영역의 합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시스템 대역폭 전체에 대해 물리자원블록쌍 단위의 비트맵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원 할당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자원 할당 방식의 예로 3GPP LTE에서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 0(uplink resource allocation type 0) 또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 1(uplink resource allocation type 2)이 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복수 개의 자원 할당 방식으로 표현하는 경우, 각 자원 할당 방식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서로 다른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자원 할당 방식을 구별하는 자원할당방식구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복수 개의 자원 할당 방식으로 표현하는 경우, 포함 또는 배제를 나타내는 변수인 '포함여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포함 여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시간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서 포함된 변수인 '포함여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주파수 영역의 자원 영역을 복수 개의 자원 할당 방식으로 표현되는 경우, 상기의 '포함 여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각 자원 할당 방식이 타내는 영역의 합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것이지만, 제2 주기 동안 동일한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주기 동안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이전 제2 주기 동안의 주파수 영역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동일할 수 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주는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의 자원 영역이 서로 겹치는 경우, 그 겹치는 영역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서 배제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자원 영역은 서빙 셀에 대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자원 영역을 지칭할 수도 있고, 서빙 셀과 인접 셀의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자원 영역의 합집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인접 셀의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자원 영역을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자원 영역의 관계에 대해선 아래의 도 10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줄 수 있는데,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서빙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인접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 줄 수 있다. 여기서, 서빙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인접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인접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인접 셀 별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개방형(open) 디스커버리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폐쇄형(restricted)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 줄 수 있다. 여기서, 개방형 디스커버리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폐쇄형 디스커버리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개방형 디스커버리 또는 폐쇄형 디스커버리는 각각의 세부 그룹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요청에 사용되는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디스커버리 응답에 사용되는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디스커버리 요청에 사용되는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디스커버리 응답에 사용되는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_IDLE(Radio Resource Control_IDLE) 단말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RRC_CONNECTED(Radio Resource Control_CONNECTED) 단말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 줄 수 있다. 여기서, RRC_IDLE 단말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RRC_CONNECTED 단말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RRC_CONNECTED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디스커버리 자원은 각 단말별로 할당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자원이 각 단말별로 할당되는 방법은 준정적(semi-persistent) 할당 방법과 동적(dynamic) 할당 방법이 있다. RRC_CONNECTED 단말이 사용하는 디스커버리 자원은 준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이 디스커버리 자원에 디스커버리 신호를 복수 번 전송할 수 있다. 또 RRC_CONNECTED 단말이 사용하는 디스커버리 자원은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단말은 디스커버리 자원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한 번 전송하며,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때마다 디스커버리 자원을 매 번 할당받는다. 또 RRC_CONNECTED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디스커버리 자원은 각 단말별로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즉 RRC_CONNECTED 단말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에서 자신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자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RRC_IDLE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디스커버리 자원은 각 단말별로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즉 RRC_IDLE 단말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에서 자신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자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주는 방식은 시스템 정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와 RRC 시그널링의 조합이 있을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기지국이 셀 내의 모든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방송하는 방식이다. RRC 시그널링은 기지국이 셀 내의 각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시스템 정보와 RRC 시그널링의 조합을 사용할 경우, 셀 내의 모든 단말에게 공통적인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알려주고, 셀 내의 모든 단말에게 공통적이지 않는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준다.
한편,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시스템 정보를 통해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주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의 변경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3GPP LTE에서,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의 변경 여부는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의 sytemInfoValueTag 또는 페이징 메시지의 sytemInfoModification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알려줄 수 잇다.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는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이 존재한다. 디스커버리 자원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에서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선택할 수 도 있고, 기지국이 단말로 직접 알려줄 수도 있다. 여기서, 기지국이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 색인을 알려줌으로써 디스커버리 자원을 직접 알려준다. 기지국이 단말로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주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 색인을 알려준다. 한편, 기지국이 단말로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주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의 색인과 그 디스커벌리 자원 영역 내의 디스커버리 자원 색인을 알려준다.
기지국이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을 알려주는 방법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주고, 단말이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으로 알려준 복수 개의 자원 모두에 대해 블라인드 복조를 수행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찾는다.
기지국이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을 알려주는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단말로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여기서,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 중 하나의 자원을 MAC CE(Control Element),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알려준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을 알려줄 때, 송수신구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수신구별자를 이용해, 단말은 해당 디스커버리 자원을 통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할 지 또는 수신할지를 구별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은 상기의 방법을 통해 알려진 디스커버리 자원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고,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상기 방법을 통해 알려진 디스커버리 자원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복조한다.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을 알려주는 방식과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로 디스커버리 자원을 알려주는 방식을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로는 디스커버리 자원을 알려줄 수 있고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로는 디스커버리 자원을 알려주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내의 모든 디스커버리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복조를 수행한다.
기지국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단말에게 알려주고, 단말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선택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 개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단말에게 알려주는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과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로 서빙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인접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주는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서빙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에서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선택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서빙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뿐만 아니라 인접 셀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 대해서 블라인드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이 단말로 RRC_IDLE 단말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RRC_CONNECTED 단말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알려주는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자신의 상태(즉, RRC_IDLE 또는 RRC_CONNECTD)에 따라 해당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에서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선택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RRC_IDLE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뿐만 아니라 RRC_CONNECTD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 대해 블라인드 복조를 수행한다.
단말이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 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임의 선택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전체를 대상으로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고,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 특정 서브프레임을 제외하고 임의 선택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은 자원 그룹 A 또는 자원 그룹 B 전체를 대상으로 임의 선택을 할 수도 있고, 자원 그룹 A 또는 자원 그룹 B 중 특정 서브프레임을 제외하고 임의 선택을 할 수도 있다. 셀룰러 링크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을 제외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동작은 셀룰러 링크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자원 그룹 A 또는 자원 그룹 B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특정 서브프레임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전송할 수 있도록 셀별로(cell-specifically) 또는 단말별로(UE-specifically)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도록 셀별로(cell-specifically) 또는 단말별로(UE-specifically)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A/N(Ack/Nack)을 포함하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주기적인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등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향링크 A/N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의 초전송(initial transmission)에 해당하는 물리계층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에 대한 상향링크 A/N(Ack/Nack)이 될 수 있다. 또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SPS의 초전송 또는 재전송(retransmission)에 해당하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서로 겹치지 않는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자원 그룹 A이고, 다른 하나는 자원 그룹 B이다. 자원 그룹 A는 자원 그룹 B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디스커버리 자원을 점유할 수 있다.
각 셀의 단말들을 Ng 개의 단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 그룹의 개수인 Ng를 명시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또 기지국은 단말로 시간 영역의 자원 영역을 나타내는 변수인 제2 주기와 제1 주기로 Ng를 암묵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Ng는 제2 주기를 제1 주기로 나눈 값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Ng를 알려줄 때, Ng를 시스템 정보에 포함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임의 선택을 통해 단말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해시함수를 통해 단말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해시 함수의 입력은 단말의 식별자, 셀의 식별자 또는 단말의 식별자와 셀의 식별자의 조합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단말의 식별자는 3GPP LTE에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TMSI(SAE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이 될 수 있다. 단말이 RRC_CONNECTED 상태일 경우에는 C-RNTI, IMSI 또는 S-TMSI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단말이 RRC_IDLE 상태일 경우에는 IMSI 또는 M-TMS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셀의 식별자는 3GPP LTE에서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또는 가상 셀 식별자(Virtual Cell ID) 등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주기에서, 자원 그룹 A를 사용하여 하나의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 그룹 B를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다음 제1 주기에서, 자원 그룹 A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복수의 그룹에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Ng가 3이고, 자원 그룹 A(Resource group A)는 NsA 서브프레임들을 점유하고 있으며 자원 그룹 B(Resource group B)는 NsB(=Ns-NsA) 서브프레임들을 점유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Ns는 한 주기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DDR)에서의 총 서브프레임 개수를 의미한다.
첫 번째 제1 주기(610)에서, 자원 그룹 A를 사용하여 제1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 그룹 B를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제2 및 제3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두 번째 제1 주기(620)에서, 자원 그룹 A를 사용하여 제2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 그룹 B를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제1 및 제3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셋 번째 제1 주기(630)에서, 자원 그룹 A를 사용하여 제3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 그룹 B를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제1 및 제2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도 6에서는 Ng=3 이고, 자원 그룹 A와 자원 그룹 B가 각각 명시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에서 자원 그룹 A와 자원 그룹 B 중 하나는 명시적으로 존재하고 나머지 하나는 암묵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명시적인 자원 그룹에 속한 단말 그룹들의 단말들만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자원 그룹에 속한 단말 그룹들의 단말들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로, 자원 그룹 A가 명시적으로 존재하고 자원 그룹 B가 암묵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제1 주기에서 제1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만들만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두 번째 제1 주기에서 제2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만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세 번째 제1 주기에서는 제3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만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자원 그룹 B가 명시적으로 존재하고 자원 그룹 A가 묵시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제1 주기에서 제1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만들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 속한 단말들만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두 번째 제1 주기에서 제2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 속한 단말들만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세 번째 제1 주기에서는 제3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 속한 단말들만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제2 주기를 나타내었지만 제2 주기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제1 주기에서, 자원 그룹 A를 사용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그룹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제1 주기의 색일을 Ng로 모듈로(modulo) 연산한 값에 따라 자원 그룹 A를 사용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그룹이 결정될 수 있다.
자원 그룹 A와 자원 그룹 B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서로 겹치지 않는 복수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자원 그룹은 서로 시간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자원 그룹은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고 비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각 자원 그룹은 서로 주파수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자원 그룹은 연속적인 물리자원블록쌍(Physical Resource Block Pair, PRB-pair)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연속적인 물리자원블록쌍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 각 자원 그룹은 서로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의 조합으로 구별될 수도 있다.
자원 그룹 A와 자원 그룹 B를 결정하는 첫 번째 방법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Ng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누고, 자원 그룹 A는 Ng 개의 자원 그룹 중 하나의 자원 그룹으로 구성되고 자원 그룹 B는 Ng-1 개의 자원 그룹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방법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을 두 개의 자원 그룹으로 나누고 자원 그룹 A를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 중 NsA 개의 서브프레임, NprbA 개의 물리자원블록쌍 또는 NsA개의 서브프레임과 NsprA 개의 물리자원블록쌍으로 구성하고, 자원 그룹 B를 디스커버리 자원 중 자원 그룹 A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으로 구성한다.
자원 그룹 A와 자원 그룹 B를 구성하는 자원 그룹의 형태에 따라, 최대 Ng 개의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 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셀에서,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 패턴이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주기 색인에 따라 Ng 개의 서로 다른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셀 간에도 각 셀은 동일한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각 셀은 물리 셀 식별자 또는 가상 셀 식별자에 따라 서로 다른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를 나타낸 것이며, 3개의 자원 그룹은 시간 영역으로 구별된다. 또한 도 7에서는, 셀 별로 서로 다른 자원 그룹 A-자원 그룹 B 패턴을 사용하고, 각 셀에서도 서로 다른 자원 그룹 A - 자원 그룹 B 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8은 기본적인 방법(basic scheme)과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을 비교한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본적인 방법(basic scheme)은 단말과 자원 그룹을 고려하지 않은 랜덤 선택 방법(도 8에서 Basic으로 나타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은 도 6과 같이 단말과 자원 그룹을 고려한 랜덤 선택 방법(도 8에서는 Modified 1, 2, 3으로 나타냄)이다.
도 8에서 Ns=16으로 가정하였으며, 나머지 조건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인 방법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더욱 많은 평균적인 단말 발견 개수(Average number of UEs discovered)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NsA(자원 그룹 A에 할당된 자원)가 적고 자원 그룹의 개수인 Ng가 적을수록(도 8에서 Modified 1), 더욱 많은 단말을 발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Ng와 NsA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성능을 요구하는 다양한 단말의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상향링크 채널이 전송되는 자원의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의 다중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채널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시간 영역으로 다중화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물리자원블록쌍을 주파수 영역으로 다중화할 수 있다. 도 9에서,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일 수 있으며,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일 수 있다. 도 9에서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이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점유하고 있는데, 디스커버리 자원 영역은 시간적으로 불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점유할 수도 있다.
단말이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경우, 셀룰러 링크가 원활히 동작하기 위해서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수신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단말이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고,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송신한다. 또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셀 별로(cell-specifically)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 링크 신호를 위한 서브프레임이 서로 충돌하는 지를 판단하고, 서로 충돌하는 경우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고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신호를 위한 서브프레임은 상기에서 설명한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채널(PUSCH)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셀 별로(cell-specifically)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이 포함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은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configured) 자원 영역(1000)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자원과 겹칠 수 있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이 포함된 서브프레임(1100)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는 단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이 포함된 서브프레임(1100)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는다. 반면,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이 포함된 서브프레임(1100)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 단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에서는 단말이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던지 전송하지 않던지와 무관하게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수신에 방해받지 않고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디스커버리 신호에 방해받지 않고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이 포함된 서브프레임(1100)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 단말은 이 서브프레임(1100)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로 설정된 자원 영역(1000)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자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1200)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서브프레임(1100)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셀 별로(cell-specifically)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은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서브프레임(1100)에서 단말이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은 제외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와 물리계층 상향링크의 동시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와 물리계층 상향링크를 각각 동일 서브프레임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디스커버리 신호와 물리계층 상향링크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는 여부를 RRC 시스널링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로 디스커버리 신호와 물리계층 상향링크의 동시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여기에서 물리계층 상향링크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신호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를 위한 제1 서브프레임과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위한 제2 서브프레임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디스커버리를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고 상기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셀별로(cell-specifically)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자원 영역이 포함된 서브프레임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하는 단말인 방법.
  6.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자원 영역이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의 자원 영역과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서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셀 별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물리계층 상량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인 방법.
  8.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의 자원 영역에서는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고, 상기 자원 영역의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자원 영역에서, 물리계층 상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을 제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외된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디스커버리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셀별(cell-specifically) 또는 단말별(UE-specifically)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셀별 또는 단말별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상량링크 액/낵(Ack/Nack)을 포함하는 물리계층 상량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주기적인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그리고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량링크 액/낵은 하향링크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의 초전송(initial transmission)에 해당하는 물리계층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에 대한 상향링크 액/낵이며,
    상기 물리계층 상량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량링크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의 초전송(initial transmission) 또는 재전송(retransmission)에 해당하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인 방법.
  12. 복수의 단말이 상대 단말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이 제1 단말 그룹 및 제2 단말 그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할되는 단계,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영역이 제1 자원 그룹 및 제2 자원 그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할되는 단계,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단말 그룹이 상기 제1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에서, 상기 단말 제2 그룹이 상기 제2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2 기간에서, 상기 제2 단말 그룹이 상기 제1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기간에서, 상기 제1 단말 그룹이 상기 제2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그룹은 상기 제2 자원 그룹보다 자원의 량이 적은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이 분할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을 상기 제1 단말 그룹, 상기 제2 단말 그룹, 제3 단말 그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에서, 상기 제3 단말 그룹은 상기 제2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3 기간에서, 상기 제3 단말 그룹은 상기 제1 자원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3 기간에서, 상기 제1 단말 그룹 및 상기 제2 단말 그룹은 상기 제2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이 분할되는 단계는,
    기지국이 상기 그룹의 개수를 상기 복수의 단말로 알려주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단말이 각각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그룹과 상기 제2 자원 그룹은 시간 영역으로 구별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은 옵셋, 제1 주기, 상기 제1 주기를 복수 개 포함하는 제2 주, 그리고 비트맵을 포함하는 변수로 표현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그룹과 상기 제2 자원 그룹은 주파수 영역으로 구별되며, 각 자원 그룹은 물리자원블록쌍들로 구성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주기에 대응되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그룹 및 상기 제2 자원 그룹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제외한 자원인 방법.
KR1020140097451A 2013-08-08 2014-07-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KR10224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9388.2A CN105531945B (zh) 2013-08-08 2014-08-06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到装置发现方法
PCT/KR2014/007276 WO2015020431A1 (ko) 2013-08-08 2014-08-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US14/910,804 US20160192426A1 (en) 2013-08-08 2014-08-06 Device-to-device discovery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436 2013-08-08
KR20130094436 2013-08-08
KR1020130115657 2013-09-27
KR20130115657 2013-09-27
KR20130132544 2013-11-01
KR1020130132544 2013-11-01
KR20140010473 2014-01-28
KR1020140010473 201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93A true KR20150018393A (ko) 2015-02-23
KR102249733B1 KR102249733B1 (ko) 2021-05-10

Family

ID=5304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451A KR102249733B1 (ko) 2013-08-08 2014-07-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92426A1 (ko)
KR (1) KR102249733B1 (ko)
CN (1) CN105531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305302B2 (en) * 2013-08-07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05650B2 (en) * 2013-11-01 2019-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iscovery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755181B2 (ja) 2014-03-18 2020-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ワイヤレス端末装置間通信のスケジューリング
EP3120504B1 (en) 2014-03-18 2019-09-11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JP6483154B2 (ja) * 2014-05-01 2019-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6407304B2 (ja) 2014-05-08 2018-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装置および方法
CN106717088A (zh) * 2014-08-06 2017-05-24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和系统
CN106575993B (zh) 2014-08-06 2020-04-28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及其执行的方法
EP3179800B1 (en) * 2014-08-08 2021-03-10 KYOCERA Corporation User terminal
WO2016021983A1 (ko) * 2014-08-08 2016-02-11 주식회사 아이티엘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728835B2 (en) * 2015-04-06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 frequency LTE-D discove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5069B2 (en) * 2010-04-15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oximity detection signal for peer discovery
WO2013030773A1 (en) * 2011-08-30 2013-03-07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evice-to-device discovery portion
CN103733698B (zh) * 2011-09-21 2017-06-13 Lg电子株式会社 控制上行链路信号传输功率的终端装置及其方法
EP2733966B8 (en) * 2012-11-15 2018-05-23 Deutsche Telekom (UK) Limited Method for enhanc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AU2014305302B2 (en) * 2013-08-07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031263A1 (en) * 2013-08-08 2016-06-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05519216B (zh) * 2013-09-05 2019-01-29 Lg 电子株式会社 用于d2d通信的资源分配的方法及其装置
US9749833B2 (en) * 2013-10-08 2017-08-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s between open discovery and cellular resource
US9967810B2 (en) * 2013-10-31 2018-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iscovery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668288B2 (en) * 2014-03-19 2017-05-30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device-to-device oper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WO2015166661A1 (en) * 2014-05-02 2015-11-05 Sharp Kabushiki Kaisha A mechanism of resource-pool configuration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2188* *
3GPP R1-134074 *
3GPP R1-1343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33B1 (ko) 2021-05-10
CN105531945A (zh) 2016-04-27
CN105531945B (zh) 2020-06-09
US20160192426A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1945B (zh)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到装置发现方法
US10660018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6313284B2 (ja) ネットワーク支援型デバイストゥデバイス通信のためのビーコンマネジメント
CN106470485B (zh) 一种无线资源选择方法及终端设备
JP6439952B2 (ja) 通信システム
KR1020650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9182B1 (ko) D2D(Device to Device)통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100204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 방법 및 장치
JP201953165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選択しpscch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254429A1 (en) Signaling for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US20140301228A1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57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tracking channel
KR20150128611A (ko) 장치 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회피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6484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open discovery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3108405A (zh) 无线通信方法和系统
KR20160017640A (ko) 단말 간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송수신 방법
WO2016045341A1 (zh) 一种随机接入信令的发送方法及装置
CN105338589A (zh) 随机接入响应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
KR201500838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40063476A (ko) 단말간 디스커버리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414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및 발견 신호 자원 다중화 방법 및 장치
JPWO2015029954A1 (ja) ユーザ端末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99491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arching resource of discovery signa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512577A (ja) 帯域幅適応参照信号
CN106303899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