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388A -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 - Google Patents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388A
KR20150018388A KR1020140095824A KR20140095824A KR20150018388A KR 20150018388 A KR20150018388 A KR 20150018388A KR 1020140095824 A KR1020140095824 A KR 1020140095824A KR 20140095824 A KR20140095824 A KR 20140095824A KR 20150018388 A KR20150018388 A KR 2015001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tact
wire
electric wire
cau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1439B1 (en
Inventor
사토시 스나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4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in paralle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31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multiphase cables, e.g. with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f a plurality of conductor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ezoelectric connector and a piezoelectric connector attached to a wire for increasing force to maintain a coating wire. The piezoelectric connector (1) is connected to the coating wire (2) having a configuration for coating a core wire part (4) by a coating part (3). The piezoelectric connector (1) has a contact (6) and a housing (5) for maintaining the contact (6). The contact (6) includes a piezoelectric knife edges (41, 42) for cutting the coating part (3) and a caulking part (39) which is caulked to the coating part (3). The caulking part (39) has a first piece part (43) and a second piece part (44) as a pair of piece parts to be faced with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Y1). The first piece part (43) is combined with the coating part (3) of the coating wire (2) by being bent and transformed. The second piece part (44) is arranged to be overlapp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part (43) by being bent and transformed.

Description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본 발명은,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electric wire.

압접 커넥터는, 피복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3355172호 명세서 참조). 구체적으로는, 압접 커넥터는, 콘택트(contact)를 가지고 있다. 콘택트는, 피복 전선의 피복부를 절단하기 위한 압접 칼날과, 피복부에 코킹(caulking)되는 코킹부를 가지고 있다. 코킹부는, 가늘고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편부(片部)를 가지고 있으며, 소성(塑性) 변형 가능하다. 코킹부의 한 쌍의 편부는, 피복 전선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똑바로 연장하고 있다.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vered electric wire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3355172). Specifically,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has a contact. The contact has a press-fitting blade for cutting the covered portion of the coated wire and a caulking portion caulking on the covered portion. The caulking portion has a pair of pieces formed in an elongated strip shape, and can be plastically deformed. The pair of single piece portions of the caulking portion extend straight before they are engaged with the covering wire.

일본특허 제3355172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압접 커넥터와 피복 전선이 접속될 때, 피복 전선은, 콘택트를 향하여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의 피복부는, 콘택트의 압접 칼날에 접촉하여 해당 압접 칼날에 의해서 절단된다. 그리고, 절단된 피복부로부터 노출하는 심선부(芯線部)와 콘택트가 접촉한다.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3355172, when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the coating electric wire are connected, the coated electric wire is displaced toward the contact. As a result, the covered portion of the coated wir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contacting blade of the contact and is cut by the corresponding press-contacting blade. Then, the contact portion contacts the core wire portion exposed from the cut-away covering portion.

그리고, 피복 전선이 콘택트에 삽입된 후, 코킹부의 한 쌍의 편부가 코킹용 펀치의 코킹 가공부에 의해서 구부려진다. 이것에 의해, 코킹부는, 피복부에 파고든다. Then, after the covered wire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a pair of single pieces of the caulking portion are bent by the caulking portion of the caulking punch. Thereby, the caulking portion fits into the covering portion.

그 결과, 콘택트는, 코킹부와, 해당 콘택트의 저부와의 협동에 의해서, 피복 전선에 결합된다. As a result, the contact is coupled to the covering wire by the cooperation of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ct.

일본특허 제3355172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이들 한 쌍의 편부는, 코킹 가공부에 의해서 절곡됨으로써, 피복 전선에 코킹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는, 피복 전선을 꽉 누른다. 한 쌍의 편부는, 피복 전선에 코킹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서로 보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각 편부는, 피복 전선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강도가 약하다. 그 결과, 각 편부는, 각 편부의 선단을 밀어 올리려고 하는 강한 힘을 피복 전선으로부터 받은 경우, 이 힘에 저항할 수 없다. 따라서, 각 편부의 선단은, 들어 올려져 버린다. 각 편부의 선단이 들어 올려져 버리면, 각 편부는, 피복 전선에 코킹된 상태가 해제되어 버려, 피복 전선을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I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3355172, these pair of single piece portions are bent by the caulking portion to be caulked to the covering wire. As a result, the pair of single piece portions press the coated wire tightly. The pair of single-piece portions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alked state with the coated wires, and are not configured to reinforce each other. For this reason, each piece has a weak strength against a force from a covered wire. As a result, each piece is not able to resist this force when it receives a strong force from the covering wire that tries to push up the tip of each piece. Therefore, the tips of the respective one-side portions are lifted. When the tips of the respective pieces are lifted, the respective pieces are released from being caulked to the covered wires, making it impossible to keep the coated wires in a fixed state.

이러한 과제는, 압접 커넥터에 특유의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접 커넥터는, 하우징에 미리 콘택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피복 전선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콘택트의 한 쌍의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하기 위한 코킹용 펀치는, 하우징을 피하도록 하여 콘택트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코킹용 펀치의 코킹 가공부는, 코킹부와 피복 전선을 끼워 넣을 수 없어, 코킹부에 충분한 힘을 걸 수 없다. 따라서, 코킹용 펀치는, 한 쌍의 편부를 피복 전선으로 꽉 누르는 힘을 크게 하기 어려워, 한 쌍의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This problem can be said to be a problem peculiar to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More specifically,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vered electric wir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is already assembled in the housing. For this reason, the caulking punch for caulking a pair of one-side portions of the contacts to the covered electric wir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s while avoiding the housing. For this reason, the caulking portion of the caulking punch can not sandwich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ing wire, and sufficient force can not be applied to the caulking portion. Therefore, the caulking punch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force of pressing the pair of side pieces with the covered wire, and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air of side pieces and the covered wire.

예를 들면, 압착 단자가 이용되는 경우, 압착 단자는, 피복 전선에 코킹된 후에, 하우징에 수용된다. 이 때문에, 압착 단자를 피복 전선에 코킹하기 위한 코킹용 펀치는, 하우징을 피하도록 하여 압착 단자의 코킹부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코킹용 펀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편부와 피복 전선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코킹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코킹용 펀치는, 압착 단자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매우 큰 힘을 작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압착 단자의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높게 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는, 압접 커넥터에 특유하다고 말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crimp terminal is used, the crimp terminal is caulked to a covered wire and then housed in the housing. For this reason, the caulking punch for caulking the crimp terminal to the covered electric wire does not ne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aulked portion of the crimp terminal so as to avoid the housing. Therefore, the caulking punch can perform the caulking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single pieces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are sandwiched, for example. Therefore, the caulking punch can exert a very large force between the crimp terminal and the coated wire, and as a resul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aulked portion of the crimp terminal and the covered wire can be increased.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in this way can be said to be peculiar to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한 것에 의해,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electric wire which can increase the force for holding a covered electric wire by considering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관한 압접 커넥터는, 심선부(芯線部)를 피복부에 의해 피복한 구성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접속되는 압접 커넥터로서,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콘택트(contact)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피복부를 절단하기 위한 압접 칼날과, 상기 피복부에 코킹(caulking)되는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병렬 방향으로 마주 보는 한 쌍의 편부(片部)로서의 제1 편부 및 제2 편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1)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ccording to a certai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 covered electric wi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ore wire portion is covered with a covering portion, And a housing for holding the contact, wherein the contact includes a press-contacting blade for cutting the cover, and a caulking portion caulking on the cover, wherein the caulking portion comprises: And a first piece portion and a second piece portion as a pair of pair of pieces facing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paralle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piece portion is deformed by flexure, And the second piec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verlap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portion by bending deforma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에 피복 전선이 접속된 경우에서, 제2 편부는, 제1 편부와 겹쳐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편부의 선단부를 들뜨게 하려고 하는 힘이 피복 전선으로부터 제1 편부에 작용한 경우에, 제2 편부는, 이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힘이 큰 경우에도, 콘택트는,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콘택트가 하우징에 조립된 후에 해당 콘택트에 피복 전선이 코킹되는 압접 커넥터에서는, 코킹부의 근처에 하우징이 존재하고 있는 결과, 코킹부와 피복 전선을 끼우도록 코킹용 펀치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편부와 제2 편부와의 서로 겹침에 의해,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접 커넥터에 있어서,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vered wire is connected to the contact, the second piece portion overlaps with the first piece.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force to lift the tip of the first piece is applied to the first piece from the coated wire, the second piece can receive this force. Therefore, even when the force is large, the contact can more reliably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irst piece and the coated wire.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ing electric wire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a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piece and the covering electric wire when the first piece is caulked to the covering electric wire. In the pressure contact connector in which the contact wire is caulked to the contact after the contact is assembled to the housing, the housing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caulking portion. As a result, the caulking punch can not be placed so as to sandwich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ed wir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piece is caulked to the coated wire,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a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piece and the coated wire. However, in this case as well,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ing electric wire can be increased by overlapping the first and second pieces.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force of holding the covered electric wire in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2)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편부를 지지하는 제1 측부와, 상기 제2 편부를 지지하는 제2 측부와,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피복 전선의 일부를 배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 Preferably, the contact includes a first side portion supporting the first piece, a second side portion supporting the second piec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to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is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side part, the second side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이 구성에 의하면, 코킹부의 제1 편부 및 제2 편부와, 연결부에 의해서, 피복 전선을 콘택트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ated wire can be firmly fixed to the contact by the first piece, the second piece,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ulking portion.

(3)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를 받아 들이는 벽부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접 칼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코킹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3) Preferably, the housing includes a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the contact, a wall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opening, wherein the opening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ressure-contacting blade, the connec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는, 수용부의 벽부에 받아 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 및, 해당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킹부를, 하우징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다. 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피복 전선을 콘택트에 삽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received by the wall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s a result,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aulk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protected by the housing. Further, since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he covered electric wire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ct through the opening portion.

(4)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편부의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2 편부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4) Preferably, the length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iece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iece.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와 제2 편부가 서로 겹쳐졌을 때에, 제1 편부의 선단부가 제2 편부에 걸려 버리는 현상과, 제2 편부의 선단부가 제1 편부에 걸려 버리는 현상이 동시에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의 걸림 현상에 기인하여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piece and the second pie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leading end of the first piece is caught by the second piece, and the leading end of the second piece is caught by the first piece.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ece and the coated wire due to the above-mentioned catching phenomenon.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편부의 상기 길이는, 상기 제2 편부의 상기 길이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5) More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first piece portion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piece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의 선단부는, 보다 확실히 피복 전선에 파고 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ip end of the first piece can be more reliably dug into the coated wire. Therefor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ece and the coated wire can be made higher.

(6)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관한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는, 상기 압접 커넥터와,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피복 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편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6)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connector with a wire with insulation according to any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a covered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contact, And the second piece portion overlaps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1 편부의 선단부를 들뜨게 하려고 하는 힘이 피복 전선으로부터 제1 편부에 작용한 경우에, 제2 편부는, 이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힘이 큰 경우에도, 콘택트는,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콘택트가 하우징에 조립된 후에 해당 콘택트에 피복 전선이 코킹되는 압접 커넥터에서는, 코킹부의 근처에 하우징이 존재하고 있는 결과, 코킹부와 피복 전선을 끼우도록 코킹용 펀치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편부를 피복 전선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편부와 제2 편부와의 서로 겹침에 의해, 코킹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에 있어서,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force to lift the tip of the first piece is applied to the first piece from the coated wire, the second piece can receive this force. Therefore, even when the force is large, the contact can more reliably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irst piece and the coated wire.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ing electric wire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a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piece and the covering electric wire when the first piece is caulked to the covering electric wire. In the pressure contact connector in which the contact wire is caulked to the contact after the contact is assembled to the housing, the housing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caulking portion. As a result, the caulking punch can not be placed so as to sandwich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ed wir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piece is caulked to the coated wire,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a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piece and the coated wire. However, in this case as well,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ulking portion and the covering electric wire can be increased by overlapping the first and second pieces.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force of holding the coated wire in the connector with the electric wire.

(7)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로 파고 들어가 있다.(7) More preferably,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is pierced into the covering portion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와 피복 전선과의 결합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ece and the coated wire can be made larger.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for holding the coated wire can be made larg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압접 커넥터가, 피복 전선 및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압접 커넥터 및 피복 전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피복 전선이 코킹되기 전의 상태의 압접 커넥터의 저면측을 본 사시도이며, 압접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압접 커넥터의 상면측을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압접 커넥터의 배면도이며, 피복 전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압접 커넥터의 배면도이며, 피복 전선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2개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코킹용 펀치 및 압접 커넥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의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overed electric wire and a mating connector;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the coated wi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n a state before the covered electric wire is caulked, and shows a part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ig. 5 is a rear view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ed electric wire is connected. Fig.
Fig. 6 is a rear view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covered electric wire is connect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wo contacts.
8 is a rear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caulking punch and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ig. 9 is a rear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odification.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커넥터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as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a connector with electric wi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압접 커넥터(1)가, 피복 전선(2) 및 상대측 커넥터(1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압접 커넥터(1)는, 전자 기기 등에 구비된다. 압접 커넥터(1)에는, 복수의 피복 전선(2)(도 1에서는, 피복 전선(2)은 1개를 도시)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접 커넥터(1)는, 소켓 커넥터이며,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서의 상대측 커넥터(100)에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된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overed electric wire 2 and a mating connector 100. Fig. Referring to Fig. 1,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provided in electronic equipment or the like. In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a plurality of covered electric wires 2 (one covered electric wire 2 is shown in Fig. 1) are coupled. In this embodiment,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a socket connector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100 as a receptacle connector.

상대측 커넥터(100)는, 회로 기판(110) 등에 실장되는 커넥터이다. 압접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100)와의 접속에 의해, 복수의 피복 전선(2)과 회로 기판(110)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The mating connector 100 is a connecto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10 or the lik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overed electric wires 2 and the circuit board 110 is achiev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and the mating connector 100.

상대측 커넥터(100)는, 하우징(101)과, 복수의 콘택트(102)를 가지고 있다. The counterpart connector 100 has a housing 101 and a plurality of contacts 102. [

하우징(101)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일체 성형품이다. The housing 101 is, for example, an integral molded product formed using a synthetic resin.

하우징(101)은, 둘레벽(103)과, 후벽(後壁, 104)과, 락 폴(lock pawl, 105)을 가지고 있다. The housing 101 has a peripheral wall 103, a rear wall 104, and a lock pawl 105.

둘레벽(103)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이며, 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고 있다. 둘레벽(103)은, 압접 커넥터(1)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둘레벽(103)의 상부에, 락 폴(105)이 형성되어 있다. The circumferential wall 103 is formed as an elongated rectangular frame and elongated in a direction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per surface of Fig. The peripheral wall 103 defines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receiv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103, a lock pawl 105 is formed.

락 폴(105)은, 둘레벽(103)의 표면에 형성된 부분이다. 락 폴(105)은, 압접 커넥터(1)의 후술하는 락 폴(11)에 걸림으로써, 상대측 커넥터(100)로부터의 압접 커넥터(1)의 빠짐을 규제한다. The lock pawl 105 is a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103. The lock pawl 105 restricts the displacement of the pressure contact connector 1 from the mating connector 100 by catching the lock pawl 11 of the pressure contact connector 1 described below.

둘레벽(103)의 후부(後部)에, 후벽(104)이 형성되어 있다. 후벽(104)은, 둘레벽(103)의 후단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둘레벽(103)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복수의 관통 구멍부(106) 중 1개를 도시하고 있다. A rear wall 104 is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103. The rear wall 104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rear end of the peripheral wall 103. In the peripheral wall 103,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6 are formed. In Fig. 1,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6 is shown.

관통 구멍부(106)는, 하우징(10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부(106)는, 1개의 콘택트(102)를 유지하고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hole portions 106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1. Each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106 holds one contact 102.

각 콘택트(102)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102)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콘택트(10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 도금 또는 금 도금 등의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각 콘택트(102)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부(106)에 유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102)의 일부는, 둘레벽(103)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콘택트(102)의 다른 일부는, 하우징(101)의 외부에서, 납땜 등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110)에 고정되어 있다. Each of the contacts 102 is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contacts 102 is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alloy. The surfaces of the respective contacts 102 are subjected to a plating process such as tin plating or gold plating. Each of the contacts 102 is held in a corresponding through hole portion 106. A part of each contact 102 is disposed in the peripheral wall 103. [ The other part of each contact 102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110 by soldering or the like outside the housing 101. [

다음으로, 압접 커넥터(1)의 구성을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will be described.

도 2는, 압접 커넥터(1) 및 피복 전선(2)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압접 커넥터(1)는, 압접형의 전기 커넥터이며,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를 절단함으로써, 피복부(3)의 내부의 심선부(芯線部, 4)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접 커넥터(1)와 피복 전선(2)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Fig. 1 and 2,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a pressure-contact type electrical connector. The insulation displacement portion 3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ductor 3 is connected to a core wire (core wire) (4). ≪ / RTI >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electric wire.

각 피복 전선(2)은, 피복부(3)와, 심선부(4)를 가지고 있다. Each coated wire (2) has a covering section (3) and a core wire section (4).

피복부(3)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통 모양의 부재이며,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피복부(3)는, 심선부(4)를, 심선부(4)의 둘레 방향의 전체 영역을 따라 덮고 있다. The covering portion 3 is a tubular member forme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and has elasticity. The covering portion (3) covers the core wire portion (4) along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e wire portion (4).

심선부(4)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심선부(4)의 일단부는, 압접 커넥터(1)의 후술하는 콘택트(6)에 접촉하고 있다. 심선부(4)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 등에 접속되어 있다. The core wire portion 4 is form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One end of the core wire portion 4 is in contact with a contact 6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The other end of the core wire 4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or the like.

압접 커넥터(1)는, 전체로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압접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X1)이라고 한다. 길이 방향(X1)은, 본 발명의「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또, 압접 커넥터(1)의 평면에서 볼 때, 길이 방향(X1)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Y1)이라고 한다. 폭 방향(Y1)은, 본 발명의「병렬 방향」의 일례이다. 또, 길이 방향(X1) 및 폭 방향(Y1)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Z1)이라고 한다.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formed as a whole flat. In the follow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is an example of the " longitudinal direction "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in the plane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Y1. The width direction Y1 is an example of the " parallel direction "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and the width direction Y1 is referred to as the thickness direction Z1.

압접 커넥터(1)에 피복 전선(2) 및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피복 전선(2)의 일단부는, 길이 방향(X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의 일단부도, 길이 방향(X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One end of each covered electric wire 2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while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nd the contact 102 of the mating connector 100 are mounted on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One end of the contact 102 of the mating connector 100 is also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압접 커넥터(1)는, 하우징(5)과, 하우징(5)에 유지되는 복수의 콘택트(6)를 가지고 있다.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has a housing (5) and a plurality of contacts (6) held in the housing (5).

도 3은, 피복 전선(2)이 코킹되기 전의 상태의 압접 커넥터(1)의 저면측을 본 사시도이며, 압접 커넥터(1)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압접 커넥터(1)의 상면측을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압접 커넥터(1)의 배면도이며, 피복 전선(2)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압접 커넥터(1)이며, 피복 전선(2)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n a state before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caulked, and shows a part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Fig. 5 is a rear view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connected. Fig. 6 shows a state before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connected, which is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Fig.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5)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은,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형성된, 단일 부재이다. 하우징(5)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콘택트(6)를 유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5)은, 복수의 콘택트(6)를 길이 방향(X1)과 직교하는 폭 방향(Y1)으로 늘어놓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은, 폭 방향(Y1)에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 2, and 4, the housing 5 is forme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The housing 5 is a single member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The housing 5 holds a plurality of (eight in this embodiment) contacts 6.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5 is configured to hold the plurality of contacts 6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a width direction Y1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The housing 5 is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the width direction Y1.

하우징(5)은, 락부(lock部, 7)와, 하우징 본체(8)를 가지고 있다. The housing 5 has a lock portion 7 and a housing main body 8.

락부(7)는, 지주(支柱, 9)와, 락편(lock片, 10)과, 락 폴(11)을 가지고 있다. The lock portion 7 has a column 9, a lock piece 10, and a lock pawl 11.

지주(9)는, 하우징 본체(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주(9)는, 락편(10)에 연속하고 있다. 락편(10)은, 판 모양의 부재이다. 락편(10)은, 지주(9)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오퍼레이터가 이 락편(10)을 요동시킴으로써, 락편(10)의 전단부(前端部)를 들어 올릴 수 있다. The column 9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8. The column 9 is continuous with the lock piece 10. The lock piece 10 is a plate-like member. The lock piece (10) can swing with the support (9) as a fulcrum. The front end of the lock piece 10 can be lifted by pivoting the lock piece 10 by the operator.

락편(10)의 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락 폴(11)이 돌출하고 있다. 락 폴(11)은, 상대측 커넥터(100)의 락 폴(105)에 받아 들여지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락 폴(11)은, 폭 방향(Y1)으로 연장하는 돌기 모양의 부분이다. The lock pawl 11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ck piece 10. The lock pawl 11 is provided as a portion to be received by the lock pawl 105 of the mating connector 100. [ The lock pawl 11 is a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Y1.

압접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1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락 폴(11)은, 락 폴(105)과 길이 방향(X1)으로 마주 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압접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100)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힘을 받으면, 락 폴(11)은, 락 폴(105)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압접 커넥터(1)는, 그 이상 상대측 커넥터(100)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락부(7)는, 하우징 본체(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The lock pawl 11 is opposed to the lock pawl 10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in a state where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100. [ In this state, when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subjected to a force pulled out of the mating connector 100, the lock pawl 11 is caught by the lock pawl 105. As a result, displacement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n the direction pulled out of the mating connector 100 is restricted. The lock portion 7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supported by the housing main body 8.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 본체(8)는, 외주벽(12)과, 전벽(前壁, 13)과, 격벽(14)과, 관통 구멍부(15)를 가지고 있다. 1 to 4, the housing main body 8 has an outer peripheral wall 12, a front wall 13, a partition wall 14, and a through hole portion 15.

외주벽(12)은, 두께 방향(Z1)으로 편평하고, 또한, 폭 방향(Y1)으로 길게 연장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12)은, 천벽(天壁, 17)과, 저벽(18)과, 한 쌍의 측벽(19, 20)을 가지고 있다. 천벽(17)은, 락부(7)의 지주(9)를 받아 들이고 있다. 천벽(17)은, 저벽(18)과, 두께 방향(Z1)으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되어 있다. The outer peripheral wall 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flat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and extends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Y1. The outer peripheral wall 12 has a top wall 17, a bottom wall 18 and a pair of side walls 19 and 20. The top wall 17 receives the column 9 of the lock portion 7. The top wall 17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18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천벽(17)은, 본 발명의「벽부」의 일례이며, 콘택트(6)의 후술하는 저부(31)를 받아 들이고 있다. The top wall 17 is an example of the " wall portion "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ntact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저벽(18)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벽(18)으로부터, 복수의 콘택트(6)의 일부가 노출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19, 20)은, 폭 방향(Y1)에서의 외주벽(12)의 한 쌍의 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외주벽(12)의 전단부에, 전벽(13)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bottom wall 18,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6 is exposed from the bottom wall 18. The pair of side walls 19 and 20 constitute a pair of ends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12 in the width direction Y1. A front wall 13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12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관통 구멍부(15)는, 콘택트(6)가 수용되는 구멍부로서 마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수용부」의 일례이다. 관통 구멍부(15)는, 복수 개소(본 실시 형태에서, 8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 구멍부(15)가, 폭 방향(Y1)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The through hole portion 15 is provided as a hole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tact 6, and is an example of the " receiving portion "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hole portions 15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eight locations in this embodiment), and these through-holes 15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Y1.

또, 폭 방향(Y1)으로 서로 이웃하는 관통 구멍부(15)의 사이에는, 격벽(1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격벽(14)은, 천벽(17)으로부터 저벽(18)측을 향하여 두께 방향(Z1)을 따라서 연장하는 판 모양의 부분이다. 각 관통 구멍부(15)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Further, partition walls 14 are formed between the through-hole portions 1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Y1. Each partition wall 14 is a plate-like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p wall 17 toward the bottom wall 18 sid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Z1. Each of the through hole portions 15 has the same configuration.

관통 구멍부(15)는, 하우징 본체(8)를, 길이 방향(X1)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벽(13)으로부터 해당 하우징 본체(8)의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길이 방향(X1)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관통 구멍부(15)의 단면적이, 단계적으로 커지고 있다. 관통 구멍부(15)에는, 제1 개구부(21), 제2 개구부(22), 제3 개구부(23), 및, 제4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The through hole portion 15 is formed to penetrate the housing main body 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hrough hole portion 15 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increases step by step as it moves from the front wall 13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8. [ The first opening 21, the second opening 22, the third opening 23, and the fourth opening 24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 portion 15.

제1 개구부(21)는, 전벽(13)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대측 커넥터(100)의 대응하는 콘택트(102)를 삽입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1)와 길이 방향(X1)으로 늘어서도록 하여, 제2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opening 21 is formed in the front wall 13, and the corresponding contact 102 of the mating connector 100 can be inserted. The second opening 22 is form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opening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제2 개구부(22)는, 피복 전선(2)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개구부(22)는, 하우징 본체(8)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이다. 배면에서 볼 때, 제2 개구부(22)는, U자 모양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22)와 연속하도록 하여, 제3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opening portion 22 is provided a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covered electric wire 2 passes. The second opening 22 is an opening that opens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main body 8. As viewed from the back, the second opening 22 is formed in a U-shaped groove shape. The third opening 23 is form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second opening 22. [

제3 개구부(23)는, 관통 구멍부(15)에 피복 전선(2)이 삽입될 때에, 해당 피복 전선(2)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3 개구부(23)는, 길이 방향(X1)에서의 하우징 본체(8)의 후단으로부터 해당 하우징 본체(8)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으며, 길이 방향(X1)에서, 하우징 본체(8)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개구부(23)는, 저벽(18)의 저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2 개구부(22) 및 제3 개구부(23)는, 콘택트(6)의 후술하는 압접부(37, 37)의 각 압접 칼날(41, 42)과, 저부(31)의 일부와, 코킹부(39)를, 하우징(5)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다. 제3 개구부(23)와 제1 개구부(21)와의 사이에, 제4 개구부(24)가 배치되어 있다. The third opening 23 is provided a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covered electric wire 2 passes when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ortion 15. The third opening 23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main body 8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from the rear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8 And is formed in a range of about half the length. The third opening 23 is op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8. The second opening portion 22 and the third opening portion 23 are formed by the press-contact knives 41 and 42 of the press-contact portions 37 and 37 of the contact 6, a part of the bottom portion 31, (39)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5). A fourth opening portion 24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opening portion 23 and the first opening portion 21.

제4 개구부(24)는, 저벽(18)의 저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콘택트(6)의 후술하는 빠짐 방지부(35)가 삽입되어 있다. The fourth opening 24 is op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8 and the slip prevention portion 35 of the contact 6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이상이, 하우징(5)의 개략 구성이다. 다음으로, 콘택트(6)의 구성을 설명한다. The above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5.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6 will be described.

도 7은, 2개의 콘택트(6)의 사시도이다. 도 1 ~ 도 3, 및, 도 5 ~ 도 7을 참조하여, 콘택트(6)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와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wo contacts 6. Fig. 1 to 3 and Figs. 5 to 7, the contacts 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And is provided as a portion contacting the contact 102.

콘택트(6)는,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택트(6)의 수는, 피복 전선(2)의 수와 동일하고, 또한, 관통 구멍부(15)의 수와 동일하다. 콘택트(6)는, 복수의 피복 전선(2)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콘택트(6)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부(15)에 삽입되어 있으며, 해당 관통 구멍부(15)에 유지되어 있다. 길이 방향(X1)에서의 각 콘택트(6)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A plurality of contacts 6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contacts 6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covered electric wires 2, and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15. The contacts 6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ated electric wires 2. Each of the contacts 6 is inserted in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portion 15 and is held in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portion 15. [ The positions of the contacts 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are matched.

콘택트(6)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6)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6)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 도금과 또는 금 도금 등의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The contact 6 is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6 is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alloy. The surface of the contact 6 is plated with, for example, tin plating or gold plating.

콘택트(6)는, 도금 처리가 실시된 1매의 금속판에 절단 가공 및 휨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6)는, 길이 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contact 6 is formed by cutting, bending, or the like on one metal plate subjected to the plating process. The contact 6 is formed in a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콘택트(6)는, 저부(31)와,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와, 접촉부(34)와, 빠짐 방지부(35)와, 가압부(36)와, 압접부(37, 38)와, 코킹부(39)를 가지고 있다. The contact 6 includes a bottom 31, a first side portion 32 and a second side portion 33, a contact portion 34, a slip prevention portion 35, a pressing portion 36, (37, 38) and a caulking portion (39).

저부(31)는, 두께 방향(Z1)와 직교하도록 연장하는 평판 모양의 부분이다. 저부(31)는, 하우징 본체(8)의 천벽(17)의 내측면에 받아 들여져 있다. 저부(31)의 전단부는, 하우징 본체(8)의 제1 개구부(21)에 인접하고 있다. 저부(31)의 후단부는, 제2 개구부(22)에 인접하고 있다. 저부(31)는, 본 발명의「연결부」의 일례이며, 제1 측부(31) 및 제2 측부(32)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Y1)에서의 저부(31)의 한 쌍의 단부로부터,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가 연장하고 있다. The bottom portion 31 is a flat plate-shaped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thickness direction Z1. The bottom portion 31 is receiv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wall 17 of the housing main body 8.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1 is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21 of the housing main body 8.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1 is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22. The bottom portion 31 is an example of the " connecting portion "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s the first side portion 3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2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extend from a pair of end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31 in the width direction Y1.

압접 커넥터(1)가 피복 전선(2)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로서의 결합 전 상태(이하, 간단하게 '결합 전 상태'라고 함)에서,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는, 저부(31)로부터, 두께 방향(Z1)의 일방측(하우징 본체(8)의 저벽(18)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는, 대응하는 격벽(14)에 인접하고 있다. 즉, 콘택트(6)는, 폭 방향(Y1)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격벽(14, 14)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3)와 저부(3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대응하는 피복 전선(2)의 일단부가 수용된다. 제1 측부(32)의 전단부 및 제2 측부(33)의 전단부는, 접촉부(34)를 지지하고 있다.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e-engagement stat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pre-engagement state ") as a state before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coupled to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nd extends from the bottom portion 31 toward one side of the thickness direction Z1 (toward the bottom wall 18 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8).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are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partition 14. That is, the contacts 6 are arrang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s 14, 14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Y1.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covered electric wire 2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side portion 32, the second side portion 33 and the bottom portion 31.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side portion 33 support the contact portion 34. [

접촉부(34)는, 상대측 커넥터(100)의 콘택트(102)에 접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34)는, 두께 방향(Z1)에서의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의 양단부의 각각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측부(32, 3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34)의 일부는, 설편(舌片)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1 개구부(21)를 통과하여 관통 구멍부(15) 내에 진입한 콘택트(102)는, 접촉부(34)의 상기 설편 모양의 부분 사이에 끼워져, 해당 접촉부(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촉부(34)의 후방에, 빠짐 방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ntact portion 34 is provided as a portion for making contact with the contact 102 of the mating connector 100. The contact portions 34 are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and are located between these side portions 32 and 33. [ A part of the contact portion 3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ongue piece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contact 102 which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21 and enters the through hole 15 is sandwiched between the tongue shaped portions of the contact portion 3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34. A slip-off preventing portion 35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tact portion 34.

빠짐 방지부(35)는, 콘택트(6)가 하우징 본체(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으며, 측부(32, 33)로부터 연장한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35)는, 저벽(18)에 형성된 제4 개구부(24)에 삽입되어 있다. 콘택트(6)에, 하우징 본체(8)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방향(후방)의 힘이 작용했을 때, 빠짐 방지부(35)는 제4 개구부(24)의 가장자리부에 받아 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6)는, 그 이상 하우징 본체(8)로부터 뽑아 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빠짐 방지부(35)의 후방에, 가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The dropout prevention portion 35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ntact 6 from coming out of the housing main body 8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side portions 32 and 33. The dropout prevention portion 35 is inserted into the fourth opening portion 24 formed in the bottom wall 18. The escape preventing portion 35 is receiv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fourth opening 24 when a force in the direction of withdrawing (rearward) from the housing main body 8 acts on the contact 6. As a result, the contact 6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a direction pulling out of the housing main body 8. A pressing portion 36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lip-off preventing portion 35.

가압부(36)는, 콘택트(6)를 하우징 본체(8)에 압입 고정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가압부(36)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본체(8)의 저벽(18)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압부(36)와 저벽(18)과의 마찰 접촉력이 높아지며, 또한, 저부(31)와 천벽(17)과의 마찰 접촉력이 높아져 있다. 가압부(36)의 후방에, 압접부(37, 38)가 형성되어 있다. The pressing portion 36 is provided to press-fit the contact 6 into the housing main body 8. The pressing portion 36 is formed at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and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18 of the housing main body 8. As a result, the frictional contact force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36 and the bottom wall 18 is increased, and the frictional contact force between the bottom portion 31 and the top wall 17 is increased. At the rear of the pressing portion 36, pressure-contacting portions 37 and 38 are formed.

압접부(37, 38)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를 절단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압접부(37, 38)는, 콘택트(6)의 저부(31)로부터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접부(37, 38)는, 길이 방향(X1)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각 압접부(37, 38)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press-contact portions 37 and 38 are provided for cutting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The press contact portions 37 and 38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ntact 6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The press contact portions 37 and 38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Each of the pressure-contacting portions 37, 38 is formed in a U-shape.

각 압접부(37, 38)는, 폭 방향(Y1)으로 서로 마주 보는 압접 칼날(41, 42)을 가지고 있다. Each of the pressure contact portions 37 and 38 has pressure contact blades 41 and 42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Y1.

압접 칼날(41, 42)에서,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의 간격은, 심선부(4) 전체로서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압접부(37, 38) 사이에, 심선부(4)를 배치할 수 있다. 압접부(37, 38)는, 제3 개구부(23)를 통과하여 하우징 본체(8)의 외부로 노출하고 있으며, 제3 개구부(23)를 통과한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를, 각 압접부(37, 38)의 압접 칼날(41, 42)에 의해서 절단한다. 압접 칼날(41, 42)에 의해서 피복부(3)가 절단되면, 압접 칼날(41, 42)은, 심선부(4)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2)과 압접부(37, 38)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이 때, 피복 전선(2)의 일단부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접 칼날(41, 42)의 후방에, 코킹부(39)가 형성되어 있다. The gap between the facing portions of the press-contacting blades 41 and 42 is set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entire core wire portion 4 and the core wire portion 4 is disposed between the press- can do. The press contact portions 37 and 38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8 through the third openings 23 and the cover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re cut off by the pressure-contacting blades 41, 42 of the respective pressure-contacting portions 37, 38. When the covering portion 3 is cut by the press-contacting blades 41 and 42, the press-contacting blades 41 and 42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re wire portion 4. Thu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nd the press contact portions 37 and 38 is achieve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ated wire 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A caulking portion 39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press-contacting blades 41, 42.

코킹부(39)는, 피복 전선(2)의 일단부에 코킹됨으로써 해당 피복 전선(2)을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각 코킹부(39)는, 한 쌍의 편부로서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를 가지고 있다.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피복 전선(2)을, 저부(31)와 협동하여 사이에 끼우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The caulking portion 39 is provided as a portion for fixing the covered electric wire 2 by being caulked at one end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 Each caulking portion 39 has a first piece portion 43 and a second piece portion 44 as a pair of piece portions.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are provided so as to sandwich the coated wire 2 in cooperation with the bottom 31. [

결합 전 상태에서,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폭 방향(Y1)으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다. 제1 편부(43)는, 제1 측부(32)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2 편부(44)는, 제2 측부(33)에 지지되어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로부터 두께 방향(Z1)의 일방(저벽(1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In the pre-engagement state,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Y1. The first piece 43 is supported by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piece 44 is supported by the second side portion 33.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one direction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wall 17)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from the first side 32 and the second side 33, .

도 6에 잘 나타내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의 편부(43)의 길이와, 타방의 편부(44)의 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편부(43)의 내측면을 따른 해당 편부(43)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1)와, 타방의 편부(44)의 내측면을 따른 해당 편부(44)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2)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one side portion 43 and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portion 44 are set to be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L1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corresponding piece 43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piece 43 and the length L1 of the corresponding piece 44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piece 44 The length L2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is set to be the same.

또, 콘택트(6)의 저부(31)로부터 일방의 편부(43)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4)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측부(32) 및 편부(43)의 내측면을 따른, 측부(32)의 기단부로부터 편부(43)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4)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콘택트(6)의 저부(31)로부터 타방의 편부(4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5)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방의 측부(33) 및 편부(44)의 내측면을 따른, 측부(33)의 기단부로부터 편부(4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L5)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The length L4 from the bottom 31 of the contact 6 to the distal end of the one side portion 43 is set larger than the distance L3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L4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side portion 32 to the distal end of the piece 43 along the inner side surfaces of one side portion 32 and the one side portion 43 is greater than the length L4 of the other side portion 32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terval (L3) between the second side portions (33). Likewise, the length L5 from the bottom 31 of the contact 6 to the tip of the other piece 44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L3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L5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side portion 33 to the distal end of the piece portion 44 along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other side portion 33 and the piece portion 44 is greater than the length L5 of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terval (L3) between the second side portions (3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편부(43)는, 휨 변형됨으로써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편부(44)는, 휨 변형됨으로써 제1 편부(43)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5 and 6, the first piece 43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by being deformed by bending. The second piece (44) is configured such that it can be overlapp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43) by bending deformation.

결합 전 상태에서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제1 부분(45, 45)과, 제2 부분(46, 46)을 가지고 있다. The first piece portion 43 and the second piece portion 44 in the pre-engagement state have the first portions 45 and 45 and the second portions 46 and 46.

제1 부분(45, 45)은, 두께 방향(Z1)에서의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연속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으며, 결합 전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제1 부분(45, 45) 사이의 거리는,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의 간격(L3)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1 부분(45, 45)은, 격벽(14,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45, 45)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편부(32, 33)의 후단부의 높이(두께 방향(Z1)의 길이)는, 결합 전 상태에서의 피복 전선(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1 부분(45, 45)으로부터, 제2 부분(46, 46)이 연장하고 있다. The first portions 45 and 45 are provided as a portion continuous to one edge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rtions 45 and 45 is set equal to the distance L3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3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3. [ The first portions 45 and 45 are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 and 14. [ The height (the leng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air of pieces of wire 32, 33 to which the first portions 45, 45 are connecte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vered wire 2 in the pre- Are set approximately the same. From the first portions 45, 45, the second portions 46, 46 extend.

제2 부분(46, 46)은, 피복 전선(2)이 콘택트(6)의 제1 측부(32) 및 제2 측부(33) 사이에 삽입될 때의 수입구(受入口, 받아 들이는 입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부분(46, 46)은, 각각, 대응하는 제1 편부(43)의 선단부 및 제2 편부(44)의 선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 압접 커넥터(1)를 배면에서 보았을 때, 제2 부분(46, 46)은,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의 선단으로 진행함에 따라 해당 제2 부분(46, 4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결합 전 상태에서, 제2 부분(46, 46)은, 제3 개구부(23)를 통과하여, 관통 구멍부(15)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제2 부분(46, 46)의 전부가, 하우징 본체(8)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부분(46, 46)의 선단부의 외측면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portions 46 and 46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32 and 33 of the contact 6 by means of a water inlet (inlet, As shown in Fig. The second portions 46 and 46 form the tip portions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ece portions 43 and the tip portions of the second piece portions 44, respectively. The second portions 46 and 46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n the state before the connection and proceed to the tip ends of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The gap between the second portions 46 and 46 is narrowed. In the pre-engagement state, the second portions 46, 46 pass through the third openings 23 and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hole portions 15. All of the second portions 46, 46 ar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main body 8. The chamfer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s 46, 46.

코킹부(39)가 피복 전선(2)에 코킹된 상태에서는, 코킹부(39)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는, 만곡(灣曲)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편부(43)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꽉 눌러져 있다. 그리고, 제1 편부(43)의 선단부 근처의 일부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로 파고 들어가 있다. 또, 제2 편부(44)는, 제1 편부(43)에 서로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6)와 피복 전선(2)과의 강고한 결합이 달성되어 있다. 또, 제1 편부(43)의 전부가 피복부(3)로 파고 들어가 있어도 괜찮다. The first piece portion 43 and the second piece portion 44 of the caulking portion 39 are curved in a curved shape when the caulking portion 39 is caulked to the covered electric wire 2. [ In this state, the first piece (43) is pressed against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 portion near the tip end of the first piece (43) is inserted into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wire (2). In addition, the second piece (44) overlaps the first piece (43). As a result, a strong coupling between the contact 6 and the coated electric wire 2 is achieved. Further, the entire first piece 43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ing portion 3.

이상이, 압접 커넥터(1)의 개략 구성이다. The above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압접 커넥터(1)에 피복 전선(2)을 접속할 때에는, 피복 전선(2)은, 콘택트(6)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 사이에 삽입됨과 아울러, 압접부(37, 38)에 의해 꽉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은, 압접부(37, 38)의 압접 칼날(41, 42)에 의해서 절단되어, 피복 전선(2)의 심선부(4)과 압접 칼날(41, 42)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2)과 압접 커넥터(1)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of the contact 6 and connected to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of the contact 6 when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connected to the insulation- , And pressed by the press-contact portions (37, 38).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cut by the press contact blades 41 and 42 of the press contact portions 37 and 38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re wire portion 4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The blades 41 and 4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u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nd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is achieved.

다음으로, 코킹부(39)의 제1 편부(43)는, 도 8에 나타내는 코킹용 펀치(50)에 의해 휨 변형됨으로써,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가압된다. 또, 코킹부(39)의 제2 편부(44)는, 코킹용 펀치(50)에 의해 휨 변형됨으로써, 제1 편부(43)의 일부와 서로 겹쳐져, 제1 편부(43)의 선단부가 들뜨도록 변위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6)의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의 일단부와의 결합이 완료한다. Next, the first piece 43 of the caulking portion 39 is flexibly deformed by the caulking punch 50 shown in Fig. 8, so that the first piece 43 is pressed against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The second piece portion 44 of the caulking portion 39 is bent and deformed by the caulking punch 50 so that the first piece 43 is overlapped with a part of the first piece 43, Thereby suppressing displacement. As a result, the coupling of the caulking portion 39 of the contact 6 and the one end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completed.

또, 코킹용 펀치(50)는, 콘택트(6)의 코킹부(39)에 코킹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코킹용 펀치(50)는, 각 콘택트(6)에 대응하여 복수 마련되어 있다(도 8에서는, 3개의 코킹용 펀치(50)를 도시). 코킹용 펀치(50)는, 대응하는 콘택트(6)의 코킹부(39)와 두께 방향(Z1)으로 늘어서 배치된다. 각 코킹용 펀치(50)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오목부(50a, 50b)가 형성되어 있다. The caulking punch 50 is provided for caulking the caulking portion 39 of the contact 6. A plurality of caulking punches 5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acts 6 (three caulking punches 50 are shown in Fig. 8). The caulking punch 50 is arranged to be aligned with the caulking portion 39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6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A pair of recesses 50a and 50b are formed at the tip of each of the caulking punches 50. [

한 쌍의 오목부(50a, 50b)는, 코킹부(39)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를 소성 변형시키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50a, 50b)는, 각각, 대응하는 콘택트(6)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와 두께 방향(Z1)으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으며, 움푹 패인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X1)을 따라서 보아, 한 쌍의 오목부(50a, 50b)는, 각각,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pair of concave portions 50a and 50b are provided for p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of the caulking portion 39. [ The pair of concave portions 50a and 50b are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rst piece portion 43 and the second piece portion 44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6 in the thickness direction Z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recesses 50a and 50b are formed in an arc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1.

제1 편부(43)에 대응하는 일방의 오목부(50a)의 위치는, 제2 편부(44)에 대응하는 타방의 오목부(50b)의 위치와 비교하여, 콘택트(6)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코킹용 펀치(50)가 코킹부(39)에 코킹 가공을 실시할 때, 일방의 오목부(50a)가 제1 편부(43)에 접촉한 후, 타방의 오목부(50b)가 제2 편부(44)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 중, 제1 편부(43)가 먼저 휨 변형되어, 피복 전선(2)에 코킹된다. The position of one recess 5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ece 43 is located closer to the contact 6 than the position of the other recess 50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ece 44 Is set. As a result, when the caulking punch 50 performs caulking on the caulking portion 39, after one of the recesses 50a contacts the first piece 43, the other recess 50b, The second piece 44 comes into contac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piece 43 of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is first flexed and deformed, and is caulked to the covered wire 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접 커넥터(1)에 따르면, 콘택트(6)에 피복 전선(2)이 접속된 경우에, 콘택트(6)의 코킹부(39)의 제2 편부(44)는, 해당 코킹부(39)의 제1 편부(43)와 겹쳐진다. 따라서, 제1 편부(43)의 선단부를 들뜨게 하도록 하는 힘(F1)이 피복 전선(2)으로부터 제1 편부(43)에 작용한 경우에, 제2 편부(44)는, 이 힘(F1)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힘(F1)이 큰 경우에도, 콘택트(6)는,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제1 편부(43)를 피복 전선(2)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콘택트(6)가 하우징(5)에 조립된 후에 해당 콘택트(6)에 피복 전선(2)이 코킹되는 압접 커넥터(1)에서는, 코킹부(39)의 근처에 하우징(5)(특히 천벽(17))이 존재하고 있는 결과,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을 상하에 끼우도록 코킹용 펀치(50)를 배치할 수 없다. 이 경우, 제1 편부(43)를 피복 전선(2)에 코킹할 때에,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사이에 작용시키는 힘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편부(43)와 제2 편부(44)와의 서로 겹침에 의해, 코킹부(39)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접 커넥터(1)에 있어서, 피복 전선(2)을 유지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connected to the contact 6, the second piece portion 44 of the caulked portion 39 of the contact 6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piece (43) of the caulking portion (39). Therefore, when the force F1 for causing the tip of the first piece 43 to swell is applied to the first piece 43 from the covered wire 2, . Therefore, even when the force F1 is large, the contact 6 can more reliably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first piece 43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the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piece 43 and the covering wire 2 when the first piece 43 is caulked to the covering wire 2, 39 and the coated electric wire 2 can be increased. In the pressure-contact connector 1 in which the cover wire 2 is caulked to the contact 6 after the contact 6 is assembled to the housing 5, the housing 5 (in particular, 17) are present, it is not possible to dispose the caulking punch 50 so as to sandwich the caulking portion 39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therebetween. In this case, when the first piece 43 is caulked to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a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piece 43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n this case, however,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ulking portion 39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can be increased by overlapping the first piece 43 and the second piece 44 a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ce of holding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n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can be increased.

또, 압접 커넥터(1)에 의하면, 콘택트(6)의 제1 측부(32)와 제2 측부(33)와 저부(3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피복 전선(2)의 일단부가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킹부(39)의 제1 편부(43) 및 제2 편부(44)와, 저부(31)에 의해서, 피복 전선(2)을 콘택트(6)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one end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is dispos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side portion 32, the second side portion 33 and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ntact 6. The cover wire 2 can be firmly fixed to the contact 6 by the first piece 43, the second piece 44 and the bottom 31 of the caulking portion 39 .

또, 압접 커넥터(1)에 의하면, 콘택트(6)의 저부(31)는, 하우징(5)의 천벽(17)에 받아 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저부(31), 및, 해당 저부(3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코킹부(39)를, 하우징(5)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다. 또, 제2 개구부(22) 및 제3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들 개구부(22, 23)를 통과하여, 피복 전선(2)을 콘택트(6)에 삽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the bottom portion 31 of the contact 6 is received in the wall 17 of the housing 5. Thus, the bottom portion 31 and the caulking portion 39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31 can be protected by the housing 5. Since the second opening 22 and the third opening 23 are forme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ct 6 through the openings 22 and 23. [

또, 압접 커넥터(1)에 의하면, 제1 편부(43)의 선단부측의 일부는, 피복 전선(2)의 피복부(3)로 파고 들어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편부(43)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1, part of the tip end side of the first piece 43 is inserted into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ece (43)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can be made larger.

[변형예][Modifications]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괜찮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For example, the following changes can be made.

(1)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편부(43)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와, 제2 편부(44)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동일한 형태를 예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것이 아니라도 괜찮다. 또,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과 다른 구성을 주로 설명하고,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ength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iece 43 is equal to the length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iece 44.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In the following,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and will not be described.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편부(43A)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1A)와, 제2 편부(44)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2)가 다르게 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의 길이(L1A)는, 제1 편부(43A)의 내측면을 따른 해당 제1 편부(43)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length L1A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iece 43A and the length L2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iece 44 may be different. The length L1A in this case is the length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iece 43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ece 43A.

도 9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제1 편부(43A)의 길이(L1A)는, 제2 편부(44)가 길이(L2)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제1 편부(43A)의 길이(L1A)는, 해당 제1 편부(43A)가 피복 전선(2)의 피복부(3)에 코킹되는 것이 가능한 길이이면 괜찮다. 9, the length L1A of the first piece 43A is set so that the second piece 44 is shorter than the length L2. The length L1A of the first piece 43A may be any length as long as the first piece 43A can be caulked to the covering portion 3 of the covered wire 2. [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1 편부(43A)와 제2 편부(44)가 서로 겹쳐졌을 때에, 제1 편부(43A)의 선단부가 제2 편부(44)에 걸려 버리는 현상과, 제2 편부(44)의 선단부가 제1 편부(43)에 걸려 버리는 현상이 동시에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의 걸림 현상에 기인하여 제1 편부(43A)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when the first piece 43A and the second piece 44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tip of the first piece 43A is caught by the second piece 4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p end portion of the first piece portion 44 from being caught by the first piece portion 43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ece (43A) and the coated wire (2) due to the above-mentioned catching phenomenon.

특히, 제1 편부(43A)의 길이(L1A)가 제2 편부(44)가 길이(L2)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편부(43A)의 선단부는, 보다 확실히 피복 전선(2)으로 파고 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부(43A)와 피복 전선(2)과의 결합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length L1A of the first piece 43A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L2 of the second piece 44.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tip end of the first piece 43A can be more reliably inserted into the covered wire 2.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ece 43A and the covered electric wire 2 can be made higher.

(2) 또, 상술의 변형예에서는, 제1 편부(43A)가 길이(L1A)<제2 편부(44)의 길이(L2)인 형태를 예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제1 편부의 길이>제2 편부의 길이라도 괜찮다. (2) In the modifica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piece 43A has the length L1A <the length L2 of the second piece 44, as an example. However, the length of the first one-side por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one-side portion is fine.

(3)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측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접속된 형태, 즉, 보드ㆍ투ㆍ와이어(board to wire) 타입의 접속 형태를 예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것이 아니라도 괜찮다. 예를 들면, 상대측 커넥터가 피복 전선에 접속된 형태, 즉, 와이어ㆍ투ㆍ와이어 타입의 접속 형태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괜찮다. (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nection type of the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hat is, the board-to-wire type connection typ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form in which a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a covered wire, that is, a wire-to-wire type connection form.

본 발명은,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as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electric wire.

1 : 압접 커넥터 2 : 피복 전선
3 : 피복부 4 : 심선부
5 : 하우징 6 : 콘택트
15 : 관통 구멍부(수용부) 17 : 천벽(벽부)
22, 23 : 개구부 31 : 저부(연결부)
32 : 제1 측부 33 : 제2 측부
39 : 코킹부 41, 42 : 압접 칼날
43 : 제1 편부 44 : 제2 편부
X1 : 길이 방향 Y1 : 폭 방향(병렬 방향)
1: pressure-spliced connector 2: coated wire
3: covered portion 4: core portion
5: housing 6: contact
15: Through hole portion (receiving portion) 17: Thick wall (wall portion)
22, 23: opening 31: bottom (connecting portion)
32: first side portion 33: second side portion
39: caulking portion 41, 42: pressure-contacting blade
43: first piece 44: second piece
X1: longitudinal direction Y1: width direction (parallel direction)

Claims (7)

심선부(芯線部)를 피복부에 의해 피복한 구성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접속되는 압접 커넥터로서,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콘택트(contact)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피복부를 절단하기 위한 압접 칼날과, 상기 피복부에 코킹(caulking)되는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병렬 방향으로 마주 보는 한 쌍의 편부(片部)로서의 제1 편부 및 제2 편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휨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A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 covered electric wi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ore wire portion is covered with a covering portion,
A contact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using for holding the contact,
Wherein the contact includes a press-contacting blade for cutting the covering portion and a caulking portion caulking on the covering portion,
Wherein the caulking portion has a first piece and a second piece as a pair of pieces facing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paralle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piec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covering portion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by bending deformation,
And the second piec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verlapping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portion by being deformed by ben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편부를 지지하는 제1 측부와, 상기 제2 편부를 지지하는 제2 측부와,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피복 전선의 일부를 배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further includes a first side portion supporting the first piece portion, a second side portion supporting the second piec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to each other,
Wherein a part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is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side portion, the second sid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를 받아 들이는 벽부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접 칼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코킹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tact, a wall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an opening,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to expose the pressure-contacting blade,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aulking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편부의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2 편부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ength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of the first piece is different from a length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of the second pie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편부의 상기 길이는, 상기 제2 편부의 상기 길이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length of the first piece portion is set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piece por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압접 커넥터와,
상기 콘택트에 접속된 피복 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편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편부는,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A pressure-contact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covered wire connected to the contact,
Wherein the first piece portion is coupled to the covering portion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piece portion overlaps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부로 파고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iece is inserted into the covering portion of the covered electric wire.
KR1020140095824A 2013-08-09 2014-07-28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 KR1018014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6420A JP6282818B2 (en) 2013-08-09 2013-08-09 Pressure contact connector and wire pressure contact connector
JPJP-P-2013-166420 2013-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88A true KR20150018388A (en) 2015-02-23
KR101801439B1 KR101801439B1 (en) 2017-11-24

Family

ID=5254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824A KR101801439B1 (en) 2013-08-09 2014-07-28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82818B2 (en)
KR (1) KR101801439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912232D1 (en) * 1998-05-22 2005-08-11 Phoenix Contact Gmbh & Co Electrical connection unit
JP2000150103A (en) * 1998-11-12 2000-05-30 Harness Syst Tech Res Ltd Pressure contact mold
JP2000353554A (en) * 1999-06-08 2000-12-19 Sumitomo Wiring Syst Ltd Terminal fitting
JP2002170604A (en) * 2000-11-29 2002-06-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terminal
JP2006147223A (en) 2004-11-17 2006-06-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of shielded wire, shielded wire with terminal ha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0044996A (en) * 2008-08-18 2010-02-25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with terminal metal fitting and connecting method of terminal metal fitting to electric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5368A (en) 2015-02-19
JP6282818B2 (en) 2018-02-21
KR101801439B1 (en)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608B1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KR101809824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pparatus thereof
KR101110148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JP2006294475A (en) Connector
KR20020046189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6049261A (en) Connector
KR101588098B1 (en) Circuit body and connector structure
JP4883726B2 (en) Modular plug
KR101712242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 and method for connecting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o covered electric wire
KR101801439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wire
US9647357B2 (en) Peg press-fitting structure for connector
JP4102295B2 (en) Piercing terminal for coaxial cable
JP5223817B2 (en) IDC connector
JP6013105B2 (en) connector
JPH11121108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6651393B2 (en) IDC contacts and IDC connectors
JP2006172738A (en) Plug connector, plug contact and assembly method of plug connector
KR101591655B1 (en) Solderable eletric connector
JPH1154217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2007115429A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US6283784B1 (en) Press-contact terminal fitting
JP2002124356A (en) Cable pressure contacting method and pressure- contacting connector
JP2006210158A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16018716A (en) Wire holding structure
JP3266554B2 (en) IDC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