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119A - 자속 가변형 발전기 - Google Patents

자속 가변형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119A
KR20150018119A KR1020130094643A KR20130094643A KR20150018119A KR 20150018119 A KR20150018119 A KR 20150018119A KR 1020130094643 A KR1020130094643 A KR 1020130094643A KR 20130094643 A KR20130094643 A KR 20130094643A KR 20150018119 A KR20150018119 A KR 2015001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re
stator
stator cor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에스
임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에스, 임성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9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119A/ko
Publication of KR2015001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02Details
    • H02K21/021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 H02K21/022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by modify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field and armature, e.g. between rotor and stator
    • H02K21/023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by modify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field and armature, e.g. between rotor and stator by varying the amount of superposition, i.e. the overlap, of field and arm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93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36Structural association of synchronous generators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generator or controlling the generator,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02Details
    • H02K21/021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 H02K21/022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by modify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field and armature, e.g. between rotor and stator
    • H02K21/025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by modify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field and armature, e.g. between rotor and stator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air gap between field and armature
    • H02K21/026Axial air gap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자의 자석과 고정자 코어의 중첩면적 즉, 자속을 가변하여 코깅토크의 가변 및 발전량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발전기의 초기 기동 및 정상 기동에 따른 효율이 최적이 되도록 한 자속 가변형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는 일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자코어를 가지는 고정자;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코어를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속 가변형 발전기{Magnetic Flux Variable Generator}
본 발명은 자속 가변형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자의 자석과 고정자 코어의 중첩면적 즉, 자속을 가변하여 코깅토크의 가변 및 발전량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발전기의 초기 기동 및 정상 기동에 따른 효율이 최적이 되도록 한 자속 가변형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전형 발전기는 내부에 회전하지 않는 스테이터를 배치하고 이 스테이터의 외부에 회전하는 원통형의 로터를 가는 구조의 발전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외전형 발전기는 자석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많은 양의 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전 출력 및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외전형 발전기는 외부 케이스가 회전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외부 케이스에 결합되어야 하는 형태의 발전구조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기존의 내전형 발전기를 사용하는 장치에서도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대체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외전형 발전기는 같은 크기의 내전형 발전기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회전력이 수용되는 수단들 예를 들어 블레이드와 같은 수단이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거나, 더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외전형 발전기의 경우 많은 양의 자석을 이용하여 발전량이 증가되는 장점은 있으나, 반대로 초기 기동시 코깅 토크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바람과 같은 외력이 작은 경우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외력의 부담이 고스란히 블레이드와 같은 회전력 수용 수단에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코깅토크를 낮추기 위한 기어와 같은 변환 수단을 이용하거나, 코깅 토크를 고려하여 작은 크기의 발전기를 사용하는 등 높은 코깅토크에 의한 단점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발전기 어셈블리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하고, 무게를 증가시키며, 발전량 자체가 감소되어 전반적인 발전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46912(등록일 2013.03.1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자의 자석과 고정자 코어의 중첩면적 즉, 자속을 가변하여 코깅토크의 가변 및 발전량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발전기의 초기 기동 및 정상 기동에 따른 효율이 최적이 되도록 한 자속 가변형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는 일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자코어를 가지는 고정자;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코어를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코어를 상기 길이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무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상기 중공과 외부를 연결하는 앵커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버는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앵커슬릿에 삽입되며, 돌출된 부분이 상기 고정자코어의 일면에 접촉하는 앵커; 일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에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고정자코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면과 대를 이루는 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슬릿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는 인장력 제공부재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앵커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자코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앵커 또는 상기 와이어에 가해진 인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고정자코어를 상기 인장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자코어와 상기 앵커의 사이, 상기 고정자코어와 상기 탄성부재의 사이에는 프레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코어는 상기 요철에 대응되는 코어요철이 상기 샤프트의 표면과 마주대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3 케이스, 상기 제1 및 제3케이스를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제2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주연에 고정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어림; 및 상기 코어림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자는 외경은 상기 코어림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은 상기 코어림의 내주연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자의 슬롯면은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상기 고정자코어의 측면에 상기 자석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과 상기 슬롯면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 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자코어는 상기 무버에 의해 상기 코어림의 내부로 이동되거나 내부에서 이탈되어 상기 자석과 상기 슬롯면의 중첩면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림은 일면에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자석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코어는 상기 코어림의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면에 방사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슬롯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무버에 의해 상기 코어림에 근접하거나, 상기 코어림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슬롯면에 가해지는 자기력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는 회전자의 자석과 고정자 코어의 중첩면적 즉, 자속을 가변하여 코깅토크의 가변 및 발전량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발전기의 초기 기동 및 정상 기동에 따른 효율이 최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를 도시한 사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부분 개방 사시도.
도 4는 케이스를 생략한 형태의 사시도.
도 5는 무버와 샤프트의 결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코어와 회전자 코어만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고정자 코어와 회전자 코어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를 도시한 사시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는 회전자(110)와 고정자(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자(110)는 고정자(140)를 축으로하여 회전하고, 이를 위해 고정자(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회전자(110)는 외부로부터의 힘 또는 회전력을 수용하는 전달수단 예를들어 블레이드, 휠의 스포크와 결합되어 이들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특히 회전자(110)의 내부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또는 전자석이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고정자(140)의 코일에 가해지는 자기장을 변화시킴으로써 전력이 생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자(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1)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와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에 견결되는 원통형의 제2케이스(1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케이스(111)는 제1 내지 제3케이스(111a 내지 111c)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의해 제시된 형태의 케이스(111)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판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샤프트(150)가 결합된다. 특히,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와 샤프트(150)의 결합은 베어링(161)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는 베어링(161)에 의해 샤프트(15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케이스(111b)는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가 빈 원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2케이스(111b)의 내부에는 자석(122)이 결합된 로터코어(120)가 결합되어, 제2케이스(111b)의 회전에 의해 로터코어(12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제2케이스(111b)는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의 면과 나란한 방향 특히, 제2케이스(111b)의 외주연 방향으로 신장되어 플랜지(112)가 형성된다. 이 플렌지(112)는 제2케이스(111b)가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면의 역할과 함께, 전술한 블레이드, 스포크와 같은 전달수단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전기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고, 하기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속 가변형 발전기는 회전자(110)와 고정자(140)로 구성된다. 회전자(110)는 전술한 케이스(111)와 케이스(111) 내부에 결합되는 로터코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자(140)는 샤프트(150), 고정자코어(141), 베어링(161 : 161a, 161b) 및 무버(170 : 171, 172, 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150)는 한쌍의 베어링(161)이 끼움결합되고, 베어링(161)에 의해 제1 및 제3케이스(111a, 111c)와 결합되며, 케이스(111)의 회전을 위한 축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샤프트(150)는 고정자코어(141)가 무버(170)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고정자코어(141)에 대한 레일의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무버(170)와 결합된다.
무버(170)는 레버 또는 동력수단과 연결되는 와이어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이용하여 고정자코어(141)를 샤프트(15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와이어(172)를 통해 전달된 힘이 해제되는 경우 원 위치로 고정자코어(14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무버(170)는 샤프트(150)의 중공을 통해 삽입 결합되는 와이어(172)와 앵커(171), 샤프트(150)의 축을 따라 결합되는 탄성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발전기의 구조 및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부분 개방 사시도이고, 도 4는 케이스를 생략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는 무버(170)에 의해 고정자코어(141)를 로터코어(120)와 중첩되는 정도를 가변함으로써 고정자코어(141)에 제공되는 자속을 변화시킨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는 약한 회전력이 제공되거나, 적은양의 발전전력이 필요한 경우 고정자코어(141)와 로터코어(120)의 중첩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회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고정자코어(141)와 로터코어(120)를 일치시킴으로써 최대 발전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발전기는 코깅토크 또는 초기 기동토크를 최소화하여 적은 회전력이 제공되어도 발전을 개시 및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력에 따라 중첩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회전력에 적합한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는 고정자코어(141)가 샤프트(150)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자코어(141)의 이동은 무버(170)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무버(170)는 와이어(171), 앵커(172) 및 탄성부재(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무버와 샤프트의 결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버(170)에 의해 샤프트(150) 상에서 이동하여 로터코어(120)와 중첩 또는 이격됨으로써 고정자코어(141)에 가해지는 자속을 변화시키게 된다.
무버(170)는 이러한 동작을 위해 고정자코어(14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무버(170)는 와이어(172)와 연결되어 와이어(172)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고정자코어(141)를 이동시키는 앵커(171), 앵커(171)와 와이어(172)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고정자코어(141)를 이동전 위치로 재이동시키는 탄성부재(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샤프트(150)는 내부에 중공(152)이 형성되어 와이어(172) 및 앵커(171)가 내삽된다. 이때 앵커(171)는 양단이 샤프트(150) 면에 형성되는 앵커슬릿(153)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여 샤프트(150)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앵커(171)와 탄성부재(173)는 고정자코어(1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앵커(171) 및 탄성부재(173)와 고정자코어(141)의 사이에는 프레임(151b, 151c)이 게재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173)가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경우 베어링(161)과 탄성부재(173) 사이에도 프레임(151a)이 게재되어 탄성부재(173)의 지지 및 이탈방지를 하게 된다.
한편, 샤프트(150)의 표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155)이 형성된다. 이 요철(155)은 고정자코어(141)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고정자코어(141)가 샤프트(15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때 고정자코어(141)의 회전을 방지하고, 원할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레일의 역할을 하게 된다.때문에, 고정자코어(141)의 샤프트홀(142)에는 요철(155)에 대응되는 형상의 코어요철(1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172)의 일단은 앵커(171)에 결합되고 타단은 레버, 모터와 같이 와이어(172)에 인력을 가할수 있는 수단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코어(141)와 로터코어(120)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자코어(141)는 이동시 전면(146a) 방향(A) 또는 후면(146b) 방향으로 이동되며, 슬롯면(147)이 측면(146c)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고정자코어(141)의 측면 둘레가 로터코어(120)와 마주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문에 고정자코어(141)의 외경은 로터코어(12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고정자코어(141)와 로터코어(120)가 중첩되는 경우 고정자코어(141)가 로터코어(120)의 중심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로터코어(120)의 코어림(12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연에 자석(122)이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코어와 회전자 코어만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발전기와 고정자코어(241) 및 로터코어(220)를 제외하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때문에 제2실시예의 발전기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코어(241) 및 로터코어(220)는 중첩됐을 때 서로 마주 대하는 자석(222)과 슬롯면(247)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자석(222)과 슬롯면(247)은 같은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자코어(241)가 로터코어(241)에 삽입되는 방향(A)에 위치한 전면의 직경(여기서는 전면의 중심으로부터 슬롯면까지의 거리)이 후면의 직경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의 슬롯면(247)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이 삽입방향(A)에 형성되도록 경사도가 결정된다.
아울러 로터코어(220)의 코어림(221) 내주연과, 내주연에 결합되는 자석(222)도 슬롯면(247)가 나란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로터코어(220)와 고정자코어(241)가 중첩되는 경우 슬롯면(247)과 자석(222) 사이의 공극이 일정해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속 가변형 발전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고정자 코어와 회전자 코어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는 고정자코어(341)와 로터코어(320)가 대면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짐으로써 자속을 가변하게 된다.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의 경우 고정자코어(141, 241)가 이동하여 로터코어(120, 220)와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자속을 가변하였나, 제3실시예에서는 중첩되지 않고, 대면하여 근접함으로써 자속을 가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로터코어(320)는 원형 판상의 코어림(321)과 코어림(321)의 일면에 방사상으로 자석(322)이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자코어(341)는 원형 판상의 코어림(348)의 일면(345a) 상에 방사상으로 슬롯(347a)이 형성되고, 슬롯면(347)이 로터코어(320)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자코어(3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버(170)에 의해 로터코어(320)에 근접하게 이동되거나 멀어지게 되며, 앵커(171)의 돌출을 위한 앵커슬릿(153)의 길이에 의해 이동거리 및 로터코어(320)와의 거리가 정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의 발전기는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비해 넓은 면적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자석(322) 및 슬롯(347a)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더 많은 발전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10 : 회전자 111 : 케이스
112 : 플랜지 120 : 로터코어
121 : 코어림 122 : 자석
140 : 고정자 141 : 고정자코어
150 : 샤프트 151 : 프레임
161 : 베어링 170 : 무버
171 : 앵커 172 : 와이어
173 : 탄성부재

Claims (15)

  1. 일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자코어를 가지는 고정자;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코어를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코어를 상기 길이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무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상기 중공과 외부를 연결하는 앵커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버는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앵커슬릿에 삽입되며, 돌출된 부분이 상기 고정자코어의 일면에 접촉하는 앵커;
    일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에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고정자코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면과 대를 이루는 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슬릿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는 인장력 제공부재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앵커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자코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앵커 또는 상기 와이어에 가해진 인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고정자코어를 상기 인장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코어와 상기 앵커의 사이, 상기 고정자코어와 상기 탄성부재의 사이에는 프레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코어는 상기 요철에 대응되는 코어요철이 상기 샤프트의 표면과 마주대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3 케이스, 상기 제1 및 제3케이스를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제2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주연에 고정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어림; 및
    상기 코어림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외경은 상기 코어림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코어림의 내주연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자의 슬롯면은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상기 고정자코어의 측면에 상기 자석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상기 슬롯면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 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코어는 상기 무버에 의해 상기 코어림의 내부로 이동되거나 내부에서 이탈되어 상기 자석과 상기 슬롯면의 중첩면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림은 일면에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자석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코어는 상기 코어림의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면에 방사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슬롯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무버에 의해 상기 코어림에 근접하거나, 상기 코어림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슬롯면에 가해지는 자기력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가변형 발전기.
KR1020130094643A 2013-08-09 2013-08-09 자속 가변형 발전기 KR20150018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643A KR20150018119A (ko) 2013-08-09 2013-08-09 자속 가변형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643A KR20150018119A (ko) 2013-08-09 2013-08-09 자속 가변형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119A true KR20150018119A (ko) 2015-02-23

Family

ID=5304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643A KR20150018119A (ko) 2013-08-09 2013-08-09 자속 가변형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81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313A1 (ko) * 2018-10-31 2020-05-07 신덕호 자기작용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채용한 발전기 장치 및 그를 위한 부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313A1 (ko) * 2018-10-31 2020-05-07 신덕호 자기작용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채용한 발전기 장치 및 그를 위한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593B2 (ja) クローポールを有する永久磁石型ステッピングモータ
EP1353436B1 (en) A compact electrical machine
KR102099891B1 (ko) 마그넷 발전기
CN101779366A (zh) 轴向间隙型电动机
JP2015122834A (ja) 回転電機機械
US9705391B2 (en) Stepping motor,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20180062459A1 (en) Magnet-assisted power generation module
JP6954581B2 (ja) 回転増速部を有する発電機
JP2012205441A (ja) 減速機付きモータ装置
JP2006094645A (ja) 永久磁石を用いた回転界磁型の同期発電機および風力発電装置
JP6131358B1 (ja) 直流モータの内外輪固定子構造
JP2007336783A (ja) 発電機及び風力発電方法並びに水力発電方法
KR20150018119A (ko) 자속 가변형 발전기
JP2008128144A (ja) 風力発電装置
JP2009022140A (ja) 回転型電磁発電機及び回転型電磁発電機の製造方法
KR102164584B1 (ko) 다중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구성되는 발전기
KR20130111197A (ko) 원반형 동축반전식 발전기 및 이 원반형 동축반전식 발전기를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JP6974036B2 (ja) 自転車用発電装置
KR101514351B1 (ko) 모터 장치
KR200418919Y1 (ko) 풍력 발전기
CN103546004A (zh) 一种包含配速装置并受装配约束的双永磁转子发电机
CN205440740U (zh) 一种驱动电机
KR102473976B1 (ko) 하이브리드형 영구자석 토크모터
TW201519572A (zh) 自行車用之雙轉子馬達
CN203774949U (zh) 防震型外转子马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