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057A -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057A
KR20150015057A KR1020130090009A KR20130090009A KR20150015057A KR 20150015057 A KR20150015057 A KR 20150015057A KR 1020130090009 A KR1020130090009 A KR 1020130090009A KR 20130090009 A KR20130090009 A KR 20130090009A KR 20150015057 A KR20150015057 A KR 20150015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nvironmental data
noise
data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정혜린
Original Assignee
이영민
정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민, 정혜린 filed Critical 이영민
Priority to KR102013009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057A/ko
Publication of KR2015001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건축물에서 각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과 같은 환경데이터를 측정 및 활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 실내공간에서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층간소음에 대한 알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공간의 거주자가 일정 기간 자리를 비우는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공간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침입으로 분석하여 알리는 등의 보안이나 방범에 활용되거나 또는 특정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주기별로 저장관리하고 이를 통해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몸무게, 걸음걸이 습관, 생활패턴 등의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하거나 또는 노인 등이 거주하는 특정 실내공간에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상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An Environmental Data through Floor Measurement and Ut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건축물에서 각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과 같은 환경데이터를 측정 및 활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 실내공간에서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층간소음에 대한 알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공간의 거주자가 일정 기간 자리를 비우는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공간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침입으로 분석하여 알리는 등의 보안이나 방범에 활용되거나 또는 특정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주기별로 저장관리하고 이를 통해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몸무게, 걸음걸이 습관, 생활패턴 등의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하거나 또는 노인 등이 거주하는 특정 실내공간에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상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건축물은 층간 바닥 슬래브에 의한 다층구조로 이루어져서 공동생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는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하부층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주거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저감 내지 차단하기 위한 각종 바닥구조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개발된 바닥구조는 대부분 바닥슬래브 위에 흡차음이나 방진소재 등을 적층하고, 공기층을 적절히 형성하거나, 고무층과 섬유층, 흡음판 등을 여러 층으로 적층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아파트 등의 대다수의 공동주택은 층간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하부층 거주자들 간에 층간 소음으로 인하여 분쟁의 씨앗이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특허 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560호(2009. 07. 29. 공개) "건축물의 층간 소음 경보장치"
위 (특허 문헌)은 이러한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에 전달되는 층간 소음을 소음측정기로 측정하여 그 소음의 세기를 소음원인 제공자인 상부층 거주자의 실내공간에서 부저에 의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표시창에 소음측정값을 나타내도록 하는 소음경보수단에 의해 하부층 거주자에게 전달되는 층간 소음을 직접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있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발생되는 소음의 정보를 소음제공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층간 발생하는 진동,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들을 측정하여 이를 이용해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러한 환경데이터들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슬래브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실내공간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에서 각 실내공간에서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층간소음에 대한 알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 특정 공간의 거주자가 일정 기간 자리를 비우는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공간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침입으로 분석하여 알리는 등 보안이나 방범에 활용될 수 있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 특정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주기별로 저장관리하고, 이를 통해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몸무게, 걸음걸이 습관, 생활패턴 등의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하거나 또는 노인 등이 거주하는 특정 실내공간에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상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진 또는 강풍으로 인해 건축물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진동의 환경데이터를 통해 지진이나 강풍시 건축물의 위험도나 안정성을 분석하여 지진이나 강풍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건축물에 대하여 장기간에 걸쳐 측정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축물의 진동 발생 정도를 분석하여 건축물의 노후에 따른 진동의 정도 등 건축물에 대한 장기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은 바닥 슬래브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실내공간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저장하는 중앙서버; 측정 또는 분석된 데이터가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 알람메시지를 발하는 알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어 바닥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측정기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어 수집된 환경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앙처리부와, 측정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진동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진동 또는 상기 소음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소음이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 알람메시지를 생성하는 진동소음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자가 일정 시간 자리를 비운 외출모드신호를 입력받는 외출모드설정모듈과, 상기 외출모드설정모듈에서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자가 자리를 비운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침입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범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보안이나 방범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주기별로 저장관리하는 단위별환경데이터D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습관을 분석하는 헬스케어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실내공간에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상상황메시지를 생성하는 이상상황분석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지진 또는 강풍으로 인해 건축물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진동의 환경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건축물환경데이터D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건축물환경데이터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진이나 강풍시 건축물의 위험도나 안정성을 분석하는 건축물안전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지진이나 강풍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진단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기간에 걸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축물의 진동 발생 정도를 분석하는 장기데이터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건축물에 대한 장기적 연구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실내공간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에서 각 실내공간에서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층간소음에 대한 알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건축물 특정 공간의 거주자가 일정 기간 자리를 비우는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공간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침입으로 분석하여 알리는 등 보안이나 방범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건축물 특정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주기별로 저장관리하고, 이를 통해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몸무게, 걸음걸이 습관, 생활패턴 등의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하거나 또는 노인 등이 거주하는 특정 실내공간에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상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지진 또는 강풍으로 인해 건축물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진동의 환경데이터를 통해 지진이나 강풍시 건축물의 위험도나 안정성을 분석하여 지진이나 강풍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특정 건축물에 대하여 장기간에 걸쳐 측정된 환경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축물의 진동 발생 정도를 분석하여 건축물의 노후에 따른 진동의 정도 등 건축물에 대한 장기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방범에 활용되는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지진시 건축물의 안전진단에 활용되는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거주자의 헬스케어에 활용되는 예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환경데이터(이하, 본 발명에서 '환경데이터'란 진동이나 소음 등을 측정한 데이터를 의미함) 측정 및 활용 시스템은 바닥 슬래브(11)와 벽체(1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실내공간(100)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수단(20); 상기 측정수단(20)에 의해 측정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저장하는 중앙서버(30); 측정 또는 분석된 데이터가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 알람메시지를 발하는 알람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수단(20)은 바닥 슬래브(11)와 벽체(1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실내공간(100)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측정수단(20)은 바닥 슬래브(11)에 설치되어 바닥 슬래브(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측정기(210)와, 실내공간(100)에 설치되어 실내공간(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측정기(210)는 건축물의 바닥 슬래브(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진동을 감지하고 그 세기를 측정하는 진동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측정기(210)는 거주자가 생활하는 실내공간(100)의 바닥 슬래브(11)에 설치되어 거주자의 이동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진동측정기(210)의 설치위치로는 바닥 슬래브(11)의 하면(도 1 참조)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 슬래브(11) 내 또는 바닥 슬래브(11)의 상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측정기(210)는 바닥 슬래브(11)의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후술할 바와 같이 거주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는데 활용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바닥 슬래브(11)의 여러 지점에 진동측정기(210)를 위치시키는 것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음측정기(220)는 건축물의 각 실내공간(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소리를 감지하여 그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음측정기(220)는 거주자가 생활하는 실내공간(100)의 벽체(12) 또는 슬래브 바닥과 천정 사이 등에 설치되어 거주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소음측정기(220)의 설치위치로는 벽체(12)(도 1 참조)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천장 또는 바닥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음측정기(220) 역시 벽체(12)의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거주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복수의 곳에서 측정한 후 이를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중앙서버(30)는 상기 측정수단(20)에 의해 측정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저장하는 구성이다.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건축물의 층간 소음이나 진동을 측정하는 기술들은 단순히 발생되는 소음의 정보를 소음제공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수단에 그치고 있을 뿐, 이를 종합하여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과는 전혀 무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복수의 실내공간(100)에서 측정된 환경데이터를 상기 중앙서버(30)에서 수집, 종합하여 이를 토대로 다양한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후술할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서버(30)는 상기 측정수단(20)에 의해 측정되어 수집된 환경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앙처리부(310)와, 측정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310)는 상기 측정수단(20)에 의해 측정되어 수집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관리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도출해내는 중앙연산장치이다. 즉, 상기 중앙처리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분야에 맞게 수집,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그 일 예로, 상기 중앙처리부(310)는 상기 진동측정기(210)를 통해 측정된 진동 또는 상기 소음측정기(220)를 통해 측정된 소음이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 알람메시지를 생성하는 진동소음분석모듈(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소음분석모듈(3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물에서 위층과 아래층 간의 층간 소음으로 인한 분쟁 발생을 예방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함에 있어서, 측정, 수집, 저장된 환경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진동소음분석모듈(311)은 특정 실내공간(100)에서 측정된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이는, 공동생활에서 아래층 또는 이웃에 피해를 줄 정도의 진동 또는 소음이라고 정해진 기준치)를 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메시지(알람수단(40)이 스피커인 경우에는 음성안내 메시지, 조명인 경우에는 전기신호,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등)를 생성하여 후술할 알람수단(40) 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소음분석모듈(311)은 생성된 알람메시지를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된 특정 실내공간(100)의 거주자 스마트폰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층간 소음의 정도를 원인 제공자가 직접 인지하여 분쟁을 미연에 방지 또는 분쟁시 법적 증거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측정수단(20)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310)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측정, 분석된 데이터를 필요 목적에 맞게 신속,정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데이터들을 별도로 분리저장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알람수단(40)은 측정 또는 분석된 데이터가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에 있어 발생된 알람메시지를 발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 알람메시지를 소리 즉, 청각적으로 안내하는 스피커 또는 알람메시지를 빛 즉,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조명 또는 알람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알람수단(40)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인 경우에는, 알람메시지를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된 특정 실내공간(100)의 거주자가 즉각적으로 이를 확인하고 시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층간 소음 등의 분쟁 발생을 미연에 방지 또는 분쟁시 법적 증거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부(310)는 특정 실내공간(100)에 거주자가 일정 시간 자리를 비운 외출모드신호를 입력받는 외출모드설정모듈(312)과, 상기 외출모드설정모듈(312)에서 특정 실내공간(100)에 거주자가 자리를 비운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측정되는) 경우 외부침입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범분석모듈(313)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보안이나 방범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외출모드설정모듈(312)이란, 특정 실내공간(100)에 거주자가 외출이나 휴가 등과 같이 일정 시간 자리를 비우는 상황인 경우에 있어, 해당 기간 동안 특정 실내공간(100)에는 거주자가 존재하지 않아 진동 또는 소음과 같은 환경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을 상황이라는 외출모드를 직접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31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외출모드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상기 외출모드설정모듈(312)에서는 해당 특정 실내공간(100)에 대해서는 외출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출모드설정모듈(312)을 통해 해당 특정 실내공간(100)에 대해서는 외출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특정 실내공간(100)에 설치된 진동측정기(210)를 통해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이 측정되거나 또는 해당 특정 실내공간(100)에 설치된 소음측정기(220)를 통해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소음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방범분석모듈(313)에서는 이를 해당 실내공간(100)의 거주자가 아닌 외부침입자에 의해 유발되는 환경데이터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외부침입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실내공간(100)의 거주자 또는 별도의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불의의 외부침입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상기 외출모드설정모듈(312)과 방범분석모듈(313)을 통한 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각 층간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안이나 방범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20)가 지진 또는 강풍으로 인해 건축물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진동의 환경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건축물환경데이터DB(321)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310)는 상기 건축물환경데이터DB(3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진이나 강풍시 건축물의 위험도나 안정성을 분석하는 건축물안전분석모듈(314)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지진이나 강풍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태풍 등에 의한 강풍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있어 건축물은 흔들리게 되고, 심한 경우 그 악영향으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진 등에 의한 건축물의 흔들림과 그에 따른 건축물의 안정성을 진단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동원하여 이에 대한 별도의 분석을 시행해야 하고 그에 따른 비용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각 층간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건축물환경데이터DB(321)는 지진 또는 강풍으로 인해 건축물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진동의 환경데이터(일 예로, 이는 다층 구조의 건축물에 층별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진동측정기(21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통계치로 얻어질 수 있음)를 별도로 저장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이고, 상기 건축물안전분석모듈(314)에서는 지진 또는 강풍으로 인한 건축물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건축물환경데이터DB(3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진이나 강풍으로 인해 해당 건축물에 발생된 진동치가 해당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의 것이지를 분석하여 해당 건축물에 대한 위험도나 안정성을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상기 건축물환경데이터DB(321)와 건축물안전분석모듈(314)을 통한 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각 층간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지진이나 강풍 등으로 인한 재난으로 인한 건축물의 구조적 위험도나 안정성을 평가하는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20)가 특정 실내공간(1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주기별로 저장관리하는 단위별환경데이터DB(322)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310)는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322)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실내공간(100)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습관을 분석하는 헬스케어분석모듈(315)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322)에서는 특정 실내공간(1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에 대해 시간대별, 주기별 그리고 측정하는 진동측정기(210)나 소음측정기(220)별로 각각 분별하여 저장관리하게 되고, 상기 헬스케어분석모듈(315)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해당 실내공간(100) 거주자의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상기 헬스케어분석모듈(315)에서는 시간대별 진동 또는 소음이 주로 측정되는 진동측정기(210)나 소음측정기(220)의 위치를 분석하여 해당 거주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당 거주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분석모듈(315)에서는 해당 거주자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의 간격이나 그 크기를 일정 주기별로 분석하여 해당 거주자의 걸음걸이에 대한 분석이나 몸무게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310)는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322)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실내공간(100)에 갑자기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 이에 대한 이상상황메시지를 생성하는 이상상황분석모듈(31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어떤 특정 실내공간(100)의 거주자가 독거노인인 경우 등에 있어서, 평소와 다르게 해당 실내공간(100)에서 측정되던 환경데이터가 갑자기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 등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이상상황분석모듈(316)에서는 이를 독거노인 등이 갑자기 쓰러진 상황과 같은 이상상황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이상상황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등에게 전송하여 이와 같은 이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322), 헬스케어분석모듈(315) 및/또는 이상상황분석모듈(316)을 통한 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각 층간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거주자의 몸무게, 걸음걸이 습관, 생활패턴 등의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하거나 또는 독거노인 등과 같은 특정 거주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이상상황을 파악,대응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중앙처리부(31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장기간에 걸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축물의 진동 발생 정도를 분석하는 장기데이터분석모듈(317)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건축물에 대한 장기적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건축물이 일정 시간이 경과 하면서 노후화되게 되면 자연스럽게 건축물에 진동 등이 발생되는 빈도나 정도가 커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기데이터분석모듈(317)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장기간에 걸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축물의 진동 발생 빈도나 정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건축물의 노후화에 대한 장기적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바닥 슬래브 12: 벽체
100: 실내공간
20: 측정수단 210: 진동측정기
220: 소음측정기
30: 중앙서버 310: 중앙처리부
311: 진동소음분석모듈 312: 외출모드설정모듈
313: 방범분석모듈 314: 건축물안전분석모듈
315: 헬스케어분석모듈 316: 이상상황분석모듈
317: 장기데이터분석모듈
320: 데이터베이스 321: 건축물환경데이터DB
322: 단위별환경데이터DB
40: 알람수단

Claims (8)

  1. 바닥 슬래브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실내공간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환경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환경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저장하는 중앙서버;
    측정 또는 분석된 데이터가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 알람메시지를 발하는 알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어 바닥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측정기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어 수집된 환경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앙처리부와, 측정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진동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진동 또는 상기 소음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소음이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 알람메시지를 생성하는 진동소음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자가 일정 시간 자리를 비운 외출모드신호를 입력받는 외출모드설정모듈과, 상기 외출모드설정모듈에서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자가 자리를 비운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침입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범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보안이나 방범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를 일정 주기별로 저장관리하는 단위별환경데이터D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습관을 분석하는 헬스케어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거주자의 헬스케어 관리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단위별환경데이터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실내공간에 일정 기간 이상 진동 또는 소음의 환경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상상황메시지를 생성하는 이상상황분석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지진 또는 강풍으로 인해 건축물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진동의 환경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건축물환경데이터D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건축물환경데이터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진이나 강풍시 건축물의 위험도나 안정성을 분석하는 건축물안전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지진이나 강풍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진단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기간에 걸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축물의 진동 발생 정도를 분석하는 장기데이터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되는 환경데이터를 건축물에 대한 장기적 연구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KR1020130090009A 2013-07-30 2013-07-30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KR20150015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09A KR20150015057A (ko) 2013-07-30 2013-07-30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09A KR20150015057A (ko) 2013-07-30 2013-07-30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057A true KR20150015057A (ko) 2015-02-10

Family

ID=5257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009A KR20150015057A (ko) 2013-07-30 2013-07-30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0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369A (ko) * 2018-01-10 2019-07-18 이준해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369A (ko) * 2018-01-10 2019-07-18 이준해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704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US11145173B2 (en) Evacuation system with sensors
US20230230174A1 (en) Notification of the condition of a property
RU268137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нтроля
KR101630308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101343345B1 (ko)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WO2014132340A1 (ja) 見守りシステム
JP6324568B2 (ja) 見守りシステム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268318B1 (ko) 층간 진동 및 소음 측정 경보 장치
JP2012021969A (ja) 部屋、配線器具
KR20090081560A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경보장치
KR20150051041A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9406B1 (ko)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및 시스템
US20220179114A1 (en) Appliance for Monitoring Activity Within a Dwelling
KR102257683B1 (ko) 층간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15057A (ko) 층간 환경데이터 측정 및 활용 시스템
KR20180061091A (ko) 센서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933670B1 (ko) 건축공정에서 시공되는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JP2007122175A (ja) 木造構造物監視システム
JP4701759B2 (ja) 免震効果評価装置、振動測定システム
KR20200114425A (ko)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EP3895140A1 (en) Monitoring device and arrangement
KR20160080522A (ko)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KR102510759B1 (ko) 층간소음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