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425A -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425A
KR20200114425A KR1020190036181A KR20190036181A KR20200114425A KR 20200114425 A KR20200114425 A KR 20200114425A KR 1020190036181 A KR1020190036181 A KR 1020190036181A KR 20190036181 A KR20190036181 A KR 20190036181A KR 20200114425 A KR20200114425 A KR 20200114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floor
uni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163B1 (ko
Inventor
정진연
임정빈
김종률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9003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1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 건물 중 사용자의 사용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자가 측정하여 스스로 소음을 저감하거나 자제할 수 있도록 하부 세대에 전달되는 소음의 정도를 알려주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 슬래브 상부에 진동 측정부를 설치하여 하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예측하여 진동 레벨을 모니터링하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알려줌으로 소음 발생을 저감하거나 줄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거주자의 사용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자가 측정하여 하부 세대에 전달되는 소음의 정도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소음을 저감하거나 자제할 수 있도록 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공동 주택이 보급되고 일반화되면서 층간 소음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 나라 대부분의 공동 주택은 온돌 바닥 구조로 단열층을 제외하면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없고 주로 발포 폴리스티렌 외에 별도의 소음 차단재를 사용하지 않아 소음 저감 효과는 미비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설사는 세대간 바닥 슬래브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충간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단열완충재의 구조 및 소재를 변경하는 등의 시도를 하고 있지만 건물 하중 및 건설 원가 상승을 유도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신축 건물의 경우 원가 상승이 있더라도 건축단계에서 층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기존 건물의 경우에는 층간 소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쉽지 않다. 기존의 건물에 소음 측정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하부세대에 센서를 설치하고 관리사무소 또는 상부 세대에서 모니터링 하는 방법으로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문제로 세대간 더욱 민감한 상황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71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설이 완료된 건물에도 설치가 가능한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예방 장치를 설치한 세대가 발생시키는 진동을 측정하여 하부 세대로 전달되는 소음을 예측하고, 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층간 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줄일 수 있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층간 소음 예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부, 진동으로 소음 레벨을 예측하는 소음 관리부 및 진동 측정부 및 소음 관리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층간 소음 예방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기록매체는 바닥 슬래부 상부에 설치하여 수직방향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로 진동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진동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경고 알람 기준값과 진동 레벨을 비교하여 소음 발생 주의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층간 소음 예방 장치는 건설이 완료된 공동주택 등의 건물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소음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세대에 설치된 소음 측정 장치가 오작동하거나 고장이 난 경우 수리를 위해서는 하부 세대의 협조가 필요하지만 소음 측정 센서가 사용자의 공간에 있으면 다른 사람의 공간에 있는 것보다 수리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세대에서 층간 소음을 유발한 상부 세대를 상대로 민원을 요청하는 형태가 아니라 상부 세대에서 스스로 자제 또는 관리할 수 있어 이웃 간의 분쟁 해결에도 도움이 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들.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의 진동센서의 유효성을 설명하는 도면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의 진동과 소음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방법을 설명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공동주택 바닥면의 슬래브 상부에 진동센서를 설치하고, 측정된 진동데이터로 층간소음을 계산하여 알림을 발생시킨다.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상부 세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고체 전달음이 하부 세대에 공기 전달음 형태로 변환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부 세대의 진동을 측정하여 하부 세대의 소음을 예측한다.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사용자의 사용공간에서 발생되는 충격 진동을 측정하므로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간단하다. 예를 들어 하부 세대에 설치된 소음 측정 장치가 오작동하거나 고장이 난 경우 하부 세대의 협조가 필요하지만 소음 측정 센서가 사용자의 공간에 있으면 다른 사람의 공간에 있는 것보다 수리 및 관리가 쉽다. 또한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진동 레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부재시에 미세한 진동에 대해 작동하도록 설정하여 방범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고, 반대로 진동이 측정되지 않으면 알람을 발생시켜 노약자 특히 독거노인 보호 장치로도 이용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층간소음 예방 장치(10)는 진동 측정부(100), 소음 관리부(200) 및 통신부(300)를 포함한다.
진동 측정부(100)는 진동을 감지하여 측정한다. 진동 측정부(100)는 하부 세대에 전달되는 바닥진동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진동 센서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진동 센서는 슬래브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바닥과 직각인 수직 방향(Z축)으로 진동값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진동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로 압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공동 주택의 바닥은 일반적으로 바닥 마감재, 마감 몰탈층, 기포콘크리트, 완충재 및 바닥 슬래브로 구성되고 진동 센서는 바닥 슬래브와 접착되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진동 측정부(100)를 바닥 슬래브(가장 아래층)에 설치하므로 바닥 마감재(가장 위층)에서 측정한 진동과 매우 다른 형태를 가진다. 바닥 마감재 상부의 진동 센서로 측정한 진동은 실제 하부 세대에 소음의 형태로 전파되는 바닥 슬래브 하부(하부 세대 천장)의 진동에 비해 진동가속도 값이 과도하게 크게 나타난다. 도 3을 자세히 설명하면 동일한 충격진동에 대해 바닥 마감재 상부에서 측정된 진동가속도 값과 바닥 슬래브에서 측정된 진동가속도 값은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 주파수에서 일정한 충격이 가해지는 임팩트 해머를 사용하여 주파수 응답함수(FRF, frequncy response funtion)를 측정한 결과 상부세대의 바닥마감재 상부의 진동 레벨과 하부 세대의 천장에 해당되는 상부세대 바닥 슬래브 하부면의 진동 레벨은 다르게 측정된다. 주파수 응답 함수는 신호 전달 요소에 정현파상 입력을 가했을 때, 그 정상 상태에서 응답 출력을 주파수 관계로 나타낸 것이다. 즉, 주파수 영역에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로서, 충격력 입력 신호에 대한 음압 또는 가속도의 주파수 응답함수의 크기는 각 주파수 별로 측정값과 충격력의 비(Pa/N)로 나타내기 때문에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및 감쇠 등과 같은 진동특성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 주파수 응답 함수를 통해서도 바닥 마감재 상부에서의 충격력이 실제 하부 세대 천장(바닥 슬래브 하부)에서의 진동에 비해 과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주요 원인이 되는 중량충격음의 경우는 주요한 주파수 대역인 저주파수 대역(24Hz 등)에서 바닥 마감재는 바닥 슬래브의 고유진동수를 나타내지 못한다. 층간 소음은 상부 세대 바닥 슬래브 상부의 진동이 하부 세대의 천장인 상부 세대의 바닥 슬래브 하부를 통해 고체 전달음에서 공기 전달음 형태로 변경되어 하부 세대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 세대의 천장인 상부 세대의 바닥 슬래브에서 측정한 값은 저주파수 대역의 바닥 슬래브의 고유진동수가 명확하게 측정되므로 바닥 슬래브 상부의 진동을 측정하는 것이 하부 세대의 영향을 주는 층간 소음을 측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즉, 하부 세대로 전달되는 상부세대의 바닥 소음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직방향 진동 센서를 바닥 슬래브에 직접 접촉하여 설치해야 한다.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소음을 유발하는 상부 세대 내에 직접 진동 측정부(100)를 설치하여 하부 세대의 소음을 예측하므로 상하 세대 간의 소음의 대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세대 내에서 관리할 수 있어 타 세대와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없고 진동 측정부(100)의 오작동이나 고장 시에도 세대 내에서 번거로움 없이 해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의 진동 측정부(100)의 유효성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의 진동 측정부(100)의 유효성 실험을 진행하는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거실크기의 바닥판에 격자형태의 63개 지점(9*7)을 선정하여 주파수 응답 함수로 진동가속도 레벨을 측정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거실크기의 바닥판에 격자형태의 63개 지점 평균값과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의 진동 측정부(100)를 설치할 수 있는 벽체 하부 측면 콘크리트 지점(모서리지점)의 바닥 슬래브 진동가속도 레벨을 비교한 결과, 고유진동수와 진동 형태가 유사하다. 따라서 벽체 하부 측면 콘크리트 지점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가 하부 세대로 전달되는 상부 세대의 바닥 충격 진동을 측정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벽체 하부 측면 콘크리트 지점인 주방가구 하부나 월패드 하부의 바닥 슬래브와 직접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공동 주택이 건설이 완료된 후에도 설치가 가능한 장소이다. 또한 하부 세대 즉 타인의 공간이 아니라 사용자의 공간에 설치되므로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8 을 참조하면, 진동 측정부(100)는 측정된 진동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소음으로 인식한다. 진동 측정부(100)는 진동 레벨 증폭 및 필터링을 거쳐 수집된 진동 레벨 데이터로 소음레벨을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진동 측정부(100)는 0.2~2초 간격으로 진동을 측정한다. 진동 측정부(100)는 5초 동안 소음으로 인식할 수 있는 진동이 3회 이상 발생하면 5초가 되는 시점에 소음 관리부(200)로 소음 발생 진동 레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진동 측정부(100)는 진동 센서가 측정한 값을 전처리한 후 소음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전처리 과정은 증폭기과 필터를 이용한다. 진동 측정부(100)는 진동 레벨 데이터를 비반전 증폭기에 통과시킨다. 이 때 증폭을 많이 하면 노이즈까지 증폭되어 소음으로 인식되므로 적절하게 값을 증폭한다. 진동 측정부(100)는 증폭된 값을 노이즈 제거를 위해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를 통과시킨다. 하이 패스 필터는 소음으로 인식되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주파수 대역의 전기적 이상신호인 진동 ski slope 현상을 제거한다.
소음 관리부(200)는 진동 측정부(100)에서 전송한 소음 발생 진동 레벨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음 여부를 판단하고 경고 알람한다. 소음 관리부(200)는 홈 네트워크와 같은 각종 정보 통신 기기(예를 들면 월패드, PC, 휴대폰, 웹패드 등 정보처리가 가능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 관리부(200)는 세대 내 월 패드에 내장하여 월 패드 단일시스템으로 진동 측정부(100)가 측정한 데이터를 월 패드로 관리할 수 있다.
소음 관리부(200)는 설정부(210), 알람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설정부(210)는 진동 레벨 데이터를 기준으로 소음 경고 알림을 위한 경고 알림 기준값을 미리 설정한다. 경고 알림 기준값은 제1 임계값을 소음 임계값으로 하고 제 2 임계값을 소음의 지속 상황을 판단할 일정시간으로 하고, 제 3 임계값을 소음 발생횟수로 정할 수 있고 다른 조건 임계값들을 더 추가할 수 있다. 경고 알람 기준값은 임계값 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210)는 진동이 일정 시간동안 반복되어 발생하는 경우에 알림 경고를 하도록, 정해진 시간 범위에서 발행횟수를 모니터링하여 소음 경고 알람을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210)는 공동주택 층간 소음 법적 기준을 참고하여 입주민들이 동의하는 수준의 층간소음 기준치를 제공한다. 진동 레벨과 소음 레벨을 비교하여 산출하는 층간소음 기준치는 도 8및 도 9를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정부(210)는 층간소음 기준치를 제1임계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기준치를 참고하여 경고 알람 기준값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210)는 주간과 야간의 경고 알람 임계값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부(210)는 제1임계값과 제2 임계값을 설정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일정 시간동안 지속되는 소음의 경우 알람부(220)에 경고 알람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210)는 제3 임계값을 설정하여 일정시간동안 발생횟수를 체크하여 경고 알람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소음 주의 알람을 알람부(220)에 요청할 수 있다.
알람부(220)는 설정된 경고 알림 기준값에 따라 진동 레벨 데이터가 경고 알림 기준값을 초과하면 알림 경고를 한다. 알람부(220)는 알람 경고를 시각적인 화면 또는 알람음으로 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진동 레벨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진동 레벨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저장된 데이터를 소음 발생 보고서 작성의 로데이터(raw data)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이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표준 및 기술로 진동 측정부(100)와 소음 관리부(200)를 연결하고,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와 각종 정보 통신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통신부(300)를 이용해 관리사무소 전송 시스템을 추가할 수 있어 중앙집중식으로 공동주택 건물 내 각 세대에 위치한 층간 소음 예방 장치들이 원격 관리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은 진동과 소음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는 진동 센서와 소음 센서로 동일한 충격에 대한 진동 레벨과 소음 레벨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공동주택 세대 내부에서의 소음레벨 측정은 각종 생활소음(TV, 도로 교통 소음, 세탁기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소음으로 바닥 충격음만을 측정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상부세대의 바닥 슬래브의 진동레벨을 통한 하부 세대의 소음 레벨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도 10 을 참조하면, 각종 충격원(표준 충격원, 성인 보행 등)에 의한 슬래브 진동과 소음과의 관계를 다음 수학식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X는 슬래브 진동 레벨(단위 m/s^2)을 나타내며, Y는 소음 레벨(dB(A))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을 이용하면, 각종 충격원(표준 충격원, 성인 보행 등)에 의한 슬래브 진동과 소음으로 변환시키는 통계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부 세대의 진동 레벨이 하부 세대의 소음 레벨로 변환되는지 예측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 레벨의 소음 레벨 변환 예측치를 기반으로 진동 레벨로 소음 레벨을 예측하여 소음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진동 레벨의 층간소음 기준치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단계 S1110 에서 세대 내에 설치된 진동 측정부(100)에서 진동을 측정한다. 진동 측정부(100)는 수직방향의 바닥 충격음을 측정할 수 있는 진동 센서이고 주방가구 또는 월 패드 하단의 바닥 슬래브 상부에 설치된다.
단계 S1120에서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측정한 진동 레벨 데이터에서 소음으로 인지되는 부분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다. 예를 들면,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5초 사이에 층간소음이 3회 이상 발생하면 5초가 되는 시점에 소음이 발생하였음을 소음 관리부(200)에 전달하고 소음 관리부(200)는 진동 레벨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계 S1130에서 층간 소음 측정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경고 알람 기준값을 비교하여 소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음 발생 주의 알람을 하게 된다. 층간 소음 측정 장치(10)는 경고 알람 기준값으로 복수의 임계값을 여러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고 주간, 야간 및 세대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임계값은 소음 임계값으로 소음 레벨에 대응되는 진동 레벨로 제1임계값을 초과하게 되면 소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소음이 지속되는 일정 시간으로 제 2임계값 이상 지속적으로 제1 임계값을 초과한 소음이 발생하면 소음 발생 주의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 3임계값은 제2 임계값 동안 발생하는 소음의 발생횟수로 제 2 임계값 동안 제3 임계값을 초과하여 소음이 발생하면 소음 발생 주의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진동 레벨에 대한 소음 발생 주의 알람을 정보 통신 기기의 화면으로 할 수도 있고 경고음으로도 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예방 장치(10)는 소음 발생 주의 알람을 함으로 소음 발생을 인지시켜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행위를 유도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예방 방법은 이진법적인 논리가 아닌 애매하고 모호한 문제를 판단하는 수학적 접근이론인 퍼지이론(Fuzzy theory) 등을 이용하여 센서의 진동레벨을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예방 방법은 거실 중앙부위에서 기준 음원을 가진하고 이를 센서에서 인식하여 레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층간 소음 예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층간 소음 예방 장치
100: 진동 측정부
200: 소음 관리부
210: 설정부
220: 알람부
230: 저장부
300: 통신부

Claims (9)

  1. 층간 소음 예방 장치에 있어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부;
    상기 진동으로 소음 레벨을 예측하는 소음 관리부: 및
    상기 진동 측정부 및 소음 관리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관리부는
    상부 세대의 진동 레벨로 하부 세대의 소음 레벨을 예측하여 상부 세대에 소음 주의 알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측정부는
    수직 방향의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측정부는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관리부는
    경고 알람 기준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경고 알람 기준값 이상인 경우 주의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진동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알람 기준값은
    제1 임계값, 제 2 임계값 및 제3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진동 레벨에 대응하는 소음 레벨을 예측하여 소음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진동 레벨의 기준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예방 장치.
  8. 층간 소음 예방 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부 상부에 설치된 수직방향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부로 진동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진동 레벨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경고 알람 기준값과 진동 레벨을 비교하여 소음 발생 주의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예방 방법.
  9. 제 8항의 층간 소음 예방 방법를 실행하고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36181A 2019-03-28 2019-03-28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KR102185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81A KR102185163B1 (ko) 2019-03-28 2019-03-28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81A KR102185163B1 (ko) 2019-03-28 2019-03-28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425A true KR20200114425A (ko) 2020-10-07
KR102185163B1 KR102185163B1 (ko) 2020-12-01

Family

ID=7288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81A KR102185163B1 (ko) 2019-03-28 2019-03-28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239A (ko) * 2021-01-19 2022-07-2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144A (ko) * 2014-03-07 2015-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144A (ko) * 2014-03-07 2015-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239A (ko) * 2021-01-19 2022-07-2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163B1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704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Ljunggren et al. Correlation between sound insulation and occupants’ perception–Proposal of alternative single number rating of impact sound
KR101343345B1 (ko)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KR10170159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23833B1 (ko) 층간 소음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345603B1 (ko)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KR101795765B1 (ko)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101690006B1 (ko) 층간소음 및 층간진동 감지시스템
KR102454962B1 (ko)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456363B1 (ko) 진동 및 소음 경보 시스템
KR20180123319A (ko)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85163B1 (ko) 층간 소음 예방 장치 및 방법
KR20150144456A (ko)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16556A (ko)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JP7268793B2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装置及び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方法
KR101503878B1 (ko) 공배관을 통한 층간 소음 통합 관리 시스템
JP3751628B2 (ja) 騒音検知システム
KR20160093333A (ko) 층간 소음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10759B1 (ko) 층간소음 모니터링 장치
KR102643246B1 (ko) 인공지능 기반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KR102008332B1 (ko)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KR102123106B1 (ko) 가전제품을 활용한 지진 감지 서버 장치 및 지진 감지 서버 장치의 운영 방법
KR20200142797A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 충격 감지 기능을 갖춘 바닥재
KR102469970B1 (ko) 층간 소음 알림 기능을 갖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