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00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001A
KR20150013001A KR1020140057729A KR20140057729A KR20150013001A KR 20150013001 A KR20150013001 A KR 20150013001A KR 1020140057729 A KR1020140057729 A KR 1020140057729A KR 20140057729 A KR20140057729 A KR 20140057729A KR 20150013001 A KR20150013001 A KR 2015001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olid
substrate
state image
image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나가타
가츠오 이와타
니나오 사토
다카유키 오가사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5001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38Bonding interfaces outside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01L2224/83385Shape, e.g. interlocking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화소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고체 촬상 소자, 렌즈 및 렌즈 홀더를 갖는다. 고체 촬상 소자는 복수의 화소가 설치된 수광면을 갖는다. 이 고체 촬상 소자의 수광면은,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광의 주광선이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입사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렌즈는,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배치되고, 고체 촬상 소자의 각각의 화소에 광을 집광한다. 렌즈 홀더는, 고체 촬상 소자를 덮도록 배치되고, 렌즈를 내부에 갖는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출원은 2013년 7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3-154635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향수하고, 그 일본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서 원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에 실장되는 소형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화소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된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가, 내부에 렌즈를 갖는 렌즈 홀더에 덮인 것이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종래, 고체 촬상 소자는, 이 소자의 수광면이 수평인 상태에서, 렌즈 홀더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고체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대향하는 표면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가 렌즈 홀더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중심부의 화소에 대해서는 광이 수직으로 입사되지만, 단부의 화소에 있어서는, 광이 경사 방향으로 입사된다. 따라서,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는, 화소마다 감도가 변동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소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화소가 설치된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각각의 상기 화소에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기 수광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적어도 1개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기 수광면은, 상기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상기 광의 주광선이 각각의 상기 화소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입사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화소가 설치된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각각의 상기 화소에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는 시걸(seagull) 타입의 렌즈이며,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기 수광면은, 상기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상기 광의 주광선이 각각의 화소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입사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배치되고, 만곡된 표면을 갖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이면(裏面) 전체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만곡된 표면 형상에 따라서 만곡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가 설치되고, 또한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상기 광의 주광선이 각각의 화소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입사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의 만곡 형상과 일치하는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각각의 화소에 광을 집광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표면의 만곡 형상에 기초하여 설계된 특성도를 갖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덮도록 상기 제1 기판의 표면에 배치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에, 상기 렌즈 홀더에 의해 보유 지지된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화소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일 단면도이다.
도 2는 표면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에 입사된 광이, 수평인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를 향하여 진행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수광면이 수평인 고체 촬상 소자의 화소의 위치와, 표면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에 입사된 광의 각 화소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즈의 특성도이다.
도 4는 렌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수광면이 수평인 고체 촬상 소자의 화소의 위치와, 도 4에 도시하는 렌즈에 입사된 광의 각 화소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즈의 특성도이다.
이하에,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일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 제1 기판 상(11)에는 스페이서(12) 및 제2 기판(13)을 개재하여, 고체 촬상 소자(14)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2)는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렌즈(15)의 형상에 따라서 만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만곡된 표면을 갖는다. 이 스페이서(12)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이며, 제1 기판(11)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2)의 만곡된 표면 상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2 기판(13)이 배치되어 있다. 제2 기판(13)은 이 표면 상에 고체 촬상 소자(14)가 배치되는 것이며, 이 기판(13)의 이면 전체면이 스페이서(12)의 표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기판(13)이 배치됨으로써, 제2 기판(13)은, 스페이서(12)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이 제2 기판(13)의 표면 상에는 고체 촬상 소자(14)가 배치되어 있다. 고체 촬상 소자(14)는 복수의 화소(14a)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 형성된 수광면(14S)을 갖고 있으며, 각 화소(14a)에 의해 광을 수광하고, 수광량에 따른 양의 전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신호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고체 촬상 소자(14)는 만곡된 제2 기판(13)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은 제2 기판(13)의 만곡 형상에 따라서, 즉, 스페이서(12) 표면의 만곡 형상에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또한, 고체 촬상 소자(14)와 제2 기판(13)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기판(13)과 제1 기판(11)은 예를 들어 와이어(16)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고체 촬상 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2 기판(13) 및 와이어(16)를 통해서 제1 기판(11)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고체 촬상 소자(14)가 배치된 제1 기판(11)의 표면 상에는, 예를 들어 차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통 형상의 렌즈 홀더(17)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 홀더(17)는, 내경이 작은 소직경부(17a) 및 소직경부(17a)보다 내경이 큰 대직경부(17b)를 갖고 있다. 이러한 렌즈 홀더(17)는 대직경부(17b)가 고체 촬상 소자(14), 제2 기판(13) 및 스페이서(12)를 덮고, 또한 후술하는 렌즈(15)가 고체 촬상 소자(14)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제1 기판(11)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렌즈 홀더(17)의 소직경부(17a)의 일부에는, 카메라 모듈(10)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하고, 적외선 성분 이외를 투과시키는 적외선 차단 필터(18)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 홀더(17)의 소직경부(17a)의 내부 중, 적외선 차단 필터(18)의 상방에는, 예를 들어 차광성 수지를 포함하고, 중심에 개구부를 갖는 천장판부(19a)가 일단부에 설치된 통 형상의 렌즈 배럴(1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 배럴(19)의 내부에, 상술한 고체 촬상 소자(14) 각각의 화소(14a)에 광을 집광하는 렌즈(1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홀더(17)의 소직경부(17a)에는 나사산(17c)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렌즈 배럴(19)의 외주면에는 나사홈(19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배럴(19)을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배럴(19)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렌즈 배럴(19)의 이동에 의해, 렌즈 배럴(19)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15)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 렌즈 홀더(17) 내의 렌즈(15) 중,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에 대향하는 표면(15S)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하에, 이러한 렌즈(15)에 입사된 광이 렌즈(15)의 표면(15S)으로부터 출사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2는 표면(15S)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15)에 입사된 광이, 복수의 화소(114a)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된, 수평인 수광면(114S)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114)를 향하여 진행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렌즈(15)의 광축의 연장 상에 배치되는 화소(114a)의 위치를 「0」이라 하고, 이 위치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114a)의 위치를, 위치 「0」의 화소(114a)에 대한 상대 위치라 하며, 「1」이라 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실선 화살표 L은, 렌즈(15)의 표면(15S)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주광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0」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114a)를 중심부의 화소(114ao)라 칭하고, 「1」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114a)를 최단부의 화소(114ae)라 칭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의 화소(114ao)에 입사되는 광은, 이 광의 주광선 L이 화소(114ao)의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화소(114ao)에 도달한다. 즉, 상술한 수평인 수광면(114S)은, 중심부의 화소(114ao)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L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광면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최단부의 화소(114ae)를 포함하는, 중심부의 화소(114ao) 이외의 각 화소(114a)에 입사되는 광은, 이 광의 주광선 L이 화소(114a)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각 화소(114a)에 도달한다.
즉, 중심부의 화소(114ao)는, 주광선 각도 θ=0°로 광을 수광하는 데 반해, 최단부의 화소(114ae)를 포함하는, 중심부의 화소(114a) 이외의 각 화소(114a)는, 주광선 각도 θ≠0°로 광을 수광한다.
도 3은 수광면(114S)이 수평인 고체 촬상 소자(114)의 화소(114a)의 위치와, 표면(15S)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15)에 입사된 광의 각 화소(114a)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즈의 특성도이다. 도 3에서, 횡축은 화소(114a)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은 각 화소(114a)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15S)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15)를 사용하여, 수평인 수광면(114S)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114)에 광을 집광하는 경우, 중심부의 화소(114ao)는 주광선 각도 θ=0°로 광을 수광하지만, 중심부의 화소(114ao) 이외의 각 화소(114a)는 중심부의 화소(114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화소(114a)일수록(= 최단부의 화소(114ae)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화소(114a)일수록) 큰 주광선 각도 θ로 광을 수광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촬상 소자(114)의 각 화소(114a)가 광을 수광하는 경우, 중심부의 화소(114ao)가 가장 많은 광을 수광하고, 중심부의 화소(114ao)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화소(114a)일수록(= 최단부의 화소(114ae)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화소(114a)일수록), 광의 수광량이 저하된다. 따라서, 최단부의 화소(114ae)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화소(114a)일수록, 감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수광면(114S)이 수평인 고체 촬상 소자(114)에서는, 화소(114a)마다 감도가 변동되며, 화소(114a)마다의 감도가 불균일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는, 화소(14a)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각도 θ가, 모든 화소(14a)에 있어서 서로 같아지도록,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만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소(14a)마다의 감도의 변동이 개선된다.
또한,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렌즈 특성도에 기초하여 스페이서(12)의 표면의 만곡 형상을 설계하여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스페이서(12) 상에 고체 촬상 소자(14)를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만곡시키면 된다.
특히,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는, 화소(14a)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각도 θ가, 모든 화소(14a)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θ=0°로 되도록,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만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소(14a)마다의 감도의 변동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특히 중심부 이외의 각 화소(14a)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는, 화소(14a)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각도 θ가, 모든 화소(14a)에 있어서 서로 같아지도록,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만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소(14a)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는, 화소(14a)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각도 θ가, 모든 화소(14a)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θ=0°로 되도록,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만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소(14a)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음과 함께, 특히 중심부 이외의 각 화소(14a)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15S)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15)를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는, 채용되는 렌즈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 화소(14a)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각도 θ가, 모든 화소(14a)에 있어서 서로 같아지도록,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만곡시킴으로써, 화소(14a)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렌즈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렌즈(25)는,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에 대향하는 표면(25S)에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소위 시걸 렌즈이다. 이 렌즈(25)는, 도 1에 도시되는 렌즈(15)에 의한 상면 만곡을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수광면(114S)이 수평인 고체 촬상 소자(114)의 화소(114a)의 위치와, 소위 시걸 렌즈(25)에 입사된 광의 각 화소(114a)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즈의 특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횡축은 화소(114a)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은 각 화소(114a)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시걸 렌즈(25)를 채용한 경우, 중심부의 화소(114ao)(「0」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는, 주광선 각도 θ=0°로 광을 수광하고, 최단부의 화소(114ae)를 포함하는, 중심부의 화소(114a) 이외의 각 화소(114a)는, 주광선 각도 θ≠0°로 광을 수광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표면(14S)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렌즈(15)를 채용한 경우와 마찬가지이지만, 중심부의 화소(114ao)와 최단부의 화소(114ae)(「1」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 사이에 배치되는 소정의 화소(114a)에 있어서, 주광선 각도 θ가 최대로 되도록, 각 화소(114a)가 광을 수광하는 점에서 다르다. 즉, 시걸 렌즈(25)를 채용한 경우, 중심부의 화소(114ao)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114a)에 이르는 영역에서, 각 화소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는, 화소의 위치가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증가한다. 그러나, 상술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로부터 최단부의 화소(114ae)에 이르는 영역에서, 각 화소에 대한 주광선 각도 θ는, 화소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소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감소한다.
이러한 특성의 렌즈(25)를 채용한 경우라도,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소(14a)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각도 θ가, 모든 화소(14a)에 있어서 서로 같아지도록,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만곡시킴으로써, 화소(14a)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서의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도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는 렌즈 특성도에 기초하여 스페이서(12)의 표면의 만곡 형상을 설계하여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스페이서(12) 상에 고체 촬상 소자(14)를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만곡시키면 된다.
또한, 특성의 렌즈(25)를 채용한 경우라도, 화소(14a)에 입사되는 광의 주광선 각도 θ가, 모든 화소(14a)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θ=0°로 되도록,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을 만곡시킴으로써, 화소(14a)마다의 감도의 변동을 개선할 수 있음과 함께, 특히 중심부 이외의 각 화소(14a)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렌즈(15, 25)는, 렌즈 홀더(17)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19) 내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렌즈(15, 25)는, 적어도 고체 촬상 소자(14)의 수광면(14S)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렌즈 홀더 내부에 배치되면 되고, 예를 들어 렌즈 홀더 내부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10 : 카메라 모듈
11 : 제1 기판
12 : 스페이서
13 : 제2 기판
14, 114 : 고체 촬상 소자
14a, 114a : 화소
114ao : 중심부의 화소
114ae : 최단부의 화소
14S, 114S : 수광면
15, 25 : 렌즈
15S, 25S : 표면
16 : 와이어
17 : 렌즈 홀더
17a : 소직경부
17b : 대직경부
17c : 나사산
18 : 적외선 차단 필터
19 : 렌즈 배럴
19a : 천장판부
19b : 나사홈

Claims (20)

  1. 카메라 모듈로서,
    복수의 화소가 설치된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각각의 상기 화소에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기 수광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적어도 1개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기 수광면은, 상기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상기 광의 주광선이 각각의 상기 화소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입사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각각의 상기 화소에 수직인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렌즈 특성도에 기초하여 만곡하도록 설계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 상에 이면(裏面) 전체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표면에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갖는 제2 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제2 기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은,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덮도록 상기 제1 기판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렌즈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렌즈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통 형상이며, 차광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에 상기 렌즈 홀더에 의해 보유 지지된 적외선 차단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통 형상의 렌즈 배럴이 배치되도록,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갖고, 상기 통 형상의 렌즈 배럴은, 상기 렌즈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소직경부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은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렌즈 배럴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카메라 모듈로서,
    복수의 화소가 설치된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각각의 상기 화소에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는 시걸(seagull) 타입의 렌즈이며,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기 수광면은, 상기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상기 광의 주광선이 각각의 화소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입사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각각의 상기 화소에 수직인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렌즈의 렌즈 특성도에 기초하여 만곡 형상으로 설계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 상에 이면 전체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표면에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지지하는 제2 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제2 기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은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덮도록 상기 제1 기판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상기 렌즈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렌즈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통 형상이며, 차광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에, 상기 렌즈 홀더에 의해 보유 지지된 적외선 차단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통 형상의 렌즈 배럴이 배치되도록,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갖고, 상기 통 형상의 렌즈 배럴은, 상기 렌즈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소직경부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은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렌즈 배럴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9. 카메라 모듈로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배치되고, 만곡된 표면을 갖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이면 전체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만곡된 표면 형상에 따라서 만곡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표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가 설치되고, 또한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상기 광의 주광선이 각각의 화소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입사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의 만곡 형상과 일치하는 수광면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각각의 화소에 광을 집광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표면의 만곡 형상에 기초하여 설계된 특성도를 갖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덮도록 상기 제1 기판의 표면에 배치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에, 상기 렌즈 홀더에 의해 보유 지지된 적외선 차단 필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통 형상의 렌즈 배럴이 배치되도록,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갖고,
    상기 통 형상의 렌즈 배럴은, 상기 렌즈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057729A 2013-07-25 2014-05-14 카메라 모듈 KR20150013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4635 2013-07-25
JP2013154635A JP2015026946A (ja) 2013-07-25 2013-07-25 カメラ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001A true KR20150013001A (ko) 2015-02-04

Family

ID=5239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729A KR20150013001A (ko) 2013-07-25 2014-05-1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80195B2 (ko)
JP (1) JP2015026946A (ko)
KR (1) KR20150013001A (ko)
CN (1) CN104347655A (ko)
TW (1) TW2015074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124A1 (ja) * 2014-11-11 2016-05-19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モジュール、並びに電子機器
US10347681B2 (en) * 2016-02-19 2019-07-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ing device
US10192914B2 (en) * 2016-03-20 2019-01-29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module and array camera module with circuit board unit and photosensitive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629527B (zh) 2017-08-18 2018-07-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影系統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769318B (zh) * 2018-09-21 2022-07-0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模組
TWI774845B (zh) * 2018-09-21 2022-08-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模組
TWI769317B (zh) * 2018-09-21 2022-07-0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模組
TWI766103B (zh) * 2018-09-21 2022-06-0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模組
TWI773831B (zh) * 2018-09-21 2022-08-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模組
CN111641762B (zh) * 2020-05-28 2021-11-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2022000669A (ja) * 2020-06-19 2022-01-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215B2 (ja) 1996-09-26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カメラ
JP4604307B2 (ja) * 2000-01-27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4348062B2 (ja) 2002-10-15 2009-10-21 京セラ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2005278133A (ja) * 2003-07-03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固体撮像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4658470B2 (ja) 2003-11-28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KR100645635B1 (ko) 2004-11-30 2006-11-15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픽업 모듈
JP2007266380A (ja) * 2006-03-29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69995B2 (ja) 2006-08-21 2012-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17700C (zh) * 2007-03-27 2009-07-22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影像感应器封装结构
JP2009075271A (ja) 2007-09-19 2009-04-09 Hitachi Maxell Ltd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8174612B1 (en) * 2008-08-12 2012-05-08 Steve Koehler Imaging device
CN101771057A (zh) * 2008-12-26 2010-07-07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相机模组
JP5476832B2 (ja) 2009-07-23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US8982270B2 (en) * 2011-09-09 2015-03-17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Deformable focal plane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7655A (zh) 2015-02-11
TW201507464A (zh) 2015-02-16
US20150029369A1 (en) 2015-01-29
US9380195B2 (en) 2016-06-28
JP2015026946A (ja)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3001A (ko) 카메라 모듈
US11428929B2 (en) Focus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catterers and beam scanner and scope device
US8837060B2 (en) Image capture lens module and wafer level packaged image capture devices
US9291797B2 (en) Lens module
US8289409B2 (en) Compact camera module with lens array
US9231004B2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KR20160120653A (ko) 집광 장치 및 집광 장치를 포함한 빔 스캐너 및 스코프 장치
US11994671B2 (en) Focus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catterers and beam scanner and scope device
US978013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10020181A (ja) レンズ鏡筒
JP20070475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調整装置および組立調整方法
JP2004302095A (ja) 撮像装置
US20130270426A1 (en) Lens module
US20150301305A1 (en) Lens drive apparatus and camera module
US9726853B2 (en) Auto-focus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98172B2 (en) Imag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027531A1 (en) Image sensor modul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KR101762434B1 (ko) 카메라 유닛
US20110133301A1 (en) Wafer level optical imaging apparatus
US9444965B2 (en) Scan device
KR102149378B1 (ko) 카메라 모듈
US9531941B2 (en) Imaging apparatus
KR20150034523A (ko) 카메라 모듈
JP4314476B2 (ja) 撮像装置
JP2012195758A (ja) 撮像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