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815A -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 Google Patents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815A
KR20150012815A KR1020130088855A KR20130088855A KR20150012815A KR 20150012815 A KR20150012815 A KR 20150012815A KR 1020130088855 A KR1020130088855 A KR 1020130088855A KR 20130088855 A KR20130088855 A KR 20130088855A KR 20150012815 A KR20150012815 A KR 20150012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antenna
layer
base member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0607B1 (ko
Inventor
전찬익
문병인
김양훈
이득희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3008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6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통해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가 베이스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기포의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부착 공정에서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안테나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안테나를 접착하는 접착층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상기 제2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BASE ATTACHED ANTENNA AND ATTACHING LAYER}
본 발명은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통해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그 때 사용되는 접착층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를 장착되게 되었다.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 중 종래의 선형 형태, 도금 형태 또는 칩 형태의 안테나와는 다르게 필름 등의 평면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안테나도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용 안테나 및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 등이 그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평면 형상의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서 부착되어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평면 형상의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측이나, 배터리의 케이스에 부착된다. 안테나와 상기 케이스를 부착하기 위해서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를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평면 형상의 안테나(30)를 상기 케이스(1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케이스 표면 사이에 기포(40)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케이스(10)와 접착층(20) 사이에 기포(40)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안테나(10)가 평평하지 않게 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기포(40)로 인해 외관상의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기포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의 분리 및 재조립 과정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조립 공정을 복잡하게 할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에서 안테나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안테나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기포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 등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있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테나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기포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안테나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안테나를 접착하는 접착층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상기 제2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제층은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제층은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도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착층의 측면을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층은 상기 제2접착제층보다 더 강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배터리의 케이스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안테나를 덮도록 부착되는 라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부 부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접착층의 일 실시예는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도트로 형성된 제2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다른 실시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안테나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안테나를 접착하는 접착층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상기 제2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형성된 잉크층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제2접착제층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접착층의 다른 실시예는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상기 제2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착제층보다 얇게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는 안테나가 베이스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기포의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부착 공정에서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접착층의 제2접착제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접착층의 제2접착제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접착층의 제2접착제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는 베이스 부재(100), 안테나(300) 및 접착층(200)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0)는 안테나(300)가 장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케이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일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가 배터리의 케이스인 경우, 안테나(300)는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일면에 접착되고, 배터리 케이스 및 안테나(300)를 덮는 라벨이 더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라벨은 안테나(300)가 부착된 면을 포함하는 베터리의 케이스의 측면을 둘러싸며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가 외부 케이스인 경우, 안테나(300)는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안테나(300)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테나(300)는 평면 형상의 필름과 그 표면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3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안테나 또는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300)는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접착층(200)을 통해 접착된다. 접착층(200)은 안테나(300)의 일면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착층(200)은 수지층(210), 제1접착제층(220) 및 제2접착제층(230)을 포함한다.
수지층(210)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다. 수지층(210)은 얇은 필름 형태이고,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지층(210)은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2.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제층(220)은 수지층(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1접착제층(220)은 수지층(210)의 일면의 전부 또는 대부분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착제층(230)은 수지층(210)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일부를 제외한 수지층(210)의 타면에는 제2접착제층(230)이 형성되지 않는다. 접착층(200)은 제2접착제층(230)에 의해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접착된다. 이러한 경우, 수지층(210)의 타면 중 제2접착제층(230)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 및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 사이에 공기층(400)이 형성된다.
공기층(400)은 적어도 일부가 접착층(200)의 측면을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층(400)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고, 외부의 공기가 공기층(400)으로 들어올 수 있다.
상기 공기층(400)에 의해 접착층(200)과 베이스 부재(100) 사이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만약에 기포가 발생된 경우라도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에 의해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제1접착제층(220)은 제2접착제층(230)보다 더 강한 접착력을 가진다. 제1접착제층(220)과 제2접착제층(230)에 동일한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1접착제층(220)이 제2접착제층(230)보다 더욱 넓은 면적에 도포되어 형성되므로 더 강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접착제층(220)과 제2접착제층(230)의 접착력 차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1접착제층(220)에 더 강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접착제층(220)은 500g/in2 이상의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고, 제2접착제층(230)은 50g/in2이하의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착층(200)과 베이스 부재(100)를 접착하는 제2접착제층(230)보다 접착층(200)과 안테나(300)를 접착하는 제1접착제층(220)이 더 강한 접착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안테나(300)는 접착제층에 한 번 접착되면 다시 분리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그러나 접착층(200)이 베이스 부재(100)에 접착하는 경우 다시 분리하는 경우가 공정에 따라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200)과 베이스 부재(100)를 약한 접착력으로 접착하는 경우라도, 안테나(300)와 베이스 부재(100)를 모두 감싸는 라벨 등이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강한 접착력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수지층(210), 제1접착제층(220) 및 제2접착제층(230)을 포함한는 접착층(200)은 8㎛ 내지 20㎛의 두께를 가질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접착제층(230)은 수지층(210)의 타면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도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공기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층(400)은 서로 여러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접착층(200)의 측면 부근에 형성된 공기층(400)은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므로, 전체의 공기층(400)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는 교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층(210)과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 사이에 기포가 형성되는 경우라도 기포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트는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트는 격자형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층(400)은 도트 사이로 격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트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트는 사각형, 삼각형 또는 마름모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트는 인쇄 방식으로 수지층(210)의 타면에 도포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그라비아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도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접착층(200)의 제2접착제층(23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접착제층(230)은 수지층(210)의 타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접착제층(230)은 평행하는 일방향의 다수 개의 직선과 평행하는 타방향의 다수 개의 직선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직선들 사이에 공기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층(400) 중 측단에 형성된 부분은 접착층(200)의 측면을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착층(200)은 수지층(210), 제1접착제층(220), 제2접착제층(230) 및 잉크층(240)을 포함한다.
제2접착제층(230)은 수지층(210)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다.
잉크층(240)은 수지층(210)의 타면 중 제2접착층(200)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형성된다. 잉크층(240)은 제2접착제층(230)보다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잉크층(240)과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 사이에 제2접착층(200)으로 둘러싸인 공기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층(400)에 의해 수지층(210)과 베이스 부재(100) 사이에 기포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잉크층(240)은 제2접착제층(230)이 형성되기 전에 수지층(210)의 타면에 형성되어 제2접착제층(230)이 선택적으로 타면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지층(210)의 타면에 잉크층(240)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잉크층(240)의 표면에 마스크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수지층(210)의 타면 중 잉크층(240)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제2접착제층(2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이후 공기층(400)이 형성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접착층(200)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착층(200)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접착층(200)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제1실시예의 접착층(200)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접착층(2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안테나(300)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10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이미 설명한 부분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착층(200)의 일 실시예는 수지층(210). 제1접착제층(220) 및 제2접착제층(230)을 포함한다.
수지층(210)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다. 제1접착층(200)은 수지층(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2접착제층(230)은 수지층(210)의 타면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도트로 형성된다. 상기 도트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착층(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접착층(200)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의 제3실시예의 접착층(200)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접착층(2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안테나(300)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100)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이미 설명한 부분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착층(200)은 수지층(210), 제1접착제층(220), 제2접착제층(230) 및 잉크층(240)을 포함한다.
수지층(210)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다. 제1접착제층(220)은 수지층(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2접착제층(230)은 수지층(210)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다. 잉크층(240)은 수지층(210)의 타면 중 제2접착제층(230)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형성되고, 제2접착제층(230)보다 얇게 형성된다.
100 : 베이스 부재 200 : 접착층
210 : 수지층 220 : 제1접착제층
230 : 제2접착제층 240 : 잉크층
300 : 안테나 400 : 공기층

Claims (13)

  1.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안테나;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안테나를 접착하는 접착층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상기 제2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제층은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제층은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도트로 형성되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착층의 측면을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층은 상기 제2접착제층보다 더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안테나인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배터리의 케이스인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들과 상기 안테나를 덮도록 부착되는 라벨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부 부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인 베이스 부재.
  10.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도트로 형성된 제2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접착층.
  11.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안테나;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안테나를 접착하는 접착층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상기 제2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형성된 잉크층을 포함하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제2접착제층보다 얇게 형성되는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13.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갖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일부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의 타면 중 상기 제2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착제층보다 얇게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접착층.


KR1020130088855A 2013-07-26 2013-07-26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KR10154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855A KR101540607B1 (ko) 2013-07-26 2013-07-26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855A KR101540607B1 (ko) 2013-07-26 2013-07-26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815A true KR20150012815A (ko) 2015-02-04
KR101540607B1 KR101540607B1 (ko) 2015-07-31

Family

ID=5248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855A KR101540607B1 (ko) 2013-07-26 2013-07-26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6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502B1 (ko) * 2015-04-27 2016-09-09 (주)애니스마트 2차원의 복수개 평면도트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자기장유도 중계기능을 갖는 도트형 루프 안테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형성된 도트형 루프 안테나
CN108531094A (zh) * 2018-05-30 2018-09-14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贴合结构
WO2018203640A1 (ko) * 2017-05-02 2018-11-08 주식회사 아모텍 안테나 모듈
US11125267B2 (en) 2018-05-29 2021-09-21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Attachment structure
WO2022032761A1 (zh) * 2020-08-10 2022-02-1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作方法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297A (ko) * 2005-12-08 2007-06-13 주식회사 광현에어텍 휴대폰용 인테나 및 그 제조방법
JP2009167368A (ja) * 2008-01-21 2009-07-30 Lintec Corp 接着シート
KR101367092B1 (ko) * 2011-05-23 2014-02-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270946B1 (ko) * 2011-12-16 2013-06-11 주식회사 비에스테크 안테나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502B1 (ko) * 2015-04-27 2016-09-09 (주)애니스마트 2차원의 복수개 평면도트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자기장유도 중계기능을 갖는 도트형 루프 안테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형성된 도트형 루프 안테나
WO2018203640A1 (ko) * 2017-05-02 2018-11-08 주식회사 아모텍 안테나 모듈
US11251538B2 (en) 2017-05-02 2022-02-15 Amotech Co., Ltd. Antenna module
US11125267B2 (en) 2018-05-29 2021-09-21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Attachment structure
CN108531094A (zh) * 2018-05-30 2018-09-14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贴合结构
CN108531094B (zh) * 2018-05-30 2021-02-05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贴合结构
WO2022032761A1 (zh) * 2020-08-10 2022-02-1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作方法以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607B1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607B1 (ko)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US90010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having insert molding around antenna
EP2717595B1 (en) Water-resistant sound transmitting member
US102643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ductive structure
US20190296458A1 (en) Grounding elastic component
US9119285B2 (en) Conductive gaskets with internal cavities
US11916285B2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US7998557B2 (en) Shell assembly
JP2014067985A (ja) 磁性基板及び磁性基板の製造方法
US9012052B2 (en) Battery pack including an adhesion sheet
KR20160099665A (ko) 플랙시블 회로기판
US20200205288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217651143U (zh) 一种手机后盖用防爆保护膜
US11721887B2 (en) Millimeter wave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33136B2 (en) Switch
WO2012067142A1 (ja) フィルム状部材及びその貼り付け方法
JP3193528U (ja) Rfタグ
KR20210007911A (ko) Uwb 안테나 모듈
US20200203815A1 (en) 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radio
KR20140124034A (ko) 단면테이프를 합지하여 제조하는 안테나 및 단면테이프를 합지하여 안테나를 제조하는 방법
US10840598B2 (en) Communication device
JP6375014B1 (ja) 情報保持媒体
KR20160140026A (ko) 접착 부재와 이를 구비하는 적층 구조물 및 모바일 단말기
JP6297203B2 (ja) 防水空間内にアンテナが備えられた電子機器
JP2007026047A (ja) Icタグ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