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352A -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 Google Patents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352A
KR20150012352A KR1020130087738A KR20130087738A KR20150012352A KR 20150012352 A KR20150012352 A KR 20150012352A KR 1020130087738 A KR1020130087738 A KR 1020130087738A KR 20130087738 A KR20130087738 A KR 20130087738A KR 20150012352 A KR20150012352 A KR 20150012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quid crystal
crystal shutter
output device
shutter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강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3008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352A/ko
Publication of KR2015001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은, 좌, 우안 액정과, 상기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출력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스위치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와, 상기 액정셔터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른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설치가 용이한 복수 개의 조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의 사용이 없이도 영상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COMPRISING BRIGHTNESS SENSOR PART}
본 발명은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셔터 안경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라 영상출력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는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영상 기술은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을 보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과,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방식과,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액정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 셔터 안경 방식(또는 시분할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방식은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정 구동 동기신호에 따라 좌안용 화면과 우안용 화면의 시청을 위한 좌, 우안 액정의 구동을 반복적으로 온,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셔터 안경에 설치가 용이한 복수 개의 조도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동작에 따른 조도 변화의 유형에 따라 액정셔터 안경에 액정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출력장치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의 사용이 없이도 영상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은, 좌, 우안 액정과, 상기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출력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스위치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와, 상기 액정셔터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정셔터안경은 상기 조도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른 상기 영상출력장치 제어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동기신호수신부와, 상기 동기신호수신부에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좌, 우안 액정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전기적 레벨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스위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 전원에 대응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부와, 상기 조도센서부에 의해 입력된 조도 변화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출력장치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도센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서 세 개 이상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설치가 용이한 복수 개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안경착용자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러의 사용이 없이도 영상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의 구성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은, 좌, 우안 액정(10, 12)과,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이 결합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30)와,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와, 상기 영상출력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스위치부(60)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71, 72, 73)와, 상기 액정셔터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71, 72, 73)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장치(100)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출력장치(100)는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이 화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영상출력장치(100)에는 그 일측에 전원스위치부(120) 및 통신부(110)가 설치되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되는 액정 구동신호를 상기 액정셔터안경으로 발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액정셔터 안경에 마련되는 통신부(50)를 통해 상기 액정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90)로 전달하여 좌, 우안 액정(10, 12)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은 예를 들어 엘시디 액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 여부가 결정되며, 공급전압의 변위에 의해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의 구동과 미구동이 결정된다.
여기서, 액정 셔터 안경은,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의 입체감을 제공하므로, 좌안 액정(12)이 구동될 경우 우안 액정(10)이 미구동되며, 우안 액정(10)이 구동될 경우, 좌안 액정(12)이 미구동되는 형태로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장치(100)의 주사율은 240 내지 480(Hz)의 범위로 마련되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화면재생빈도)이란, 화면의 출력 빈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이 240Hz 인 경우, 영상출력장치는 1초에 240장의 영상을 출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을 상기 범위로 마련하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각 영상에 대한 액정 구동 동기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액정 셔터 안경에서 액정 구동 동기신호에 따라 좌, 우안 액정(10, 12)을 구동시킴으로써,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영상출력장치(100)에서 송출된 동기신호를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영상출력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동기신호수신부와 상기 동기신호수신부에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이 구동될 수 있는 전기적 레벨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스위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40)의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의 구동 전원에 대응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에 의해 입력된 조도 변화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출력장치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50)는 입체영상출력장치의 통신부(110)에 의해 전송된 액정 구동 동기신호를 수신하며, 영상출력장치(100)의 신호 전송 방식에 따라 적외선(IR) 신호, 블루투스(BT)신호 등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90)의 동기신호수신부로 전달한다.
상기 동기신호수신부로 전달된 액정 구동 동기신호는 상기 연산부로 전달되어, 상기 연산부는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을 on/off 시키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아날로그스위칭부로 전달하고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전원공급부(40)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의 동작 전원에 대응되도록 변환시키는 구성요소로써,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부(40)의 직류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10, 12)의 동작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DC/DC 변환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액정셔터안경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스위치부(60)가 설치되어, 상기 액정셔터안경에 대한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정셔터안경에는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부(20)의 전면에 세 개의 조도센서들(71, 72, 7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액정셔터 안경은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른 상기 영상출력장치 제어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는 주위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와 같이 프레임부(20)의 전면에 복수 개 설치된 상태에서, 안경 착용자의 손 동작을 감지한다.
그리하여, 안경 착용자가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의 앞으로 손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 각각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의 변화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변화의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52)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들 중에서 좌측의 조도센서(73)의 밝기가 밝음에서 어두움으로 이후 다시 밝음으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의 조도센서(73)의 앞에 사람의 손이 배치되었다가 이동된 것으로 파악하여, 이러한 경우에는 영상출력장치(100)의 티브이 수신 채널을 아래 단계로 한 단계 변경하는 것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들 앞에서 손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영상출력장치(100)의 볼륨 크기를 한 단계 작게 조절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들을 통해 액정 셔터 안경 착용자의 손동작에 따른 조도 변화 패턴을 감지하고, 각 변화 패턴에 대응되는 영상출력장치 제어신호를 상기 메모리부(52)에서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영상출력장치(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에 대해서는 조도센서부 앞에 손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도의 감도가 요구되므로, 상기 조도센서부(71, 72, 73)의 감도가 매우 민감한 사양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저렴하고 비교적 설치가 용이한 복수 개의 조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한 영상출력장치 제어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은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음성신호출력부(32)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신호출력부(32)는 액정 셔터 안경의 안경다리부(30)에 설치되는 이어폰, 스피커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좌, 우안 액정
20: 프레임부
30: 안경다리부
40: 전원공급부
50: 통신부
60: 전원공급스위치부
71, 72, 73: 조도센서부
90: 제어부

Claims (4)

  1. 영상출력장치와 연동되는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과;
    상기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출력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스위치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와;
    상기 액정셔터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조도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셔터안경은 상기 조도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변화 유형에 따른 상기 영상출력장치 제어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셔터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동기신호수신부와;
    상기 동기신호수신부에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좌, 우안 액정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전기적 레벨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스위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 전원에 대응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부와;
    상기 조도센서부에 의해 입력된 조도 변화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출력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서 세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1020130087738A 2013-07-25 2013-07-25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20150012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38A KR20150012352A (ko) 2013-07-25 2013-07-25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38A KR20150012352A (ko) 2013-07-25 2013-07-25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352A true KR20150012352A (ko) 2015-02-04

Family

ID=5248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738A KR20150012352A (ko) 2013-07-25 2013-07-25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23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3140462A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ретрансляции
US20120169778A1 (en) 3d glasses with adjusting device for allowing user to adjust degrees of crosstalk and brightness and related 3d display system thereof
US20120099195A1 (en) Eyewea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allowing viewing of image
KR2011004408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과 입체안경 및 그 구동방법
CA2788996C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based on glasses using photochromatic lenses
KR20130129174A (ko) 다중 3d 디스플레이들/장치들을 위한 셔터 신호들의 동기화
KR101218636B1 (ko) 원격 제어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KR20060007662A (ko) 액정셔터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563944B1 (ko) 명암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50012352A (ko)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101331572B1 (ko) 다중 입체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10116509A (ko) 3차원 영상 시청 장치 및 시스템
JP2011259338A (ja) シャッター式メガネ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366330Y1 (ko) 액정셔터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 장치
KR20120073457A (ko) 액정 셔터 안경
KR101391985B1 (ko) 편광방식과 엑티브 방식을 혼용한 다중 입체 영상 제공장치
KR101338238B1 (ko)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KR101235824B1 (ko) 아이알 프로토콜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101300140B1 (ko)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60082894A (ko) 케이블통신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제공장치
KR101301229B1 (ko) 입체영상시스템
KR101215737B1 (ko)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KR101142176B1 (ko) 입체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09837A (ko) 다중 화면 게임 제공장치
KR20130012808A (ko) 모듈 교환 슬롯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