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140B1 -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 Google Patents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140B1
KR101300140B1 KR1020110128285A KR20110128285A KR101300140B1 KR 101300140 B1 KR101300140 B1 KR 101300140B1 KR 1020110128285 A KR1020110128285 A KR 1020110128285A KR 20110128285 A KR20110128285 A KR 20110128285A KR 101300140 B1 KR101300140 B1 KR 101300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ption
liquid crystal
screen
crystal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952A (ko
Inventor
김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1012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과;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에 의해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은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구현함으로써, 화면분할 또는 화면삽입 없이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영상의 화면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FOR WATCHING CAPTION PICTURE}
본 발명은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구현함으로써, 화면분할 또는 화면삽입 없이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영상의 화면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출력장치는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샘플링 및 일련의 신호처리를 거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영상출력장치에서 영상신호의 주사방식은 크게 순차 주사(progressive scanning) 방식 혹은 비 비월주사 방식, 및 비월 주사(interlaced scanning) 방식으로 구분된다.
순차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한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비월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통상 두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두 가지 이상의 화면을 시청하는 방법에는 영상출력장치의 화면을 분할시키거나 큰 화면 내에 작은 캡션 화면을 삽입시켜 출력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화면 분할 방식 또는 캡션 삽입 방식은, 서로 다른 영상으로 인한 시각적, 청각적 간섭에 의한 집중력 감소 및 화면 분할로 인한 해상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구현함으로써, 화면분할 또는 화면삽입 없이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영상의 화면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과;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에 의해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은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은 240 내지 480(Hz)의 범위로 마련되어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동기신호수신부와; 상기 동기신호수신부에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좌, 우안 액정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전기적 레벨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스위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 전원에 대응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캡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디코더(FM, BlueTooth 등)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은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음성출력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구현함으로써, 화면분할 또는 화면삽입 없이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영상의 화면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의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의 블럭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의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의 블럭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은, 영상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L, R)과;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에 의해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의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은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은 240 내지 480(Hz)의 범위로 마련되어 상기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화면재생빈도)이란, 화면의 출력 빈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이 240Hz 인 경우, 영상출력장치는 1초에 240장의 영상을 출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을 상기 범위로 마련하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캡션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액정 셔터 안경에서 캡션 영상에 대응되도록 좌, 우안 액정(L, R)을 구동시킴으로써,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영상 화면을 화질 저하 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송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을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동기신호수신부(21)와; 상기 동기신호수신부(21)에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부(22)와; 상기 연산부(23)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전기적 레벨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스위칭부(23)와; 상기 전원공급부(10)의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의 구동 전원에 대응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신호수신부(21)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송출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영상출력장치의 신호 전송 방식에 따라 적외선(IR) 신호, 블루투스(BT)신호 등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연산부(22)가 판단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연산부(22)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22)는 상기 동기신호수신부(21)로부터 전달받은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을 on/off 시키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아날로그스위칭부(23)로 전달하여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변환부(24)는 상기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의 동작 전원에 대응되도록 전원을 변환시키는 구성요소로써,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부(10)의 직류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L, R)의 동작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DC/DC 변환기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는 LED(50)가 설치되어 액정 셔터 안경의 동작 상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10)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캡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디코더(FM, BlueTooth 등)(2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상기 캡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일반 영상과 상이한 주파수를 통하여 송출하며, 상기 오디오 디코더(25)는 송출된 음성신호중 캡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시청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은 상기 오디오 디코더(25)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음성출력수단(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출력수단(30)은 액정 셔터 안경에 추가적으로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은 캡션 화면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액정 셔터 안경을 구동시키는 전원버튼(4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전원버튼(40)을 이용하여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을 off시킨 상태로 영상출력장치에서 송출되는 일반 화면을 시청하다가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을 on시켜 캡션 화면만을 시청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영상출력장치에서 동기신호와 함께 설정된 주사율로 일반 화면과 캡션 화면을 출력시킬 경우, 액정 셔터 안경은 동기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캡션 화면)을 가시되도록 좌, 우안 액정(L, R)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화면을 송출하는 타이밍에는 액정 셔터 안경의 좌, 우안 액정(L, R)을 off 시키고, 영상출력장치에서 캡션 화면을 송출하는 타이밍에는 캡션 화면에 대한 동기신호에 따라, 액정 셔터 안경의 좌, 우안 액정(L, R)을 on 시켜 상기 캡션 화면이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에게 보여지도록 한다.
이어 상기 설정된 주사율로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화면에 대한 영상과 캡션 화면에 대한 영상을 순차적, 반복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하지 않을 경우, 일반 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 되고,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경우, 캡션 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됨으로써,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화면분할 또는 화면삽입없이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영상 화면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은,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액정 셔터 안경을 구현함으로써, 화면분할 또는 화면삽입 없이 단일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일반 영상의 화면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20 : 제어부
21 : 동기신호수신부 22 : 연산부
23 : 아날로그스위칭부 24 : 변환부
25 : 오디오 디코더 30 : 음성출력수단
40 : 전환버튼 50 : LED
L : 좌안 액정 R : 우안 액정

Claims (5)

  1. 영상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좌, 우안 액정과;
    상기 액정 셔터 안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에 의해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은 캡션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주사율은 240 내지 480(Hz)의 범위로 마련되어 일반 영상과 캡션 영상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동기신호수신부와;
    상기 동기신호수신부에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좌, 우안 액정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전기적 레벨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스위칭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 전원에 대응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캡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디코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은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음성출력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1020110128285A 2011-12-02 2011-12-02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101300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85A KR101300140B1 (ko) 2011-12-02 2011-12-02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85A KR101300140B1 (ko) 2011-12-02 2011-12-02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52A KR20130061952A (ko) 2013-06-12
KR101300140B1 true KR101300140B1 (ko) 2013-08-26

Family

ID=4885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285A KR101300140B1 (ko) 2011-12-02 2011-12-02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1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12A (ko) * 1999-04-15 2000-07-05 김증섭 영상기기 캡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47118A (ko) * 1999-11-18 2001-06-15 최효승 다종영상물 동시재생 장치
KR20110124959A (ko) * 2010-05-12 2011-11-18 주식회사 이랜텍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동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12A (ko) * 1999-04-15 2000-07-05 김증섭 영상기기 캡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47118A (ko) * 1999-11-18 2001-06-15 최효승 다종영상물 동시재생 장치
KR20110124959A (ko) * 2010-05-12 2011-11-18 주식회사 이랜텍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동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52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0535B2 (en) Shutter glasses, method for adjusting optic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3D display system adapted for the same
TWI419135B (zh) 以調整背光亮度產生立體影像效果的液晶顯示系統及方法
RU2013140462A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ретрансляции
TWI419549B (zh) 快門眼鏡以及控制快門眼鏡的方法
WO2011118113A1 (ja) 表示装置及び映像システム
JP5250701B2 (ja)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装置を用いる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並びに照明制御装置とともに利用される表示装置及び眼鏡装置
TWI419550B (zh) 快門眼鏡以及控制快門眼鏡的方法
JP201115563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シャッター方式の立体メガネ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1139319A (ja) 映像視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405668B1 (en) Controlling a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pair of shutter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EP2339857B1 (en) Stereoscopic glasse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300140B1 (ko) 캡션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101331572B1 (ko) 다중 입체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20063598A (ko) 원격 제어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JP2012191588A (ja) 映像出力装置
KR101563944B1 (ko) 명암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30013333A (ko)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20058179A (ko) 디스플레이 채널 선택 시스템
JP2012100159A (ja) 映像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391985B1 (ko) 편광방식과 엑티브 방식을 혼용한 다중 입체 영상 제공장치
KR20120073457A (ko) 액정 셔터 안경
CN102238398A (zh) 3-d动画观看装置
KR20160082894A (ko) 케이블통신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제공장치
KR20140109837A (ko) 다중 화면 게임 제공장치
KR20150012352A (ko)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액정 셔터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