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737B1 -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 Google Patents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737B1
KR101215737B1 KR1020100081653A KR20100081653A KR101215737B1 KR 101215737 B1 KR101215737 B1 KR 101215737B1 KR 1020100081653 A KR1020100081653 A KR 1020100081653A KR 20100081653 A KR20100081653 A KR 20100081653A KR 101215737 B1 KR101215737 B1 KR 10121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s
stereoscopic image
unit
liquid crystal
driv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670A (ko
Inventor
윤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0008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7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입체영상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을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 또는 안경다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입체 영상 인식 정도가 각각 다른 다수의 사용자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피로도 감소, 두통 및 어지러움증의 방지, 잔상효과에 의한 시각적 불균형의 해소 및 영상신호의 중첩에 의한 크로스토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WITH OPERATING TIM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입체 영상 인식 정도가 각각 다른 다수의 사용자에 범용적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피로도 감소, 두통 및 어지러움증의 방지, 잔상효과에 의한 시각적 불균형의 해소 및 영상신호의 중첩에 의한 크로스토크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샘플링 및 일련의 신호처리를 거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영상신호의 주사방식은 크게 순차 주사(progressive scanning) 방식 혹은 비 비월주사 방식, 및 비월 주사(interlaced scanning) 방식으로 구분된다.
순차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한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비월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통상 두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3차원 입체영상 기술은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을 보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과,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방식과,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액정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 셔터 안경 방식(또는 시분할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방식은 좌, 우안 액정의 구동을 반복적으로 온, 오프시켜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출시된 액정 셔터 안경은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의 비율이 1:1로 고정된 상태에서 이를 반복적으로 온, 오프시킴으로써 각각 다른 입체 영상 인식 정도를 가진 다수의 사용자에게 통합적으로 적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인식 정도가 다른 다수의 사용자가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의 비율이 1:1로 고정된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경우, 사용자에 따라 입체 영상 시청에 따른 피로도 증가, 두통 및 어지러움증 유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의 비율이 1:1로 고정되어 있을 경우, 좌안 액정과 우안 액정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변화되는 시점 전후에는 사용자의 입체 영상 인식 정도에 따라 잔상효과에 의한 시각적 불균형 및 영상신호의 중첩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입체 영상 인식 정도가 각각 다른 다수의 사용자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로도 감소, 두통 및 어지러움증의 방지, 잔상효과에 의한 시각적 불균형의 해소 및 영상신호의 중첩에 의한 크로스토크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입체영상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을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 또는 안경다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배치되는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 유닛(Micro Controll Unit; MCU)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스위칭시켜 상기 좌, 우안 액정에 제어된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아날로그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은 상기 스위치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의 미구동시간 및 구동시간 비율을 0.7:1.3 에서 1.3:0.7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 우안 액정은 상기 아날로그스위칭부에 의해 각각 상이한 구동시간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입체 영상 인식 정도가 각각 다른 다수의 사용자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피로도 감소, 두통 및 어지러움증의 방지, 잔상효과에 의한 시각적 불균형의 해소 및 영상신호의 중첩에 의한 크로스토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의 블럭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의 좌, 우안 액정의 상이한 동작 신호를 표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의 블럭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의 좌, 우안 액정의 상이한 동작 신호를 표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은,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입체영상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부(11)를 포함하며, 좌, 우안 액정(12, 14)이 결합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20)와;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을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 및 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0) 또는 안경다리부(20)의 일측에는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5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압공급부(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출력된 영상을 액정 셔터 안경의 좌, 우안 액정(12, 14)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이 보여지도록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치부(50)에서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 유닛(34)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34)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스위칭시켜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에 제어된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아날로그스위칭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날로그스위칭부(32)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34)의 제어에 따라 조절된 구동시간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에 액정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요소로써, 각각의 좌, 우안 액정(12, 14)에 구동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은 상기 아날로그스위칭부(32)에 의해 각각 상이한 구동시간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은 상기 전압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여부가 결정되며, 도 3 에서와 같이, 공급전압의 변위에 의해 상기 좌, 우안(12, 14) 액정의 구동 및 미구동이 결정된다.
여기서, 액정 셔터 안경은, 도 3 에서와 같이,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의 입체감을 제공하므로, 좌안 액정(12)이 구동될 경우, 우안 액정(14)이 미구동되며, 우안 액정(14)이 구동될 경우, 좌안 액정(12)이 미구동되는 형태로 제어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좌, 우안 액정(12, 14)의 구동 및 미구동 시간 비율이 1:1로 고정(①)될 경우, 도 3 의 ③부분, 즉, 좌안 액정(12)과 우안 액정(14)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변화되는 시점 전후에는 사용자의 입체 영상 인식 정도에 따라 잔상효과에 의한 시각적 불균형 및 영상신호의 중첩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의 입체 영상 인식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좌, 우안 액정(12, 14)의 구동 및 미구동 시간 비율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부(5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의 구동시간을 자신의 입체 영상 인식 정도에 적절히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50)는 도 1 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0) 또는 안경다리부(2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용자 조절이 용이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스위치부(50)는 단일의 원형 스위치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이한 구동시간 조절을 위해 복수의 스위치 다이얼 스위치 또는 현재 좌, 우안 액정(12, 14)의 구동시간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인식창 또는 조절기준부를 구비한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34)은 상기 스위치부(5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의 미구동시간 및 구동시간 비율을 0.7:1.3에서 1.3:0.7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구동시간 및 구동시간 비율이 0.7:1.3이면(②),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이 0.7 단위시간 동안 미구동되고, 1.3 단위시간 동안 구동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이 제어된다.
반대로, 상기 미구동시간 및 구동시간 비율이 1.3:0.7이면,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이 1.3 단위시간 동안 미구동되고, 0.7 단위시간 동안 구동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이 제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구동시간 및 구동시간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화면 중첩에 따른 영상의 입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사용자가 좌, 우안 액정(12, 14)의 미구동 및 구동(액정의 깜박임)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의 미구동시간 및 구동시간 비율의 범위 내에서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의 구동시간을 조절하여 자신의 입체 영상 인식 정도에 가장 알맞은 구동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좌, 우안 액정(12, 14)이 각각 상이한 구동시간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은,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입체 영상 인식 정도가 각각 다른 다수의 사용자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피로도 감소, 두통 및 어지러움증의 방지, 잔상효과에 의한 시각적 불균형의 해소 및 영상신호의 중첩에 의한 크로스토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부 11 : 수신부
12 : 좌안 액정 14 : 우안 액정
20 : 안경다리부 30 : 제어부
32 : 아날로그스위칭부 34 : 마이크로컨트롤 유닛
40 : 전압공급부 50 : 스위치부

Claims (4)

  1.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이 가시(visible)되도록 하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서,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로부터 입체영상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좌, 우안 액정이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을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좌, 우안 액정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 또는 안경다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좌, 우안 액정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 유닛(Micro Controll Unit; MCU)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스위칭시켜 상기 좌, 우안 액정에 제어된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아날로그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은 상기 스위치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좌, 우안 액정의 미구동시간 및 구동시간 비율을 0.7:1.3 에서 1.3:0.7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좌, 우안 액정은 상기 아날로그스위칭부에 의해 각각 상이한 구동시간을 구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81653A 2010-08-23 2010-08-23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KR10121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53A KR101215737B1 (ko) 2010-08-23 2010-08-23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53A KR101215737B1 (ko) 2010-08-23 2010-08-23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70A KR20120018670A (ko) 2012-03-05
KR101215737B1 true KR101215737B1 (ko) 2012-12-26

Family

ID=4612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53A KR101215737B1 (ko) 2010-08-23 2010-08-23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7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2770A (ja) * 2008-06-11 2009-12-24 Olympus Visual Communications Corp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2770A (ja) * 2008-06-11 2009-12-24 Olympus Visual Communications Corp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70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0035A (ko) 3d 글래스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3d 글래스와 3d 디스플레이 장치
CN102291588A (zh) 立体显示的远程用户控制方法以及其设备
US20120169778A1 (en) 3d glasses with adjusting device for allowing user to adjust degrees of crosstalk and brightness and related 3d display system thereof
CN102223564A (zh) 2d/3d可切换、景深可调显示模组
US9122069B2 (en) 2D/3D polarized display method and device
MX2012009003A (es) Sistema de visualizacion estereoscopica basado en gafas que utilizan lentes fotocromaticas.
EP2366253A1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method and 3d glasses with an adjustment operational phase for adjusting display parameters
KR101218636B1 (ko) 원격 제어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EP2405668B1 (en) Controlling a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pair of shutter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215737B1 (ko) 구동시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KR20120040947A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3차원 영상 처리방법
KR101563944B1 (ko) 명암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KR20120018667A (ko) 투과율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액정 셔터 안경
KR101331572B1 (ko) 다중 입체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JP2011259338A (ja) シャッター式メガネ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246659B1 (ko) 적외선 신호를 이용한 액정 셔터 안경의 듀티비 조절 방법
KR101391985B1 (ko) 편광방식과 엑티브 방식을 혼용한 다중 입체 영상 제공장치
KR101338238B1 (ko)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KR20120073457A (ko) 액정 셔터 안경
KR20140109837A (ko) 다중 화면 게임 제공장치
KR20140112122A (ko) 다중 화면 게임 제공장치
KR20140053459A (ko) 영상 전환기능을 갖는 입체 영상 제공장치
KR20140069492A (ko) 통신방식 선택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액정셔터안경
KR101235824B1 (ko) 아이알 프로토콜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KR20160082894A (ko) 케이블통신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