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942A -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942A
KR20150011942A KR1020130087177A KR20130087177A KR20150011942A KR 20150011942 A KR20150011942 A KR 20150011942A KR 1020130087177 A KR1020130087177 A KR 1020130087177A KR 20130087177 A KR20130087177 A KR 20130087177A KR 20150011942 A KR20150011942 A KR 20150011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area
icon
area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강
이용준
이우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942A/ko
Priority to EP14174944.0A priority patent/EP2829965A1/en
Priority to US14/335,852 priority patent/US20150029113A1/en
Priority to CN201410351853.XA priority patent/CN104345971A/zh
Publication of KR2015001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전자 기기는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측면 아이콘을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컴퓨터 노트북, 텔레비전 등)가 널리 사용되고,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됨에 따라, 플렉서블 터치스크린(flexible touchscreen)을 전자 기기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이 적용된다고 가정해보면, 전면(front)에만 터치스크린이 위치했던 종래의 스마트폰과는 달리, 측면(side)이나 후면(rear)에도 터치스크린이 위치하는 스마트폰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그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종래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으면(grip) 스마트폰의 측면이나 후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잘못 실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또는, 후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되어 상기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잘못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측면 아이콘(icon)을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flexible 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측면 아이콘(icon)을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된 이후에만, 상기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flexible 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icon)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아이콘이 상기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icon)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아이콘이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된 이후에만, 상기 측면 아이콘이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또는, 후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을 구비함에 있어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되어 상기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잘못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은 도 1의 전자 기기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가 도 1의 전자 기기를 손으로 잡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좌우 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상하 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좌우 비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상하 비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b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사용자가 도 1의 전자 기기를 손으로 잡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터치스크린부(120) 및 터치스크린부(120)가 부착되는 몸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센싱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100)가 스마트폰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전자 기기(100)의 종류는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패드, 텔레비전, 노트북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 및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스크린부(120)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양 측면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들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부(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측면 아이콘(122)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측면 아이콘(122)과 활성화 아이콘(124)을 표시하고, 사용자를 위한 소정의 알림 내용(예를 들어, 메시지 도착, 경고 발생, 전화 착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그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종래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를 손으로 잡으면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122)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는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122)은 터치되더라도, 측면 아이콘(122)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아이콘(122)이 터치된다고 하더라도,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았다고 인식할 뿐,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122)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인식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전자 기기(100)는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122)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잘못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100)는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과 관련하여, 터치 방식으로 측면 아이콘(122)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종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122)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인식하는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표시된 측면 아이콘(122)을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표시된 활성화 아이콘(124)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동작이 수행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측면 아이콘(122)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측면 아이콘(122)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활성화 아이콘(124)으로 이동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메시지 도착을 나타내는 측면 아이콘(122)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활성화 이이콘(124)으로 이동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메시지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전화 착신을 나타내는 측면 아이콘(122)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활성화 이이콘(124)으로 이동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측면 아이콘(122)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만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122)들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측면 아이콘(122)들을 활성화 아이콘(124)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불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표시된 측면 아이콘(122)을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측면 아이콘(122)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측면 아이콘(122)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이동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메시지 도착을 나타내는 측면 아이콘(122)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이동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메시지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전화 착신을 나타내는 측면 아이콘(122)이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이동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측면 아이콘(122)이 활성화된 이후에만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상대적으로 넓어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를 손으로 잡으면, 측면 아이콘(122)이 의도하지 않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래그 앤 드롭 동작 이전에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측면 아이콘(122)이 활성화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122)을 길게 누르거나 여러 번 두드리는 동작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122)을 활성화하기 위한 소정의 버튼(예를 들어, 홈 버튼(home button))을 누르는 동작일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몸체부(140)에는 터치스크린부(1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가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와 터치 센싱 장치(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 센서, 감압식 터치 센서 등)를 구비하기 때문에, 몸체부(140)는 컨트롤러(즉,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는 터치스크린부(120)의 표시 기능과 터치 기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4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다양한 센서들, 메모리 장치, 저장 장치, 기능 장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들은 전자 기기(100)의 다양한 센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은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속도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나침반 역할을 수행하는 지자계 센서, 고도를 측정하는 기압계 센서, 동작 인식, 접근 탐지, 광원 구별 등을 수행하는 제스처-근접-조도-RGB 센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습도 센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손에 쥐었는지를 판단하는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모리 장치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모바일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기능 장치들은 전자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장치들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RF(radio frequency)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모듈 등),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마이크 장치, 스피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갖는 터치스크린부(120)(즉, 플렉서블 터치스크린)를 구비함에 있어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122)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되어 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잘못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갖는 터치스크린부(120)를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범용적인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으로 구분하였으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전자 기기(100)의 후면 터치스크린 영역까지 포괄하는 개념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좌우 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상하 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120)가 좌우 대칭적으로 제조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좌측과 우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120)가 상하 대칭적으로 제조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상측과 하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는 터치스크린부(120)가 좌우 대칭적인 형상을 갖거나 또는 상하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는 터치스크린부(100)가 상하-좌우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부(120)가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에 모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부(120)의 대칭적인 형상은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형상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터치스크린부(120)가 전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즉,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비하여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돌출됨)을 갖고 있지만,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즉,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 비하여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돌출됨)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좌우 비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상하 비대칭적인 터치스크린부를 갖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120)가 좌우 비대칭적으로 제조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일 측(예를 들어, 우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일 측(예를 들어, 우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일 측(예를 들어, 우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가 상하 비대칭적으로 제조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일 측(예를 들어, 하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일 측(예를 들어, 하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일 측(예를 들어, 하측)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몸체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는 터치스크린부(120)가 좌우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거나 또는 상하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전자 기기(100)에서는 터치스크린부(100)가 상하-좌우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부(120)의 비대칭적인 형상은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형상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터치스크린부(120)가 전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즉,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비하여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돌출됨)을 갖고 있지만, 터치스크린부(120)는 전면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즉,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 비하여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돌출됨)을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터치스크린부(120)는 좌우 비대칭적인 형상 또는 상하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제조됨에 있어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의 양 측(예를 들어, 좌측과 우측 또는 상측과 하측)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들(120b)을 가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동작 방법은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Step S120)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되는지 여부를 확인(Step S140)할 수 있다. 즉, 도 8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되는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때,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되면, 도 8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Step S160)시킬 수 있다. 반면에,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되지 않으면, 도 8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는 의도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전자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을 손으로 잡아 측면 아이콘이 터치된다고 하더라도,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8의 동작 방법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를 구비함에 있어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되어 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잘못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동작 방법은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Step S220)하고, 측면 아이콘이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되는지 여부를 확인(Step S240)할 수 있다. 즉, 도 9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측면 아이콘이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되는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때, 측면 아이콘이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되면, 도 9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Step S260)시킬 수 있다. 반면에, 측면 아이콘이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되지 않으면, 도 9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는 의도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전자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을 손으로 잡아 측면 아이콘이 터치된다고 하더라도,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된 이후에만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을 길게 누르거나 여러 번 두드리는 동작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측면 아이콘을 활성화하기 위한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일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의 동작 방법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를 구비함에 있어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되어 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잘못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200)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220)을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220)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200)는 터치스크린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221) 및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되면,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그램(220)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200)는 터치스크린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221) 및 측면 아이콘이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되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프로그램(220)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200)는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를 구비함에 있어서,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표시되는 측면 아이콘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되어 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잘못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MP3 플레이어,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자 기기 120: 터치스크린부
120a: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120b: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
140: 몸체부 200: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220: 프로그램

Claims (20)

  1.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측면 아이콘(icon)을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flexible touch-screen)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및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측면 아이콘(icon)을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된 이후에만, 상기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flexible touch-screen)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icon)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아이콘이 상기 활성화 아이콘으로 이동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6.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측면 아이콘(icon)과 활성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아이콘이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측면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측면 아이콘이 활성화된 이후에만, 상기 측면 아이콘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측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측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30087177A 2013-07-24 2013-07-24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011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177A KR20150011942A (ko) 2013-07-24 2013-07-24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P14174944.0A EP2829965A1 (en) 2013-07-24 2014-06-3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4/335,852 US20150029113A1 (en) 2013-07-24 2014-07-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1410351853.XA CN104345971A (zh) 2013-07-24 2014-07-22 电子装置及操作电子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177A KR20150011942A (ko) 2013-07-24 2013-07-24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942A true KR20150011942A (ko) 2015-02-03

Family

ID=5116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177A KR20150011942A (ko) 2013-07-24 2013-07-24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29113A1 (ko)
EP (1) EP2829965A1 (ko)
KR (1) KR20150011942A (ko)
CN (1) CN1043459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23A1 (ko) * 2015-02-11 2016-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14691B1 (ko) * 2015-09-14 2017-03-09 주식회사 패튼코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92875B2 (en) 2012-08-31 2017-06-27 Analog Devices, Inc. Grip detection and capacitive gesture system for mobile devices
USD795854S1 (en) * 2012-11-0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739368S1 (en) * 2013-07-09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D779447S1 (en) * 2013-10-10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139869B2 (en) * 2014-07-23 2018-11-27 Analog Devices, Inc. Capacitive sensors for grip sensing and finger tracking
USD797713S1 (en) * 2014-10-01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79449S1 (en) * 2014-10-01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03818S1 (en) * 2014-10-01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95855S1 (en) * 2014-10-01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18980S1 (en) * 2014-10-0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4731613A (zh) * 2015-01-30 2015-06-24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快速启动方法和系统
US10481645B2 (en) 2015-09-11 2019-11-19 Lucan Patent Holdco, LLC Secondary gesture input mechanism for touchscreen devices
KR102423447B1 (ko) * 2015-10-2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6489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운용 방법
US10490770B2 (en) * 2016-09-0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6547506A (zh) * 2016-10-17 2017-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3805980A (zh) * 2020-06-16 2021-1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通知的方法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9241A1 (en) * 2001-08-29 2009-11-12 Palm, Inc.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122018A1 (en) * 2007-11-12 2009-05-14 Leonid Vymenets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EP2060970A1 (en) * 2007-11-12 2009-05-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KR101517967B1 (ko) * 2008-07-07 201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545970B2 (ja) * 2009-03-26 2014-07-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US8195254B2 (en) * 2009-12-22 2012-06-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liding display part
US8638302B2 (en) * 2009-12-22 2014-01-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multiple displays
US20120066591A1 (en) * 2010-09-10 2012-03-15 Tina Hackwell Virtual Page Turn and Page Flip via a Touch Sensitive Curved, Stepped, or Angled Surface Side Edge(s) of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US8816972B2 (en) * 2011-04-28 2014-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curved area
US9110580B2 (en) *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20130093688A1 (en) * 2011-10-17 2013-04-18 Matthew Nicholas Papakipos Virtual Soft Keys in Graphic User Interface with Side Mounted Touchpad Input Device
KR102148717B1 (ko) *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TW201342139A (zh) * 2012-04-06 2013-10-16 Shun On Electronic Co Ltd 觸控顯示面板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23A1 (ko) * 2015-02-11 2016-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14691B1 (ko) * 2015-09-14 2017-03-09 주식회사 패튼코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9113A1 (en) 2015-01-29
CN104345971A (zh) 2015-02-11
EP2829965A1 (en)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1942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70681B1 (ko)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908789B2 (en)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564498B (zh) 电子设备和识别电子设备中的触摸的方法
US9965158B2 (en) Touch screen hover input handling
KR102097361B1 (ko)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P2917814B1 (en)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KR102060155B1 (ko)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285956A1 (en) Mobile device provided with display func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provided with display function
US995903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ide-surface touch sensors for receiving the user-command
US939582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thereof
JP2020518054A (ja)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US9372561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stores a program
JP2015518579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AU20143072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grip state in electronic device
US10928948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BR112017003262B1 (pt) Método, sistema e mídia de armazenamento de computador para região inativa para superfície de toque com base em informação contextual
KR20140016073A (ko)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WO2015099891A1 (en) Adapting interface based on usage context
US20110291981A1 (en) Analog Touchscreen Methods and Apparatus
KR102381051B1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40103580A (ko)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KR20130061748A (ko) 키 입력 에러 감소
US2014008534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ipulating scale or rotation of graphic on display
KR102044157B1 (ko)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