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181A -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181A
KR20150011181A KR20130086130A KR20130086130A KR20150011181A KR 20150011181 A KR20150011181 A KR 20150011181A KR 20130086130 A KR20130086130 A KR 20130086130A KR 20130086130 A KR20130086130 A KR 20130086130A KR 20150011181 A KR20150011181 A KR 20150011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power state
pow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505B1 (ko
Inventor
김형훈
권순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505B1/ko
Priority to PCT/KR2014/006662 priority patent/WO2015012575A1/ko
Priority to EP20189557.0A priority patent/EP3754475A1/en
Priority to US14/904,556 priority patent/US10496151B2/en
Priority to CN201480041614.2A priority patent/CN105408951B/zh
Priority to EP14829073.7A priority patent/EP3026538A4/en
Publication of KR2015001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I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최근에는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고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최근의 전자 디바이스는 종래에 비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이 멀티 태스킹과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기술 동향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표시부,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전자 디바이스의 잔여 전력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가 많아, 수행 시 배터리가 조기 소진 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르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어플리케이션 최초 설치 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연관 전력 등급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보정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가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레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 변화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에 따라 아이콘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 무선 통신부(110)가 점선으로 도시된 이유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가 전자 디바이스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전화 또는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등의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구비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전자 사전, MP3 플레이어 등의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20)는 전자 디바이스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30)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120) 및 입력부(13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센서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저장부(140)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전자 디바이스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전자 디바이스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전력 상태 결정부(151),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 관리부(152), 표시 제어부(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력 상태 결정부(151)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 상태 결정부(151)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경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가변일 수 있다.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 관리부(1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고려한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은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전력 상태,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동시 실행 시 전력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 관리부(152)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 관리부(152)는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 시,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53)는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표시부(120)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부(153)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부(12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안좋아 질수록 표시부(120)의 밝기를 어둡게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제어부(153)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153)는 상기 아이콘의 색, 투명도 또는 테두리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제어부(153)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안좋아 질수록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밝기를 어둡게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어부(150)가 별도의 세부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블록들이 수행하는 기능이 상이하다고 기재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력 상태 결정부(151)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15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르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전력 상태 결정부(151)의 세부 블록일 수도 있다.
우선, 어플리케이션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추정부(210)는 어플리케이션 별 다중 연관 전력 등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추정부(210)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 동작 중인 모듈(예를 들어, GPS 모듈, G 센서 모듈 등)에 대한 정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추정부(210)는 기기 전력 상태 추정부(220)로부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기 전력 상태 추정부(220)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 동작 중인 모듈(예를 들어, GPS 모듈, G 센서 모듈 등)에 대한 정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전자 디바이스이ㅡ 전력 등급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추정부(210)는 상기 획득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전자 디바이스는 S310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자신의 전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등급, 구비하고 있는 모듈, 현재 구동되고 있는 모듈(예를 들어, GPS 모듈이 구동되고 있는지 여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S32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은 임의의 레벨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은 해당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프로세서의 구동율, 메모리 점유율, 연동되는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확인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 수행 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가능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가변되는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S340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부의 화면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 표시부의 화면 밝기를 일정 수준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아이콘의 밝기 또는 투명도를 가변하거나, 또는 아이콘의 테두리 색을 가변할 수 있다. 상기한 표시 제어는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해설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제1 상태(enough), 제2 상태(poor), 제3 상태(limit)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 기기의 기능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제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 기능 제한
제1 상태(enough) 제한 없음
제2 상태(poor) 모바일 기기 기능 제한을 하지 않음
1. 현 단말의 Back-ground 작업에 정해 진 수 이상의 Poor 및 Limit Process가 수행되고 있다면, 기능 제약 혹은 기존 Process Killing을 수 있음.
2. 수행 시 LCD Back-light 밝기의 최대치가 제한됨.
(중간 수준에서의 제약)
3. App 동작 시 Display FPS가 제약 (60FPS 최대치 기준 50FPS 정도(선택적))
제3 상태(limit) 1. 수행을 하고자 할 때, Pop-up 창을 통해 경고 메시지 전달.
2. 사용자가 수행을 허용할 경우에만 동작을 함.
3. 수 이상의 Poor 및 Limit Process가 수행되고 있다면,
기존 Process Killing을 수행할 수 있음.
4. 수행 시 LCD Back-light 밝기의 최대치가 제한됨.
(높은 수준에서의 제약)
5. App 동작 시 Display FPS 가 제약 ( 30FPS로 제약)
상기의 표 1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러한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의 도 3의 S330 단계에서 기술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하드웨어 모듈의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 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 결정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사용할 수 있다.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고려한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은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전력 상태,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동시 실행 시 전력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단말의 전력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 잔여량)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만 실행되는지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동시에 실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이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적어도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모듈에 대한 사용을 공유한다면(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facebook 어플리케이션이 GPS 모듈을 공유하는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이 별도로 실행되는 경우를 합산하는 경우보다,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은 낮아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다중 연관 전력 등급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어플리케이션 최초 설치 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전자 디바이스는 S41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시작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은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디폴트로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S420 단계에서,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리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등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미리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등급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S430 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정의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에 대한 예시가 도 5에서 도시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은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510)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단독으로 실행될 경우(520)의 전력 등급, 다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근거리 통신 어플리케이션 등)과 동시에 실행될 경우의 전력 등급 등으로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도 4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만약 미리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등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S44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속 전력 추정(Quick Power Estim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부(또는 프로세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하거나 또는 실행을 가정하고 전력을 추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S450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등급을 추정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S460 단계에서, 상기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를 설정한다.
S440 단계 내지 S460 단계를 통해 설정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 역시,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시 설정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 보정 작업(업데이트)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에 대한 추가 보정 작업은 미리 정의된 주기 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중이거나,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배터리 전력 잔량이 특정 량 이상이고 기기가 아이들(Idle) 상태일 때 상기 추가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다중 연관 전력 등급에 대한 보정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연관 전력 등급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전자 디바이스는 S610 단계에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측정 또는 보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S620 단계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별 어플리케이션의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추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별 디바이스(모듈)의 종류는 어플리케이션의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21~40%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단독 실행 시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3 이었지만, 추정 후에는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 로 추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6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S630 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함께 수행될 경우의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추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어플리케이션의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21~40%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웹 브라우저와 동시에 실행 시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3 이었지만, 추정 후에는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5 로 추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6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S640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를 보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네이버(Naver) 웹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네이버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도시한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은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고려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동시 실행 여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의 특정 상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이 3 단계인 경우, 네이버 어플리케이션이 단독 실행되는 경우 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카카오톡)과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상기 네이버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는 제2 상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네이버 어플리케이션을 단독으로 실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실행하게 되면, 상기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실행으로 인해 전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예를 들어, 코덱)를 추가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네이버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악화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 등에 기반하여 이후의 전력 상태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표시, 아이콘 표시, 기능 제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9a는 전자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홈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들은 도 9a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격자 형태로 표시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변화되었거나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었음을 가정한다.
그러면, 도 9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와,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9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나쁜 전력 등급(전력 소비가 많은 등급)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910)과, 좋은 전력 등급(전력 소비가 적은 등급)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920)의 투명도, 밝기, 형태 등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쁜 전력 등급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910)의 투명도를 투명도가 높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좋은 전력 등급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920)의 투명도를 투명도가 작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다시 변화하거나 또는 실행 중인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디바이스는 변경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와,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9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새로이 변경된 조건에 따라 나쁜 전력 등급에 해당하게 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930)의 투명도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디바이스는 새로이 변경된 조건에 따라 더 나쁜 전력 등급으로 등급이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940)에 대해, 투명도를 더 높게 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 결과를 활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현재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제3 단계이고, GPS 모듈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도 10의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참고하면, 상기의 가정 상태에서 GPS 모듈의 on 또는 off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변화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정 상태에서, GPS 모듈을 off 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1010 상태에서 1020 상태로 변화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정 상태에서, GPS 모듈을 off 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1010 상태에서 1020 상태를 거쳐 1030 상태로 양호해질 것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이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단계가 단순히 배터리 잔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하드웨어 모듈, 어플리케이션의 동시 실행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 GPS 모듈 off 시 더 좋은 상태의 전력 단계로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예시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또는 전력 단계의 변화가 예측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가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도 10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GPS 모듈의 on/off에 따라 변화되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황에서, 특정 태스크(task)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전력 경고 아이콘(11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력 경고 아이콘(111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특정 레벨 이하인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태스크 종료를 위한 사용자 입력(1120)을 수신하였음을 가정한다. 그러면, 전자 디바이스는 도 1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료 또는 off 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태스크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GPS 모듈을 off 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었음을 예시한다. 그리고, GPS 모듈을 off 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1130), GPS 모듈은 off 된다.
그러면 도 11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상태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에 대한 예시가 도 12에서 도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변화가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고,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특정 레벨 이하로 악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레벨 이하인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러면, 전자 디바이스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소모 값을 추출한다. 또는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별 전력 소모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력 소모 값이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정된 개수 추출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는 도 12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을 팝업 윈도우(12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팝업 윈도우(1210)에는 전력 소모가 많은 순서대로 어플리케이션을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레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 변화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는 제1 단계 내지 제4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등급, 배터리 잔량, 하드웨어 모듈의 구동 여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은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등급 내지 제5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는 상기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이 5등급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1 단계(아주 양호)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도 제1 상태(enough)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가 1단계에서 3 단계로 악화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는 제1 상태(enough)에서 제3 상태(Limit)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 제한 등이 가해질 수 있다.
도 14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에 따라 아이콘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4에 도시된 아이콘들 중, 아이콘(141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표 1에서 정의된 제2 상태라 가정한다. 동시에 아이콘(142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표 1에서 정의된 제 3 상태라 가정한다.
이 경우, 아이콘(141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가 아이콘(142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상태보다 양호하여, 아이콘(1410)의 투명도가 아이콘(1420)의 투명도보다 작게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상태가 좋지 못할수록, 대응하는 아이콘이 보다 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설정은 본 발명의 일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전자 디바이스의 잔여 전력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가 많아, 수행 시 배터리가 조기 소진 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표시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151 : 전력 상태 추정부
152 :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 관리부
153 : 표시 제어부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 시,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동시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아이콘의 색, 투명도 또는 테두리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 실행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1.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표시부;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된 다중 연관 전력 등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등급에 따라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 시, 상기 다중 연관 전력 등급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동시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색, 투명도 또는 테두리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 실행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30086130A 2013-07-22 2013-07-22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8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130A KR102187505B1 (ko) 2013-07-22 2013-07-22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6662 WO2015012575A1 (ko) 2013-07-22 2014-07-22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EP20189557.0A EP3754475A1 (en) 2013-07-22 2014-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US14/904,556 US10496151B2 (en) 2013-07-22 2014-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CN201480041614.2A CN105408951B (zh) 2013-07-22 2014-07-22 用于控制电子设备的显示器的方法和装置
EP14829073.7A EP3026538A4 (en) 2013-07-22 2014-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130A KR102187505B1 (ko) 2013-07-22 2013-07-22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181A true KR20150011181A (ko) 2015-01-30
KR102187505B1 KR102187505B1 (ko) 2020-12-08

Family

ID=5239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130A KR102187505B1 (ko) 2013-07-22 2013-07-22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96151B2 (ko)
EP (2) EP3754475A1 (ko)
KR (1) KR102187505B1 (ko)
CN (1) CN105408951B (ko)
WO (1) WO20150125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231A1 (ko) * 2016-05-18 2017-11-23 한국전기연구원 나노패터닝 요홈 표면을 갖는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1316B (zh) 2012-05-09 2020-09-29 苹果公司 用于选择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53A1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JP6002836B2 (ja) 2012-05-09 2016-10-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CN105260049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响应于用户接触来显示附加信息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EP3264252B1 (en) 2012-05-09 2019-11-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mode of operation
KR102001332B1 (ko) 2012-12-29 2019-07-17 애플 인크. 콘텐츠를 스크롤할지 선택할지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KR101758267B1 (ko) * 2016-03-10 2017-07-17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을 예측할 수 있는 통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예측 소비 전력 제공 방법
CN110471524B (zh) * 2019-07-31 2021-07-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WO2022196997A1 (en) * 2021-03-15 2022-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boosting graphics perform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868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응용 프로그램 구동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551A (ja) * 1992-02-21 1993-09-10 Toshiba Corp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US6912664B2 (en) * 2002-02-21 2005-06-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ergy-aware software-controlled plurality of displays
US7605829B2 (en) 2003-07-26 2009-10-2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level of display
US7127625B2 (en) 2003-09-04 2006-10-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lication management based on power consumption
US20050066209A1 (en) * 2003-09-18 2005-03-24 Kee Martin J.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 and low power processors operable in a low power mode
KR100763174B1 (ko) * 2004-11-13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US9015652B2 (en) * 2005-12-21 2015-04-21 Sap Se Dynamically-generated operating system for sensor networks
US20070220293A1 (en) * 2006-03-16 2007-09-20 Toshiba America Electronic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data processors using execution mode selection
JP4796017B2 (ja) * 2007-07-30 2011-10-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090094472A1 (en) * 2007-10-08 2009-04-09 Asustek Computer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saving power thereof
US20090164152A1 (en) 2007-12-20 2009-06-2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ower Consumption Notification and Management
KR20100051349A (ko) * 2008-11-07 2010-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소비전력 표시방법
US9172117B2 (en) * 2008-12-04 2015-10-27 Domingo Enterprises, Llc User-controlled application-based power management
US8862416B2 (en) * 2009-04-27 2014-10-1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battery life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US9086875B2 (en) * 2009-06-05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US8280456B2 (en) * 2009-08-14 2012-10-02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8538484B2 (en) * 2009-08-14 2013-09-17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EP2390758A1 (en) 2010-05-25 201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a portable terminal
US8397087B1 (en) * 2010-05-31 2013-03-12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dividually managing the power usage of software applications
CN102918473B (zh) 2010-06-07 2015-07-0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便携式信息处理终端
JP2012175174A (ja) * 2011-02-17 2012-09-10 Seiko Epson Corp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周辺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
US8923176B2 (en) * 2011-03-08 2014-12-30 Skype Saving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348399B2 (en) * 2011-05-03 2016-05-24 Google Inc. Heuristics based on backoff for power modes
US8904220B2 (en) * 2011-05-19 2014-12-02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user determinable power conservat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03017B2 (en) * 2011-06-30 2015-04-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computing application rating
WO2013008274A1 (ja) * 2011-07-13 2013-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5729197B2 (ja) * 2011-07-28 2015-06-0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954017B2 (en) * 2011-08-17 2015-02-10 Broadcom Corporation Clock signal multiplication to reduce noise coupled onto a transmission communication signal of a communications device
US10761582B2 (en) * 2011-08-22 2020-09-01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system battery-life for static and semi-static image viewing usage models
US9037880B2 (en) * 2012-06-15 2015-05-19 Infosy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application layer power management solution for serverside applications
US8407502B1 (en) * 2012-07-12 2013-03-26 Google Inc. Power saving techniques for battery-powered computing devices
US10121210B2 (en) * 2012-09-05 2018-11-06 Apple Inc. Tracking power states of a peripheral device
US20140229754A1 (en) * 2013-02-11 2014-08-14 Nvidia Corporation Power telemetry remote monitoring
US20140244190A1 (en) * 2013-02-28 2014-08-28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Power usage analysis
US20140285531A1 (en) * 2013-03-19 2014-09-25 Ericsson Television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display luminance
US9021439B2 (en) * 2013-04-25 2015-04-28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Green software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868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응용 프로그램 구동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231A1 (ko) * 2016-05-18 2017-11-23 한국전기연구원 나노패터닝 요홈 표면을 갖는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2575A1 (ko) 2015-01-29
EP3026538A4 (en) 2017-07-05
EP3026538A1 (en) 2016-06-01
KR102187505B1 (ko) 2020-12-08
US20160147284A1 (en) 2016-05-26
EP3754475A1 (en) 2020-12-23
CN105408951A (zh) 2016-03-16
US10496151B2 (en) 2019-12-03
CN105408951B (zh)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505B1 (ko)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5357178B (zh) 一种应用于投屏场景的控制方法以及相关设备
EP35791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application prediction model, storage medium and terminal
RU259551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ходн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еречня контактов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EP310195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595224B (zh) 应用程序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536008B (zh) 一种投屏方法及移动终端
KR20130095968A (ko)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폴더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607660A (zh) 智能电视的界面切换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US2017031806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commendation
CN103544033A (zh) 应用程序回退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06126041B (zh) 一种移动终端的桌面图标管理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1645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167006B (zh) 一种控制应用程序使用sim卡的方法及终端设备
US90982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of mobile terminal
CN105430448A (zh) 一种视频播放器的控制处理方法和视频播放器客户端
US2014028205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funiction of applying application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849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WO2015070718A1 (en) Communication number notif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7015874B (zh) 数据传输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13138786B (zh) 应用更新方法及装置
CN112804398A (zh) 应用程序图标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417987B (zh) 一种操作响应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05893146B (zh) 内存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