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661A -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661A
KR20150010661A KR20140091323A KR20140091323A KR20150010661A KR 20150010661 A KR20150010661 A KR 20150010661A KR 20140091323 A KR20140091323 A KR 20140091323A KR 20140091323 A KR20140091323 A KR 20140091323A KR 20150010661 A KR20150010661 A KR 20150010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touch input
touch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872B1 (ko
Inventor
곽지연
김현진
이용연
윤여준
문경진
서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1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기에게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이 제공된다.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됨에 따라,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DISPLAY AND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이동이 가능한 기기이다. 휴대 단말기가 가지는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사진 촬영, 컨텐트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무선 인터넷 브라우징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가진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다양한 운영체제를 가진 스마트폰(smartphone)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복잡한 기능 구현을 위하여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므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많은 휴대 단말기들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및 AP(Application Processor)의 동작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는 슬립 모드(Sleep Mode)라고 언급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슬립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슬립 모드를 해제한 이후에 휴대 단말기에 별도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입력 기능 또는 출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슬립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입력 기능 또는 출력 기능을 즉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을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입력한 정보와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 없이 입력된 정보를 구분할 필요가 있었다. 센서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입력된 정보인지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다른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기에게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센서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게 입력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입력된 정보인지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은 터치 센서가 휴대 단말기에 대한 2회 이상의 접촉을 인식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게 수신되는 입력이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2회 이상의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상기 동작은 터치 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또는 궤적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문자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은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휴대 단말기의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하고,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AP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휴대 단말기의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기울기 값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영역은 휴대 단말기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서 위치 및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고,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영역 중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휴대 단말기 중 디스플레이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폐곡선의 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횟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이고,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은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은 터치 센서가 휴대 단말기에 대한 2회 이상의 접촉을 인식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 수신되는 입력이고, 제어부는 2회 이상의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터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문자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또는 궤적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은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터치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문자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자에 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휴대 단말기의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AP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AP를 포함하고,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제어부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기울기 값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영역은 휴대 단말기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서 위치 및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감지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고,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영역 중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는 휴대 단말기 중 디스플레이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제어부는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일부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결정하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폐곡선의 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횟수에 기초하여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이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은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휴대 단말기의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하며,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제어부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개시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터치 인식에 대한 문자 인식 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 예와 관련된 SSP(Seamless Sensing Platform)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라 함은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디스플레이가 동작할 수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검은색 화면만을 출력하는 상태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블랙 스크린(black screen)” 상태라고 언급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아닌 다른 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장치가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장치가 최소한의 동작만 수행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나 알림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화면의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신체 등과 터치스크린 패널의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는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전송한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e-Paper)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이용하여 출력된 결과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전자 종이는 높은 해상도와 넓은 시야각을 가진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고정된 형태를 가진 패널뿐만 아니라 유연한 형태를 가지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51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센서는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물체의 접촉 유무와 접촉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센서를 의미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05). 이 때,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터치 센서는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215).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S220 단계에서 결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225).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 되면(S215), 휴대 단말기(100)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225).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은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은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가 수신한 입력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에 포함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10). 이 때,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터치 센서는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S220).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은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은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가 수신한 입력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220 단계는 S240 단계에서 함께 실행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 되면(S230),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결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240).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의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이용하여 S220 단계 및 S2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230).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S220 단계에서 결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슬립 모드(sleep mode)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 사용자는 슬립 모드 버튼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슬립 모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슬립 모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슬립 모드 버튼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슬립 모드 상태를 취소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S220 단계에서 결정된 동작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S220 단계에서 결정된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S220 단계에서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S220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알림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은 터치 센서에 대해 입력된 2회 이상의 입력일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S220 단계에서, 2회 이상의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1초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1초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터치 입력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가 포함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220 단계에서 결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 또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궤적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110)에 대해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메모를 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궤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21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이하 ‘AP’라 함) 는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S220 단계에서 결정된 동작을 S240 단계에서 실행하기 위해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AP(Application Processor)와 별도로 센서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이하 SSP(Seamless Sensing Platform)라 한다)이 동작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SSP(Seamless Sensing Platform)의 센서 허브(Sensor Hub)에 센서부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센서부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집하고,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SSP(Seamless Sensing Platform)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비활성화된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SSP(Seamless Sensing Platform)는 도 17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10). 이후, 휴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가 슬립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에 접촉한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S32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에 접촉한 지점에 대해 색상이 변환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은 탭(tap), 드래그(drag), 플릭(flick), 서클링(circling), 면적 접촉(surface touch)와 같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도구의 접촉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신체는 손가락으로 언급된다.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접촉한 후 움직이지 않은 채 화면에서 즉시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탭(tap)에 해당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접촉된 지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와 휴대 단말기(100)의 표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휴대 단말기(100)의 표면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drag)에 해당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접촉된 지점의 궤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플릭(flick)에 해당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접촉된 좌표가 이동한 방향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클링(circling)”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는 궤적을 만드는 동작을 나타낸다. 서클링(circling)에 해당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접촉된 지점의 궤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표면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가 폐곡선의 내부인지 또는 외부인지 판단할 수 있다.
“면적 접촉(surface touch)”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임계값 이상의 면적을 휴대 단말기(100)의 표면에 접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면적 접촉(surface touch)에 해당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접촉된 면적에 해당하는 복수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0)에서 동작하는 기능을 최소화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터치 입력과 같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센서를 제어하는 플랫폼(이하 SSP(Seamless Sensing Platform)을 구비할 수 있다. SSP는 도 17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슬립 모드 버튼(sleep mode button)(335)이 눌려지면,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 될 수 있다(S340).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S330 단계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메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35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궤적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35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S330 단계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텍스트로 인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모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식된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터치 인식에 대한 문자 인식 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S410),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한 문자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문자 인식이란 입력된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가 판독함으로써 컴퓨터 텍스트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문자 인식 기능은 구조 분석법(structure analysis), 특징 정합법(feature matching), 획 분석법(stroke analysis) 및 패턴 정합법(pattern matching)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문자 인식 기능을 수행한 결과, 터치 인식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S420), 휴대 단말기(100)는 인식된 문자 또는 문자열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S430). 터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S420),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에 기본으로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문자열로 인식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되는 때에 인식된 문자열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터치 입력이 문자열로 인식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도 3A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S210 단계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S510). 여기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S 420 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문자열로 인식되는 경우, 문자열로 인식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메모 관련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과 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터치 입력과 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입력과 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새롭게 매칭할 수도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되는 경우(S520), S510 단계에서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S5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10)와 함께 휴대 단말기(100)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하고, 활성화 된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이용하여 S5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210 단계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이 문자열로 인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되고 터치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610).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해 문자 인식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이 하나 이상의 숫자로 인식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전화 통화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문자 인식 결과 획득된 숫자와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전화를 걸거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620). 또는, 휴대 단말기(100)는 전화 통화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획득된 숫자를 이용하여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계산기 애플리케이션이나 정보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반드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신된 터치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드래그(drag)입력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른 궤적을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에 대한 문자 인식 결과 획득된 문자를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되고 터치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630). 휴대 단말기(100)에 슬립 모드(sleep mode) 버튼(635)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슬립 모드 버튼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슬립 모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슬립 모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는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슬립 모드 버튼(635)이 눌려짐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S640).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해 문자 인식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이 하나 이상의 숫자와 사칙연산 기호, 예를 들어 +, - 등이 인식된 경우, 숫자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650).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으로부터 인식된 정보를 S650 단계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인식된 수학식을 계산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식된 숫자의 개수 또는 ‘월’, ‘일’과 같은 기 설정된 문자가 인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문자가 아닌 터치 입력의 궤적의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형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궤적의 형태는 제스처(gesture)로 언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터치 입력의 궤적이 별 형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인식된 터치 입력의 궤적이 원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에 포함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705). 이 때,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터치 센서는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0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이하 ‘AP’라 함) 는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로부터 수신된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S715).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에서 활성화되는 일부 영역은 정보 표시 영역으로 언급될 수 있다. 정보 표시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결정되는 가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S71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10) 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소정의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부재중 전화 메시지, 알림 메시지, 뉴스 정보,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위젯(widget),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이미지 및 텍스트와 같은 임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110) 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특징에 따라서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만 동작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 이외에는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와 동일한 색상을 디스플레이(110)가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검은 색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 정보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은 검은 색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에 포함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710). 이 때,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터치 센서는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1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이하 ‘AP’라 함) 는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로부터 수신된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AP(Application Processor)와 별도로 SSP(Seamless Sensing Platform)가 동작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SSP(Seamless Sensing Platform)의 센서 허브(Sensor Hub)에 센서부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센서부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집하고,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SSP(Seamless Sensing Platform)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비활성화된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SSP(Seamless Sensing Platform)는 도 17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예를 들면, 2개의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1초 이내인 경우, S720 단계 및 S73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AP(Application Proces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S710 단계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에서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정보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720).
여기서, 정보 표시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결정되는 가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정보 표시 영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정보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 예는 도 8 내지 도 14에서 나타난 예시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될 소정의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부재중 전화 메시지, 알림 메시지, 뉴스 정보,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위젯(widget),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이미지 및 텍스트와 같은 임의의 정보가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부재중 전화에 대한 메시지가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부재중 전화 메시지를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메시지가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S720단계에서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S730).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특징에 따라서 정보 표시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만이 동작하도록 할 수 없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 정보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은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와 동일한 색상을 디스플레이(110)가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검은 색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 정보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은 검은 색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 정보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810).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정보 표시 영역(8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 중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830)에 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83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820). 도 8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정보 표시 영역(83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를 문지른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S820 단계에서 표시된 정보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되면, 선택된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일 측면(900)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910). 디스플레이(110)의 일 측면(900)은, 디스플레이(110)를 고정하거나 디스플레이(110)의 주변을 감싸는 휴대 단말기(110)의 구성부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10)의 일 측면(900)은 베젤(bezel)이라고 언급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일 측면(900)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920). 여기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은 일 측면(900)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서 정보 표시 영역(950)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표시 영역(950)은 수신된 터치 입력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여 이동된 위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제 1 지점(940)에서부터 제 2 지점(950)까지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전체 영역 중에서 세로 축 좌표가 제 1 지점(940)과 제 2 지점(950) 사이에 포함되는 영역을 정보 표시 영역(960)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 중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950)에 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10)는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95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일 측면(900)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010).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응되는 폐곡선을 결정할 수 있다(S1020). 휴대 단말기(110)는 결정된 폐곡선 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정보 표시 영역(1040)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04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10)는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104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03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10).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서 정보 표시 영역(1150-1)을 결정할 수 있다(S1120). 휴대 단말기(100)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150-1)을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1150-1)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112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정보 표시 영역(1150-1)에 표시될 정보의 양에 따라서 정보 표시 영역(1150-1)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영역(1150-1)에 표시될 알림 메시지가 3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3개의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 영역(1150-1)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반복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30). 반복된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S1120 단계에서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150-1)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정보 표시 영역(1150-2)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150-2)을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1150-2)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횟수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S1130 단계 및 S1140 단계를 수행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를 두드리면 정보가 조금씩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210). 여기서, 터치 입력은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위치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위치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횟수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지는 정보 표시 영역(1250-1)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250-1)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1250-1)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가 동일한 터치 입력을 반복하여 수신하는 경우(S1230), 휴대 단말기(100)는 S1220 단계에서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250-1)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정보 표시 영역(1250-2)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확장된 정보 표시 영역(1250-2)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정보 표시 영역(1250-2)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휴대 단말기(100)가 S1210단계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S1220 단계에서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250-1)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정보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감소된 정보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1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310). 여기서, 터치 입력은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정보 표시 영역(1330)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133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133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드래그(drag)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점차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된 디스플레이(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센서부(1510)는 디스플레이(110)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로부터 디스플레이(110)가 휘어진 영역(1420) 및 휘어지지 않은 영역(14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510)로부터 휴대 단말기(100)는 휘어지지 않은 영역(1410)을 정보 표시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10)가 휘어진 각도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휴대 단말기(100)는 휘어진 영역(1420)을 정보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8 내지 도 14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되고, 휴대 단말기(100)가 콘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서 터치 입력과 재생 중인 콘텐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0)에 소정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소정의 제스처 정보와 매칭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정의 제스처 정보와 매칭되는 입력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소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의 일부가 가려진 경우(예를 들면, 손으로 디스플레이를 덮은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100)는 알람 메시지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만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영역에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매칭된 기능이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터치 입력에 매칭된 기능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매칭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수신된 터치 입력에 매칭된 기능이 없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 출력부(152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변형하여 구현되거나,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510), 출력부(1520) 및 제어부(1500) 이외에 도 16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1610) 및 메모리(16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1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5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또는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센서부(1510)는 터치 센서(1511), 위치 센서(1512), 가속도 센서(1513), 지자기 센서(1514), 근접 센서(1515), 적외선 센서(1516) 및 자이로스코프(151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에서 센서부(1510)는 출력부(1520)와 별도로 도시되었으나, 센서부(1510)에 포함된 터치 센서(1511)와 출력부(152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521)를 결합한 터치스크린과 같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부(1520)는 디스플레이(152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2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영상 콘텐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21)가 터치 센서(1511)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2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21)는 고정된 형태를 가진 패널뿐만 아니라 유연한 형태를 가지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5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부를 제어하고, 다양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부(1520)는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센서부(1510)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1500)는 센서부(1510)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1500)는 수신된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출력부(1520)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제어부(1500)는 결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0)는 터치 센서(1511)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1521)가 활성화 됨에 따라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하도록 휴대 단말기(100)의 각 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터치 센서(1511)가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2회 이상의 접촉을 인식함에 따라서 제어부(1500)가 수신한 입력이고, 제어부(1500)는 2회 이상의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터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될 수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0)는 센서부(1510)에 포함된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520)는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센서부(1510)는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5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21)의 전체 영역 중에서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정보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디스플레이(1521)의 전체 영역 중에서 결정된 정보 표시 영역을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1521)를 통해서 활성화된 정보 표시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500), 센서부(1510), 출력부(1520), 사용자 입력부(1610) 및 메모리(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부를 제어하고, 다양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5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또는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센서부(1510)는 터치 센서(1511), 위치 센서(1512), 가속도 센서(1513), 지자기 센서(1514), 근접 센서(1515), 적외선 센서(1516) 및 자이로스코프(151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디스플레이(1521), 음향 출력부(1522), 진동 모터(15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10)와 도 1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520)는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출력부(1520)는 디스플레이(1521), 음향 출력부(1522), 진동 모터(15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2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영상 콘텐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21)가 터치 센서(1511)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2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21)는 고정된 형태를 가진 패널뿐만 아니라 유연한 형태를 가지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5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2)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522)는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기능(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2)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5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523)는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1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61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1610)는 센서부(1510)와 결합하여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620)는 제어부(1500)가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620)는 입출력 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6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6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모듈(1611), UI 모듈(1621) 및 문자 인식 모듈(미도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621)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 모듈(1621)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UI 모듈(1621)은 출력부(152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0)는 SSP(Seamless Sensing Platform)의 센서 허브(16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허브(164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허브(1640)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허브(1640)는 센서부(15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AP(Application Processor)(163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센서부(15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허브(1640)는 터치 센서(1511)에서 감지되는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허브(1640)는 터치 센서(1511)를 통해 획득된 터치 입력과 매칭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과 매칭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센서 허브(1640)는 비활성화된 상태의 AP(Application Processor)(163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AP(Application Processor)(1630)를 포함할 수 있다. AP(Application Processor)(1630)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터(1511)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SSP(Seamless Sensing Platform)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SP(Seamless Sensing Platform)은 센서 허브(1710)와 SSP 매니저(1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센서 허브(1710)와 도 16의 센서 허브(1640)은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센서부(1510)는 센서 허브(1710)에 결합될 수 있고, SSP 매니저(1720)는 AP(Application Processor)(1630)의 프레임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허브(1710)는 센서부(1510)를 통해 입력 정보(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비활성화된 상태의 AP(Application Processor)(1630)를 활성화시켜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센서 허브(1710)는 SSP 매니저(1720)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의미에서 Interrupt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
SSP 매니저(1720)에서는 센서 허브(1710)가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형식(data type)과 길이(length) 등을 요청하는 내용의 신호를 센서 허브(1710)로 전송할 수 있다(S20). SSP 매니저(1720)는 수신 준비 완료 메시지(Start to read MSG)를 센서 허브(1710)로 전송하고(S40), 센서 허브(1710)는 Start to read MSG가 수신됨에 따라서, 입력 정보 등을 사전에 약속된 패킷(packet)으로 가공하여 SSP 매니저(1720)로 전송할 수 있다(S50). 이 경우 비활성화된 AP(Application Processor)(1630)가 활성화 된다.
도 18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는 동영상, 오디오 또는 스트리밍 데이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텐트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슬립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1820). 휴대 단말기(100)는 슬립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830). 여기서, 터치 입력은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은 드래그(drag) 제스처, 탭(tap) 입력, 패닝(panning) 제스처, 플링(fling) 제스처, 스와이프(swipe) 제스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재생 중인 컨텐트를 외부 디바이스(1800)로 전송할 수 있다(S1840).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1800)는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18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18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TM, 와이 파이 다이렉트 등)을 통해서 휴대 단말기(1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외부 디바이스(18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S184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트 자체를 직접 외부 디바이스(1800)에게 전송하는 대신에, 컨텐트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외부 디바이스(18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18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S1850).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18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의해 재생 중인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0)에서 재생 중이던 컨텐트의 위치부터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외부 디바이스(1800)는 컨텐트를 처음부터 재생할 수도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9 및 도 20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재생 중이던 오디오 컨텐트가 외부 디바이스(1800)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오디오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컨텐트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슬립 모드 버튼(1905)이 선택(S1900)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1910).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라 하더라도, 터치 센서는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는 계속해서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단계 S1910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930).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위치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오디오 컨텐트를 외부 디바이스(18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컨텐트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1800)는 수신된 오디오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S1940).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1800)는 음량이나 재생 위치와 같은 재생 환경에 대한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재생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트의 재생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함에 있어서, 터치 입력은 다른 입력 방식으로 대체되거나, 터치 입력과 다른 입력 방식이 함께 고려될 수도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터치 입력과 다른 입력 방식을 함께 고려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는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휴대 단말기는 슬립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100). 슬립 모드가 설정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센서 및 기울기 센서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슬립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S2110)을 수신하고,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획득할 수 있다(S2115).
이후, 휴대 단말기는 터치 입력 및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120). 즉, 휴대 단말기는 동일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슬립 모드가 설정된 휴대 단말기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가 가로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폐곡선(2205)의 궤적을 가지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200). 휴대 단말기(100)가 가로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215)을 폐곡선(2205)의 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215)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가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폐곡선(2205)의 궤적을 가지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220). 휴대 단말기(100)가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폐곡선(2205)의 내부에 알림 메시지(223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실시 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형태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등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슬립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100)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슬립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는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슬립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의 대상이 되거나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B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후에 다시 C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C 애플리케이션이 액티비티 스택의 최상단에 할당되고, A 애플리케이션이 액티비티 스택의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C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동작이 존재하지 않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A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동작 및 B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입력에 따라서 B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가 오디오 컨텐트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슬립 모드 버튼이 선택될 수 있다(S2410). 슬립 모드 버튼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는 슬립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420).
슬립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휴대 단말기(100)의 한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터치 입력(2435)을 수신할 수 있다(S2430).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2435)의 방향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트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5는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가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슬립 모드 버튼이 선택될 수 있다(S2510). 슬립 모드 버튼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는 슬립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520).
슬립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탭(tap)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2535)을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S25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9)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면,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2회 이상의 접촉을 인식함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게 수신되는 입력이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상기 2회 이상의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서 결정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동작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또는 궤적을 표시하는 동작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은,
    상기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동작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AP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상기 기울기 값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서 위치 및 면적이 결정되는 것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결정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이고,
    상기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은 영역을 활성화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9.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면,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2회 이상의 접촉을 인식함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수신되는 입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회 이상의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문자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동작은,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또는 궤적을 표시하는 동작인, 휴대 단말기.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문자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AP를 활성화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AP를 포함하고,
    상기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은,
    상기 기울기 값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9.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서 위치 및 면적이 결정되는 것인, 휴대 단말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감지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인, 휴대 단말기.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는, 휴대 단말기.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하는, 휴대 단말기.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은 영역을 활성화하는, 휴대 단말기.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기울기 값을 획득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7.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8.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39.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AP에 의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40091323A 2013-07-18 2014-07-18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384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931 2013-07-18
KR1020130084931 2013-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661A true KR20150010661A (ko) 2015-01-28
KR102384872B1 KR102384872B1 (ko) 2022-04-11

Family

ID=5234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323A KR102384872B1 (ko) 2013-07-18 2014-07-18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5869B2 (ko)
EP (2) EP3023865B1 (ko)
KR (1) KR102384872B1 (ko)
CN (2) CN105556428B (ko)
ES (1) ES2728059T3 (ko)
WO (1) WO2015009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056B1 (ko) * 2013-07-19 2020-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50379915A1 (en) * 2014-06-27 2015-12-31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KR102215816B1 (ko) * 2014-07-09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996012B1 (en) * 2014-09-15 2019-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671828B2 (en) * 2014-09-1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dual touch sensors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erminal bod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14413A (ko) * 2015-03-24 2016-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6199413A1 (en) * 2015-06-12 2016-12-15 Amada Holdings Co.,Ltd. Generation of geometry of objects
KR102369126B1 (ko) 2015-07-10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4764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147830B2 (ja) * 2015-10-28 2017-06-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方法
CN105892922A (zh) * 2016-03-31 2016-08-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7438811B (zh) * 2017-05-22 2021-0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息屏显示方法及装置
CN108196781B (zh) * 2017-12-29 2020-05-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的显示方法和移动终端
US11435867B2 (en) * 2020-05-26 2022-09-06 Ching-Chen Li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853A (ko) * 2008-04-10 200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4743A (ko) * 2009-09-03 2011-03-09 한국과학기술원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와 그 입력 방법
KR20110054196A (ko) * 2009-11-17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68666A (ko)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20091041A (ko) * 2009-10-01 2012-08-1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애플리케이션 범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62471A (ko) * 2011-12-01 201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710A (en) * 1993-05-10 1997-10-14 Apple Computer, Inc. Recognition keypad
US7003308B1 (en) 2000-09-12 2006-02-21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US7657849B2 (en)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20090012836A (ko) 2007-07-31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KR101526970B1 (ko) *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129090B1 (en)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027645A1 (en) * 2008-08-18 2010-03-11 Augusta Technology Usa, Inc. One-touch dial with fast contact lookup
CA2739760C (en) * 2008-10-06 2016-12-06 Tat The Astonishing Tribe Ab Method for application launch and system function invocation
KR20100136618A (ko)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JP5547466B2 (ja) * 2009-12-15 2014-07-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20110081040A (ko)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에서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123933A (ko) * 2010-05-10 201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402364A (zh) * 2010-09-10 2012-04-04 北京创新方舟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用户的触摸屏操作进行应用调用的方法与设备
KR101685991B1 (ko) 2010-09-30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TW201227393A (en) * 2010-12-31 2012-07-01 Acer Inc Method for unlocking screen and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US20120184247A1 (en) * 2011-01-19 2012-07-1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94499B2 (en) 2011-03-16 2015-03-31 Apple Inc. Locking and unlocking a mobile device using facial recognition
US20120252439A1 (en) * 2011-04-02 2012-10-04 Recursion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asualties
KR20130028573A (ko) 2011-09-09 201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E102012108810A1 (de) * 2011-09-20 2013-03-21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ktronische einrichtung und zustands-steuerverfahren
KR101263861B1 (ko) 2011-09-21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8803825B2 (en) * 2011-09-27 2014-08-12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touch screen inputs
KR20120071308A (ko) 2011-10-07 2012-07-02 한정민 모바일 위젯 실행 방법
JP5533837B2 (ja) * 2011-11-02 2014-06-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手書き入力装置及び手書き入力制御プログラム
US9071970B2 (en) * 2011-12-05 2015-06-30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US9753560B2 (en) * 2011-12-30 2017-09-05 Sony Corporation Input processing apparatus
CN103019600A (zh) * 2012-12-14 2013-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开启应用程序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853A (ko) * 2008-04-10 200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4743A (ko) * 2009-09-03 2011-03-09 한국과학기술원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와 그 입력 방법
KR20120091041A (ko) * 2009-10-01 2012-08-1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애플리케이션 범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54196A (ko) * 2009-11-17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68666A (ko)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30062471A (ko) * 2011-12-01 201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872B1 (ko) 2022-04-11
US20150022471A1 (en) 2015-01-22
US10775869B2 (en) 2020-09-15
CN105556428B (zh) 2019-11-01
EP3537264A1 (en) 2019-09-11
EP3023865A4 (en) 2017-03-08
CN110543229A (zh) 2019-12-06
EP3023865A1 (en) 2016-05-25
WO2015009110A1 (ko) 2015-01-22
EP3023865B1 (en) 2019-05-08
CN105556428A (zh) 2016-05-04
EP3537264B1 (en) 2020-05-13
ES2728059T3 (es)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872B1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1196070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42382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2603844B1 (en) Finger identification on a touchscreen
US9948763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KR10202418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016609B2 (en) Distance-time based hit-testing for displayed target graphical elements
US988601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device by magnetic field variation using detachable pen
KR102519800B1 (ko) 전자 장치
US2016006251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21048B1 (ko)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3030071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or process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multi-touch
US10928948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43341B1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035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based on multi touch finger gesture
KR10218040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3224735A1 (en) Method of processing touch input for mobile device
WO2023093661A1 (zh) 界面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70031589A1 (en) Invisible touch target for a user interface button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