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335A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335A
KR20150010335A KR1020130085205A KR20130085205A KR20150010335A KR 20150010335 A KR20150010335 A KR 20150010335A KR 1020130085205 A KR1020130085205 A KR 1020130085205A KR 20130085205 A KR20130085205 A KR 20130085205A KR 20150010335 A KR20150010335 A KR 20150010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uter tube
inner tube
chang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335A/ko
Publication of KR2015001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changing gas flow path through the silencer or for adjusting the dimensions of a chamber or a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24Concentric tubes or tubes being concentric to housing, e.g. telescopically assemb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소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는 배기 가스의 이동로를 제공하고, 측면에 제 1 배기 구멍이 형성된 내관; 내관에 대해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상대 운동 하도록 내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측면에 제 2 배기 구멍이 형성된 외관; 외관과의 사이에 공명실을 형성하도록 외관의 외측에 배치되는 공명관; 및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에서 변경 온도로 변할 때, 내관에 대한 외관의 상대 위치를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외관이 내관에 대해 상대 운동할 때 제 1 배기 구멍과 제 2 배기 구멍이 겹쳐서 형성되는 공명 구멍의 단면적이 변한다.

Description

소음기{Silencer}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명형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선박 외부로 발생하는 소음은 선원들의 작업 환경을 저해할 뿐 아니라 주변 주거지역의 주민들에게 피해를 준다. 그리고 최근에는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규제가 더욱 강화되어 소음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선외 소음의 주요 원인은 선박의 엔진, 특히 발전기 엔진의 배기 소음이며, 그 중에서도 저주파 성분이 주 원인으로서 감음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소음의 감음에는 공명형 소음기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소음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공명형 소음기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저감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의 배기 소음을 감쇠하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진의 배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하는 소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기 가스의 이동로를 제공하고, 측면에 제 1 배기 구멍이 형성된 내관; 상기 내관에 대해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상대 운동 하도록 상기 내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측면에 제 2 배기 구멍이 형성된 외관; 상기 외관과의 사이에 공명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관의 외측에 배치되는 공명관; 및 상기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에서 변경 온도로 변할 때, 상기 내관에 대한 상기 외관의 상대 위치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이 상기 내관에 대해 상대 운동할 때 상기 제 1 배기 구멍과 상기 제 2 배기 구멍이 겹쳐서 형성되는 공명 구멍의 단면적이 변하는, 소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초기 온도에서 가공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변경 온도에서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부재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모두 저항하는 구조를 가지고, 일단이 상기 내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외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내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외관에 지지되며, 상기 외관을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부재는, 인장력에만 저항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초기 온도에서 상기 가공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외관의 상기 초기 위치를 유지시키고, 상기 변경 온도에서 상기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 상기 탄성력이 상기 외관을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내관에 대한 상기 외관의 상대 운동은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조건에 따라 가변하는 배기 소음을 온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부재를 사용하여 저감시킴으로써, 온도 조건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 장치 및 변경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작동하기 위해 외부에서 별도의 에너지를 공급받는 구동 장치없이 온도 조건에 따른 배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제 1 배기 구멍과 제 2 배기 구멍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6은 도 5의 상태에서 제 1 배기 구멍과 제 2 배기 구멍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소음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소음기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제 1 배기 구멍과 제 2 배기 구멍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은 선체(10), 엔진(20) 및 소음기(100)를 포함한다. 선체(10)에는 엔진(20)이 탑재된다. 엔진(20)의 배기 가스는 펀넬(funnel)(3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엔진(20)의 배기 가스는 소음기(100)를 경유하여 펀넬(30)로 이동한다.
소음기(100)는 내관(110), 외관(120), 공명관(130),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내관(110)은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 가스의 이동로를 제공한다. 배기 가스는 내관(1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엔진(20)의 배기 소음은 배기 가스의 일부를 후술하는 공명실(131)로 유입시켜 공명시킴으로써 감쇠된다.
내관(110)의 측면에는 제 1 배기 구멍(111)이 형성된다. 제 1 배기 구멍(111)은 후술하는 공명실(131)과 연결된다. 내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배기 가스의 일부는 제 1 배기 구멍(111)을 통해 공명실(131)로 유입된다.
내관(110)의 외측에 외관(120)이 배치된다. 외관(120)은 내관(110)에 대해 상대 운동한다. 외관(120)은 내관(110)에 대해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상대 운동한다. 초기 위치는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일 때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위치이고, 변경 위치는 배기 가스가 변경 온도일 때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위치이다. 초기 온도는 변경 온도보다 낮다.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운동은 내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외관(120)의 측면에는 제 2 배기 구멍(121)이 형성된다. 제 2 배기 구멍(121)은 공명실(131)과 연결된다. 제 2 배기 구멍(121)을 통해 내관(110)을 지나는 배기 가스의 일부가 공명실(131)로 유입된다.
제 2 배기 구멍(121)은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운동 과정에서 제 1 배기 구멍(111)과 겹치면서 공명 구멍(h)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명 구멍(h)은 실질적으로 내관(110)의 배기 가스가 공명실(131)로 유입되는 구멍이다.
제 1 배기 구멍(111)과 제 2 배기 구멍(121)이 겹치는 부분이 최대이면 공명 구멍(h)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고 제 1 배기 구멍(111)과 제 2 배기 구멍(121)이 겹치는 부분이 최소이면 공명 구멍(h)의 단면적이 최소가 된다.
배기 가스의 유입으로 공명실(131)에서 공명하는 공명 주파수(f)는 공명 구멍(h)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예컨대, 공명 구멍(h)의 단면적이 커지면 공명 주파수가 증가하고, 공명 구멍(h)의 단면적이 작아지면 공명 주파수가 감소한다.
엔진(20)의 배기 소음의 주파수는 음속(C)에 비례하고, 음속(C)은 배기 가스의 온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온도가 높을수록 배기 소음의 주파수는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는 초기에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일 때 발생되는 배기 소음을 감쇠하도록 작동하고, 이후 배기 가스가 변경 온도에 도달하면 변경 온도에서 발생되는 배기 소음을 감쇠하도록 작동한다.
엔진(20)은 작동하는 로드(load)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가 달라진다. 엔진(20)은 로드 조건에 따라 작동 빈도가 달라지도록 운용된다. 예컨대, 엔진(20)은 75% 로드 조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100% 로드 조건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도록 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75% 로드 조건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에 적용되는 초기 온도로 결정하고, 100% 로드 조건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에 적용되는 변경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를 가질 때, 외관(120)은 내관(110)에 대해 초기 위치를 가진다. 이 경우, 제 1 배기 구멍(111)과 제 2 배기 구멍(121)에 의해 형성되는 공명 구멍(h)은 배기 가스의 온도가 초기 온도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쇠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가스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변경 온도로 변하면, 외관(120)은 내관(110)에 대해 변경 위치를 가진다. 이 경우, 공명 구멍(h)은 배기 가스의 온도가 변경 온도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쇠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변경된다.
외관(120)의 외측에 공명관(130)이 배치된다. 공명관(130)과 외관(120) 사이에 공명실(131)이 형성된다. 공명실(131)은 공명관(130), 외관(120) 그리고 공명관(130)의 양측 개방부를 폐쇄하는 폐쇄판(132)에 의해 한정된다. 엔진(20)의 배기 소음은 배기 가스의 일부를 공명실(131)로 유입시켜 공명시킴으로써 감쇠된다.
구동부(150)는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에서 변경 온도로 변할 때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위치를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변경시킨다.
구동부(150)는 형상기억합금부재(153)를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은 가열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성질이 있다. 구동부(150)의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일 때 가공 형상을 유지하다가 배기 가스가 변경 온도로 변할 때,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면서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위치를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변경시킨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모두 저항하는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빔 또는 기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의 양단은 각각 내관(110) 및 외관(120)에 지지된다.
양단이 각각 내관(110) 및 외관(120)에 지지되는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모두 저항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가공 형상에서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거나 원래 형상에서 가공 형상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외관(120)을 내관(110)에 대해 상대 운동시킨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내관(110)에 고정되는 내관측 지지 부재(153a)와 외관(120)에 고정되는 외관측 지지 부재(153b) 사이에 개재된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의 양단은 각각 내관측 지지 부재(153a)와 외관측 지지 부재(153b)에 고정 지지된다.
내관측 지지 부재(153a)는 내관(110)의 내주면에서 내관(11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외관측 지지 부재(153b)는 외관(120)의 내주면에 외관(12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내관(110)의 측면에는 외관측 지지 부재(153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154)이 형성된다. 가이드홀(154)은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운동 방향, 즉 내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6은 도 5의 상태에서 제 1 배기 구멍과 제 2 배기 구멍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관(110)을 통해 이동하는 배기 가스는 초기 온도를 갖는다. 이때, 내관(110)에 대한 외관(120)의 상대 위치는 초기 위치를 갖고,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가공 형상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 1 배기 구멍(111) 및 제 2 배기 구멍(121)이 겹쳐서 형성되는 공명 구멍(h)은 초기 온도에서 발생하는 배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단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소음기(100)는 배기 가스의 온도가 초기 온도를 가질 때 발생하는 배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기 가스의 온도가 초기 온도에서 변경 온도로 변하면,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원래 형상으로 돌아간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면서 외관(120)을 내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가 원래 형상을 돌아가면, 외관(120)은 내관(110)에 대해 변경 위치에 놓인다. 외관(120)이 변경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배기 구멍(111) 및 제 2 배기 구멍(121)이 겹쳐서 형성되는 공명 구멍(h)은 변경 온도에서 발생하는 배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단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소음기(100)는 배기 가스의 온도가 변경 온도를 가질 때 발생하는 배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작동하는 소음기(100)는 온도 조건에 따라 가변하는 배기 소음을 온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부재(153)를 사용하여 저감시킨다. 따라서 소음기(100)는 온도 조건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 장치 및 변경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작동하기 위해 외부에서 별도의 에너지를 공급받는 구동 장치(예컨대 모터) 없이 온도 조건에 따른 배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소음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소음기(100')는 내관(110), 외관(120), 공명관(130) 및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외관(120)은 내관(110)의 반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구동부(150)는 형상기억합금부재(153)를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내관(110)에 고정되는 내관측 지지 부재(153a)와 외관(120)에 고정되는 외관측 지지 부재(153b) 사이에 개재된다.
형상기억합금부재(153)는 가공 형상에서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거나 원래 형상에서 가공 형상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외관(120)을 내관(11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 1 배기 구멍(111)과 제 2 배기 구멍(121)이 겹쳐서 형성되는 공명 구멍(h)의 단면적이 변한다.
도 8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소음기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는 내관(210), 외관(220), 공명관(230) 및 구동부(25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내관(210), 외관(220), 공명관(230), 제 1 배기 구멍(211), 제 2 배기 구멍(221) 및 폐쇄판(232)는 앞선 실시예의 내관(110), 외관(130), 공명관(130), 제 1 배기 구멍(111), 제 2 배기 구멍(121) 및 폐쇄판(232)과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부(250)는 탄성 부재(251)와 형상기억합금부재(253)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251)는 내관(210) 및 외관(220) 사이에 개재되어 도 8과 같은 초기 위치에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 부재(251)의 탄성력은 외관(220)을 초기 위치에서 도 9와 같은 변경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탄성 부재(251)는 일단이 내관(2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외관(220)에 지지된다. 탄성 부재(251)의 양단은 내관(210)에 고정 설치된 제 1 내관측 지지 부재(251a)와 외관(220)에 고정 설치된 제 1 외관측 지지 부재(251b)에 고정 설치된다.
제 1 내관측 지지 부재(251a)는 내관(210)의 내주면에서 내관(21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 1 외관측 지지 부재(251b)는 외관(220)의 내주면에 외관(22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내관(210)의 측면에는 제 1 외관측 지지 부재(251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52)이 형성된다. 가이드홀(252)은 내관(210)에 대한 외관(220)의 상대 운동 방향, 즉 내관(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초기 위치에서 제 1 내관측 지지 부재(251a)와 제 1 외관측 지지 부재(251b)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251)의 탄성력은 인장력을 가진다. 또는 도 8의 제 1 내관측 지지 부재(251a)와 제 1 외관측 지지 부재(251b)의 전후 위치가 바뀌면 초기 위치에서 탄성 부재(251)의 탄성력은 압축력을 가질 수 있다.
초기 위치에서 탄성 부재(251)의 탄성력은 형상기억합금부재(253)에 의해 유지된다. 형상기억합금부재(253)의 양단은 내관(210) 및 외관(220)에 지지된다. 형상기억합금부재(253)의 양단은 내관(210)에 고정 설치된 제 2 내관측 지지 부재(253a)와 외관(220)에 고정 설치된 제 2 외관측 지지 부재(253b)에 고정 설치된다.
내관(210)의 측면에는 제 2 외관측 지지 부재(253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54)이 형성된다. 가이드홀(254)은 내관(210)에 대한 외관(220)의 상대 운동 방향, 즉 내관(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형상기억합금부재(253)는 도 8과 같이 초기 온도에서 가공 형상을 유지하여 외관(220)의 초기 위치를 유지시킨다. 이후, 배기 가스가 변경 온도에 도달하면 형상기억합금부재(253)는 도 9와 같이 원래 상태로 돌아가 탄성 부재(251)의 탄성력이 외관(220)을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것을 유도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선박 10 : 선체
20 : 엔진 30 : 펀넬
100 , 200 : 소음기 110, 210 : 내관
111 : 제 1 배기 구멍 120, 220 : 외관
121 : 제 2 배기 구멍 130, 230 : 공명관
131, 231 : 공명실 150, 250 : 구동부
153, 253 : 형상기억합금부재 251 : 탄성 부재

Claims (5)

  1. 배기 가스의 이동로를 제공하고, 측면에 제 1 배기 구멍이 형성된 내관;
    상기 내관에 대해 초기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상대 운동 하도록 상기 내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측면에 제 2 배기 구멍이 형성된 외관;
    상기 외관과의 사이에 공명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관의 외측에 배치되는 공명관; 및
    상기 배기 가스가 초기 온도에서 변경 온도로 변할 때, 상기 내관에 대한 상기 외관의 상대 위치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이 상기 내관에 대해 상대 운동할 때 상기 제 1 배기 구멍과 상기 제 2 배기 구멍이 겹쳐서 형성되는 공명 구멍의 단면적이 변하는,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초기 온도에서 가공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변경 온도에서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부재를 포함하는, 소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부재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모두 저항하는 구조를 가지고,
    일단이 상기 내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외관에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소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내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외관에 지지되며, 상기 외관을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부재는,
    인장력에만 저항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초기 온도에서 상기 가공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외관의 상기 초기 위치를 유지시키고,
    상기 변경 온도에서 상기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 상기 탄성력이 상기 외관을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변경 위치로 변경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소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에 대한 상기 외관의 상대 운동은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소음기.
KR1020130085205A 2013-07-19 2013-07-19 소음기 KR20150010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05A KR20150010335A (ko) 2013-07-19 2013-07-19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05A KR20150010335A (ko) 2013-07-19 2013-07-19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35A true KR20150010335A (ko) 2015-01-28

Family

ID=5248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205A KR20150010335A (ko) 2013-07-19 2013-07-19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03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87A (ko) * 2016-12-06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파수 가변형 레조네이터
CN108612576A (zh) * 2018-04-20 2018-10-02 南京工程学院 一种排气降噪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87A (ko) * 2016-12-06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파수 가변형 레조네이터
CN108612576A (zh) * 2018-04-20 2018-10-02 南京工程学院 一种排气降噪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5967B1 (en) Active design of exhaust sounds
JP5507616B2 (ja) 排気系のための能動騒音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203045A1 (en) Muffler
US8434590B2 (en) Muffler
KR20150118978A (ko) 공진 감쇠 기능을 갖춘 차량용 배기 시스템
EP1701010B1 (de) Aktiver Abgasschalldämpfer
US20170008453A1 (en) Sound transmit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a sound transmitting system
US7617909B2 (en) Muffler
KR20150010335A (ko) 소음기
US10208639B2 (en) Structure of muffler
JP2006207378A (ja) 排気系用の騒音低減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る排気系
JP2005105918A (ja) 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JP2011089487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Mohammad et al. Simulation of automotive exhaust muffler for tail pipe noise reduction
JP2019182077A (ja) 車両下部構造
JP2008240586A (ja) 車両用消音器
JP6618780B2 (ja) 煙突騒音低減装置
KR101647750B1 (ko) 디젤엔진 배기소음 감쇠를 위한 능동형 소음기
KR20120019301A (ko) 소음기
JP5079048B2 (ja) 内燃機関用消音器及び当該消音器を備えたマフラー
Shah et al. Air intake system optimization for acoustic advantage on automotive vehicles
US20200256227A1 (en) Exhaust system as well as motor vehicle with an exhaust system
JP2020041441A (ja) 触媒装置
KR102629055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629059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