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978A -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 - Google Patents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978A
KR20150009978A KR1020147032833A KR20147032833A KR20150009978A KR 20150009978 A KR20150009978 A KR 20150009978A KR 1020147032833 A KR1020147032833 A KR 1020147032833A KR 20147032833 A KR20147032833 A KR 20147032833A KR 20150009978 A KR20150009978 A KR 2015000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roller burnishing
burnishing machine
machine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309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귀네만
카르스텐 셰퍼
펠릭스 폭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0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63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22Turning-machines or devices with rotary tool heads
    • B23B3/26Turning-machines or devices with rotary tool heads the tools of which perform a radial movement; Rotary tool hea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9/00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 B24B39/04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ex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Turn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가공될 구성 부품(2)에 대한 위치 고정식 조립을 위해 설계된 기부 부분(3)과; 구동부(4)와; 기부 부분(3)에 보유되며, 구동부(4)를 사용하여 상기 기부 부분에 대해 중심 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부분(6)과; 상기 회전 부분(6)에 중심 축(9)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터닝 공구 및/또는 롤러 버니싱 공구(27, 3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공구 홀더(26, 35)를 포함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TURNING AND/OR ROLLER BURNISHING MACHINE}
본 발명은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공작 기계는 종래 기술에서 매우 다양한 구성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형 부품을 제조하거나 가공하는 데 사용된다. 터닝이란, 터닝 공구가 공구 슬라이드에 단단하게 클램핑되어 칩을 제거하는 동안, 절삭될 표면을 따라 공구 슬라이드가 구성 부품의 회전축에 대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가공될 구성 부품의 회전에 의해 절삭 운동이 실시되는 절삭 제조 방법이다. 롤러 버니싱이란, 일반적으로 롤링 바디를 의미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가, 부품의 평활화 및/또는 경화를 위해, 회전하는 부품의 표면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구성 부품의 재료가 유동하기 시작하는 비절삭 가공 방법을 의미한다.
특히, 예를 들어 발전소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가스 터빈의 타이 로드의 가공과 같이, 자체 중량이 높은 대형 구성 부품의 고정밀 가공 시에는, 사용되는 공작 기계에 대해 매우 까다로운 요건이 적용된다. 이 경우, 대형 구성 부품의 정확한 클램핑이 문제가 된다. 또한, 가공을 위해 요구되는 상기 구성 부품의 회전은 상당한 에너지 소모를 수반한다. 또 다른 단점 중 하나는, 큰 설치 공간을 차지하는 사용 공작 기계의 큰 크기로 인해, 기계를 운반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전소 내에서 직접 가공되는 것과 같이 장소 측면에서 유연한 가공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적어도 비경제적이다. 이는, 특히 터닝 가공 및/또는 롤러 버니싱 가공이 가스 터빈의 정비의 범주에서 실행되어야 할 경우에 특히 불리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고정밀 가공을 가능케 하고 문제없이 운반될 수 있음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특히 가공될 구성 부품에 대한 위치 고정식 조립을 위해 설계된 기부 부분과; 구동부와; 기부 부분에 보유되고, 구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기부 부분에 대해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부분과, 상기 회전 부분에 중심 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공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공구 홀더를 포함하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에서, 구성 부품의 가공은 정지 상태의 공작물에서 수행되며, 이때 공구 홀더 내에 보유되는 가공 공구는 구성 부품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의 덕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는 종래의 공작 기계보다 훨씬 더 작고 더 가볍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시 문제될 것이 없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크고 무거운 구성 부품들의 가공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더 적은데, 그 이유는 가공 중에 구성 부품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 공구를 구비한 훨씬 더 가벼운 기계 부분이 회전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의 바람직한 구조에 따라, 기부 부분이 구성 부품의 가공을 위해 상기 구성 부품에 위치 고정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설계될 경우 기계가 더 작고 더 가볍게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기계 베드 및 그 밖의 구조물의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는 가공 중에 가공될 구성 부품에 의해 지지되고 파지된다.
본 발명의 한 구성에 따르면, 기부 부분은 상기 기부 부분이 가공될 공작물에 위치 고정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설계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기부 부분은 링 형태로 형성되며, 링 직경을 따라 고정 수단이 균일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공될 구성 부품에 대한 기부 부분의 매우 균일한 고정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공구 홀더는, 특히 제1 기부 부분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위치 고정식으로 조립 가능한 제2 기부 부분을 포함하며, 이때 회전 부분은 상기 두 기부 부분 사이에서 이들에 대해 중심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을 할 수 있게 보유된다. 2개의 기부 부분 사이에 회전 부분이 배치되는 구성은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가 매우 높은 강성을 갖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성에 따르면, 회전 부분은, 가이드 요소를 통해 각각 하나의 기부 부분과 연결되는 2개의 슬라이드 링과, 이들 슬라이드 링을 서로 연결하며 드럼 형태로 형성된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드럼 형태로 형성된 중간 부분의 사용에 의해 기계의 강성이 훨씬 더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으로서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중간 부분이 예를 들어, 2개의 기부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버팀대(strut)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어셈블리의 보강을 위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버팀대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형태의 구성은, 드럼 형태로 구성된 중간 부분에 의해 한정된 공동을 조작자가 들여다볼 수 있어서 이에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간 부분의 제조 시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회전 부분 및 기부 부분 또는 기부 부분들은 본 발명의 한 구성에 따라 분리되어 구성되며, 분리 면은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중심 축을 포함한다. 이렇게 분리된 구성은, 기계가 가공될 구성 부품에 더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계는 분해된 상태로 더 양호하게, 공간 절약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구동부는 바람직하게 기부 부분에 배치되며, 회전 부분 측의 톱니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통해 회전 부분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부가 구성 부품의 가공 중에 회전하지 않고, 이에 따라 가공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심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구동부는 공압식 구동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압축 공기가 거의 모든 산업 환경에서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한 구성에 따르면, 공구 홀더가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횡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회전 부분에 중심 축에 대해 평행하게 안내되도록 운동 가능한 종방향 슬라이드와, 중심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운동 가능한 횡방향 슬라이드가 제공된다. 종방향 슬라이드뿐만 아니라 횡방향 슬라이드도 바람직하게 전동식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변형예에 따르면, 횡방향 슬라이드가 종방향 슬라이드에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횡방향 슬라이드에 공구 홀더가 수용된다. 따라서, 횡방향 슬라이드가 종방향 슬라이드의 변위 경로 영역 내에서 변위 가능함으로써, 종방향 슬라이드에 의해 덮여진 영역 내에서 구성 부품 가공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내부 가공이라고도 지칭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변형예에 따라, 종방향 슬라이드에는 기부 부분의 상부에 덮이는 아암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공구 홀더를 수용하는 횡방향 슬라이드는 상기 아암의 자유 단부 측에 배치된다. 이 변형예에서, 구성 부품의 가공은 종방향 슬라이드의 변위 경로 외부에서 수행되며, 이는 이하에서 외부 가공이라고도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는 바람직하게 내부 가공 및 외부 가공을 위해 개장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슬라이드가 피벗 가능하도록, 특히 90°각도로 피벗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종방향 슬라이드는 내부 가공에서 외부 가공으로, 또는 그 반대로의 개장의 범주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피벗은 종방향 슬라이드의 최대 변위 경로와 관련하여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서두에 언급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 특히 앞에서 기술한 유형의 본 발명에 따른 기계를 사용하여 구성 부품을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에서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가 특히 가공될 구성 부품에 위치 고정식으로 고정되고, 터닝 공구 또는 롤러 버니싱 공구가 정지 상태의 구성 부품에서 중심 축을 중심으로 원형 궤도를 따라 회전하며 구성 부품 주위에서 재료 절삭의 목적으로 운동한다.
바람직하게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는 가공될 구성 부품의 외측 주연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구성 부품의 중심 축과 종축은, 이들이 실질적으로 합동이 되도록 서로 정렬된다. 이러한 방식의 정렬은 예를 들어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허용 가능한 동심성(concentricity)이 보장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가스 터빈 구성 부품, 특히 가스 터빈의 타이 로드가 가공되며, 여기서 가스 터빈은 특히 발전소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가스 터빈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장점들을 명료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가공될 구성 부품에 위치 고정되어 조립되어 내부 가공의 실행을 위해 개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의 제1 기계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기계 반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의 제2 기계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기계 반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종방향 가이드, 종방향 슬라이드, 횡방향 가이드, 횡방향 슬라이드 및 여기에 배치된 공구를 도시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 기계 반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구성을 갖는 구성 부품의 내부 가공을 보여주는, 도 1에 도시된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의 전면도이다.
도 8은 종방향 슬라이드와 횡방향 가이드 사이에 확장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도 6에 상응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배열을 갖는 구성 부품의 내부 가공을 보여주는, 도 7과 유사한 전면도이다.
도 10은 구성 부품에 고정되어 구성 부품 외부 가공을 위해 개장된, 도 1에 도시된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아암이 제1 위치에 조립된, 도 10에 도시된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면 XII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아암이 제2 위치에 조립된, 도 10에 도시된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면 XIV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아암의 분해도이다.
도면들에는,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가공될 구성 부품(2)에 조립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가 도시되어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9는 상기 기계(1)가 구성 부품(2)의 내부 가공을 위해 개장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0 내지 도 15는 기계(1)가 구성 부품의 외부 가공을 위해 개장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제,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의 구조를 설명한다.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는 주 구성 부품으로서 제1 기부 부분(3)과, 제1 기부 부분에 배치된 모터(4)와, 제2 기부 부분(5)과, 회전 부분(6)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분은 기부 부분(3, 5)들 사이에 수용되고, 기부 부분(3, 5)에 대해 모터(4)에 의해 중심 축(9)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부분에 고정된 슬라이드 링(7, 8)을 통해 상기 기부 부분과 연결된다.
2개의 기부 부분(3, 5)은 각각 하나의 링형 구조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부 부분(3, 5)은 기부 부분(3, 5)의 링 직경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고정 수단(10)을 포함하며, 이들 고정 수단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고정 요소(11)를 각각 하나씩 포함한다. 고정 요소들(11)은, 기부 부분(3, 5)이 선택적으로, 가공될 구성 부품(2)에 고정되거나 또는 구성 부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 요소(11)의 운동은 주로, 조작자가 기부 부분(3, 5)의 외측 주연면에 제공된 조정 나사(12)를 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나사 메커니즘을 통해 수동으로 수행된다. 상이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고정 요소(11) 세트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가공될 구성 부품(2)의 상이한 외경 영역에 맞춰 특수하게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매우 큰 외경 영역에 걸쳐서 안정적인 고정이 보장될 수 있다.
각각의 기부 부분(3, 5)의, 회전 부분(6)을 향하는 면에는 링 세그먼트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요소들(13)이 제공되며, 이들 가이드 요소는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각각 도브테일 형태의 링 세그먼트 홈(14)을 갖는다. 기부 부분(3, 5)의 이러한 링 세그먼트 홈들(14)은, 슬라이드 링(7, 8)에 제공되어 기부 부분(3, 5)을 향해 외측으로 돌출된 도브테일 형태의 관련 링 가이드들(15)과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 부분(6)은 슬라이드 링(7, 8)을 통해 기부 부분(3, 5)과 연결되며, 이들 기부 부분에 대해 중심 축(9)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을 할 수 있다.
모터(4)는 제1 기부 부분(3)과 고정 연결되고 피니언(16)을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은 회전 부분 측의 원주 방향 톱니(17)와 맞물린다. 더 정확히 말하면, 톱니(17)는 여기서 슬라이드 링(7)의 외측 주연부에 형성된다. 모터(4)는 압축 공기 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는 공기압 모터이다.
2개의 슬라이드 링(7, 8)을 서로 고정 연결하는, 회전 부분(6)의 중간 부분(18)은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의 종방향 버팀대(19)와, 이 종방향 버팀대를 보강하는 복수의 횡방향 버팀대(20)와, 중심 축(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종방향 가이드(21)를 포함하며, 이 종방향 가이드는 90°각도로 피벗 가능하고 그 외측 피벗 지점들에서 로킹(locking)될 수 있다. 종방향 가이드의 제1 피벗 지점에서 로킹된 종방향 가이드(21)에는 종방향 슬라이드(22)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모터를 사용하여 변위 가능하게 파지된다. 종방향 슬라이드(22)에는 중심 축(9)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가이드(24)가 고정되며, 이 횡방향 가이드를 따라 횡방향 슬라이드(25)가 마찬가지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횡방향 슬라이드(25)에는 공구(27)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공구 홀더(26)가 보유되며, 상기 공구는 선택적으로 회전 공구 또는 롤러 버니싱 공구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슬라이드(22)와 횡방향 슬라이드(25) 사이에는 중간 부재(28)가 배열될 수 있는데, 이 중간 부재는, 도 6에 비해 횡방향 슬라이드(25)가 중심 축(9)에 대해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7 및 도 9에서 가공 직경(D1, D2)에 따라 도시된 것처럼, 구성 부품(2)의 가공 직경(D)은 가변적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1)는 2개의 기계 반부(A, B)로 분할되며, 여기서 분리 면은 중심 축(9)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분리 면이 중심 축(9)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횡방향 슬라이드(25)의 배열은, 본 출원의 범주에서 내부 가공이라 지칭되는, 2개의 기부 부분(3, 5) 사이에 배열된 구성 부품 영역이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에 의해 가공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10 내지 도 15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가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기부 부분(3, 5) 중 하나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 부품 영역의 가공에 사용하도록 개장된 상태를 도시하며, 이러한 가공을 본 출원의 범주에서는 외부 가공이라 지칭한다. 이렇게 개장된 상태에서는 종방향 가이드(21)가 제1 피벗 지점에 대해 90°회전된 제2 피벗 지점에서 로킹됨으로써, 종방향 가이드는 외측을 향한다. 종방향 가이드(21)에는 2개의 종방향 슬라이드(29, 30)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운동 가능하게 파지되며, 종방향 슬라이드에는 제2 기부 부분(5)의 상부에 덮이는 아암(31)이 고정된다. 아암(31)의 자유 단부에는 횡방향 가이드(32)를 수용하는 단부 편(33)이 배열된다. 공구 홀더(35)를 지지하는 횡방향 슬라이드(34)가 횡방향 가이드(32)에 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공구 홀더(35) 내에 공구(36)가 수용되며, 이 공구는 터닝 공구 또는 롤러 버니싱 공구일 수 있다. 아암(31)과 단부 편(33) 사이에는 아암(31)의 연장을 위해 2개의 지지 하부 구조체(37)가 제공되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고, 추가의 지지 하부 구조체(37)로 보충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종방향 슬라이드(29, 30)에 대한 아암(31)의 제1 조립 가능성을 도시하며, 여기서는 종방향 슬라이드(29, 30)가 가능한 한 서로 멀리 이격되어 아암(31)의 하부 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방향 가이드(21)에 대한 아암(31)의 매우 안정적인 배치가 보장된다.
도 13 및 도 14는 종방향 슬라이드(29, 30)에 대한 아암(31)의 제2 조립 가능성을 도시하며, 여기서는 제2 기부 부분(5)에 인접하여 배치된 종방향 슬라이드(3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배치에 비해, 다른 종방향 슬라이드(29)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아암(31)의 하부 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암의 최대 변위 거리(31)는 연장되나, 이는 안정성의 손실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를 사용하여 구성 부품의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가 제1 단계에서 가공될 구성 부품(2)에 위치 고정식으로 고정되며, 이때, 기부 부분(3, 5)이 고정 수단(10)을 이용하여 구성 부품에 고정된다. 구성 부품(2)에 대한 기계(1)의 배치는 기계(1)를 2개의 기계 반부로 분할함으로써 간편해진다. 이 경우에, 구성 부품(2)은 예를 들어 자유롭게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성 부품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파지 장치에 의해 파지될 수도 있고, 또는 여전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기계(1)가 구성 부품(2)에 위치 고정식으로 조립되는 즉시, 구성 부품의 종축 및 중심 축(9)이 실질적으로 합동이 되도록 서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정밀 조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회전 부분(6)에서 적절한 위치에 예를 들어 다이얼 게이지가 고정될 수 있고, 이 다이얼 게이지는 동심성의 검출을 위해 구성 부품(2)의 표면과 접촉된다. 상기 조정은 고정 요소(11)의 상응하는 수동 조정을 통해 수행된다.
기계(1)의 올바른 정렬 후에, 상기 기계(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내부 가공 또는 외부 가공을 위해 개장될 수 있다.
가공 중에, 회전 부분(6)이 모터(4)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공구(26, 36)가 가공 위치에서 구성 부품(2) 주위를 회전한다. 공급 및 이송은 종방향 슬라이드(22) 또는 횡방향 슬라이드(25, 34)를 통해 수행된다.
본원의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는 작은 크기 및 가벼운 자체 중량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이는 적은 에너지 소비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에 의해 구성 부품의 고정밀 가공이 가능하다. 상기 기계(1)는 특히, 예를 들어 발전소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터빈의 상응하는 (예컨대, 타이 로드 등의 형태의) 부품의 가공과 같이,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자체 중량이 높은 부품을 가공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해도,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다른 변형예들이 도출될 수 있다.

Claims (17)

  1.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이며,
    특히 가공될 구성 부품(2)에 대한 위치 고정식 조립을 위해 설계된 기부 부분(3)과,
    구동부(4)와,
    기부 부분(3)에 보유되고, 구동부(4)를 사용하여 상기 기부 부분에 대해 중심 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부분(6)과,
    상기 회전 부분(6)에 중심 축(9)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공구(27, 3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공구 홀더(26, 35)를 포함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2. 제1항에 있어서, 기부 부분(3)은, 기부 부분(3)이 가공될 공작물(2)에 위치 고정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설계된 고정 수단(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3. 제2항에 있어서, 기부 부분(3)은 링 형태로 형성되며, 링 직경을 따라 고정 수단(10)이 균일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는 특히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라 형성되고, 위치 고정식으로 조립 가능한 제2 기부 부분(5)을 포함하며, 회전 부분(6)은 상기 두 기부 부분(3, 5) 사이에서 이들 기부 부분에 대해 중심 축(9)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을 할 수 있게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 부분(6)은, 가이드 요소(13)를 통해 각각 하나의 기부 부분(3, 5)과 연결되는 2개의 슬라이드 링(7, 8)과, 이들 슬라이드 링(7, 8)을 서로 연결하며 드럼 형태로 형성된 중간 부분(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6. 제5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1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부분(6) 및 기부 부분(들)(3, 5)은 분리되어 형성되며, 분리 면(E)은 중심 축(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중심 축(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4)는, 기부 부분(3)에 배치되며, 회전 부분 측의 톱니(17)에 맞물리는 피니언(16)을 통해 회전 부분(6)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4)는 공압식 구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부분(6)에는 중심 축(9)에 대해 평행하게 안내되도록 운동 가능한 종방향 슬라이드(22)와, 중심 축(9)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되어 운동 가능한 횡방향 슬라이드(25, 34)가 제공됨으로써, 공구 홀더(26, 35)가 중심 축(9)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횡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11. 제10항에 있어서, 횡방향 슬라이드(25)는 종방향 슬라이드(22)에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횡방향 슬라이드(25)에 공구 홀더(26)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12. 제10항에 있어서, 종방향 슬라이드(22)에는 기부 부분(3, 5)의 상부에 덮이는 아암(31)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공구 홀더(35)를 수용하는 횡방향 슬라이드(34)는 상기 아암(31)의 자유 단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13. 제12항에 있어서, 종방향 슬라이드(22)는 피벗 가능하게, 특히 90°각도로 피벗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
  14.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 특히,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를 사용하여, 구성 부품을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하는 방법이며,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는 특히 가공될 구성 부품(2)에 위치 고정식으로 고정되고, 터닝 공구 또는 롤러 버니싱 공구(27, 36)가, 정지 상태의 구성 부품(2)에서 중심 축(9)을 중심으로 원형 궤도를 따라 회전하며 구성 부품(2) 주위에서 재료 절삭의 목적으로 운동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1)는 가공될 구성 부품(2)의 외측 주연면에 고정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구성 부품(2)의 중심 축(9)과 종축은, 이들이 실질적으로 합동이 되도록 서로 정렬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방법.
  17. 제14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터빈 구성 부품, 특히 가스 터빈의 타이 로드를 가공하는,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방법.
KR1020147032833A 2012-05-07 2013-03-05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 KR101722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9052.8 2012-05-07
DE102012009052 2012-05-07
PCT/EP2013/054306 WO2013167293A2 (de) 2012-05-07 2013-03-05 Dreh- und/oder rollier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978A true KR20150009978A (ko) 2015-01-27
KR101722309B1 KR101722309B1 (ko) 2017-03-31

Family

ID=4784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833A KR101722309B1 (ko) 2012-05-07 2013-03-05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12140B1 (ko)
KR (1) KR101722309B1 (ko)
CN (1) CN104364034B (ko)
PL (1) PL2812140T3 (ko)
RU (1) RU2599655C2 (ko)
WO (1) WO20131672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3512A (zh) * 2015-12-22 2017-06-30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 一种回转深腔曲面构件滚压机加复合加工装置及方法
CN106903511A (zh) * 2015-12-22 2017-06-30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 一种箱底滚压车削复合加工装置及方法
IT201800006235A1 (it) * 2018-06-12 2019-12-12 Apparato per la lavorazione delle superfici di strisciamento di un albero di una turbina
JP2021121456A (ja) * 2020-01-31 2021-08-26 三菱パワー株式会社 修正加工装置
IT202100002714A1 (it) * 2021-02-08 2022-08-08 MECKINV srl Macchina utensile portatile per lavorazione di superfici esterne e interne
CN115157104A (zh) * 2022-08-12 2022-10-11 南京湛泸科技有限公司 一种外圆珩磨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933A (en) * 1991-04-08 1993-03-02 Ricci Donato L Clamshell mounted pipe nozzle weld milling machine with centering apparatus
US5660093A (en) * 1996-01-22 1997-08-26 Ricci; Donato L. Portable journal turning lath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239A (en) * 1978-03-07 1982-08-03 Feamster Iii William C Canopy cutting device
US4739685A (en) * 1987-01-12 1988-04-26 Ricci Donato L Split frame portable machining lathe
SE515255C2 (sv) * 1998-07-10 2001-07-02 Lidkoeping Machine Tools Ab Svarv samt ett förfarande för att bearbeta ett arbetsstycke i svarven
CN2482481Y (zh) * 2001-07-08 2002-03-20 乐清市华东仪表厂 管材表面抛光机
CN2736108Y (zh) * 2004-10-09 2005-10-2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七研究所 自动外圆抛光机
UA43040U (uk) * 2009-03-30 2009-07-27 Володимир Миколайович Головій Переносний пристрій для металообробки
UA67012U (uk) * 2011-07-19 2012-01-25 Володимир Миколайович Головій Переносний пристрій для металообробк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933A (en) * 1991-04-08 1993-03-02 Ricci Donato L Clamshell mounted pipe nozzle weld milling machine with centering apparatus
US5660093A (en) * 1996-01-22 1997-08-26 Ricci; Donato L. Portable journal turning lat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49121A (ru) 2016-06-27
RU2599655C2 (ru) 2016-10-10
EP2812140B1 (de) 2017-04-26
CN104364034B (zh) 2017-01-18
WO2013167293A3 (de) 2014-06-26
WO2013167293A2 (de) 2013-11-14
PL2812140T3 (pl) 2017-09-29
KR101722309B1 (ko) 2017-03-31
CN104364034A (zh) 2015-02-18
EP2812140A2 (de)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309B1 (ko) 터닝 및/또는 롤러 버니싱 기계
US9296052B2 (en) Method for machining a casing of an aircraft turboshaft engine and scraper tool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JP5087066B2 (ja) 旋盤用チャック及び該旋盤用チャックを用いたワーク加工方法
US9511477B2 (en) Gear grinding machine
CN104661777A (zh) 带有用于相对于转动轴线定心管状工件的定心装置的管端加工机床
JP6210513B2 (ja) 歯車加工装置及び歯車加工方法
JP6059947B2 (ja) 複合加工機及び加工方法
US20190184515A1 (en) Machine for machining workpieces with optical quality
CN104191251B (zh) 导弹防热套车磨复合机床
CN102528567A (zh) 一种数控设备及加工工艺、数控生产线、物品自动存取系统
EP1004377A2 (en) Portable journal turning lathe
BRPI0812467B1 (pt) centro de esmerilhamento e método para esmerilhar simultaneamente mancais principais e mancais de haste de eixos de manivela
JP7063790B2 (ja) ワーク加工装置
US6241590B1 (en) External abrasive machine
CN207668536U (zh) 用于数控车床的自动定心跟刀架
CN107127595A (zh) 一种回旋状工件的定心夹紧装置
KR20160096105A (ko) 중앙 및/또는 편심 워크피스 영역, 특히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포인트의 가공 동안 중앙 워크피스 영역을 지지하는 방진구, 및 이러한 방진구를 갖는 연삭기
JP2017159406A (ja) スカーフサンディング用研削装置
US20050205214A1 (en) Machine for fitting and removing tires of vehicle wheels
CN101985227A (zh) 可调头的硅棒切割机专用夹具
US5709511A (en) Curved machining jig
JPH05277913A (ja) クランク軸におけるジャーナルの研削方法及び研削盤
JP2010029950A (ja) 歯車研削盤
US10953508B2 (en) Rotary indexing machine
EP0993350B1 (en) Internal abrasiv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