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905A -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 - Google Patents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905A
KR20150008905A KR20147034612A KR20147034612A KR20150008905A KR 20150008905 A KR20150008905 A KR 20150008905A KR 20147034612 A KR20147034612 A KR 20147034612A KR 20147034612 A KR20147034612 A KR 20147034612A KR 20150008905 A KR20150008905 A KR 2015000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late
optical
laser
fiber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쉬쓸바우어
한스 암러
요제프 툼스
Original Assignee
포탄 에너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탄 에너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탄 에너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04Housing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23K26/062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by shaping pulses
    • B23K26/062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by shaping pulses using ultrashort pulses, i.e. pulses of 1ns or l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25Constructional details of solid state lasers, e.g. housings or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5Optical device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lasers, e.g. for homogenisation of the beam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01S3/0085Modulating the output, i.e. the laser beam is modulated outside the laser ca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3/0404Air- or gas cooling, e.g. by dry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049Guiding of the pump light
    • H01S3/094053Fibre coupled pump, e.g. delivering pump light using a fibre or a fibre bu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 H01S3/09415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the pumping beam being parallel to the lasing mode of the pumped medium, e.g. end-pu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1Mode locking; Q-switching; Other giant-pulse techniques, e.g. cavity dumping
    • H01S3/1106Mode locking
    • H01S3/1112Passive mode locking
    • H01S3/1115Passive mode locking using intracavity saturable absorbers
    • H01S3/1118Semiconductor saturable absorbers, e.g. semiconductor saturable absorber mirrors [SESAMs]; Solid-state saturable absorbers, e.g. carbon nanotube [CNT] 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23Arrangements of two or more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3/02 - H01S3/22, e.g. tandem arrangements of separate active media
    • H01S3/2308Amplifier arrangements, e.g. MOPA
    • H01S3/2316Cascaded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 위에 시드 레이저 발진기(4)와 펄스 피커(5) 및 파이버 진입 광학 유닛(6)이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되도록 장착된 제1 광학 플레이트(3)와, 제1 광학 플레이트(3)로부터 분리되고 자신 위에 파이버 방출 광학 유닛(9)과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단(8, 30, 31)이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되도록 장착된 제2광학 플레이트(7)를 포함하는 단 펄스 레이저(1)에 관한 것이다. 제1 광학 플레이트(3)의 파이버 진입 광학 유닛(6)과 제2 광학 플레이트(7)의 파이버 방출 광학 유닛(9)은 유연한 광 안내부재(10)에 의해 광학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하이브리드 단 펄스 레이저(1)는 컴팩트한 디자인을 갖고 저비용으로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MOVABLE MODULAR HOUSING FOR A SHORT PULSE LASER WITH INTEGRATED AMPLIFIER}
본 발명은 특히, 산업 및 과학분야의 적용을 위하여 ps 레인지의 레이저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단 펄스 레이저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레이저가 가능한 한 컴팩트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한 기대 및 이와 동시에 높은 경제적인 실용성에 관심이 있다.
10μJ 보다 큰 펄스 에너지를 갖는 ps 레인지의 레이저 펄스를 발생하기 위하여 현재 알려진 단 펄스 레이저는, 산업 및 과학에서 요구되는 안정성과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소위 자유공간 광학(free-space optics)을 사용하여 완전하게 구분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시드(seed)레이저 발진기, 포스트 증폭기 열(postamplifier chain) 및 펄스 피커(pulse picker)를 포함하는, 단 펄스 레이저를 발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광학 구성부품은 광학 플레이트 상에서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장착된다. 그렇게 실현된 자유 빔 경로가 본질적으로 기계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 냉각 및 복잡한 온도 안정화가 더 사용된다. 자유공간 광학을 사용한 구성은 비교적 큰 구조적인 공간을 필요로 한다. 요구되는 수 냉각 및 온도 안정화는 비교적 비싼 작동비용이 든다. 파이버(fiber)기술을 사용하는 구성은 비선형 광학효과의 발생 때문에 문제가 있다. 스트레처(stretcher)-컴프레서(compressor)의 조합이 없이는, 충분한 펄스 에너지를 갖는 원하는 단 펄스 지속시간(duration)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높은 빔 품질과 관련하여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고 또 비교적 낮은 작동비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입부에서 언급된 타입의 단 펄스 레이저를 특정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상기 목적은 자신 위에 시드 레이저 발진기, 펄스 피커 및 파이버 진입 (coupling-in) 광학 유닛이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장착된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이 제1 광학 플레이트와 분리되고 자신 위에 파이버 방출(coupling-out)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단(stage)이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장착된 제2 광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 펄스 레이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 경우에, 제1 광학 플레이트의 파이버 진입 광학 유닛과 제2 광학 플레이트의 파이버 방출 유닛은 유연한(flexible) 광 안내부재에 의해 서로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한 시드 레이저, 펄스 피커 및 증폭기 열(chain)을 포함하는 전체 단 펄스 레이저의 기존의 가격 집약적인 구성으로부터 놀랄 정도로 벗어난다. 대신에, 하이브리드 기술이 제안되는데, 시드 레이저와 펄스 피커는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별개로 구성되고, 그 사용은 광 안내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단을 갖는 출력 증폭기에 유연한 연결로 이루어지며, 출력 증폭기는 별개의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다시 구성된다.
한편, 수냉각 및 복잡한 온도 안정화는 일반적으로 자유공간 광학을 전적으로 이용한 단 펄스 레이저의 통상적인 구성의 경우에 필요한 반면, 완전한 빔 광로는 본질적으로 기계적으로 안정해야 하기 때문에, 공기 냉각은 제안된 하이브리드 구성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된 레이저는 더 낮은 작동비용을 갖는다. 빔 경로가 2개의 유연하게 결합한 광 플레이트 사이에서 분할된, 특정된 단 펄스 레이저의 빔 경로는 전체가 매우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기존과는 달리, 빔 경로가 하나의 연속적인 광 플레이트 상에 완전히 장착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2개의 광 플레이트는, 별도 구성부품의 복잡한 기계적인 결합으로 되어야 할 추가적인 고려가 없이, 다른 평면에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광 플레이트는 단 펄스 레이저의 하우징에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시드 레이저 발진기는, 모드 동기(mode-locked) 고체상태 레이저로, 모드 동기 파이버 레이저 또는 펄스식 레이저 다이오드로, 특히 소위 이득교환형(gain-switched)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펄스식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 이러한 기능성이 펄스식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그 자체로서 제공된다면 별도의 펄스 피커는 제거될 수 있다. 펄스식 레이저 다이오드가 시드 레이저 발진기로 사용된다면, 이는 자유공간 기술을 사용하여 또는 파이버 결합을 통해 단 펄스 레이저에 연결될 수 있다.
출력 증폭기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로 통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복수의 증폭기 단이 포함된다. 증폭기 매체(medium)는 예컨대 고체상태 결정(crystal)이다. 다이오드 레이저는 펌프 레이저로 편리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제1 펌프 레이저는 제2 광학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유리하게 배열되고, 그 결과 출력 증폭기에 위치된 열 부하가 감소한다. 유연한 광 안내부재, 특히 파이버는, 진입(coupling in) 목적을 위해 편리하게 구비된다.
유리하게는, 2개의 광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광 안내부재는 활성(active) 파이버로 구현되고, 제2 펌프 레이저, 특히 다이오드 레이저는 활성 파이버를 여기 (pump)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환언하면, 제1 광학 플레이트 상에 배열된 시드 레이저와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열된 출력 증폭기 또는 증폭기 단 사이에 예비 증폭기가 구비되고, 상기 예비 증폭기는 동시에 유연한 연결로 사용된다. 펌프 광 (pump light)을 진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광학 유닛은 활성 파이버에 유리하게 결합한다. 펌프 광은 마찬가지로, 유연한 광 안내부재, 특히 파이버를 매개로 상기 광학 유닛으로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 각각의 펌프 레이저는 특히 전기적인 공급부에서 광학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배열되는데, 펌프 광을 증폭기 단으로 및/또는 활성 파이버로 결합하기 위하여 광 안내부재, 특히 파이버가 각각 구비된다. 이는 2개의 광학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레이저 구조 유닛 상의 열 부하를 감소한다. 이는 또한 레이저 구조 유닛의 공기 냉각을 위해 유익하다. 펌프 레이저의 외부 배열은 추가로 정비 이점을 제공한다. 결함있는 펌프 또는 다이오드 레이저의 교체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단 펄스 레이저의 광학적 구성의 조정작업은 필요하지 않다.
하이브리드 구성은 또한 하나의 유리한 변형 실시예에서, 제1 광학 플레이트 및/또는 제2 광학 플레이트를 하우징 내에서 서로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게 측방향 장착 구성에 수직으로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공기 냉각에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하나의 편리한 구성에서,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기는 광학 플레이트를 따라 공기 흐름을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증폭기 결정 등과 같은 레이저에 위치된 열원을 냉각하기 위하여, 열원은 냉각블록 상에 열전도 방식으로 유리하게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공기 흐름을 갖는 대응하는 히트 싱크(heat sink)에 의해 냉각된다. 단 펄스 레이저의 구성이, 2개의 광학 플레이트가 작동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면, 공기 냉각을 위해 이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흐름 채널이 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에서 생긴다. 동시에 그러한 구성은 매우 컴팩트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본 케이스에서 기재된 단 펄스 레이저에 대하여 바람직한 공기 냉각 대신에 수 냉각을 제공하는 것이 물론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광학 플레이트 및/또는 제2 광학 플레이트는 하우징 내에 절첩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서, 컴팩트하고 추가로 정비 용이성을 나타내는 구성이 가능하게 되는데, 광학 구성부품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첩(folded in)"되지만, 뒤로 접혀진(folded back) 광학 플레이트에 의해 조정 및 정비 목적을 위해 접근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나의 또는 각각의 광학 플레이트는 하우징에 고정되는데, 특히 예컨대 조인트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단 펄스 레이저의 하우징의 기판에 고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시드 레이저 발진기는 제1 광학 플레이트의 한쪽에 배열되고 펄스 피커는 제1 광학 플레이트의 다른 쪽인 반대 쪽에 배열된다. 광학 플레이트 상에서 광학 구성부품의 양면 배열은 단 펄스 레이저의 컴팩트성을 더 증가하게 할 수 있다. 대응되어 유리하게는, 제1 증폭기 단(stage)은 제2 광학 플레이트의 한쪽에 배열되고 제2 증폭기 단은 제2 광학 플레이트의 다른 쪽인 반대 쪽에 배열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증폭기 단 전체에 대하여 매우 공간 절약적인 구성이 된다. 광학 플레이트의 앞쪽 및 뒤쪽에서 각각의 유닛의 광학적인 연결은 플레이트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대응되게 정렬된 미러(mirror)부재가 빔 편향을 위하여 구비된다.
시드 레이저 발진기는, 예컨대 모드 동기 고체상태 레이저로 구비되는데, 레이저 펄스를 방출하기 위하여 대응되게 반사 코팅된 단부 미러가 구비된다. 펄스를 발생할 목적으로, 레이저 발진기에 특히 포화 가능한 흡수체(saturable absorber)가 구비된다. 예컨대, 레이저-활성 고체로서 Nd:YVO4 결정이 사용된다. 포화 가능한 흡수체는 예컨대 InGaAs와 같은 적절한 반도체 재료이다.
음향-광학적 변조기(acousto-optical modulator: AOM) 또는 전기-광학 변조기 (EOM)가 펄스 피커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컨대, 파장 1064 nm에서 시드 레이저 발진기는 10 ps 와 1 ns사이의 펄스 길이를 갖고 서브-nJ 레인지의 펄스 에너지를 갖는 펄스를 공급한다. 0 Hz(개별적인 펄스)와 10 MHz사이의 펄스 반복율을 갖는 개별적인 펄스 또는 펄스 시퀀스는 펄스 피커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파이버 증폭기를 통과한 후, 펄스 에너지는 대략 50 nJ 내지 500 nJ이다. 출력 증폭기를 통과한 후, 펄스 에너지는 대략 50 μJ 내지 1 mJ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기술을 사용한 단 펄스 레이저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단 펄스 레이저의 구성에 대한 하이브리드 개념을 아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부분적으로 회동된 서브 유닛을 갖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사용한 단 펄스 레이저를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관점에서 도 3에 대응하는 단 펄스 레이저를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기술을 사용한 단 펄스 레이저(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 펄스 레이저(1)는, 제1 광학 플레이트(3) 상에, 각각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는 시드 레이저 발진기(4)와 펄스 피커(5)를 포함한다. 펄스 피커(5)에 의해 시드 레이저 발진기(4)로부터 방출된 펄스는, 파이버 진입(coupling-in) 광학유닛(6)으로 전송되고, 파이버 진입 광학유닛(6)은 마찬가지로 제1 광학 플레이트(3) 상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단 펄스 레이저(1)는, 그 위에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증폭기 단(stage)(8)이 형성된 제2 광학 플레이트(7)를 더 포함한다. 증폭될 펄스는 마찬가지로 제2 광학 플레이트(7)에 장착된 파이버 방출(coupling-out) 광학유닛(9)을 매개로 상기 증폭기 단으로 공급된다.
증폭기 단(8) 또는 제2 광학 플레이트(7)에 대한 시드 레이저 발진기(4)의 또는 제1 광학 플레이트(3)의 유연한 광학적 결합을 위하여, 단 펄스 레이저(1)는, 본 케이스에서 광학적 도파관으로 구현된, 유연한 광 안내부재(10)를 포함한다.
광 안내부재(10)는 통과하는 펄스를 예비 증폭하기 위하여 활성 파이버(12)로 설계된다. 파이버 증폭기(13)는 펌프 레이저(15)에 의해 반사(mirror)되고, 그 펌프 광은 진입 셀렉터 스위치(17)를 매개로 활성 파이버(12) 내에 결합된다.
제1 광학 플레이트(3)와 제2 광학 플레이트(7)는 원칙적으로, 그렇게 재조정을 필요로 하는 광학적 구성이 없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진다. 2개 광학 플레이트(3, 7)의 광학적 결합은 유연한 광 안내부재(10)에 의해 제공된다. 하나의 광학 플레이트 상에서 강성있는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한 전체 구성에 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매우 유연한 디자인과 특히, 대단히 컴팩트한 구성을 허용한다.
도 2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하여 단 펄스 레이저(1)의 기본 개념을 다시 한번 아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드 레이저 발진기(4)와 펄스 피커(5) 및 증폭기 단(8)이 각각의 경우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각각의 광학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한편, 광 안내부재(10)는 서로에 대하여 광학 플레이트의 본질적으로 임의적인 배열을 허용한다. 하나의 유리한 변형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펄스 피커(19)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증폭기 단(8)을 통과한 후의 증폭된 펄스를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하이브리드 기술을 사용한 단 펄스 레이저(1)의 구체적인 구성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따르면, 단 펄스 레이저(1)는 제1 광학 플레이트(3)와 이로부터 분리된 제2 광학 플레이트(7)를 포함한다. 2개의 광학 플레이트(3, 7)의 외부 쪽에 프레임 부재(20, 21)가 각각 장착된다. 후술되는 서브유닛이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프레임 부재(20, 21)의 내부에 각각 장착된다. 프레임 부재(20, 21)에 의하여, 광학 플레이트(3, 7)는 각각의 경우에 회동 베어링 (24, 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의 베이스(26) 상에 각각 장착된다.
광학 플레이트(3, 7)의 안쪽에 추가적인 프레임 부재(27, 28)가 각각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 부재(27, 28) 내에 후술되는 추가적인 서브유닛이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광학 플레이트(3, 7) 상에 장착된다.
시드 레이저 발진기(4)는 제1 광학 플레이트(3)의 외부 쪽과 프레임부재(27)의 내부에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시드 레이저 발진기(4)에서 발생된 단 펄스는 제1 광학 플레이트(3)를 통과하여 제1 광학 플레이트(3)의 다른 쪽에 장착된 펄스 피커(5) 내로 전송된다. 펄스 피커(5)에 의해 방출된 펄스는 파이버 진입 광학 유닛(6)을 매개로 유연한 광 안내부재(10) 내에 결합한다. 펄스 피커 (5)와 파이버 진입 광학 유닛(6)은 프레임 부재(27) 내에 배열된다. 광 안내부재 (10)는 도 1에 따른 파이버 증폭기(13)의 실시예에 대하여 활성 파이버(12)로 구현된다. 파이버 증폭기를 위한 펌프 광(pump light)은 파이버에 의해 외부 펌프 레이저(15)로부터 단 펄스 레이저(1)로 공급되고 진입 셀렉터 스위치(17)(여기에 설명 안 됨)에 의해 활성 파이버(12) 내로 결합한다. 파이버(12)는 도 3에서 단축된 방식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파이버 증폭기(13)의 실시예에 대하여, 파이버(12)는 실제로 베이스(26)의 절개부(14) 내에서 복수의 회전으로 안내된다. 진입 셀렉터 스위치(17)가 또한 거기에 배열된다.
파이버(12)를 매개로 또는 광 안내부재(10)를 매개로, 파이버 증폭기 (13)에서 방출되고 예비 증폭된 펄스는, 프레임 부재(28) 내에서 제2 광학 플레이트(7)의 안쪽에 배열된 파이버 방출 광학 유닛(9) 내로 이동한다. 자유공간 광학을 이용하여 제1 증폭기 단(30)이 거기에 형성된다. 프레임 부재(21) 내에서 제2 광학 플레이트(7)의 외부 쪽에 제2 증폭기 단(31)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2 증폭기 단 (30, 31)은 제2 광학 플레이트(7)를 통해 광학적으로 결합한다. 제2 증폭기 단(31)을 통과한 후, 크게 증폭된 펄스는 프레임 부재(21)의 뒤쪽에 위치된 광 출구(33)를 매개로 외부를 향하여 통과한다.
도시된 단 펄스 레이저(1)는 복수의 급전 접속부(35)를 포함한다. 전기적인 공급 및 제어라인을 따라 증폭기 단(30, 31)을 여기하기 위하여 또 활성 파이버 (12)를 여기하기 위하여 구비된 외부 펌프 광원이 급전 접속부(35)를 매개로 또한 결합된다.
대응하는 펌프 레이저(15, 39)는 다이오드 레이저로 구현되고 단 펄스 레이저(1)를 위하여 전기적인 공급부(37) 내에서 외부에 배열된다. 펌프 레이저(15, 39)의 펌프 광은 대응하는 파이버(41, 42)를 매개로 단 펄스 레이저(1)에 결합된다. 펌프 레이저(15, 39)의 외부적인 배열은 단 펄스 레이저(1)의 열 부하가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정비의 용이성이 증가한다.
2개의 광학 플레이트(3, 7) 사이의 공간에 흐름 채널이 형성된다. 열원을 냉각하기 위하여, 송풍기(40)에 의해 상기 흐름 채널을 통한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도 4는 다른 관점으로부터 도 3에 대응하는 단 펄스 레이저(1)를 도시한다. 특히, 회동 베어링(24, 25)에 의해 2개의 광학 플레이트(3, 7)의 회동 가능한 장착이 이제 보인다. 또한, 제2 광학 플레이트(7)의 안쪽에 장착된 프레임 부재(28)가 이제 다른 관점에서 보인다.
도 3 및 도 4는 정비상태에 있는 단 펄스 레이저(1)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제2 광학 플레이트(7)는 베이스(26)에서 바깥으로 회동된다. 프레임 부재(21, 28)의 커버를 개방함으로써, 내부의 광학적 구조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단 펄스 레이저 (1)의 작동상태에서, 2개의 광학 플레이트(3, 7)는 베이스(26)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하여 본 케이스에서 기재된 단 펄스 레이저(1)는 매우 컴팩트한 구성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수 냉각 및 복잡한 온도 안정화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단 펄스 레이저(1)는 송풍기(4)에 의한 공기 냉각에 의해 전적으로 냉각된다. 광학 플레이트(3, 7)의 회동 가능한 장착은 통상적인 단 펄스 레이저와 비교하여 정비비용을 간소화한다. 외부에 배열된 펌프 또는 다이오드 레이저(15, 40)는 단 펄스 레이저(1)의 구성을 조정할 필요가 없이 마모되기 쉬운 부품으로서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
1: 단 펄스 레이저
3: 제1 광학 플레이트
4: 시드 레이저 발진기
5: 펄스 피커
6: 파이버 진입 광학 유닛
7: 제2 광학 플레이트
8: 증폭기 단
9: 파이버 방출 광학 유닛
10: 광 안내부재
12: 활성 파이버
13: 파이버 증폭기
14: 절개부
15: 펌프 레이저
17: 진입 셀렉터 스위치
19: 펄스 피커, 추가적인
20: 프레임 부재
21: 프레임 부재
24: 회동 베어링
25: 회동 베어링
26: 베이스
27: 프레임 부재
28: 프레임 부재
30: 제1 증폭기 단
31: 제2 증폭기 단
33: 광 출구
35: 급전 접속부
37: 전기적인 공급부
39: 펌프 레이저
40: 송풍기
41: 파이버
42: 파이버

Claims (9)

  1. 자신 위에 시드 레이저 발진기(4)와 펄스 피커(5) 및 파이버 진입 (coupling-in) 광학 유닛(6)이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장착된 제1 광학 플레이트(3)와, 제1 광학 플레이트(3)로부터 분리되고 자신 위에 파이버 방출 (coupling-out) 광학 유닛(9)과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단(stage)(8, 30, 31)이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장착된 제2 광학 플레이트(7)를 포함하는 단 펄스 레이저(1)로서,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3)의 파이버 진입 광학 유닛(6)과 제2 광학 플레이트(7)의 파이버 방출 광학 유닛(9)이 유연한 광 안내부재(10)에 의해 광학적으로 연결된 단 펄스 레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단(8, 30, 31)을 여기하기 위하여 제1 펌프 레이저(39), 특히 다이오드 레이저가 구비된 단 펄스 레이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부재(10)는 활성 파이버(11)이고, 상기 활성 파이버(11)를 여기하기 위하여 제2 펌프 레이저(15), 특히 다이오드 레이저가 구비된 단 펄스 레이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또는 각각의 펌프 레이저(15, 39)는 특히 전기적인 공급부(37)에서 광학 플레이트(3, 7)로부터 분리되어 배열되고, 펌프 광(pump light)을 증폭기 단(8, 30, 31) 내에 및/또는 활성 파이버(12) 내에 결합하기 위하여 광 안내부재(41, 42), 특히 파이버가 각각 구비된 단 펄스 레이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3) 및/또는 제2 광학 플레이트(7)는 하우징에서 측방향 장착 구성에 수직으로 장착된 단 펄스 레이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3) 및/또는 제2 광학 플레이트(7)는 하우징에서 절첩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단 펄스 레이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구성을 냉각하기 위한 송풍기(40)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기는 광학 플레이트(3, 7)를 따라 공기 흐름을 발생하도록 설계된 단 펄스 레이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 레이저 발진기(4)는 제1 광학 플레이트(3)의 한쪽에 배열되고 상기 펄스 피커(5)는 제1 광학 플레이트(3)의 다른 쪽인 반대 쪽에 배열된 단 펄스 레이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1 증폭기 단(30)은 제2 광학 플레이트(7)의 한쪽에 배열되고 제2 증폭기 단(31)은 제2 광학 플레이트(7)의 다른 쪽인 반대 쪽에 배열된 단 펄스 레이저.
KR20147034612A 2012-06-12 2012-10-19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 KR20150008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11453.2 2012-06-12
DE102012011453 2012-06-12
PCT/EP2012/004376 WO2013185793A1 (de) 2012-06-12 2012-10-19 Bewegbares, modulares gehäuse für einen kurz puls-laser mit integriertem verstär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905A true KR20150008905A (ko) 2015-01-23

Family

ID=4718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4612A KR20150008905A (ko) 2012-06-12 2012-10-19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93817B2 (ko)
JP (1) JP2015519758A (ko)
KR (1) KR20150008905A (ko)
DE (1) DE112012006507A5 (ko)
WO (1) WO2013185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905A (ko) 2012-06-12 2015-01-23 포탄 에너지 게엠베하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
US9871590B2 (en) * 2014-10-10 2018-01-1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transceiver implementing erbium doped fiber amplifier
DE102015013689A1 (de) * 2015-10-21 2017-04-27 Trumpf Laser Gmbh Faserhalterungseinheit und Faseraufnahmeelement
US10193295B2 (en) 2016-09-30 2019-01-29 Nlight, Inc. Fiber laser fiber packaging and thermal management
JP7245160B2 (ja) * 2016-12-06 2023-03-23 ニューポート コーポレーション 多重パス増幅器を有するレーザシステム及び使用方法
JP6967480B2 (ja) * 2018-03-30 2021-11-1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レーザ発振器ユニット、レーザ加工装置
CN110401100A (zh) * 2018-04-24 2019-11-01 深圳联品激光技术有限公司 一种激光器
JP2022002257A (ja) * 2020-06-19 2022-01-0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パルスレーザー光源装置及び希土類添加ファイバー製造方法
CN113783080B (zh) * 2021-08-05 2022-12-27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具有分层可翻转结构的超短脉冲激光器
CN113675708A (zh) * 2021-08-19 2021-11-19 西安明曜光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工业超短脉冲激光器
US11809001B2 (en) * 2022-04-07 2023-11-07 Mellanox Technologies Ltd. Network interface device with external opt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9794A (en) * 1980-10-18 1982-04-28 Horiba Ltd Waveguide type laser device
CH673177A5 (ko) 1987-11-17 1990-02-15 Lasag Ag
JP3619697B2 (ja) * 1999-02-17 2005-02-09 日本オプネクスト株式会社 電子モジュールと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電子機器
JP2000286490A (ja) * 1999-03-30 2000-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ザ装置
US20050265407A1 (en) * 2004-05-14 2005-12-01 Braun Alan M Compact semiconductor-based chirped-pulse amplifier system and method
JP2006120958A (ja) * 2004-10-22 2006-05-11 Mitsubishi Cable Ind Ltd 光増幅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修理方法
US9130344B2 (en) * 2006-01-23 2015-09-08 Raydiance, Inc. Automated laser tuning
ATE438941T1 (de) 2007-06-14 2009-08-15 Trumpf Laser Marking Systems A Gasgekühltes lasergerät für hochkompakte laserstrahlquellen
US8309885B2 (en) * 2009-01-15 2012-11-13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Pulse temporal programmable ultrafast burst mode laser for micromachining
US8508844B2 (en) 2010-06-22 2013-08-13 Coherent, Inc. Hybrid fiber-MOPA
KR20150008905A (ko) 2012-06-12 2015-01-23 포탄 에너지 게엠베하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
US20150063380A1 (en) * 2013-08-31 2015-03-05 Jian Liu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ltrafast, High Energy, High Power Laser Pul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6507A5 (de) 2015-04-02
US20150110136A1 (en) 2015-04-23
JP2015519758A (ja) 2015-07-09
WO2013185793A1 (de) 2013-12-19
US9093817B2 (en) 201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8905A (ko) 집적된 증폭기를 갖는 단 펄스 레이저용 이동식 모듈형 하우징
US7443903B2 (en) Laser apparatus having multiple synchronous amplifiers tied to one master oscillator
CN108141001B (zh) 根据速率和/或幅度时间可变的脉冲激光系统
US20100157419A1 (en) High Power Short Optical Pulse Source
US77339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pulse harmonic fiber laser
EP2043205A1 (en) Optical amplifier
WO2009092600A1 (en) Intra-cavity generation of pulsed coherent radiation in the uv or xuv wavelength range
TWI589080B (zh) 雷射裝置及雷射加工機
US8369004B2 (en) MOPA light source
EP17246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rametric amplification of ultra-short light pulses
WO2010013241A1 (en) Mode locked laser system
WO2012018034A1 (ja) レーザー発振装置
US91429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arrier-envelope phase and/or an intensity of output pulses of a pulse laser device
WO2011016379A1 (ja) レーザーコンプトン散乱を利用した光源用レーザー
Teisset et al. Picosecond thin-disk regenerative amplifier with high average power for pumping optical parametric amplifiers
JP2009500859A (ja) ダイオード励起レーザ
EP3102980B1 (en) High-power ultra-short pulse fiber laser-illuminated projector
US20230194429A1 (en) System including a fiber laser module
US12007329B2 (en) System including a fiber laser module
CN209497107U (zh) 一种分体式飞秒激光器
WO2023063415A1 (en) System including a laser module
JP2011053314A (ja) 光源装置
JP5472804B2 (ja) レーザ装置
KR20230010650A (ko) Euv 방사선 소스
CN105390933A (zh) 激光器装置以及激光加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