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676A - 인테리어 유리판재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유리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676A
KR20150007676A KR1020130081973A KR20130081973A KR20150007676A KR 20150007676 A KR20150007676 A KR 20150007676A KR 1020130081973 A KR1020130081973 A KR 1020130081973A KR 20130081973 A KR20130081973 A KR 20130081973A KR 20150007676 A KR20150007676 A KR 20150007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roove
present
pattern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340B1 (ko
Inventor
최환종
최칠식
Original Assignee
그라스한솔(주)
최환종
최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스한솔(주), 최환종, 최칠식 filed Critical 그라스한솔(주)
Priority to KR102013008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3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9/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유리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늬부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유리와; 상기 제1유리에 접착되는 제2유리와; 상기 제2유리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설치되는 무늬부재와; 상기 제2유리의 상부를 덮으면서 접착되는 제3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제공하여, 제2유리에 형성된 홈에 무늬부재를 설치한 뒤 제3유리로 제2유리를 덮으면서 부착되기 때문에 다양한 홈 형상에 다양한 무늬부재를 설치할 수 있어 자연무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유리판재{A glasses for interior}
본 발명은 인테리어 유리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늬부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유리판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유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창문이나 현관문 등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서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유리는 최근 들어 일반적인 유리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투시성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의 자재로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유리에 색감을 입힌다거나 유리 조각들을 서로 덧대고 붙여서 인테리어 자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유리는 깨지거나 금이 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러 장의 유리를 포개어 지도록 접합시켜서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서 유리의 깨지거나 금이 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크랙을 형성시키는 기술이 선보이고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는 소재 자연무늬가 구성 내장된 접합유리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의 접합유리는 양쪽 면에 외부 투명유리가 구성되고 두 외부유리 사이에 강화유리가 접합된 상태에서 가운데 접합된 강화유리에 2차 충격을 가하여 크랙무늬를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의 접합유리는 외부 투명유리가 구성되고 두 외부유리 사이에 접합용 접착시트가 구성되며 접착시트 내부에 자연무늬 소재가 구성 내장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는 강화유리가 외부투명유리 사이에서 접합된 상태로 충격을 받기 때문에 접착시트 내부의 자연무늬 소재가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자연무늬 소재가 유리로부터 분리되어 본래의 무늬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에 의하면 크랙무늬를 형성하는데 매우 조심스러운 작업공정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도중 외부유리가 파손될 위험성까지 안고 있는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제공함으로써 제2유리에 형성된 홈에 무늬부재를 설치하고 제3유리로서 제2유리를 덮으면서 접착시키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유리와; 상기 제1유리에 접착되는 제2유리와; 상기 제2유리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무늬부재와; 상기 제2유리의 상부를 덮으면서 접착되는 제3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제2유리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제2유리의 표면에서 단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유리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2유리에 형성된 홈에 무늬부재를 설치한 뒤 제3유리로 제2유리를 덮으면서 부착되기 때문에 다양한 홈 형상에 다양한 무늬부재를 설치할 수 있어 자연무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둘째, 제2유리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입체감 있는 무늬부재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제2유리의 홈에 무늬부재를 설치한 뒤 제3유리로 제2유리를 마감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의 홈에 무늬부재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200)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200)의 홈(210)에 무늬부재(400)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3유리(300), 제1유리(100)는 지면을 기준하여 상하에 위치하는 의미가 아님을 일러둔다.
다시 말해 제3유리(300)란 제2유리(200)의 홈(210)을 밀폐하도록 제2유리(200)의 상부에 접합되는 유리이며, 제1유리(100)란 제2유리(200)가 올력져서 접합되는 유리로 정의하기로 하고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유리판재는 제1유리(100)와 제3유리(300) 사이에 제2유리(200)가 설치되고, 제2유리(200)에는 홈(210)이 형성되고 있다.
홈(210)은 제2유리(200)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무늬부재(400)는 제2유리(200)에 형성된 홈(210)에 설치된다.
무늬부재(400)는 철사나 실 등 자연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유리(300)는 무늬부재(400)가 설치된 제2유리(200)의 홈(210)을 덮으면서 제2유리(200) 상부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홈(210)은 제1커팅부(211)와 같이 제2유리(200)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파여 다시 수평하게 파인 형상을 할 수 있다.
홈(210)은 제2커팅부(213)와 같이 제2유리(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도록 깍여 V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홈(210)은 제3커팅부(215)와 같이 제2유리(200)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파고 내려가 모서리가 라운드진 U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홈(210)은 다양한 형태로 커팅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의 반사 또는 산란 등에 의하여 홈(210)에 설치된 무늬부재(400)가 보다 다채로운 입체효과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홈(210)은 제2유리(200)의 표면으로부터 깊이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입체적인 인테리어 효과 창출이 가능해진다.
홈(210)에는 무늬부재(400)가 설치된 부분과 설치되지 아니한 부분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자연무늬 형성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늬부재(400)는 홈(210)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홈(210)은 제2유리(200)에서 연속적이지 않고 단절되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를 설명한다.
홈형성단계(S1)는 제2유리(200)에 홈(210)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설치단계(S2)는 홈형성단계(S1)에서 가공된 홈(210)에 무늬부재(4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늬부재(400)는 홈(210)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늬부재(400)는 홈(210)에서 고정되지 않은 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접합단계(S3)는 무늬부재(400)가 설치된 제2유리(200)의 홈(210)을 덮도록 제3유리(300)를 제2유리(200)에 접합시키는 단계이다.
고정단계(S4)는 앞서 언급한 각 단계들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제3유리(300)가 설치될 제2유리(200)의 맞은편에서 제1유리(100)가 제2유리(200)에 접합되는 단계를 가리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유리(200)는 홈 형성단계(S1) 이전에 이미 제1유리(100)에 접합되는 고정단계(S4)를 거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유리(200)가 제1유리(100)에 접합된 상태에서 제2유리(200)의 표면에 홈(210)이 가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제1유리(100)가 홈 형성단계(S1) 이후 및 설치단계(S2) 이전에 고정단계(S4)를 거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미 홈(210)이 형성된 제2유리(200)를 제1유리(100)에 접합시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제1유리(100)는 설치단계(S2) 이후 및 접합단계(S3) 이전에 고정단계(S4)를 거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무늬부재(400)가 제2유리(200)의 홈(2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유리(100)는 제2유리(200)에 접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유리(100)는 접합단계(S3) 이후에 제2유리(200)와 접합되는 고정단계(S4)를 거칠 수 도 있다.
다시 말해서 무늬부재(400)가 설치된 제2유리(200)의 홈(210)을 제3유리(300)가 덮으면서 접합단계(S3)를 거친 뒤에 제3유리(300)의 맞은편에서 제1유리(100)가 제2유리(200)에 접합되는 고정단계(S4)를 거칠 수 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늬부재(400)는 홈(210)에서 고정되지 않은 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유리(100)는 투명유리 대신 거울이나 착색유리(미도시) 또는 그래픽시트(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1유리(100)는 불투명 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유리(100)는 벽면 시공시에 벽면의 모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유리(100)가 투명유리 대신 거울이나 착색유리(미도시) 또는 그래픽시트(미도시) 처리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마감단계(S3)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제1유리 200 : 제2유리
210 : 홈 211 : 제1커팅부
213 : 제2커팅부 215 : 제3커팅부
221 : 제1홈 300 : 제3유리
400 : 무늬부재

Claims (4)

  1. 제1유리와;
    상기 제1유리에 접착되는 제2유리와;
    상기 제2유리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무늬부재와;
    상기 제2유리의 홈을 덮으면서 접착되는 제3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유리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유리의 표면에서 단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


KR1020130081973A 2013-07-12 2013-07-12 인테리어 유리판재 KR10151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973A KR101518340B1 (ko) 2013-07-12 2013-07-12 인테리어 유리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973A KR101518340B1 (ko) 2013-07-12 2013-07-12 인테리어 유리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676A true KR20150007676A (ko) 2015-01-21
KR101518340B1 KR101518340B1 (ko) 2015-05-07

Family

ID=5257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973A KR101518340B1 (ko) 2013-07-12 2013-07-12 인테리어 유리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592B1 (ko) * 2016-10-25 2017-02-23 (주)동우이엔티 인테리어 유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17B1 (ko) * 2007-01-31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7870696B2 (en) 2007-08-28 2011-01-18 Chia-Yen Lin Panel assembly for decoration gla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592B1 (ko) * 2016-10-25 2017-02-23 (주)동우이엔티 인테리어 유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340B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340B1 (ko) 인테리어 유리판재
WO2018072272A1 (zh) 框条免焊接的镶嵌玻璃门窗
GB2550838A (en) Improvement to double glazing leaded and stained glass
US20040163759A1 (en) Decorative glass block
KR101424679B1 (ko) 무늬부를 포함하는 반투명 창호
KR200410683Y1 (ko) 소재 자연무늬가 구성 내장된 접합유리
KR101189813B1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8339B1 (ko) 인테리어 유리판재
USD960395S1 (en) Elevator wall surface having decorative glass
US8834665B1 (en) Stained glass mosaic bonded to transparent panel with a permanent template and method of making
JP2008025203A (ja) 採光扉
CN201778621U (zh) 一种无焊点中空镶嵌玻璃
JP7308909B2 (ja) 採光構造及び建具
JP3955244B2 (ja) 戸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47667B1 (ko) 입체 장식물을 갖는 장식용 복층 유리
JP2018184797A (ja) 戸装置
KR101068546B1 (ko) 방수구조를 가지는 욕실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욕실문
CN211543105U (zh) 一种石面装饰板
CN213015066U (zh) 一种端景背景墙
CN220078273U (zh) 不锈钢透光隔墙
CN210152122U (zh) 一种便于裁剪的轻质复合节能板
US20050276957A1 (en) Laminat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660208B2 (ja) 装飾体の製造方法
RU94427U1 (ru) Мебельный фасад с эффектами стерео- или вариоизображения
KR20070060614A (ko)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