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528A -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528A
KR20150007528A KR20130081573A KR20130081573A KR20150007528A KR 20150007528 A KR20150007528 A KR 20150007528A KR 20130081573 A KR20130081573 A KR 20130081573A KR 20130081573 A KR20130081573 A KR 20130081573A KR 20150007528 A KR20150007528 A KR 20150007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flow
path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9077B1 (ko
Inventor
임병택
Original Assignee
(주)힌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힌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힌지코리아
Priority to KR2013008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0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로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하도록 구비되되 정확한 냉온 전환과 자동 복귀 기능으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부품 수를 감소하여 제품의 경제적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본발명은 제1수 유입유로의 단부에 유로방향을 따라서 유로변환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로변환공간의 일측 및 타측에 제2수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가 연통되도록 구비된 하우징; 상기 유로변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에 상기 제1수 유입유로 및 상기 제2수 유입유로가 교번하여 연통되도록, 후단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수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축방향의 제1수 유동홈과, 후단 외주면에 상기 제2수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원주방향의 제2수 유동홈이 형성되는 유로전환로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취수레버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배출유로의 단부를 개폐하는 종동작부재를 포함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all-in-one apparatus for hot and cold water intake}
본 발명은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로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하도록 구비되되 정확한 냉온 전환과 자동 복귀 기능으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부품 수를 감소하여 제품의 경제적인 생산성이 향상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원수를 여러 필터부재를 거쳐서 여과시킨 후 정수처리된 음용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며, 그와 달리 디스팬서는 이미 정수 처리된 상온의 음용수를 별도의 여과장치가 없이 냉수 또는 온수로 바꾸어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와 상기 디스팬서에는 중간 물탱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물탱크에는 콕밸브와 연결된 연결관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콕밸브는 사용자가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 조작함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믈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수 또는 온수 상태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종래 정수기나 디스팬서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수 또는 가열된 온수를 선택취수 할 수 있도록 냉수와 온수 각각의 독립된 공급레버와 이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각각의 콕밸브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서로 독립된 별도의 콕밸브는 정수기의 소요 설치 공간을 배가시켜 정수기나 디스팬서를 컴팩트화 하는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콕밸브를 정수기나 디스팬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생산원가의 상승에 따른 경제적 생산성이 저하, 고장요인의 증가, 사용자 오작동에 의한 화상위험과 사용상의 불편함 등을 문제점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하나의 공급레버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는 취수장치가 적용된 정수가 개발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정수기에는 냉수와 온수를 선택할 수 있는 전기적 선택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선택버튼의 조작에 의한 전기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전기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냉수 공급라인 또는 온수 공급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된 냉수 공급라인 및 온수 공급라인은 하나의 유출로를 공유하여 사용자에게 냉수 혹은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취수장치는 전기작동방식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그에 부속되는 전기전자 회로 구성품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취수장치의 비용이 현저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를 탈피하지 못하여 고장요인이 증가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927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하도록 구비되되 정확한 냉온 전환과 자동 복귀 기능으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부품 수를 감소하여 제품의 경제적인 생산성이 향상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수 유입유로의 단부에 유로방향을 따라서 유로변환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로변환공간의 일측 및 타측에 제2수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가 연통되도록 구비된 하우징; 상기 유로변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에 상기 제1수 유입유로 및 상기 제2수 유입유로가 교번하여 연통되도록, 후단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수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축방향의 제1수 유동홈과, 후단 외주면에 상기 제2수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원주방향의 제2수 유동홈이 형성되는 유로전환로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취수레버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배출유로의 단부를 개폐하는 종동작부재를 포함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수 유동홈의 형성각도는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제2수 유입유로가 이루는 사이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2수 유동홈의 외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전단 외주에는 회전제어돌기가 탄발지지되어 삽입되는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종동작부재에는 내측에 배치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전단 외주 일측에 형합되어 상기 회전제어돌기를 가압하는 부분형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부분형합부의 단부 외측에는 상기 회전제어돌기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돌기는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부분형합부의 단부에서 가압되어 상기 부분형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돌기홈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종동작부재의 상승시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종동작부재의 하강시 상기 부분형합부의 단부에 구속되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유로전환로터부를 복귀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전방부 외주에 형성된 단차면에는 캠부가 전방측으로 탄발지지되어 결합되되, 상기 캠부의 전면에는 측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차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탄발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회전식 댐퍼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제1수 유동홈과 상기 제2수 유동홈은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축방향 내부 및 원주방향 외주에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부품인 유로전환로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수 유입유로 및 상기 제2수 유입유로가 상기 배출유로에 교번하여 연통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감소 및 조립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2수 유동홈은 상기 배출유로 및 상기 제2수 유입유로가 이루는 사이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2수 유동홈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수 유동홈 및 상기 관통공이 상기 배출유로에 교번하여 연통되므로 병렬배치된 각각의 유로를 없이도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어 제품이 컴팩트화 될 수 있다.
셋째, 온수 취수 상태에서 상기 부분형합부의 내측면에 가압되어 돌기홈으로 삽입된 상기 회전제어돌기는 상기 종동작부재의 승강시 상기 개구부에 돌출되어 상기 부분형합부의 단부에 구속되고, 온수 배출 후 상기 종동작부재의 하강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유로전환로터부를 복귀회전시키므로, 온수 배출 후 냉수 취수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되어 갑작스런 온수배출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 도 5a 및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 도 5b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에서 주요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에서 유로전환로터부와 캠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a, 도 5a 및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 도 5b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에서 주요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에서 유로전환로터부와 캠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100)는 하우징(10), 유로전환로터부(40), 종동작부재(50), 그리고 캠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100)는 정수를 냉각 및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나 디스팬서 등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기나 디스팬서의 정면에 상기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100)가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100)의 하단으로 물을 배출하는 취수부(121)가 형성된 구조를 예로써 설명한다. 물론, 물이 배출되는 취수부(121)는 상기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100)의 하단뿐만 아니라 양측면이나 전방면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제작과 성형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상기 하부하우징(120)으로 나누어 제작하고 결합한 구조를 예로써 설명하지만, 상기 하우징(10)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3단 이상으로 분리하여 성형한 뒤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정수기 등의 전방측에 배치되되, 상기 정수기는 내부에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구비하여 물을 정수하며, 정수된 물의 일부는 냉각하여 제1수탱크에 저수하고, 정수된 물의 나머지는 가열하여 제2수탱크에 저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수탱크에 저수된 물은 제1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하우징 (10)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2수탱크에 저수된 물은 제2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하우징(1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는 냉수를 의미하며 제2수는 온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술된 제1수 및 제2수를 전환하여 제1수를 온수로 제2수를 냉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는 후술되는 제1수 및 제2수에 관련된 구조가 상호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내측에 장착공간(114)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114)에는 상기 종동작부재(50)가 상하이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114)의 상측에는 상부관통홀(1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관통홀(115)에는 상기 종동작부재(5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결합부(53)가 배치되어, 상기 레버결합부(53)의 단부에 취수레버(2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취수레버(20)는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20)을 커버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레버결합부(53)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홀(55)에 핀부재(54)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취수레버(20)의 상부에는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된 지렛대구동단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수레버(20)의 하단부를 전후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지렛대구동단부(21)는 상기 상부하우징(210)의 상면과 지렛대운동하여 상기 종동작부재(50)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관통홀(115)과 상기 레버결합부(53) 사이에는 캠지지 스프링(60)이 개재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1)과 상기 종동작부재(50)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114)의 전방에는 전방관통홀(116)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관통홀(116)에는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전단에 형성된 노브결합부(44)가 배치되되, 상기 노브결합부(44)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전면에 구비된 유로선택노브(30)와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유로선택노브(30)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취수부(12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냉수와 온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114)의 하측에는 하부관통홀(1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된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배출유로(122) 일측(123)이 상기 하부관통홀(118)에 연통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부관통홀(118)에는 상기 종동작부재(50)의 하단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종동작부재(50)의 하단에는 콕밸브(5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콕밸브(51)는 상기 배출유로(122)의 일측(123)을 통해 삽입되되, 선택적으로 상하이동되어 상기 배출유로(122)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114)의 후측에는 후방관통홀(11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방관통홀(117)은 유로변환공간(113)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은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후측에 형성된 제1수 유입유로(112)의 단부에 유로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되,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의 일측 및 타측에 제2수 유입유로(111) 및 배출유로(122)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는 상기 제1수공급라인과 연결되어 냉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수 유입유로(111)는 상기 제2수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은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와 평행한 축을 가진 원통형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의 상측에 제2수 유입유로(111)가 연통되고,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의 하측에 배출유로(122)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122)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20) 전방 하면에 형성된 취수부(121)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향균처리된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는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122)에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 및 상기 제2수 유입유로(111)가 교번하여 연통된다. 여기서, 교번하여 연통된다는 말은 일측이 연통되면 타측은 단절되고, 타측이 연통되면 일측이 단절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 후단(41) 일측에 관통공(41c)이 형성되어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와 상기 배출유로(122)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축방향의 제1수 유동홈(41b)과, 후단(41) 외주면에 상기 제2수 유입유로(111)와 상기 배출유로(122)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원주방향의 제2수 유동홈(41a)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1수 유동홈(41b)과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은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축방향 내부 및 원주방향 외주에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부품인 유로전환로터부(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 및 제2수 유입유로(111)가 상기 배출유로(122)에 교번하여 연통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감소 및 조립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는 상기 장착공간(114)에 배치되어, 전단이 상기 전방관통홀(116)에 배치되며, 후단(41)이 상기 후방관통홀(117)을 관통하여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후단(41)은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에 형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후단면에는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 유동홈(41b)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후단 외주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41c)과 연통된다. 이때, 상기 제1수 유동홈(41b)은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제1수 유동홈(41b)에는 테두리(41e)를 따라 테프론 등으로 형성된 실링부재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수 유동홈(41b)이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 및 상기 배출유로(122)를 연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로변환공간(113)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공(41c)은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의 외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은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후단(41) 외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41c)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의 형성각도는 상기 배출유로(122)와 상기 제2수 유입유로(111)가 이루는 사이각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수 유동홈(41a) 및 상기 관통공(41c)이 상기 배출유로(122)에 교번하여 연통되므로 병렬배치된 각각의 유로 없이도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어 제품이 컴팩트화 될 수 있으며, 냉수 및 온수의 전환이 정확하게 구동되므로 다른 온도의 물이 서로 섞이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종동작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의 장착공간(114)에 배치되되, 상기 취수레버(2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된다. 이때, 상기 종동작부재(5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콕밸브(51)는 상기 배출유로(122)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종동작부재(50)는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취수레버(20)의 지렛대운동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114) 내에서 선택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출유로(122)의 전방측에 상기 콕밸브(51)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종동작부재(50)는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122)를 개폐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유로전환로터부(30)의 복귀회전은 상기 종동작부재(50)의 전후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종동작부재(50)는 내측에는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가 배치되는 중공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52)의 일측 후단에는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에 결합된 캠부(80)를 구속하는 구속단부(55,56)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전단 외주에는 회전제어돌기(42)가 탄발지지되어 삽입되는 돌기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기홈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제어돌기(42)를 탄발지지하는 돌기지지 스프링(42a)이 개재되어, 상기 회전제어돌기(42)는 상기 돌기홈에서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작부재(50) 중공부(52)의 일측에는 상기 중공부(52)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전단 외주 일측에 형합되어 상기 회전제어돌기를 가압하는 부분형합부(57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분형합부(57a)의 단부(57) 외측에는 상기 회전제어돌기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상기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의 구동을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로선택노브(30)가 냉수 취수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유로변환공간(113)에 배치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 후단의 관통공(41c)은 상기 배출유로(122)와 연통되고, 제1수 유입유로(112)로 유입된 물(w)은 상기 제1수 유동홈(41b) 및 상기 관통공(41c)를 지나 상기 배출유로(12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은 상기 배출유로(122)와 단절된다.
그리고, 상기 취수레버(20)의 하단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상기 종동작부재(50)가 상측이동되고 상기 배출유로(122)를 폐쇄하던 콕밸브(51)가 개방되어 상기 취수부(12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선택노브(30)가 냉수 취수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회전제어돌기(42)는 상기 개구부(57과 58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돌기(42)는 상기 취수레버(20)의 동작에 따른 상기 종동작부재(50)의 상하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도 3a 내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41c)이 상기 배출유로(122)와 연통된 냉수 취수 상태에서 상기 유로선택노브(30)를 일방향(도 5a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관통공(41c)은 상기 배출유로(122)와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의 일측은 상기 배출유로(122)와 연통되고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의 타측은 상기 제2수 유입유로(111)와 연통되어 상기 제2수 유입유로(111)에서 유입된 물(w)이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유로(12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취수레버(20)의 하단을 후방으로 밀어줄 때 상기 지렛대구동단부(21)가 지렛대운동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종동작부재(5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종동작부재(50)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기 콕밸브(51)는 상기 배출유로(122)를 개방하여 상기 취수부(121)를 통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 배출이 끝나고 상기 취수레버(20)의 하단이 전방으로 복귀되면, 상기 종동작부재(50)는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콕밸브(51)가 상기 배출유로(122)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냉수 취수 상태에서 온수 취수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유로선택노브(30)를 일방향(도 5a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제어돌기(42)는 상기 부분형합부(57a)의 단부(57)에서 가압되어 상기 부분형합부(57a)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돌기홈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이 상기 배출유로(122)와 연통된 온수 취수 상태에서 상기 종동작부재(5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콕밸브(51)가 상기 배출유로(122)를 개방하여 온수 배출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부분형합부(57a)가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전단 외주 일측에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홈 내측으로 가압 삽입된 상기 회전제어돌기(42)는 상기 부분형합부(27a)의 내측면에서 이탈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돌기홈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돌출된 상기 회전제어돌기(42)의 측면이 상기 부분형합부(57a)의 단부에 걸려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온수 배출이 끝나고, 상기 종동작부재(50)가 하강하면 상기 부분형합부(57a)의 단부에 구속된 상기 회전제어돌기(42)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를 타방향(도 6a의 시계방향)으로 복귀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는 도 4b의 냉수 취수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관통공(41c)이 상기 배출유로(122)와 연통되어 상기 제1수 유입유로(112)의 냉수가 상기 배출유로(12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회전제어돌기(42)는 상기 부분형합부(57a)의 내측에 가압 삽입된 온수 취수 상태에서 상기 종동작부재(50)의 하강시 상기 개구부(57과 58 사이)으로 돌출되어 상기 부분형합부(57a)의 단부(57)에 구속되므로, 상기 종동작부재(50)의 하강에 따라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를 복귀회전시켜 온수가 유입되는 상기 제2수 유동홈(41a)을 상기 배출유로(122)와 단절하고 냉수가 유입되는 상기 관통공(41c)을 상기 배출유로(122)에 연통시켜 갑작스런 온수배출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전방부 외주에 형성된 단차면에는 캠부(80)가 전방측으로 탄발지지되어 결합되되, 상기 캠부(80)의 전면에는 측단부에 경사면(82a)을 가지는 스토퍼(82)가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차면에는 슬라이드돌기(4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돌기(43)는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82)의 경사면(82a)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스토퍼(82)의 전단면에 지지되며 탄발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의 단차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돌기(43)는 온수 취수를 위해 상기 유로선택노브(30)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82)의 경사면(82a)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스토퍼(82)의 전단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부(80)는 캠지지 스프링(60)에 의해 전방측으로 탄발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돌기(43)의 후단면(43b)이 상기 스토퍼(82)의 전단면에 지지되어 탄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선택노브(30)를 회전하여 온수 취수 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취수 레버(20)를 작동하여 온수를 취수하고 온수 취수가 끝날 때까지 회전각도가 유지되므로 취수되는 물이 섞이지 않고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으며, 온수 취수를 위해 양손을 사용하여 버튼을 누른 채로 급수하는 불편함 없이 물을 선택하고 공급하는 동작으로 분리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토퍼(82)는 상기 유로전환로터부(40)가 상기 제2수유동홈(41a)이 상기 배출유로(122) 및 제2수 유입유로(111)와 연통되는 각도에서 상기 관통공(41c)이 상기 배출유로(122)와 연통되는 각도로 회전되도록 회전각도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82)의 경사면(82a)은 제한되는 상기 회전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선택노브(30)를 일방향 회전하여 온수 취수 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에 멈추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돌기(43)가 상기 경사면(82a)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82a)을 따라 하강하여 냉수 취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노브(30)를 일방향 회전하여 온수 취수 상태로 완전하게 전환되면 상기 슬라이드돌기(43)가 상기 스토퍼(82)의 전단면에 탄발고정되어 온수 취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탄발고정되는 느낌을 통해 온수 취수 상태로 전환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온수 취수 상태로 정확하게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냉수 취수 상태로 유지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10: 하우징
110: 상부하우징 120: 하부하우징
20: 취수레버 30: 유로선택노브
40: 유로전환로터부 50: 종동작부재
60: 캠지지 스프링 70: 레버지지 스프링
80: 캠부 113: 유로변환공간
112: 제1수 유입유로 111: 제2수 유입유로
122: 배출유로 41a: 제2수 유동홈
41b: 제1수 유동홈 41c: 관통공
51: 콕밸브 42: 회전제어돌기

Claims (5)

  1. 제1수 유입유로의 단부에 유로방향을 따라서 유로변환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로변환공간의 일측 및 타측에 제2수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가 연통되도록 구비된 하우징;
    상기 유로변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에 상기 제1수 유입유로 및 상기 제2수 유입유로가 교번하여 연통되도록, 후단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수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축방향의 제1수 유동홈과, 후단 외주면에 상기 제2수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원주방향의 제2수 유동홈이 형성되는 유로전환로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취수레버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배출유로의 단부를 개폐하는 종동작부재를 포함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 유동홈의 형성각도는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제2수 유입유로가 이루는 사이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2수 유동홈의 외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전단 외주에는 회전제어돌기가 탄발지지되어 삽입되는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종동작부재에는 내측에 배치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전단 외주 일측에 형합되어 상기 회전제어돌기를 가압하는 부분형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부분형합부의 단부 외측에는 상기 회전제어돌기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돌기는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부분형합부의 단부에서 가압되어 상기 부분형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돌기홈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종동작부재의 상승시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종동작부재의 하강시 상기 부분형합부의 단부에 구속되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유로전환로터부를 복귀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로터부의 전방부 외주에 형성된 단차면에는 캠부가 전방측으로 탄발지지되어 결합되되,
    상기 캠부의 전면에는 측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차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탄발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KR20130081573A 2013-07-11 2013-07-11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KR101489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573A KR101489077B1 (ko) 2013-07-11 2013-07-11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573A KR101489077B1 (ko) 2013-07-11 2013-07-11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28A true KR20150007528A (ko) 2015-01-21
KR101489077B1 KR101489077B1 (ko) 2015-02-05

Family

ID=5257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573A KR101489077B1 (ko) 2013-07-11 2013-07-11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58B1 (ko) *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KR200485859Y1 (ko) * 2016-12-23 2018-03-08 김상헌 냉정수 전환밸브
KR101927500B1 (ko) * 2017-06-08 2019-03-1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의 취수부 조립체
CN109717748A (zh) * 2017-10-31 2019-05-07 清湖乃思株式会社 饮用水供给装置的取水部组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359B1 (ko) * 2010-10-22 2012-07-09 주식회사 동양 냉온수 일체형 코크 조립체
KR101214682B1 (ko) * 2011-01-18 2012-12-21 주식회사 동양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58B1 (ko) *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KR200485859Y1 (ko) * 2016-12-23 2018-03-08 김상헌 냉정수 전환밸브
KR101927500B1 (ko) * 2017-06-08 2019-03-1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의 취수부 조립체
CN109717748A (zh) * 2017-10-31 2019-05-07 清湖乃思株式会社 饮用水供给装置的取水部组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077B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077B1 (ko)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US7487797B2 (en) 4 port fluid cartridge
EP1120498B1 (en) Device to deliver and mix water
EP2690328A1 (en) Single-lever mixing faucet
KR101214682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구조
CN109185499A (zh) 混水分水一体式水龙头阀芯
CN209340555U (zh) 混水分水一体式水龙头阀芯
EP2644953B1 (en) Water mixing valve device
EP1120499B1 (en) Device for the automatic delivery of water
US5960828A (en) Sanitary fitting
EP2942583B1 (en) Enbloc support body for a hydraulic valve group for use in a wall-mounted boiler
KR200465948Y1 (ko) 좌우 클릭형 단 조작수단을 갖는 수도밸브 카트리지
CN213640553U (zh) 一种泡茶机
CN212429848U (zh) 与恒温阀芯配套使用的集成阀芯
CN110529627B (zh) 兼具混水分水功能的水龙头阀芯
KR101164359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조립체
KR101589627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CN216344098U (zh) 阀芯座及阀芯模块组
KR101942329B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투웨이 코크
CN212959987U (zh) 一种混水分水一体式水龙头阀芯
JP2004250893A (ja) 吐水装置
JP5676149B2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KR101656624B1 (ko) 정수기용 수도꼭지
US20120000558A1 (en) Mixing valve device switchable to different outlet
CN114791047A (zh) 用于分水阀芯的联动机构及多按键联动式分水阀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