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126A - 수도계량기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126A
KR20150007126A KR20130081132A KR20130081132A KR20150007126A KR 20150007126 A KR20150007126 A KR 20150007126A KR 20130081132 A KR20130081132 A KR 20130081132A KR 20130081132 A KR20130081132 A KR 20130081132A KR 20150007126 A KR20150007126 A KR 2015000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upport plate
elastic
reduction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553B1 (ko
Inventor
김효순
송창석
Original Assignee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송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송창석 filed Critical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5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바디바닥면부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한 계량기하부바디부와 투시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바디천정면부와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상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시개구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기상부바디부를 갖는 계량기바디부와, 상기 투시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계량기바디부에 설치된 투시창과, 수차홀더바닥면부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안내구와 출수안내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차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수차홀더와,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감속기어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수차홀더의 상단에 설치된 감속기어홀더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기어상부지지판 및 기어하부지지판과 상기 기어상부지지판과 상기 기어하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된 감속기어를 가지고 상기 기어하부지지판이 상기 감속기어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부와, 계수부기어와 상기 계수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계수부기어의 회전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계수기를 가지고 상기 계수부기어가 상기 감속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계수기를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계수부와, 수차축과 상기 수차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수차축이 상기 감속기어를 향하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수차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수차와, 상기 수차의 회전력을 상기 감속기어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를 갖는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중앙에는 제1홀더탄성체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제2홀더탄성체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1홀더탄성체연락공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연락공을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와 상기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 3개를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를 가지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 중 어느 일방이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홀더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탄성체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Water Gauge}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관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물이 얼 때 발생하는 부피팽창에 의해 계량기부속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수도물의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도관에 설치된 수도계량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이 유입된 물은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면 얼게 된다.
수도계량기의 내부의 물이 얼때 발생하는 부피팽창에 의해 계량기부속품이 파손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수도계량기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수도계량기의 내부의 물이 얼 때 계량기부속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물이 얼때 발생하는 부피팽창을 상쇄하는 탄성체를 설치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3은 종래 수도계량기의 사시도이고, 도14는 종래 수도계량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수도계량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하부바디부(120)와 계량기하부바디부(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기상부바디부(130)를 구비한 계량기바디부(110)와, 계량기바디부(110)에 설치된 투시창(191), 수차홀더(140), 감속기어홀더(150), 감속기어부(160), 계수부(170), 수차(180),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 및 계량기바디탄성체(193)를 갖고 있다.
계량기하부바디부(120)는 하부바디바닥면부(121)와, 하부바디바닥면부(12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하부바디바닥면부(12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하부바디측면부(122)를 갖고 있다.
하부바디바닥면부(121)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바디측면부(122)에는 입수구(122a)와 출수구(122b)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기상부바디부(130)는 투시개구(131a)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바디천정면부(131)와, 상부바디천정면부(13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부바디천정면부(13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상부바디측면부(13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계량기상부바디부(130)는 투시개구(131a)가 하부바디바닥면부(121)에 대향하도록 계량기하부바디부(120)에 나사결합 즉,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투시창(191)은 투시개구(131a)를 밀폐하도록 계량기바디부(110)에 설치된다.
수차홀더(140)는 수차홀더바닥면부(141)와, 수차홀더바닥면부(14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수차홀더바닥면부(14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차홀더측면부(142)를 갖고 있다.
수차홀더측면부(142)에는 입수안내구(142a)와 출수안내구(1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차홀더(140)는 수차홀더바닥면부(141)가 하부바디바닥면부(121)에 대향하도록 계량기하부바디부(12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감속기어홀더(150)는 중앙에 수차축안내공(151a)이 형성되어 있는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151)와,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15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15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감속기어홀더측면부(152)를 갖고 있다.
감속기어부(160)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기어상부지지판(161) 및 기어하부지지판(162)과, 기어상부지지판(161)과 기어하부지지판(162) 사이에 설치된 감속기어(163)를 갖고 있다.
계수부(170)는 투시창(191)을 통해 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수차(180)는 수차축(181)과, 수차축(181)의 상단에 형성된 수차축기어(182)와, 수차축기어(18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수차축(181)에 결합된 회전날개(18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차(180)는 수차축(181)이 수차축안내공(151a)을 통과하고, 수차축기어(182)가 감속기어(163)에 맞물리고, 회전날개(183)가 수차홀더(14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실리콘,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는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151)의 상면에 설치된다.
계량기바디탄성체(193)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실리콘,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계량기바디탄성체(193)는 하부바디바닥면부(121)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수도계량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수구(122a)를 통해 유입되는 수도물은 입수안내구(142a)를 통해 수차홀더(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에 수차홀더(14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수차(180)를 회전시킨 후 출수안내구(142b)를 통해 출수구(122b)로 유출된다.
그리고 수차(180)가 회전하면 수차축기어(182)를 통해 감속기어(163)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감속기어(163)에 전달된 회전력은 계수부(170)에 전달되고 계수부(170)에 의해 수도물의 사용량이 표시된다.
한편 계량기바디부(110)의 내부의 물이 얼때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의 상면에 물의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이 가해진다.
물의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이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의 상면에 가해지고 계량기바디탄성체(193)의 상면에 가해지면 계량기바디탄성체(193)와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의 수축에 의해 물의 부피팽창이 상쇄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수도계량기는 200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686호(고안의 명칭 : 동파 방지기능을 구비한 수도계량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도계량기에 따르면, 계량기바디탄성체(193)가 판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량이 적고 이에 따라 계량기바디탄성체(193)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가 판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량이 적고 이에 따라 감속기어홀더탄성체(192)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얼때 발생하는 부피팽창을 상쇄하기 위해 설치되는 탄성체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수도계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바디바닥면부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한 계량기하부바디부와 투시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바디천정면부와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상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시개구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기상부바디부를 갖는 계량기바디부와, 상기 투시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계량기바디부에 설치된 투시창과, 수차홀더바닥면부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안내구와 출수안내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차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수차홀더와,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감속기어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수차홀더의 상단에 설치된 감속기어홀더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기어상부지지판 및 기어하부지지판과 상기 기어상부지지판과 상기 기어하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된 감속기어를 가지고 상기 기어하부지지판이 상기 감속기어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부와, 계수부기어와 상기 계수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계수부기어의 회전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계수기를 가지고 상기 계수부기어가 상기 감속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계수기를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계수부와, 수차축과 상기 수차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수차축이 상기 감속기어를 향하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수차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수차와, 상기 수차의 회전력을 상기 감속기어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를 갖는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중앙에는 제1홀더탄성체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제2홀더탄성체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1홀더탄성체연락공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연락공을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와 상기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 3개를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를 가지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 중 어느 일방이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홀더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또는 탄성재질로 제작된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제2바디탄성체지지판과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바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의 중앙영역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와 상기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 3개를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바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사이에 설치되는 계량기바디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감속기어홀더탄성체의 부피팽창상쇄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다수의 홀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속기어홀더탄성체의 부피팽창상쇄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 중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지판을 홀더탄성체접촉지지판이라고 할 때 상기 홀더탄성체접촉지지판의 저면에는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량기바디탄성체의 부피팽창상쇄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 중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지판을 홀더탄성체접촉지지판이라고 할 때 상기 홀더탄성체접촉지지판의 저면에는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량기바디탄성체의 부피팽창상쇄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바디탄성체지지판 중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가까운 지지판을 바디바닥면근접지지판이라고 할 때 상기 바디바닥면근접지지판의 저면에는 바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간격유지기능과 밀착결합구조를 갖는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와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가 나누어 형성되어 있는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을 갖도록 감속기어홀더탄성체를 형성함으로써, 감속기어홀더탄성체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간격유지기능과 밀착결합구조를 갖는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와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가 나누어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을 갖도록 계량기바디탄성체를 형성함으로써, 계량기바디탄성체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단면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수차홀더의 사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감속기어부의 사시도,
도6은 도2에 도시된 계수부의 사시도,
도7, 도8 및 도9는 도2에 도시된 감속기어홀더탄성체의 사시도,
도10, 도11 및 도12는 각각 도2에 도시된 계량기바디탄성체의 사시도,
도13은 종래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14는 종래 수도계량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2에 도시된 수차홀더의 사시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감속기어부의 사시도이고, 도6은 도2에 도시된 계수부의 사시도이고, 도7, 도8 및 도9는 도2에 도시된 감속기어홀더탄성체의 사시도이고, 도10, 도11 및 도12는 각각 도2에 도시된 계량기바디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하부바디부(20)와 계량기하부바디부(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기상부바디부(30)를 구비한 계량기바디부(10)와, 계량기바디부(10)에 설치된 투시창(91), 수차홀더(40), 감속기어홀더(50), 감속기어부(60), 계수부(70), 수차(80), 감속기어홀더탄성체(92) 및 계량기바디탄성체(93)와, 수차(80)의 회전력을 감속기어부(60)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93)를 갖고 있다.
계량기하부바디부(20)는 하부바디바닥면부(21)와, 하부바디바닥면부(2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하부바디바닥면부(2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하부바디측면부(22)를 갖고 있다.
하부바디바닥면부(21)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바디측면부(22)에는 입수구(22a)와 출수구(22b)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기상부바디부(30)는 투시개구(31a)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바디천정면부(31)와, 상부바디천정면부(3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부바디천정면부(3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상부바디측면부(3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계량기상부바디부(30)는 투시개구(31a)가 하부바디바닥면부(21)에 대향하도록 계량기하부바디부(20)에 나사결합 즉,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투시창(91)은 지지링(94)의 도움을 받아 투시개구(31a)를 밀폐하도록 계량기바디부(10)에 설치된다.
수차홀더(40)는 수차홀더바닥면부(41)와, 수차홀더바닥면부(4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수차홀더바닥면부(4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차홀더측면부(42)를 갖고 있다.
수차홀더측면부(42)에는 입수안내구(42a)와 출수안내구(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차홀더(40)는 수차홀더바닥면부(41)가 하부바디바닥면부(21)에 대향하도록 계량기하부바디부(2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감속기어홀더(50)는 중앙에 수차축안내공(51a)이 형성되어 있는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와,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감속기어홀더측면부(5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감속기어홀더(50)는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가 수차홀더바닥면부(41)에 대향하도록 수차홀더(40)의 상단에 설치된다.
감속기어부(60)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기어상부지지판(61) 및 기어하부지지판(62)과, 기어상부지지판(61)과 기어하부지지판(62)사이에 설치된 감속기어(6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감속기어홀더(50)는 기어하부지지판(62)이 감속기어홀더(50)의 내부에서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계수부(70)는 계수부기어(71)와, 계수부기어(71)에 연결되어 계수부기어(71)의 회전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계수기(72)와, 계수기(72)를 지지하는 지지판(73)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계수부(70)는 계수부기어(71)가 감속기어(63)에 맞물리고, 투시창(91)을 통해 계수기(72)를 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수차(80)는 수차축(81)과, 수차축(81)의 상단에 형성된 수차축기어(82)와, 수차축기어(8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수차축(81)에 결합된 회전날개(8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차(80)는 수차축(81)이 수차축안내공(51a)과 후술하는 제1홀더탄성체연락공(92b)과 제2홀더탄성체연락공(92d)을 통과하고, 수차축기어(82)가 감속기어(63)에 맞물리고, 회전날개(83)가 수차홀더(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수차축(81)의 하단이 지지축(95)에 지지되고 수차축(81)의 상단이 기어상부지지판(6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감속기어홀더탄성체(92)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 및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과,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대향면 즉,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저면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상면에 나누어 형성된 3개의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 및 3개의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92f)와,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홀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2g)와,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를 갖고 있다.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은 중앙에 제1홀더탄성체연락공(92b)이 형성되어 있다.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은 제1홀더탄성체연락공(92b)에 정렬되도록 제2홀더탄성체연락공(92d)이 형성되어 있다.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은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 상호간의 밀착결합과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92f) 상호간의 밀착결합에 의해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에 결합된다.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는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저면에 1개가 형성되어 있고,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상면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저면에 형성된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는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상면에 형성된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는 각각 제1홀더탄성체연락공(92b)과 제2홀더탄성체연락공(92d)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 상호간은 본딩 등의 방법으로 밀착결합된다.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92f)는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저면에 1개가 형성되어 있고,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상면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저면에 형성된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는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상면에 형성된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92f)는 각각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를 거리를 두고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92f) 상호간은 본딩 등의 방법으로 밀착결합된다.
홀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2g)는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상면에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는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저면에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은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의 상면에 접촉하는 홀더탄성체접촉지지판에 해당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감속기어홀더탄성체(92)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이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의 상면에 접촉하고 수차축(81)이 수차축통과공(93d)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계량기바디탄성체(93)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 및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과,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대향면 즉,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의 저면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상면에 나누어 형성된 3개의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 및 3개의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와,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바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3g)와,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바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를 갖고 있다.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은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 상호간의 밀착결합과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 상호간의 밀착결합에 의해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에 결합된다.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는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의 저면에 1개가 형성되어 있고,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상면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의 저면에 형성된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는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상면에 형성된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는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중앙영역에 형성된다.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 상호간은 본딩 등의 방법으로 밀착결합된다.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는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의 저면에 1개가 형성되어 있고,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상면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의 저면에 형성된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는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상면에 형성된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는 각각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 상호간은 본딩 등의 방법으로 밀착결합된다.
바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3g)는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상면에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바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는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저면에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은 하부바디바닥면부(21)에 가까운 바디바닥면근접지지판에 해당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감속기어바디탄성체(92)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하부바디바닥면부(21)와 수차홀더바닥면부(41) 사이에 설치된다.
감속기어바디탄성체(92)는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을 통해 수차홀더바닥면부(41)의 저면에 본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거나,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을 통해 하부바디바닥면부(21)의 상면에 본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93)는 수차축(81)의 상단에 형성된 수차축기어(93a)로 구성되어 있다.
수차축기어(93a)는 수차(80)를 설치할 때 감속기어(63)에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수차(80)의 회전력은 감속기어(63)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수구(22a)를 통해 유입되는 수도물은 입수안내구(42a)를 통해 수차홀더(40)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에 수차홀더(4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수차(80)를 회전시킨 후 출수안내구(42b)를 통해 출수구(22b)로 유출된다.
그리고 수차(80)가 회전하면 수차축기어(82)를 통해 감속기어(63)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감속기어(63)에 전달된 회전력은 계수부기어(71)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계수부기어(71)는 회전하게 된다.
계수부기어(71)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계수부(70)에 의해 수도물의 사용량이 표시된다.
계량기바디부(10) 내부의 물이 얼 때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상면,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저면 및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에 압력이 가해진다.
물의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이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상면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저면에 가해지면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은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와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 사이 영역이 상호 접근하도록 변형되면서 물의 부피팽창이 상쇄된다.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의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와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 사이 영역이 접근하도록 변형되는 동작이 계속되어 홀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2g)가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면 홀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2g)의 변형동작에 의해 물의 부피팽창이 상쇄된다.
물의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이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에 가해지면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가 변형되면서 물의 부피팽창이 상쇄된다.
그리고 물의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이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의 상면 또는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저면에 가해지면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은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와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 사이 영역과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상호 접근하도록 변형되면서 물의 부피팽창이 상쇄된다.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와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의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와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93f) 사이 영역이 접근하도록 변형되는 동작이 계속되어 바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3g)가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면 바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3g)의 변형동작에 의해 물의 부피팽창이 상쇄된다.
물의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이 바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에 가해지면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가 변형되면서 물의 부피팽창이 상쇄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차축(81)의 상단에 수차축기어(93a)를 형성하고 수차축기어(93a)와 감속기어(63)가 맞물림 상태를 이용하여 수차(80)의 회전력이 감속기어(63)에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력전달부(93)를 구성하고 있으나,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이 전자적인 방벙을 이용하여 수차(80)의 회전력이 감속기어(63)에 전달되도록 회전력전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의 저면에 수차축안내홈을 감속기어홀더측면부(52)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한다.
수차축의 상단에 수차자석을 설치하고 수차자석이 수차축안내홈에 진입하도록 수차(80)를 수차홀더(40)의 내부에 설치한다.
기어하부지지판(62)에 회전자지지축을 돌출 형성한다.
회전자기어와 회전자자석을 갖는 회전자를 회전자자석이 수차자석에 대향하고 회전자기어가 감속기어(63)에 맞물리고 회전자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회전자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차(80)가 회전하면 회전자자석과 수차자석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자기어를 통해 수차(80)의 회전력이 감속기어(63)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유지기능과 밀착결합구조를 갖는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와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92e)가 나누어 형성되어 있는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을 갖도록 감속기어홀더탄성체(92)를 형성함으로써, 감속기어홀더탄성체(92)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간격유지기능과 밀착결합구조를 갖는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와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93e)가 나누어 형성되어 있는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을 갖도록 계량기바디탄성체(93)를 형성함으로써, 계량기바디탄성체(93)에 의한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다수의 홀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2g)를 형성하거나,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다수의 바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93g)를 형성함으로써, 감속기어홀더탄성체(92)와 계량기바디탄성체(93)의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홀더탄성체지지판(92a)과 제2홀더탄성체지지판(92c) 중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51)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지판에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1바디탄성체지지판(93a)과 제2바디탄성체지지판(93c) 중 하부바디바닥면부(21)에 가까운 지지판에 바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92h)를 형성함으로써, 감속기어홀더탄성체(92)와 계량기바디탄성체(93)의 부피팽창상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 계량기바디부 20, 120 : 계량기하부바디부
21, 121 : 하부바디바닥면부 22, 122 : 하부바디측면부
30, 130 : 계량기상부바디부 31, 131 : 상부바디천정면부
32, 132 : 상부바디측면부 40, 140 : 수차홀더
41, 141 : 수차홀더바닥면부 42, 142 : 수차홀더측면부
50, 150 : 감속기어홀더 51, 151 :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
52, 152 : 감속기어홀더측면부 60, 160 : 감속기어부
61, 161 : 기어상부지지판 62, 162 : 기어하부지지판
63, 163 : 감속기어 70, 170 : 계수부
71, 171 : 계수부기어 72, 172 : 계수기
80, 180 : 수차 81, 181 : 수차축
82, 182 : 수차축기어 83, 183 : 회전날개
91, 191 : 투시창 92, 192 : 감속기어홀더탄성체
93, 193 : 계량기바디탄성체

Claims (6)

  1. 하부바디바닥면부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한 계량기하부바디부와 투시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바디천정면부와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상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시개구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기상부바디부를 갖는 계량기바디부와, 상기 투시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계량기바디부에 설치된 투시창과, 수차홀더바닥면부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안내구와 출수안내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차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수차홀더와,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감속기어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수차홀더의 상단에 설치된 감속기어홀더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기어상부지지판 및 기어하부지지판과 상기 기어상부지지판과 상기 기어하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된 감속기어를 가지고 상기 기어하부지지판이 상기 감속기어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부와, 계수부기어와 상기 계수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계수부기어의 회전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계수기를 가지고 상기 계수부기어가 상기 감속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계수기를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계수부와, 수차축과 상기 수차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수차축이 상기 감속기어를 향하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수차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수차와, 상기 수차의 회전력을 상기 감속기어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를 갖는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중앙에는 제1홀더탄성체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제2홀더탄성체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1홀더탄성체연락공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연락공을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 결합되는 3개의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와 상기 홀더탄성체내차단벽부 3개를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홀더탄성체외차단벽부를 가지고,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 중 어느 일방이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홀더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다수의 홀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홀더탄성체지지판 중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지판을 홀더탄성체접촉지지판이라고 할 때 상기 홀더탄성체접촉지지판의 저면에는 홀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4. 하부바디바닥면부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한 계량기하부바디부와 투시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바디천정면부와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바디천정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상부바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시개구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기상부바디부를 갖는 계량기바디부와, 상기 투시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계량기바디부에 설치된 투시창과, 수차홀더바닥면부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입수안내구와 출수안내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차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가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계량기하부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수차홀더와,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감속기어홀더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수차홀더의 상단에 설치된 감속기어홀더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기어상부지지판 및 기어하부지지판과 상기 기어상부지지판과 상기 기어하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된 감속기어를 가지고 상기 기어하부지지판이 상기 감속기어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감속기어홀더바닥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부와, 계수부기어와 상기 계수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계수부기어의 회전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계수기를 가지고 상기 계수부기어가 상기 감속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계수기를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계수부와, 수차축과 상기 수차축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수차축이 상기 감속기어를 향하고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수차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수차와, 상기 수차의 회전력을 상기 감속기어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를 갖는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제작된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제2바디탄성체지지판과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바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의 중앙영역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와 상기 바디탄성체내차단벽부 3개를 둘러싸고 두 개의 사이 공간에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바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에 나누어 형성되고 상호 밀착결합되는 3개의 바디탄성체외차단벽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와 상기 수차홀더바닥면부사이에 설치되는 계량기바디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바디탄성체지지판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다수의 바디탄성체내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탄성체지지판과 상기 제2바디탄성체지지판 중 상기 하부바디바닥면부에 가까운 지지판을 바디바닥면근접지지판이라고 할 때 상기 바디바닥면근접지지판의 저면에는 바디탄성체외부팽창흡수돌기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KR1020130081132A 2013-07-10 2013-07-10 수도계량기 KR10154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32A KR101545553B1 (ko) 2013-07-10 2013-07-10 수도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32A KR101545553B1 (ko) 2013-07-10 2013-07-10 수도계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26A true KR20150007126A (ko) 2015-01-20
KR101545553B1 KR101545553B1 (ko) 2015-08-20

Family

ID=5257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132A KR101545553B1 (ko) 2013-07-10 2013-07-10 수도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414B1 (ko) * 2020-07-29 2021-03-03 주식회사 디알텍 에어포켓이 쉽게 제거되는 습식 수도계량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02B1 (ko) 2012-08-31 2013-01-24 주식회사 와이엔이천텍 기능성 수도미터기
KR101274600B1 (ko) 2013-03-22 2013-06-13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수도계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414B1 (ko) * 2020-07-29 2021-03-03 주식회사 디알텍 에어포켓이 쉽게 제거되는 습식 수도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553B1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9000409B1 (pt) Medidor de fluxo com canal de medição
JP2015037929A (ja) 携帯用電子機器を支持するハウジングが設けられている車両ダッシュボード
KR101274600B1 (ko) 수도계량기
KR101545553B1 (ko) 수도계량기
KR101502489B1 (ko) 로터리 회전자를 구비한 용적식 가스미터기
US9625297B2 (en) Flow meter
KR101414073B1 (ko) 수도계량기
KR101511246B1 (ko) 수도계량기
KR101924426B1 (ko) 가스계량기용 누출 점검기
JP3884684B2 (ja) 膜式ガスメータ
KR101488277B1 (ko) 용량식 유량계
KR101348819B1 (ko) 동파방지용 다중 에어캡이 구비된 수도계량기
KR20150017822A (ko) 수도계량기
US20180202791A1 (en) Waterproof lever-type indicator
JP2008039652A (ja) 流体計測装置
CN212055957U (zh) 三通阀及具有其的蒸汽烹饪设备
CN216483271U (zh) 超声波流量计
KR20140134413A (ko) 수도계량기
KR20150107084A (ko) 수도계량기
JP2000261164A (ja) ケーシングにおける閉塞部のリード線引出構造
CN220542156U (zh) 具备燃气泄漏自闭功能的燃气表
CN220982354U (zh) 一种可拆式电磁流量计
CN212107117U (zh) 保护套
CN205541962U (zh) 双表组
CN209153560U (zh) 洗碗机的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