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99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993A
KR20150006993A KR20130080722A KR20130080722A KR20150006993A KR 20150006993 A KR20150006993 A KR 20150006993A KR 20130080722 A KR20130080722 A KR 20130080722A KR 20130080722 A KR20130080722 A KR 20130080722A KR 20150006993 A KR20150006993 A KR 2015000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film
film
display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우
조우종
구본민
심재규
장철은
최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6993A/ko
Priority to US14/326,638 priority patent/US9648307B2/en
Publication of KR2015000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3D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TV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하여 스마트 폰, 태블릿 PC등을 이용하여,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한다.
또한, 최근에는 3D 영상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 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영상 시청 용 안경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 안경식 또는 무 안경식 시스템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안경식 시스템의 일 예로는, 셔터 글래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셔터 글래스 방식이란,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교번적으로 출력하면서, 이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3D 안경의 좌우 셔터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폐시켜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무 안경식 시스템은 오토스테레오스코피(autostereoscopy)시스템이라고도 한다. 무 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적으로 쉬프트된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또는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를 이용하여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 다른 시점의 영상에 해당하는 광이 투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무 안경식 시스템의 경우,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3D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무 안경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된 구조물 때문에 일반 LCD 대비하여 화면 밝기가 감소하며 시야각이 좁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렌즈로 인해 외관상 좁은 간격을 가진 물결무늬가 존재하며 제작 단가가 비싸고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 폰과 같이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접하고, 문자 메시지, 메모, 달력 등 3D 영상으로 구현될 필요가 없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모든 영상을 3D 영상으로 반드시 구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3D 영상이 아닌 일반 영상과 3D 영상을 자유롭게 전환하여 영상의 특성에 알맞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D 디스플레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3D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부착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시선이 기 설정된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력에 의해 부착가능하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 및 제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 제2 자성체 및 자기장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시선 감지부는, 상기 홍체 인식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3D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부착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시선을 감지하기 위한 시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기 설정된 정상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요철부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 및 제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 간의 자성 결합에 따라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감지 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여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요철부에 의해 부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자성체에 의해 부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요철부 및 자성체에 의해 부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잘못 부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의 센서 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표시되는 가이드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사용자의 시선이 부적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사용자의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연결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9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힌지부를 통해 연결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부(110)가 존재하는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PC, PDA, TV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일반 영상, 즉,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3D 영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부(11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복수의 세로 라인으로 구분하고, 각 세로 라인들을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시점별로 조합한 다시점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 필름이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영상을 보고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필름을 의미한다.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또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로 구현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자성체나 요철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 및 그 부착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감지부(12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자성체에 의한 자력으로 부착되는 실시 예의 경우, 감지부(120)는 자기력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요철들 간의 결합에 의해 부착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요철들 간의 터치 또는 결합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3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지부(120)가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부(110)에 부착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3D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반면, 감지부(120)가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분리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3D 모드란 상술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모드이고, 일반 모드란 일반적인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3D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130)는 홈 화면이나 아이콘 표시 화면,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컨텐츠 재생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을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동작 모드에 따라 3D 영상 또는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부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폰으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휴대폰 케이스(200)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휴대폰 케이스(200)에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거치될 수 있는 포켓이나 기타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휴대폰 케이스(200) 내에서 커버부 측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을 필요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200)로부터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을 휴대폰 케이스(200)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폰(100)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와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주변 바디(body) 영역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부(110)를 덮을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부(110)에 부착되면,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분리되면 다시 일반 모드 또는 이전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휴대폰 케이스(200) 내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휴대폰 케이스(200)는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휴대폰 케이스(200)와 별개로 휴대 될 수도 있다.
또는, 도 3에서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휴대폰 케이스(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르게는, 휴대폰 케이스(20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일단이 휴대폰 케이스(220)에 부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10)에 탈부착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부착 방식에 대한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4는 요철 방식에 따라 부착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필름(410)은 제 1 요철부(410)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요철부(420)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제 1 요철부(410)는 볼록한 형상이고, 제 2 요철부(420)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서로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제 1 및 제 2 요철부(410, 420) 간의 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4에서는 제 1 요철부(410) 및 제 2 요철부(420)의 사이드 면이 평편한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사이드 면을 굴곡진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요철부(410)의 표면이나 제 2 요철부(420)의 사이드 면을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을 가진 탄성체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하면, 제 1 및 제 2 요철부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물리적인 힘을 가해야만 부착 또는 탈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제 1 요철부(410)는 볼록한 형상이고, 제 2 요철부(420)는 오목한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 및 제 2 요철부(410, 42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결합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반대로 제 1 요철부(410)가 오목한 형상이 되고, 제 2 요철부(420)가 볼록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제 1 및 제 2 요철부(410, 420)가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연속적으로 나열된 복수 개의 요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요철부(410, 420)는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10)의 주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제 1 및 제 2 요철부(410, 420) 사이의 결합에 의해 탈착되는 실시 예에서는, 감지부(120)는 제 1 및 제 2 요철부(410, 420) 사이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광센서, 터치 센서, 저항 감지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감지부(120)가 광센서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광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2 요철부(4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광센서로 일정 크기 이상의 광이 입사되고,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광센서로 입사되는 빛이 차단된다. 따라서, 탈착 여부에 따라, 광센서의 출력 값이 변화하게 되므로, 제어부(130)는 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탈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120)는 제 2 요철부(420) 내의 사이드 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및 수광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 된 빛이 수광 다이오드로 입사되고,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 된 빛이 제 1 요철부(410)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수광 다이오드로 입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탈착 여부에 따라 수광 다이오드의 출력 값이 변화하게 되므로 제어부(130)는 그 출력 값에 기초하여 탈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감지부(120)는 제 1 요철부(410) 끝 부분에 마련된 접점(contact)과, 제 2 요철부(420) 내부에 마련된 접점 사이의 접촉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 저항을 감지하는 저항 감지 센서 또는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제 1 자성체(220-1)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자성체(220-2)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자성체(220-1, 220-2)는 자력에 의해 서로 당기는 힘이 존재하는 물질이면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근처로 접근하면 제 1 및 제 2 자성체(220-1, 220-2) 사이의 인력에 의해 부착된다.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20)는 자기력 감지센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력 감지 센서는 주변 자기장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및 그 코어를 감은 코일로 구성되어, 자기장 변화에 따라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코일형 자기 센서, 고체의 물성에 자계 의존성을 이용한 고체 자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감지부(120)의 자기력 감지 센서가 감지한 신호가 급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감지부(120)의 자기력 감지 센서가 감지한 신호가 급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 1 및 제 2 자성체(220-1, 220-2), 자기력 감지 센서(270)가 하나만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 및 제 2 자성체(220-1, 220-2), 자기력 감지 센서(270) 등은 복수 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자기력 감지 센서(270)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완전하게 부착되었는지 아니면 일부 영역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상태인지 까지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요철 간의 결합력을 이용하는 실시 예와, 자력을 이용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였으나, 요철 및 자성체를 모두 이용하는 실시 예도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요철부 사이의 결합력과 자력을 모두 이용하여 부착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된 경우,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이동하면 3D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 사이의 결합력과 자력을 모두 이용하여 부착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D 디스플레이 필름(2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맞물리는 제 1 및 제 2 요철부(410, 4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자성체(220-1, 22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20)는 자기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탈착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자기력 감지 센서(270)만을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철부 사이의 결합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들 센서들이 모두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3D 영상은 세로 라인별로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3D 영상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3D 디스플레이 필름(21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확하게 결합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탈착하다 보면, 정확한 위치에 제대로 부착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경우 그 상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가이드 UI를 제공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의 각 모서리에 센서 A, B, C, D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가 높은 해상도의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정확하게 부착되어야 하며, 정확하게 부착되는 경우에는 센서 A, B, C, D에서 모두 부착 상태가 감지된다. 따라서, 센서 A, B, C, D가 감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센서 A, B, C, D가 감지한 감지 결과에 따른 센서 출력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센서 A, B, C, D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기 전에 일정한 크기의 신호를 출력한다.
시간 t1에서 센서 출력 신호가 급변하는데, 제어부(130)는 감지부(120)가 감지한 출력 신호가 급변하는 시간에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간 t1 이후의 센서 출력 신호를 살피면, 센서 A, B, C의 출력 신호는 거의 일정하지만 센서 D 의 출력 신호는 일정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고, 제어부(130)는 센서 D가 배치된 지점에서의 부착상태가 센서 A, B, C가 배치된 지점에서의 부착상태와 다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센서 D 지점에서의 부착상태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면,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가 화살표 형태의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센서 D에서의 출력 신호가 센서 A, B, C의 출력신호와 상이한 것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센서 D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센서 D를 가리키는 화살표 형태의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센서들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가이드 UI(230)가 표시될 픽셀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가령, 센서 A 내지 센서 C에서는 부착 상태가 감지되고, 센서 D에서는 부착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센서 C 및 센서 D 사이의 영역을 가이드 UI(230) 표시 영역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센서 C로부터 센서 D방향으로 3D 디스플레이 필름을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화살표 형상의 가이드 UI(230)를 표현하기 위한 픽셀 값을 연산한다. 제어부(130)는 결정된 위치에서, 연산 된 픽셀 값에 따른 그래픽 객체를 렌더링한다. 이에 따라, 화살표 형상의 가이드 UI(23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화살표 형상의 가이드 UI(23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색깔을 이용하여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텍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A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하고 센서 B, C, D가 위치한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정확하게 부착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A, B, C, D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기 전에 일정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시간 t1에서 센서 출력 신호가 급변하는데, 제어부(130)는 감지부(120)가 감지한 출력 신호가 급변하는 시간에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간 t1 이후의 센서 출력 신호를 살피면, 센서 B, C, D의 출력 신호는 거의 일정하지만 센서 A 의 출력 신호는 일정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고, 제어부(130)는 센서 A에서의 3D 디스플레이 필름(2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착상태가 센서 B, C, D에서의 부착상태가 다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센서 A에서의 3D 디스플레이 필름(2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착상태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면,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화살표 형태의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 A에서의 출력 신호가 센서 B, C, D의 출력신호와 상이한 것을 판단하고,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을 센서 C가 위치한 곳에서 센서 D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센서 C의 위치에서 센서 D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는 화살표 형태의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10)가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정상적으로 부착이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정상적인 위치에서 보지 않으면 3D 입체감을 제대로 느낄 수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시청을 하도록 유도해 줄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시선 감지부(140), 저장부(150), 통신부(160), 입력부(170)를 포함한다.
도 13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영상 모드 변경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일반 영상, 즉,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10)에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2에서 상술한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시선 감지부(140)가 감지한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2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시선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한다. 시선 감지부(14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시선 감지부(14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선 감지부(14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가령, 시선 감지부(140)는 카메라에서 의해 사용자 이미지가 촬영되면, 그 촬영 이미지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나누어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한다. 하나의 블록은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선 감지부(140)는 각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특성 값을 검출한 후, 그 특성 값을 주변 블록과 비교하여 동일한 사물을 구성하는 블록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선 감지부(140)는 각 블록별로 이러한 판단 과정을 수행하여, 각 사물의 에지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시선 감지부(140)는 그 에지 부분에 따라 구분되는 각 영역별 컬러, 형상, 크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역, 안구 영역, 홍채 영역 및 홍채 중심 좌표를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 과정에서는 다양한 알고리즘 및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시선 감지부(140)는 사용자 이미지에 대해 선택적 주의 집중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가령, SM(Saliency Map)모델을 적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시선 감지부(140)는 검출된 얼굴 영역에서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구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안구 영역에서 다시 동공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시선 감지부(140)는 검출된 동공의 중심 좌표를 검출한 후, 그 중심 좌표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을 매핑시킨다. 이에 따라, 동공 중심 좌표가 화면 내에서 어느 지점을 향하는 지를 판단한다. 시선 추적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헌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시선 감지부(14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150)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5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입력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폰인 경우, 입력부(170)는 스마트 폰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텍스트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의 시선이 3D 영상을 감상하기에 적합한 경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눈과 마주보고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눈이 평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시선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240)과 사용자의 양 눈(260)을 연결한 선이 평행한지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시선 감지부(14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240)과 사용자의 양 눈(260)을 연결한 선이 평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시선 감지부(140)가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 감지부(14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240)과 사용자의 양 눈(260)을 연결한 선이 평행한 경우에 비해 사용자의 양 눈(260)을 연결한 선의 왼쪽이 아래로 내려간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양 눈(260)의 위치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일단을 아래쪽으로 내려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일단을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도록 지시하는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화살표 형태의 가이드 UI(2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화살표 형상의 가이드 UI(25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색깔을 이용하여 가이드 UI(2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텍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시선 감지부(140)가 감지한 사용자의 시선 결과를 바탕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움직여야 하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가이드 UI(250)의 방향을 판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또는 사용자 설명에 따라, 사용자가 움직여야 하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가이드 UI(250)의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하여 3D 디스플레이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탈착 여부를 감지한다(S805).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각각 요철부를 포함하거나 자성체를 포함하여 탈부착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요철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자성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요철부 또는 자성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각 모서리에 한 개씩 위치하여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개수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모서리에 요철부를 포함하고, 요철부의 양 말단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부착된 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3D 디스플레이필름(21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각 모서리가 일치하도록 부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면(S80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S810). 즉, 3D 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없어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부착된 것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3D 모드로 전환하여, 3D 모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면(S815), 3D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S820).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았거나, 사용자 시선이 정상적인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각종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여 줄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실시 예에 대한 흐름도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분리된 별개의 필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은 케이스(200)와 연결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와 힌지(280)를 통해 연결되는 커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힌지(28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3D 디스플레이 필름(210)이 디스플레이부(110)를 덮은 상태인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덮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열린 상태라고 판단되면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3D 디스플레이 필름을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탈부착 상태에 따라 영상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가이드 UI를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및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분리되면, 3D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시선 감지부 150 : 저장부
160 : 통신부 170 : 입력부
200 : 휴대폰 케이스 210 : 3D 디스플레이 필름

Claims (12)

  1.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3D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부착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시선이 기 설정된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력에 의해 부착가능하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 및 제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 제2 자성체 및 자기장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3D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3D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부착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시선을 감지하기 위한 시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기 설정된 정상 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시선을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요철부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요철부 및 제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요철부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 간의 자성 결합에 따라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감지 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상기 3D 디스플레이 필름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80722A 2013-07-10 2013-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06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22A KR20150006993A (ko) 2013-07-10 2013-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4/326,638 US9648307B2 (en) 2013-07-10 2014-07-09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22A KR20150006993A (ko) 2013-07-10 2013-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993A true KR20150006993A (ko) 2015-01-20

Family

ID=5227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722A KR20150006993A (ko) 2013-07-10 2013-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48307B2 (ko)
KR (1) KR201500069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091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바스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496B1 (ko) * 2014-02-04 2019-06-20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허프 프로세서
US9564942B2 (en) * 2014-11-04 2017-02-07 Skiva Technologies, Inc. Picture changing assembly for mobile phone cases
WO2016182502A1 (en) * 2015-05-14 2016-11-17 Medha Dharmatilleke Multi purpose mobile device case/cover integrated with a camera system & non electrical 3d/multiple video & still frame viewer for 3d and/or 2d high quality videography, photography and selfie recording
KR20170011544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를 해체하는 방법
KR101880751B1 (ko) * 2017-03-21 2018-07-20 주식회사 모픽 무안경 입체영상시청을 위해 사용자 단말과 렌티큘러 렌즈 간 정렬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20210050800A (ko) *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00742A (ko) * 2021-01-0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777A (ko) 2011-01-05 2012-07-13 주식회사 레드로버 삼차원 영상 관찰용 시트 장치
US9308825B2 (en) * 2011-01-19 2016-04-12 Aerovironment, Inc. Electric vehicle docking connector with embedded EVSE controller
WO2012134487A1 (en) * 2011-03-31 2012-10-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aptiv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display using an integrated 3d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091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바스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8307B2 (en) 2017-05-09
US20150015462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69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72865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WI471820B (zh) 行動終端機及其操作控制方法
US9047711B2 (en) Mobile terminal and 3D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0622B1 (ko) 입체영상 처리 장치 및 입체영상 처리 장치의 칼리브레이션 방법
US8826184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00227009A1 (en) Hm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121592B1 (ko) 시력 보호 방법 및 장치
US2012003862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epth of im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US20120083312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34212B1 (ko)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765429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7313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6900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20150024199A (ko)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378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496293A (zh) 扩展内容显示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EP3007135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6333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3273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89416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70721B1 (ko)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50068823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525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503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