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313A - 팔찌겸용 부채 - Google Patents

팔찌겸용 부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313A
KR20150006313A KR20130079990A KR20130079990A KR20150006313A KR 20150006313 A KR20150006313 A KR 20150006313A KR 20130079990 A KR20130079990 A KR 20130079990A KR 20130079990 A KR20130079990 A KR 20130079990A KR 20150006313 A KR20150006313 A KR 2015000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plate
cover
bracele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399B1 (ko
Inventor
노동훈
Original Assignee
노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동훈 filed Critical 노동훈
Priority to KR2013007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3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7/00Ladies' or like f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04Link constructions extensible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채를 사용하기 않을 경우에 팔찌의 형태로 팔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팔찌겸용 부채에 관한 것으로, 양측의 폭이 좁게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상부로 구부리면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져 손목에 채워지고, 후방에는 핀홀이 형성되며,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띠와; 상기 커버띠의 하부에 펼쳐지게 적층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이 형성되며, 휘어짐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다수의 부채살과; 상기 부채살들에 부착되어 부채살들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고, 절첩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부채판과; 상기 커버띠의 핀홀과 부채살들의 핀홀에 관통 고정되어 부채살들을 펼침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팔찌겸용 부채{COMBINED BRACELET AND FAN}
본 발명은 팔찌겸용 부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채를 사용하기 않을 경우에 팔찌의 형태로 팔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팔찌겸용 부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부채는 판상타입과 접철타입으로 구분되는데 판상타입의 경우에는 원형에 가까운 박판으로 성형된 플라스틱 또는 심을 가지는 지류제의 부채판의 일측으로 손잡이를 고정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접철타입의 경우에는 일정길이의 부채살을 다단으로 겹치게 한 후 이 부채살들의 후방을 힌지로 고정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펼쳐서 사용한다.
이에, 종래의 접철타입의 부채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38920호의 "지압돌기가 형성된 절첩식 부채"(이하, "종래의 절첩식 부채"라 한다.)가 알져져 있다.
종래의 절첩식 부채는, 다수의 대나무 살 사이에 창호지를 발라 절첩하여 사용하게 되는 절첩식 부채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부채의 양 지지대 하측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첩식 부채는 접었을 때는 봉의 형태를 유지하고 대나무 살을 펼치면 부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채를 휴대할 경우에는, 가방 속에 수납하거나 또는 손으로 들고 다녀야 함으로써, 부채의 휴대에 많은 번거러움이 있었음은 물론, 부채를 자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38920호의 "지압돌기가 형성된 첩식 부채"(2004.01.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채를 사용하기 않을 경우에 팔찌의 형태로 팔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팔찌겸용 부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띠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상부로 구부리면 원형으로 휘어져 손목에 채워지게 함으로써, 간단히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팔찌겸용 부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부채를 팔목에 이탈되지 않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팔찌겸용 부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는, 양측의 폭이 좁게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상부로 구부리면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져 손목에 채워지고, 후방에는 핀홀이 형성되며,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띠와; 상기 커버띠의 하부에 펼쳐지게 적층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이 형성되며, 휘어짐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다수의 부채살과; 상기 부채살들에 부착되어 부채살들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고, 절첩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부채판과; 상기 커버띠의 핀홀과 부채살들의 핀홀에 관통 고정되어 부채살들을 펼침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는, 양측의 폭이 좁게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핀홀이 형성되며, 팔목을 감쌀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띠와; 상기 커버띠의 하부에 펼쳐지게 적층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부채살과; 상기 부채살들에 부착되어 부채살들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고, 절첩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부채판과; 상기 커버부재의 핀홀과 부채살들의 핀홀에 관통 고정되어 부채살들을 펼침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과; 전방과 후방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커버판의 전방과 부채판이 부착된 부채살의 전방에 전,후방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홀과, 상기 힌지핀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띠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커버띠의 전방과 부채판이 부착되는 부체살들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축이 형성되고 수평축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홀에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연결돌부가 구비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커버판의 전방에 고정되며 절곡을 통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판형상의 전방 고리와, 상기 커버판의 후방에 고정되며 절곡을 통해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판형상의 후방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는, 유동성을 가진 재질의 직사각형의 판이 일정한 폭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접혀져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과; 상기 접힘판이 접혀져 다층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접힘판의 후방을 일체로 접착하여 이를 중심으로 상기 접힘판이 펼쳐지게 하는 접착부와;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의 상부의 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 스넵단추와;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의 하부의 후방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 스넵단추가 삽입 연결되는 암 스넵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부채를 사용하기 않을 경우에 팔찌의 형태로 팔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분실을 예방하고 팔찌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띠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상부로 구부리면 원형으로 휘어져 손목에 채워지게 함에 따라, 간단히 팔목에 착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에 따라, 부채를 팔목에 이탈되지 않게 착용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팔목의 이탈로 인한 부채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부채를 펼친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c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d는 팔찌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팔찌로 사용되는 상태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부채로 사용하기 위하여 접힘판을 팔목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며,
도 4c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부채를 펼친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c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d는 팔찌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양측의 폭이 좁게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핀홀(H)이 형성되는 커버띠(1)와, 상기 커버띠(1)의 하부에 펼쳐지게 적층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핀홀(H)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H)이 형성되는 다수의 부채살(3)과, 상기 부채살(3)들에 부착되어 부채살(3)들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고 절첩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부채판(4)과, 상기 커버띠(1)의 핀홀(H)과 부채살(3)들의 핀홀(H)에 관통 고정되어 부채살(3)들을 펼침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5)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띠(1)는 부채를 사용할 경우에는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부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짐에 따라, 팔목의 착용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커버띠(1)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상부로 구부리면 원형으로 휘어지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커버띠(1)는 유동성을 가진 얇은 금속판이나 얇은 합성수지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직선 상태나 원형으로 휘어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커버띠(1)를 제조할 경우에는, 최초에 길이방향의 중앙이 상부로 구부려져 있는 상태이고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진 커버띠(1)를 성형 제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띠(1)를 제조하게 되면,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진 커버띠(1)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면 커버띠(1)가 직선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부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띠(1)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게 되면, 커버띠(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는 직선으로 펼쳐지려는 힘이 발생됨으로써 커버띠(1)는 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부채살(3)을 펼쳐 부채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반대로 상기와 같이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커버띠(1)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다시 구부리면 커버띠(1)가 복원되어 둘레가 원형의 상태를 복원됨으로써 팔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채살(3)은 직선으로 펼쳐지려는 복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커버띠(1)와 더불어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짐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진 합성수지나 얇은 대나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채판(4)은 부채살(3)들에 부착되어 부채판(4)들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절첩이 가능한 재질의 지류나 합성수지 등의 얇은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힌지핀(5)은 커버띠(1)에서 부채살(3)들이 원활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핀홀(H)들에 헐거움끼워맞춤으로 관통되는 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리벳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부채로 사용할 경우에는,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진 커버띠(1)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려 커버띠(1)가 직선의 상태를 유지하게 한 다음, 부채살(3)을 펼침에 따라 부채판(4)을 펼침으로써 힌지핀(5)의 주위를 손으로 잡고 부채로 사용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부채로 사용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를 팔목에 착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커버띠(1)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다시 구부려 커버띠(1)의 둘레가 원형으로 복원되게 한다. 그리고 둘레가 원형의 상태를 복원된 부체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사이를 벌려 간단하게 손목에 착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손목의 착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부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팔찌의 형태로 팔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부채의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채의 분실을 예방하고 팔찌로도 사용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팔찌로 사용되는 상태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양측의 폭이 좁게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핀홀(H)이 형성되는 커버띠(2)와, 상기 커버띠(2)의 하부에 펼쳐지게 적층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핀홀(H)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H)이 형성되는 다수의 부채살(3)과, 상기 부채살(3)들에 부착되어 부채살(3)들을 사이 공간을 커버하고 절첩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부채판(4)과, 상기 커버띠(2)의 핀홀(H)과 부채살(3)들의 핀홀(H)에 관통 고정되어 부채살(3)들을 펼침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5)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6)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띠(2)는 팔목을 감쌀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진 얇은 금속판이나 얇은 합성수지판 또는 가죽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채살(3)은 직선으로 펼쳐지려는 복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커버띠(2)와 더불어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짐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진 합성수지나 얇은 대나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채판(4)은 부채살(3)들에 부착되어 부채판(4)들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절첩이 가능한 재질의 지류나 합성수지 등의 얇은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힌지핀(5)은 커버띠(2)에서 부채살(3)들이 원활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핀홀(H)들에 헐거움끼워맞춤으로 관통되는 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리벳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6)은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수단(6)은 상기 커버띠(2)의 전방과 부채판(4)이 부착된 부채살(3)의 전방에 전,후방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홀(63)과, 상기 힌지핀(5)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띠(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홀(63)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부채를 팔목에 착용시키는 버클(6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클(64)은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띠(2)의 전방과 부채판(4)이 부착되는 부채살(3)들이 삽입되는 관통홀(641)과, 관통홀(641)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축(642)과, 수평축(642)에 수평축(64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홀(63)에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연결돌부(643)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부채로 사용할 경우에는, 팔목에 차고 있는 부채의 연결수단(6)을 구성하는 버클(64)의 연결돌부(643)를 상기 커버띠(2)의 전방과 부채판(4)이 부착된 부채살(3)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결홀(63)에서 이탈시킨 후, 커버띠(2)와 부채살(3)의 전방을 버클(64)의 관통홀(641)에서 이탈시킨다. 즉 휘어져 팔목에 차고 있던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분리한다.
그러면 부채살(3)에서 직선 상태를 유지하려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커버띠(2)와 부채살(3)이 직선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음 부채살(3)을 펼침에 따라 부채판(4)을 펼침으로써 힌지핀(5)의 주위를 손으로 잡고 부채로 사용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부채로 사용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를 팔목에 착용할 경우에는, 상기 커버띠(2)의 둘레를 원호형으로 휘어 팔목에 감싼 다음, 연결수단(6)의 구성하는 버클(64)의 관통홀(641)에 부채의 전방을 삽입한 상태에서 버클(64)의 연결돌부(643)를 부채의 전방에 구비된 연결홀(63)들 중 하나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버클(64)에 부채의 전방을 고정함으로써, 부채를 손목에 착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부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팔찌의 형태로 팔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부채의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채의 분실을 예방하고 팔찌로도 사용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상기 연결수단(6)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에 따라 부채를 팔목에 이탈되지 않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부채는 야외 활동시 부채가 팔목에서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상기 제2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구성 중 연결수단(6)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성하는 연결수단(6)은, 상기 커버판의 전방에 고정되며 하부로 절곡되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판형상의 전방 고리(65)와, 상기 커버판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부로 절곡되어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고리(65)에 걸려 고정되는 판형상의 후방 고리(6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 고리(65)와 후방 고리(66)를 상호 걸어 연결함으로써 부채를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상기 연결수단(6)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에 따라 부채를 팔목에 이탈되지 않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부채는 야외 활동시 부채가 팔목에서 이탈되어 분실되는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부채로 사용하기 위하여 접힘판을 팔목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며, 도 4c는 부채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유동성을 가진 재질의 직사각형의 판이 일정한 폭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접혀져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7)과, 상기 접힘판(7)이 접혀져 다층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접힘판(7)의 후방을 일체로 접착하여 이를 중심으로 상기 접힘판(7)이 펼쳐지게 하는 접착부(8)와,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7)의 상부의 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 스넵단추(9a)와,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7)의 하부의 후방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 스넵단추(9a)가 삽입 연결되는 암 스넵단추(9b)를 포함한다.
상기 접힘판(7)은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착부(8)를 중심으로하여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얇은 합성수지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8)는 합성수지판이 부착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알려진 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8)는 재봉부로 대체할 수도 있는데 재봉부는 첨부된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었다.
상기 수 스넵단추(9a)와 암 스넵단추(9b)는 부채가 접혀진 상태에서 부채를 팔목에 찰 수 있도록 부채의 전,후방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수 스넵단추(9a)와 암 스넵단추(9b)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를 부채로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다층으로 절곡된 접힘판(7)을 팔목에 차고 있는 상태에서, 부채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수 스넵단추(9a)와 부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된 암 스넵단추(9b)를 분리한다.
그러면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접힘판(7)에서는 직선 상태를 유지하려는 복원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다층으로 절곡된 접힘판(7)이 직선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다층으로 절곡된 접힘판(7)의 후방에 위치된 접착부(8)를 한 손으로 잡은 다음, 접힘판(7)을 펼침으로 부채로 사용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부채로 사용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팔찌겸용 부채를 팔목에 착용할 경우에는, 펼쳐진 접힌판(7)을 다시 다층으로 절곡되는 상태로 접는다.
다음 다층으로 절곡된 상태의 접힘판의 둘레를 원호형으로 휘어 팔목에 감싼 다음, 부채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수 스넵단추(9a)와 부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된 암 스넵단추(9b)를 연결함으로써, 부채를 손목에 착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팔찌겸용 부채는 부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팔찌의 형태로 팔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부채의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채의 분실을 예방하고 팔찌로도 사용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부채의 전방과 후방을 상기 수 스넵단추(9a)와 암 스넵단추(9b)로 구성되는 연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에 따라 부채를 팔목에 이탈되지 않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부채는 야외 활동시 부채가 팔목에서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커버띠
2 : 커버띠
3 : 부채살
4 : 부채판
5 : 힌지핀
6 : 연결수단
63 : 연결홀
64 : 버클
641 : 관통홀, 642 : 수평축, 643 : 연결돌부
65 : 전방 고리
66 : 후방 고리
7 : 접힘판
8 : 접착부
9a : 수 스넵단추, 9b : 암 스넵단추
H : 핀홀

Claims (5)

  1. 양측의 폭이 좁게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하부로 구부리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길이방향의 중앙을 상부로 구부리면 둘레가 원형으로 휘어져 손목에 채워지고, 후방에는 핀홀(H)이 형성되며,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띠(1)와;
    상기 커버띠(1)의 하부에 펼쳐지게 적층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핀홀(H)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H)이 형성되며, 휘어짐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다수의 부채살(3)과;
    상기 부채살(3)들에 부착되어 부채살(3)들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고, 절첩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부채판(4)과;
    상기 커버띠(1)의 핀홀(H)과 부채살(3)들의 핀홀(H)에 관통 고정되어 부채살(3)들을 펼침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겸용 부채.
  2. 양측의 폭이 좁게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핀홀(H)이 형성되며, 팔목을 감쌀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띠(2)와;
    상기 커버띠(2)의 하부에 펼쳐지게 적층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핀홀(H)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H)이 형성되는 다수의 부채살(3)과;
    상기 부채살(3)들에 부착되어 부채살(3)들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고, 절첩이 가능하게 유동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부채판(4)과;
    상기 커버부재의 핀홀(H)과 부채살(3)들의 핀홀(H)에 관통 고정되어 부채살(3)들을 펼침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5)과;
    전방과 후방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겸용 부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은,
    상기 커버판의 전방과 부채판(4)이 부착된 부채살(3)의 전방에 전,후방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홀(63)과,
    상기 힌지핀(5)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띠(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커버띠(2)의 전방과 부채판(4)이 부착되는 부체살들이 삽입되는 관통홀(641)이 형성되며 관통홀(641)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축(642)이 형성되고 수평축(642)에는 수평축(64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홀(63)에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연결돌부(643)가 구비되는 버클(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겸용 부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은,
    상기 커버판의 전방에 고정되며 하부로 절곡되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판형상의 전방 고리(65)와,
    상기 커버판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부로 절곡되어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고리(65)에 걸려 고정되는 판형상의 후방 고리(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겸용 부채.
  5. 유동성을 가진 재질의 직사각형의 판이 일정한 폭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접혀져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7)과;
    상기 접힘판(7)이 접혀져 다층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접힘판(7)의 후방을 일체로 접착하여 이를 중심으로 상기 접힘판(7)이 펼쳐지게 하는 접착부(8)와;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7)의 상부의 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 스넵단추(9a)와;
    다층으로 절곡 구성되는 접힘판(7)의 하부의 후방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 스넵단추(9a)가 삽입 연결되는 암 스넵단추(9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경용 부채.
KR20130079990A 2013-07-08 2013-07-08 팔찌겸용 부채 KR10148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990A KR101484399B1 (ko) 2013-07-08 2013-07-08 팔찌겸용 부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990A KR101484399B1 (ko) 2013-07-08 2013-07-08 팔찌겸용 부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313A true KR20150006313A (ko) 2015-01-16
KR101484399B1 KR101484399B1 (ko) 2015-01-21

Family

ID=5256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990A KR101484399B1 (ko) 2013-07-08 2013-07-08 팔찌겸용 부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3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614A (ja) 1998-07-29 2000-02-18 Isamu Yamashita 夜光反射バンド
JP3449927B2 (ja) 1998-09-07 2003-09-22 株式会社トーツヤ 簡易組立式うちわ
JP2002199918A (ja) 2000-12-28 2002-07-16 Shinkoo:Kk 携帯うちわ
KR200400978Y1 (ko) 2005-06-29 2005-11-15 김용진 부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399B1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2183B1 (en) Portable terminal cover
JP5630704B2 (ja) 顔面装着具
US20160157526A1 (en) Pocket square
US20170224079A1 (en) Customizable hair clip assembly
KR101484399B1 (ko) 팔찌겸용 부채
JP5235931B2 (ja) 衣服用クリップ
RU25464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стегивания и затягивания двух участков мягкой полосы
JP2000300313A (ja) バンド
JP6159006B1 (ja) 柄付き円形扇子
JP6679953B2 (ja) バンド、美錠付き時計バンドおよび時計
US1796341A (en) Extension device for wrist-watch straps
JP3197577U (ja) 内径の変更が容易な指輪
JP4537835B2 (ja) リストバンド用クリップ
KR101188188B1 (ko) 뒷머리 헤어 밴드
USD976581S1 (en) Wallet
US9839262B1 (en) Cuff link accessory
US20120069719A1 (en) iStrap
JP3228370U (ja) 傘取付ベルト
WO2018068142A1 (en) Cufflink base, cufflink,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3018784U (ja) スカーフ等の装着具
JP2004135745A (ja) 帯状装身具の尾錠
JP3109247U (ja) ベルト
JP3191776U (ja) ベルト
KR200457110Y1 (ko) 머리끈 분리 고정식 장신구
JP2022108743A (ja) 折り畳み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