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917A - 내마모성 피쳐를 지닌 컨베이어 벨트 링크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피쳐를 지닌 컨베이어 벨트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917A
KR20150005917A KR1020147027867A KR20147027867A KR20150005917A KR 20150005917 A KR20150005917 A KR 20150005917A KR 1020147027867 A KR1020147027867 A KR 1020147027867A KR 20147027867 A KR20147027867 A KR 20147027867A KR 20150005917 A KR20150005917 A KR 20150005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rod
weld
link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0151B1 (ko
Inventor
조나단 알 라세키
Original Assignee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4Endless load-carriers made of interwoven rop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65G17/06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the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being interconnected by a mesh or grid-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16G3/08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consisting of plates and screw-bolts or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7Molded joint
    • Y10T403/477Fusion bond, e.g., wel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는 링크 레그 재료로 형성된 레그를 가지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레그는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 벨트는 레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로드가 개구 내에 배치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로드의 자유 단부를 외측 링크 표면으로 부착하는 제 1 용접부로서, 제 1 용접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용접부, 및 제 2 용접 재료로 제조된 제 2 용접부를 포함하고, 제 2 용접부는 제 1 용접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제 2 용접 재료가 제 1 용접 재료와 상이할 수 있고, 제 1 용접 재료보다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내마모성 피쳐를 지닌 컨베이어 벨트 링크{CONVEYOR BELT LINK WITH WEAR RESISTANCE FEATURES}
본 개시는 연결 링크들과 커플링된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로드들(rods)로 제조된 컨베이어 벨트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내마모성 용접부들을 가지는 링크들을 이용하는 컨베이어 벨트들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들은, 제조 중에 상품들의 연속적인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서 수많은 상이한 산업 분야들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산업용 컨베이어 벨트들은, 일반적으로, 일련의 상호 연결 링크들이 용접되어 연결된 일련의 이격된 로드들을 포함한다. 작은 물품들의 제조의 경우에, 로드들이 직물, 플라스틱 또는 메시와 같은 금속 덮개로 덮여, 작은 물품들이 로드들 사이에서 미끄러지고 제조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형적인 컨베이어 벨트(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그러한 도 1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 5,954,188 호의 도 1에 상응한다. 컨베이어 벨트(10)는 메시(14)로 덮인 링크들(22)에 의해서 연결된 로드들(20)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버튼헤드(buttonhead)(32)가 로드들(20)의 단부들 상에 형성되어, 링크들(22)을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로드들(20)과 링크들(22) 사이의 보다 강하고 보다 확실한 연결을 위해서, 용접부가 버튼헤드(32)와 링크(22) 사이에 전형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무버튼(buttonless) 구성이 채택될 수 있고, 로드는, 링크의 레그(leg)를 넘어서는 상당한 돌출부를 생성하지 않으면서, 링크에 용접된다. 두 가지 타입의 경우에서, 용접부 및/또는 버튼헤드가,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들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컨베이어 벨트를 추진 또는 안내하는 드럼 또는 기타 장치와 접촉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들과의 이러한 접촉은 벨트 구성요소들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드럼과의 접촉으로 인해서, 용접부들 및/또는 버튼헤드들이 마모될 수 있고 및/또는 파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벨트의 고장을 유도할 수 있다.
드럼 및 다른 타입들의 벨트 추진 장치들로 인한 마모에 대항하여 컨베이어 벨트들을 보강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들은, 레그로부터 버튼헤드를 지나서 연장하고, 버튼헤드의 단부 면 위를 덮고, 그리고 드럼과 접촉하는 연장부들을 가지는 외측 레그들을 구비하는 링크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은 제조 및/또는 조립이 보다 복잡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은 상당한 양의 추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비용 및/또는 중량을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컨베이어 벨트들을 위한 마모 방지 피쳐(feature)들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개시는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는 자유 단부를 가지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드는 로드 재료의 긴(elongaged) 부분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는 또한, 링크 레그 재료로 형성되고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그를 가지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그는 상기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레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드가 개구 내에 배치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로드의 자유 단부를 상기 외측 링크 표면에 부착하는 제 1 용접부로서, 제 1 용접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용접부, 및 제 2 용접 재료로 제조된 제 2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용접부는 상기 제 1 용접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용접 재료가 상기 제 1 용접 재료와 상이할 수 있고, 제 1 용접 재료보다 상기 구동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 더 큰 내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는 자유 단부를 가지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드는 로드 재료의 긴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링크 레그 재료로 형성되고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그를 가지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그는 상기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레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드가 개구 내에 배치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로드의 자유 단부를 상기 외측 링크 표면에 부착하고 상기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접부는 용접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재료는 상기 구동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상기 로드 재료 및 상기 링크 레그 재료보다 큰 내성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는 자유 단부를 가지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드는 로드 재료의 긴 부분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는 또한, 링크 레그 재료로 형성되고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그를 가지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그는 상기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레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드가 개구 내에 배치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로드의 자유 단부를 상기 링크 레그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제 1 부착부로서, 제 1 부착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부착부; 및 제 2 부착 재료로 제조된 제 2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부착부는 상기 로드의 단부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부착 재료가 상기 제 1 부착 재료와 상이할 수 있고, 상기 구동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 제 1 부착 재료보다 큰 내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발명의 다른 시스템들, 방법들, 피쳐들 및 장점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자명해 질 것이다. 그러한 모든 추가의 시스템들, 방법들, 피쳐들 및 장점들이 이러한 설명 및 이러한 발명의 내용에 포함될 것이고, 그리고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며,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서 보호될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 및 설명을 참조할 때,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실척으로(scale) 도시된 것이 아니고, 그 대신에 발명의 원리를 설명할 때 강조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서, 상이한 도면들 전체를 통해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상응하는 부품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버튼헤드들을 가지는 로드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컨베이어 벨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버튼헤드 로드 상의 종래 기술의 컨베이어 벨트 링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4는 컨베이어 벨트의 예시적인 링크 및 로드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V을 따라서 취한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은, 미국 특허 제 5,954,18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링크들(22)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된 로드들(20)로 형성된 종래 기술의 컨베이어 벨트(10)를 도시한다. 와이어 메시 외피(14)는 링크들(22) 사이의 로드들(20)을 덮어, 컨베이어 벨트(10) 상에서 운송되는 상품들에 대한 추가의 지지를 제공한다. 컨베이어 벨트(10)의 일부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들(20)이 버튼헤드들(32)을 갖도록 형성된다. 버튼헤드들(32)은 링크들(22)을 제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로드들(20)은, 용접부들(25) 등에 의해 버튼헤드들(32)을 통해서 링크들(22)에 연결된다.
이러한 설명을 목적으로, "고정적으로(fixedly) 부착된" 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들이 (예를 들어, 구성요소들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파괴하지 않고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2개의 구성요소들을 지칭할 것이다. 고정된 부착의 예시적인 양상들(modalities)에는, 영구적인 접착제, 리벳들, 스티치들, 못들, 스테이플들, 용접, 브레이징, 납땜, 다른 타입들의 열접합, 및/또는 다른 결합 기술들을 이용한 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구성요소들이, 예를 들어 몰딩 프로세스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컨베이어 벨트(300)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300)는, 복수의 긴 로드들(310)에 의해서 연결된 복수의 링크들(305)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선(315)은, 컨베이어 벨트(300)의 대략적인 중간선을 나타낸다. 컨베이어 벨트(300)가 외측 단부들(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을 목적으로, 본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외측"이라는 용어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외측 단부들(320)을 향한 그리고 중심선(3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다. 반대로, "내측"이라는 용어는 중심선(315)을 향하고 컨베이어 벨트(300)의 외측 단부들(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명을 목적으로, "길이방향"이라는 용어는, 중심선(315)이 배향되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로드들(310)의 형상 및 치수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고, 로드들(310)의 각각은 로드 재료의 긴 부분으로 형성된 긴 원통형 본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들(310)이,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및/또는 다른 금속들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로드들(310)이, 플라스틱, 목재, 탄소 섬유, 및/또는 다른 비금속 재료들과 같은 비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310)가 실질적으로 중공형의 튜브 또는 파이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로드(310)가 중실형(solid)일 수 있다.
설명을 목적으로, 로드들(310)의 내측 부분들(중심선(315)에 근접함)을 도 3에서 절단하였다(truncated). 로드들(310)은 다양한 제품들(wares)을 지지 및 반송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들(310)이 원통형 본체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직경은, 컨베이어 벨트(300) 상에서 이동되는 상품들의 타입, 컨베이어 벨트(300)의 폭 및/또는 다른 고려사항들과 같은 인자들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들(310)이 테이퍼링(tapering) 또는 계단형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들(310)이 링크들(305)을 이용하여 작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링크들(305)은 대체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링크(305)는, 연결 부재(335)에 의해서 결합된, 내측 레그(325) 및 외측 레그(330)를 포함하는, 2개의 레그들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측 레그(325) 및 외측 레그(330)가 거울상 형태들일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레그(325) 및 외측 레그(330)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반대되는 배향을 생략하였고, 명료함을 위해서, 외측 레그(330)의 구조만을 특히 설명하였다. 외측 레그(330)는, 외측으로-테이퍼링된 전이 영역(345)에 의해서 비교적 직선형인 하부 부분(350)에 연결된 비교적 직선형인 상부 부분(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링크의 연결 부재(335)가 인접한 링크의 하부 부분(350)과 포개지는(nesting) 관계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링크들(305)의 상호 연결을 허용하기 위한 보다 넓은 하부 개구부(355)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링크의 다른 링크 내의 피팅(fitment)이 비교적 느슨한 피팅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구성요소들 사이의 수 밀리미터의 측방향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피팅이 실질적으로 더 타이트(tighter)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성요소들 사이의 최소 간격만을 남겨, 링크들이 포개질 때 링크들을 일정한 정렬로 유지할 수 있다.
긴 로드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링크들의 형태가 본 개시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링크들의 구성이 링크(305)보다 단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링크의 각각의 레그가 단일 직선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정 적용예들을 위해서 연결 링크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링크들이 링크(305)보다 많은 벤드들(bends) 및/또는 보다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들이 고려된다. 또한, 링크(305)에 대한 대칭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서로 거울상들을 가지는 것으로서 내측 레그(325) 및 외측 레그(330)가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링크(305)가 비대칭적일 수 있다.
각각의 로드(310)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서), 로드의 각각의 단부에 하나씩, 2개의 링크들(305)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벨트 세그먼트(360)를 형성할 수 있다. 벨트 세그먼트들(360)이 서로에 대해서 회전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로드(310)가 외측 레그들(330)의 상부 부분들(340) 내의 개구부들 및 내측 레그들(325) 내의 상응하는 개구부들을 통과할 수 있다. 로드들(310)이 하부 부분(350) 내에서 외측 레그(330)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한편, 로드들(310)이 상부 부분들(340) 내의 개구부들 및 내측 레그들(325) 내의 대응 부분(counterpart) 개구부들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300)가 접힐 수 있는(collapsible) 타입의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즉, 벨트 세그먼트들이 서로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 접힘성을 돕기 위해서, 외측 레그들(330)의 상부 부분들(340) 내의 개구부들 및 내측 레그들(325) 내의 대응 부분 개구부들이 길이방향으로 슬롯팅(slotting)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접한 벨트 세그먼트의 링크 내에서 주어진 벨트 세그먼트(360)의 로드의 길이방향 병진운동(translation)을 허용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0)가 양 외측 단부들(320)에서 또는 외측 단부들(320) 중 하나에서만 접힐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측 단부들(320)이 독립적으로 접힐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각각의 단부(320)가 컨베이어 벨트(300)의 대향하는 외측 단부(320)와 독립적으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독립적인 접힘성은 컨베이어 벨트(300)가 선회부들(turns) 주위에서 추진될 수 있게 한다. 즉, 선회부 주위에서 추진될 때, 선회부의 내측에 있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외측 단부(320)가 길이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반면, 선회부의 외측에 있는 외측 단부(3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컨베이어 벨트가 "선회-곡선(turn-curve)" 컨베이어 벨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0)가 드럼(365)과 같은 구조물에 의해서 구동되고, 당겨지고, 추진되고 및/또는 안내될 수 있다. 드럼(365)은, 컨베이어 벨트(300)의 외측 단부(320)와 접촉할 수 있는 구동 표면(370)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드럼(365)은 지정된 경로를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300)를 단순히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분리된 구동 메커니즘이 컨베이어 벨트(300)를 추진할 수 있고, 드럼(365)은 지정된 경로를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300)를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드럼(365)은, 컨베이어 벨트(300)를 안내하는 것에 더하여, 컨베이어 벨트(300)를 추진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300)가 구동 표면(37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 또는 다른 그러한 추진 또는 안내 장치의 구동 표면이 컨베이어 벨트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표면은 그러한 접촉을 위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의 구동 표면이 고무, 플라스틱, 금속, 및 기타 적합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경질, 마모성일 수 있고, 및/또는 파편들을 반송할 수 있고, 그러한 파편들은 구동 표면이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 부분 상의 접촉 용접부와 접촉하는 동안에 마모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드럼의 구동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접촉 용접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용접부들이 링크들의 외측 레그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용접부의 외측 표면이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용접부들(375)이 로드들(310)의 외측 단부들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촉 용접부들(375)은 컨베이어 벨트(300)의 구동 표면(37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벨트 조립체(360)의 일부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05)가 외측 레그(330)의 상부 부분(340) 내에 외측 슬롯(38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305)는 또한 내측 레그(325)의 상부 부분(390) 내에 내측 슬롯(385)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벨트 세그먼트가 인접한 벨트 세그먼트들과 조립될 때, 다른 벨트 세그먼트로부터의 로드가 외측 슬롯(380) 및 내측 슬롯(385)을 통과한다. 슬롯들(380 및 385)의 신장(elongation)은, 전술한 바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300)의 길이방향 접힘 및 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10)가 링크(305)의 외측 레그(330) 내의 개구(395) 내에 그리고 링크(305)의 내측 레그(325)의 개구(4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로드(310)가 도 4에서 중실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로드(310)가 중공형일 수 있는 실시예들이 또한 고려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외측 레그(330)가 개구(395) 내에서 로드(3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개구(395) 내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310)가 제 1 용접부(410)를 이용하여 외측 레그(330)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가 벨트의 외측(즉, 측부) 표면들의 마모를 방지 또는 감소하기 위한 피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가 링크의 외측 레그의 외측-대면 표면 상의 접촉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접부는 드럼의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마모성 접촉 용접부가 없는 경우에 동작 중에 드럼과 접촉될 수 있는 링크의 다른 구성요소들보다, 접촉 용접 재료가 보다 큰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가 중복 용접부(overweld)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제 1 용접부 위의 제 2 용접부가 제 1 로드를 링크의 외측 레그에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가 링크의 외측 레그 상의 유일한 용접부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내마모성 최외측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크의 외측 레그 내의 로드의 고정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촉 용접부는 컨베이어 벨트의 다른 구성요소들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도록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용접부가 제 1 용접부 및/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를 위해서 이용되는 재료가, 하부 재료들(즉, 제 1 용접부, 로드, 및 링크의 외측 레그)보다 큰 마모성을 가지는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용접부를 위해서 이용되는 필러 재료가 하부 재료들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러 재료가 반드시 더 큰 내마모성의 재료일 필요는 없으나, 용융되고 필러와 혼합되는 하부 재료들의 비교적 적은 양과 조합될 때, 결과적인 용접부가 하부 재료들보다 더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는, 하부 재료들보다 더 경질인 덕분에, 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보다 경질인 재료들이 종종 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기 때문에, 필러 재료가 보다 하부 재료 더 경질인 접촉 용접부를 위해서 선택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부 재료보다 경질인 용접부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낮은 표면 조도(粗度)를 가지는 비교적 매끄러운 외측 표면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접촉 용접부가 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매끄러운 표면은 컨베이어 벨트와 드럼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컨베이어 벨트와 드럼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유발되는 마모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가, 보다 내구성이 좋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결합된 폴리머들, 열처리된 금속들, 및 다른 적합한 재료들과 같이, 하부 재료들의 경도와 유사한 또는 그보다 더 낮은 경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큰 내구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접촉 용접부가 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게 하는 재료로 접촉 용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들 및 로드들이,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합금들, 및 기타 금속들과 같은 금속들; 열가소성 수지들(thermoplastics), 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기타 다른 적합한 그러한 재료들과 같은, 폴리머들/플라스틱들; 및/또는 세라믹들과 같은 실리콘계 재료들뿐만 아니라 다른 비금속 재료들,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탄소 섬유, 및 다른 탄소계, 비금속 재료들을 포함하는 다른 비금속 재료들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재료들 중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들이 또한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접촉 용접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필러 재료들이, 예를 들어, 금속들, 열가소성 수지들, 세라믹들과 같은 실리콘계 재료들뿐만 아니라, 그라파이트와 같은 탄소계 재료들, 및 기타 다른 적합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용접부(375)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용접부(410) 위의 제 2 용접부로서 추가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300)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접촉 용접부(375)는, 제 1 용접부(410)보다 구동 표면(370)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 더 큰 내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375)가 외측 레그(330) 및/또는 로드(3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용접부로 경화되는 필러 재료로 용접 풀(pool)을 형성하기 위해서, 용접 프로세스들이 하부 재료들의 작은 부분들을 용융시키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설명을 목적으로, 첨부된 도면들은 용접부 및 용접부들에 의해서 결합된 구성요소들을 구분된 구성요소들로서 도시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접합부들이 보다 전이적일(transitional) 수 있다는 것, 즉 구성요소들(및 필러 재료)의 재료의 혼합물로 형성된 인접 부분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들 대신에, 링크들의 외측 레그들 상으로, 및/또는, 일부 경우들에서, 하부 용접부들 상으로 또는 로드들로 직접적으로 브레이징되거나 납땜되는 접촉 부재들을 컨베이어 벨트가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징 및 납땜은 하부 재료(공작물)의 용융을 포함하지 않는다. 브레이징 및 납땜에서는, 추가 재료만이 용융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가 브레이징 또는 납땜을 이용하여 링크에 고정될 수 있다. 내마모성 중복 용접부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용접뿐만 아니라, 브레이징 또는 납땜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컨베이어 벨트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링크(305)의 외측 레그(330)의 하부 부분(350)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4의 지역 V의 확대 단면도이다. 로드(310)는, 개구(395) 내로, 그리고 일부 경우들에서 개구(395)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자유 단부(415)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10)가 링크(305)의 외측 레그(330) 내의 개구(395)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용접부(410)에 의해서 자유 단부(415)에 근접한 개구(39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링크와 로드 사이의 갭이 설명을 목적으로 과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구(395) 내의 로드(310)와 링크(305) 사이의 갭이 설명 중의 명료함을 위해서 과장되어 있다. 제조 중에, 이러한 갭이 상당히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로드(310)의 외주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 개구(395) 내의 로드(310)와 링크(305) 사이의 접촉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375)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375)가 중복 용접(overweld)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제 2 용접부가 자유 제 1 용접부(410), 로드(310) 및/또는 외측 링크 표면(420)의 일부 위에 형성된다. 접촉 용접부(375)는, 드럼(365)의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300)의 최외측 표면(425)을 형성할 수 있다. "최외측"임에 따라, 최외측 표면(425)이 외측 링크 표면(420)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할 수 있다. 이는, 드럼(365)의 구동 표면(370)과 컨베이어 벨트(300) 사이의 접촉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접촉 용접부(375)에 대해서 발생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접촉 용접부는 컨베이어 벨트(300)의 다른 구성요소들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외측 표면(425)이, 외측 링크 표면(420)으로부터 외측으로, 치수(435)에 의해서 표시된 거리로 연장할 수 있다.
드럼의 구동 표면이 컨베이어 벨트 구성요소들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는 한편, 컨베이어 벨트 구성요소들이 또한 구동 표면을 마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헤드 로드들과 같이, 외측 링크 레그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큰 및/또는 날카로운 돌출부들이 드럼의 구동 표면에 대한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그러한 돌출부들은 구동 표면의 큰 덩어리들(chunks)의 제거를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로 접촉 용접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링크들이 무버튼 로드들과 함께 유지될 수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이해하겠지만, 컨베이어 벨트들에 관한 문맥에서, "버튼헤드"라는 용어는 로드의 외측 단부에서의 구상(bulbous) 돌출부를 지칭한다. 그러한 구상 돌출부는 링크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뿐만 아니라, 로드가 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로드가 통과하는 링크 레그 내의 개구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당업자들이 또한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무버튼"이라는 용어는 버튼헤드를 가지지 않는 로드들, 보다 구체적으로, 로드의 나머지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자유 단부들에서 종료되는 로드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무버튼"은, 작은 계단형 지역이, 외측 링크 표면과 정확히 같은 높이(flush)는 아니지만, 외측 링크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도록 작은 계단형 지역이 링크 개구 위에 배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버튼헤드형 및 무버튼 컨베이어 벨트 로드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미국 특허출원 제 2008/0169173 호 및 미국 특허출원 제 2010/0236902 호에 제시되어 있고, 이러한 특허들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러한 공보들에서 설명된 무버튼 로드들의 다른 장점은, 버튼헤드들이 없는 상태에서, 음식물들과 같은 파편들이 축적되기 쉬운 지역들을 컨베이어가 적게 가진다는 것이다.
접촉 용접부가, 무버튼 구성과 같은,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는 하나의 방식은, 개구 내의 로드의 단부 면을 리세스 처리(recessing)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개구의 나머지가 용접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링크 표면(420)의 내측에 위치된 단부 면(430)에서 개구(395) 내에서 종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 면(430)이 거리 치수(440)만큼 외측 링크 표면(420)의 내측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410)가 로드(310)의 단부 면(430)과 외측 링크 표면(420) 사이의 개구(395)의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접부(410)가 개구(395)의 나머지를 실질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410)의 외측 표면(445)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링크 표면(420)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410)의 외측 표면(445)이 외측 링크 표면(420)과 정확히 동일 높이/동일 평면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410)의 외측 표면(445)이 외측 링크 표면(420)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동일 평면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비교적 작은 돌출 또는 리세스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제 1 용접부(410)의 외측 표면(445)이 외측 링크 표면(420)의 약간 외측으로 연장하나, 외측 링크 표면(420)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동일 평면으로 유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용접부(375)가 제 1 용접부(410)를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375)가 제 1 용접부(41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375)가 링크(305)의 외측 레그(33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용접부(375)가 외측 링크 표면(420)의 부분(450)을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가 외측 링크 표면으로부터 적은 양으로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외측 링크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동일 평면인 제 1 용접부들을 가지는 실시예들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접촉 용접부가 제 1 용접부를 덮을 수 있다. 그러나, 외측 링크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제 1 용접부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접촉 용접부를 위해서 보다 적은 양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접촉 용접부들을 위해서 이용되는 보다 큰 내마모성의 재료들이 제 1 용접부를 위해서 이용되는 재료들보다 고가이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많은 제 1 용접 재료 및 적은 접촉 용접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610)가 링크(60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610)의 자유 단부(615)가 제 1 용접부(640)를 이용하여 링크(605) 내의 개구 내에 용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용접부가, 도 6의 치수(680)에 의해서 표시된 거리 만큼, 링크(60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교할 때, 양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들의 외측 치수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일한 외측 치수들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적은 접촉 용접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645)가 제 1 용접부(6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645)가 제 1 용접부(640)보다 더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605) 및/또는 로드(6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640)가,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접촉 용접부(645)에 의해서 완전히 덮일 수 있다. 도 6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645)가 제 1 용접부(640)뿐만 아니라, 로드(610)의 자유 단부(615) 및 개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도 7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는 링크 및 링크(705)의 개구 내에 배치된 자유 단부(715)를 가지는 로드(7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710)의 자유 단부(715)가 제 1 용접부(740)를 이용하여 개구 내에 용접될 수 있다. 접촉 용접부(745)가 제 1 용접부(740), 로드(710)의 자유 단부(715), 및/또는 개구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710)는, 외측 링크 표면(735)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 또는 동일 평면인 단부 면(750)에서의 개구 내에서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용접부(740)가 도 7의 치수(755)에 의해서 표시된 거리만큼 로드(710)의 단부 면(75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745)가 제 1 용접부(7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745)가 제 1 용접부(7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705) 및/또는 로드(7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는, 로드(810)에 연결된 링크(8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810)가 개구(815)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815)보다 큰 버튼헤드(820)로 종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그러한 로드(810)는, 외측 링크 표면(835)의 외측에 위치된 단부 면에서 종결될 수 있다. 로드(810)가 제 1 용접부(840)를 이용하여 개구(815) 내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845)가 제 1 용접부(840), 버튼헤드(820), 및/또는 개구(815)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845)가 제 1 용접부(840), 버튼헤드(820), 및/또는 개구(815)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845)가 제 1 용접부(8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845)가 제 1 용접부(8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805) 및/또는 로드(8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접부(840)가 개구(815) 내의 내측 용접부 부분(850) 및 링크(805)의 외측 링크 표면(835)에 배치된 외측 용접부 부분(85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측 용접부 부분(850)이 생략될 수 있고, 외측 용접부 부분(855)이 버튼헤드(820)를 링크(805)에 고정하는 유일한 수단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840) 및 접촉 용접부(845) 각각이 버튼헤드(820), 개구(815), 및/또는 외측 링크 표면(835)의 일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용되는 용접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접촉 용접부가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용접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가 버튼헤드의 측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가 버튼헤드의 측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용접부가 버튼헤드의 외주 주위로 연장할 수 있다. 버튼헤드의 외측 단부로부터 제 1 용접 재료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서, 접촉 용접부가 추가될 수 있는 한편,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에 관한 요건들에 의존하여, 그러한 보다 작은, 그리고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용접부들이 이용될 수 있다. 내구성이 높은(heavy duty) 벨트들이 보다 큰 제 1 용접부들을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예를 들어 보다 가벼운 상품들을 운송하기 위한 벨트들은 비교적 작은 제 1 용접부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가 로드(910)에 연결된 링크(9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910)가 개구(915)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915)보다 큰 버튼헤드(920)로 종결될 수 있다. 로드(910)는 제 1 용접부(940)를 이용하여 링크(905)의 외측 표면(935)에 용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접부(940)가 버튼헤드(920)의 일 측부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945)가 버튼헤드(920) 및 제 1 용접부(94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945)가 제 1 용접부(9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945)가 제 1 용접부(9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905) 및/또는 로드(9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의 서비스 요건들에 따라서, 더 작은 제 1 용접부(94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버튼헤드(920)를 완전히 덮고 외측 링크 표면(935)과 추가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용접부(945)와 같은 제 2 용접부를 이용하는 것이 로드(910)와 링크(905) 사이의 부착부의 강도에 부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용접부(945)에 의해서 보다 많은 구조적 지지/고정이 제공됨에 따라, 제 1 용접부(940)가 비교적 작을 수 있다. 이는, 제 1 용접 재료의 최소한의 이용, 낮은 프로파일, 및 가벼운 중량을 제공한다.
도 10은, 제 1 용접부들이 버튼헤드의 측부 부분들 상에 배치되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는, 로드(1010)에 연결된 링크(10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010)가 개구(1015)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1015)보다 큰 버튼헤드(1020)로 종료될 수 있다. 로드(1010)는 제 1 용접부(1040)를 이용하여 링크(1005)의 외측 표면(1035)에 용접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접부(1040)가 버튼헤드(1020)의 외주 주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1045)가 버튼헤드(1020) 및 제 1 용접부(104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045)가 제 1 용접부(10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045)가 제 1 용접부(10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1045)가 링크(1005) 및/또는 로드(10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용접부들 대신에, 단일의 내마모성 용접부가 각각의 링크의 외측 레그 상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용접부가 링크 및/또는 로드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단일 용접부가 링크에 대한 로드의 고정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드럼의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용접부만을 이용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감소된 양의 용접 재료가 이용될 수 있고, 용접부의 프로파일이 비교적 얕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는, 로드(11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링크(11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110)는, 단부 면(1130), 자유 단부(1115)를 가지는 로드 재료의 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1110)가 링크(1105)의 외측 레그(1125)의 개구(11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1110)가 개구(1115) 내에서 접촉 용접부(1140)와 고정될 수 있다.
접촉 용접부(1140)는, 컨베이어 벨트를 추진 및/또는 안내하도록 구성된 드럼(1138)의 구동 표면(1137)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1135)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촉 용접부(1140)가 드럼(1138)의 구동 표면(1137)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140)가 링크(1105)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11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용접부가 내마모성 성질들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예를 들어, 링크(1105)의 외측 레그(1125)가 레그 링크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140)가, 레그 링크 재료보다 경질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그러한 재료들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면(1130)이 외측 링크 표면(113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접촉 용접부(1140)가 비교적 얕은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용접부(1140)가 로드(1110)의 자유 단부(1115)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140)가 개구(1118)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1140)가 링크(1105)의 외측 레그(1125)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로드(1210)가 개구(1215) 내에 고정된, 링크(1205)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며, 상기 로드(1210)는 그러한 로드(1210)의 자유 단부(1220)에서 개구(1215) 내에서 종료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10)가 접촉 용접부(1240)를 이용하여 개구(1215)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2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10)의 단부 면(1230)이 외측 링크 표면(1235)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 또는 동일 평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11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1305)가 개구(1315) 내에서 로드(1310)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1310)는, 개구(1315)보다 큰 버튼헤드(1320)에서 종결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1340)가 로드(1310)를 링크(1305)에 고정할 수 있고, 버튼헤드(1320)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드럼 또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추진 및/또는 안내 장치의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접부(134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헤드(13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340)가, 링크(1305) 및/또는 로드(13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들에서, 용접부들을 위해서 이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재료비, 중량, 또는 다른 고려사항들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앞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부들이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용접부들이 단지 적은 양만큼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낮은 프로파일 용접부들을 이용하는 이유는, 전술한 비용 및 중량과 같은 인자들을 기초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부들이 드럼의 구동 표면에 대해서 유발할 수 있는 마모 및 기타 구조적 손상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또한, 낮은 프로파일 용접부들은 발판(foot pieces)과 같이 파편들을 포집할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
전술한 이유들로, 낮은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및/또는 감소된 양의 재료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예들은 로드 및/또는 개구의 부분들만을 덮는 용접부들을 이용한다.
도 14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로드(1410)가 개구(1415) 내에 고정된, 링크(1405)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오프셋 접촉 용접부(1440)가 로드(1410)와 함께 접합 링크(1405)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440)가 개구(1415) 및 로드(1410)의 중심을 벗어난(off-center)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접촉 용접부(1440)가 로드(1410)를 링크(1405)에 부착할 수 있고 로드(1410) 및 링크(1405)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드럼 또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추진 및/또는 안내 장치의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440)가, 링크(1405) 및/또는 로드(14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전술한 도 14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양식으로 배열된 링크(1505), 로드(1510), 및 개구(1515)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로드(1510)의 중심을 벗어난 부분 및 개구(1515)에 배치된 제 1 용접부(1540)뿐만 아니라, 제 1 용접부(1540)를 덮는 접촉 용접부(15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용접부(1545)가 제 1 용접부(1540) 위에서 그 배치가 실질적으로 센터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545) 및 제 1 용접부(1540)가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545)가 제 1 용접부(15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545)가 제 1 용접부(15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1505) 및/또는 로드(15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1605)가 개구(1615) 내에서 로드(1610)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610)는, 개구(1615)보다 큰 버튼헤드(1620) 내에서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제 1 용접부(1640)가 로드(1610)를 링크(1605)에 부착할 수 있고, 버튼헤드(162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드럼 또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추진 및/또는 안내 장치의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접촉 용접부(1645)가 제 1 용접부(1640)에 부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645)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헤드(1620)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645)가 제 1 용접부(16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645)가 제 1 용접부(16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1605) 및/또는 로드(16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이다. 도 17은 전술한 도 16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양식으로 배열된 링크(1705), 로드(1710), 개구(1715), 및 버튼헤드(1720)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는, 링크(1705)의 외측 레그 상의 단일 접촉 용접부(1740)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용접부(1740)가 버튼헤드(1720)에 대해서 오프셋될 수 있고, 버튼헤드(1720)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740)가 링크(1705) 및/또는 로드(17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용접부들에 대해서 적은 재료를 이용하는, 전술한 장점들에 비추어, 비교적 작은 접촉 용접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교적 작은 접촉 용접부들이 제 1 용접부 또는 버튼헤드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나, 그러한 접촉 용접부들은 링크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18은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이다. 도 18은, 링크(1805)의 외측 레그 내의 개구(1815) 내에 고정된 로드(1810)를 가지는 링크(1805)를 도시한다. 제 1 용접부(1840)가 링크(1805)와 로드(1810)를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1845)가 제 1 용접부(184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845)가 제 1 용접부(1840)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845)는 드럼의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 표면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나, 접촉 용접부(1845)가 링크(1905)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845)가 제 1 용접부(18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845)가 제 1 용접부(18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1805) 및/또는 로드(18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이다. 도 19는 개구(1915) 내에 수용된 로드(1910)를 가지는 링크(1905)를 도시한다. 또한, 로드(1910)는, 개구(1915)보다 큰 버튼헤드(1920)로 종결될 수 있다. 제 1 용접부(1940)가 버튼헤드(1920)의 외주 주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작은 접촉 용접부(1945)가 버튼헤드(19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945)가 제 1 용접부(194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945)가 링크(1905)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1945)가 제 1 용접부(194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 용접부(945)가 제 1 용접부(194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용접부가 링크(1905) 및/또는 로드(1910)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구성요소들이 여러 가지 타입들의 부착부들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착부들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또는 비금속 용접부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정 부착부들이 접착제일 수 있는 반면, 다른 부착부들이 용접부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로드의 자유 단부를 링크 레그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제 1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착부가 제 1 부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가 제 2 부착 재료로 제조된 제 2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제 2 부착부가 상기 로드의 단부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부착부가,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부착 재료가 제 1 부착 재료와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부착 재료가, 제 1 용접 재료보다, 구동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 보다 큰 내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부착 재료가 접착제일 수 있고, 제 2 부착부가 용접부일 수 있다.
(비록 상이한 부착 재료들의 개념이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지만) 도 19를 예로서 이용할 때, 일부 실시예들에서, 링크(1905)가 세라믹과 같은 실리콘계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로드(1910)가 금속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용접부(1940) 대신에, 접착제 부착부가 이용될 수 있다. 제 2 부착 재료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용접부(1945)가, 금속 로드(1910)에 부착된 금속 용접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부착부(예를 들어, 제 1 용접부 또는 부착부(1940))가 제 1 부착부(예를 들어, 제 2 용접부 또는 부착부(194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고, 당업자는, 발명의 범위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고려할 때를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의 특징들이 본 개시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변형들 및 변화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6)

  1.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로서:
    자유 단부를 가지는 로드로서, 상기 로드는 로드 재료의 긴(elongated) 부분을 포함하는 로드;
    링크 레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그를 가지는 링크로서, 상기 레그는 상기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링크;
    상기 레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로서, 내부에 상기 로드가 배치되는 개구;
    상기 로드의 자유 단부를 외측 링크 표면에 부착하는 제 1 용접부로서, 제 1 용접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용접부; 및
    제 2 용접 재료로 제조된 제 2 용접부로서, 상기 제 1 용접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용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접 재료는 제 1 용접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제 2 용접 재료는 구동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 제 1 용접 재료보다 큰 내성을 가지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부가 제 1 용접부를 완전히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부가 제 1 용접부 및 로드의 자유 단부를 완전히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부가 제 1 용접부, 로드의 자유 단부, 및 개구를 완전히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중실형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부가 링크 레그의 일부를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부가 제 1 용접 재료보다 경질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 재료가 제 1 용접 재료, 링크 레그 재료, 및 로드 재료보다 경질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 재료가 금속,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계 재료, 또는 탄소계 비금속 재료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그 재료가 금속,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계 재료, 또는 탄소계 비금속 재료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개구 내에서, 외측 링크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인 단부 면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접부의 외측 표면이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부 면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접부의 외측 표면이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개구 내에서, 외측 링크 표면 내측에 위치되는 단부 면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접부의 외측 표면이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접부의 외측 표면이 상기 외측 링크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외측 링크 표면의 외측에 위치된 단부 면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접부의 외측 표면이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개구보다 큰 버튼헤드(buttonhead)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부가 버튼헤드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접부가 버튼헤드를 완전히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3.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로서:
    자유 단부를 가지는 로드로서, 로드 재료의 긴 부분을 포함하는 로드;
    링크 레그 재료로 형성되고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그를 가지는 링크로서, 상기 레그는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링크;
    상기 레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로서, 내부에 상기 로드가 배치되는 개구;
    상기 로드의 자유 단부를 외측 링크 표면에 부착하고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용접부로서, 용접 재료를 포함하는 용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재료는 상기 구동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 로드 재료 및 링크 레그 재료보다 큰 내성을 가지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가 로드의 자유 단부를 완전히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가 개구를 완전히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중실형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가 링크 레그의 일부를 더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재료가 로드 재료 및 링크 레그 재료보다 경질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재료가 금속,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계 재료, 또는 탄소계 비금속 재료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그 재료가 금속,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계 재료, 또는 탄소계 비금속 재료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개구 내에서, 외측 링크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인 단부 면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부 면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개구 내에서, 외측 링크 표면 내측에 위치되는 단부 면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의 외측 표면이 외측 링크 표면을 지나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개구보다 큰 버튼헤드에서 종결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가 버튼헤드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가 버튼헤드를 완전히 덮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8.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로서:
    자유 단부를 가지는 로드로서, 로드 재료의 긴 부분을 포함하는 로드;
    링크 레그 재료로 형성되고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그를 가지는 링크로서, 상기 레그는 구동 표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외측 링크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링크;
    상기 레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로서, 내부에 상기 로드가 배치되는 개구;
    상기 로드의 자유 단부를 링크 레그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제 1 부착부로서, 제 1 부착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부착부; 및
    제 2 부착 재료로 제조된 제 2 부착부로서, 상기 로드의 단부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구동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최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부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착 재료가 제 1 부착 재료와 상이하고, 상기 제 2 부착 재료는 구동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서, 제 1 부착 재료보다 큰 내성을 가지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재료가 접착제이고, 상기 제 2 부착부가 용접부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착 재료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재료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부가 용접부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43.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착부가 제 1 부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44.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그 재료가 실리콘계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그 재료가 세라믹인 것인 컨베이어 벨트.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재료가 금속이고, 상기 로드를 링크 레그에 부착하는 제 1 부착 재료가 접착제이고, 상기 제 2 부착부가 금속 용접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컨베이어 벨트.
KR1020147027867A 2012-03-06 2013-03-05 내마모성 피쳐를 지닌 컨베이어 벨트 링크 KR101670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12,988 US8844713B2 (en) 2012-03-06 2012-03-06 Conveyor belt link with wear resistance features
US13/412,988 2012-03-06
PCT/US2013/028993 WO2013134189A1 (en) 2012-03-06 2013-03-05 Conveyor belt link with wear resistance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917A true KR20150005917A (ko) 2015-01-15
KR101670151B1 KR101670151B1 (ko) 2016-10-27

Family

ID=4911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867A KR101670151B1 (ko) 2012-03-06 2013-03-05 내마모성 피쳐를 지닌 컨베이어 벨트 링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44713B2 (ko)
EP (1) EP2822880B1 (ko)
JP (1) JP6138172B2 (ko)
KR (1) KR101670151B1 (ko)
CN (1) CN104487364B (ko)
BR (1) BR112014022110B1 (ko)
CA (1) CA2866376C (ko)
DK (1) DK2822880T3 (ko)
ES (1) ES2703908T3 (ko)
TR (1) TR201819002T4 (ko)
WO (1) WO2013134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5405B1 (en) * 2013-06-28 2021-09-01 Tsubakimoto Chain Co. Conveyor belt and chain link
JP6547545B2 (ja) * 2015-09-24 2019-07-24 横浜ゴム株式会社 コンベヤベルトの摩耗状態把握方法
KR101948700B1 (ko) * 2016-07-0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EP3369681B1 (en) 2017-03-03 2020-12-30 Cambridge International, Inc. Direct edge drive conveyor belt
EP3966135A4 (en) 2019-05-08 2023-01-18 Cambridge International, Inc. DIRECT DRIVE SPIRAL CONVEYOR SYSTEMS AND PROCESSES
EP4021829A4 (en) 2019-08-29 2023-11-22 Cambridge International, Inc. ACTIVE DIRECT DRIVE SPIRAL CONVEYOR BELT SYSTEMS AND METHODS
CN113511463A (zh) * 2020-04-12 2021-10-19 金倍励金属(苏州)有限公司 一种适用于食品加工用螺旋塔网带
CN111532663A (zh) * 2020-05-30 2020-08-14 金倍励金属(苏州)有限公司 一种金属网带链节结构
US20220221087A1 (en) * 2021-01-08 2022-07-14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elically wound pipe and relate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0882B1 (en) * 1999-06-18 2002-03-26 Cambridge,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00043348A1 (en) * 2008-08-21 2010-02-25 Houghton & Myers Llc Building metal frame, and method of making, and components therefor including column assemblies and full-length beam assemblies
US20100236902A1 (en) * 2007-01-11 2010-09-23 Ashworth Brothers, Inc. Buttonless Conveyor Bel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0400A (en) * 1971-06-17 1974-04-02 Koehring Co Automatic plastic bottling system and method
US4078655A (en) 1977-02-25 1978-03-14 Ashworth Bros., Inc. Small radius conveyor belt and conveying system
US5423416A (en) 1993-09-03 1995-06-13 Ashworth Brothers, Inc. Conveyor belts with spiral overlay
US5954187A (en) 1996-01-22 1999-09-21 Cambridge, Inc. Conveyor rod in side link connection
US6202833B1 (en) 1997-02-20 2001-03-20 Wire Belt Company Of America Conveyor belt with variable spacing
US5954188A (en) 1997-06-12 1999-09-21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NL1010842C2 (nl) 1998-12-18 2000-06-20 Kaak Johan H B Inrichting voor het transporteren van voorwerpen.
US6354432B1 (en) * 1999-06-18 2002-03-12 Cambridge,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375895B1 (en) 2000-06-14 2002-04-23 Att Technology, Ltd. Hardfacing alloy, methods, and products
US6884959B2 (en) 2001-09-07 2005-04-26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Controlled composition welding method
ATE348062T1 (de) * 2003-07-17 2007-01-15 Ashworth Jonge Poerink Bv Glied zur verbindung von stangen eines um einer angetriebenen trommel spiralförmig gewickelten förderbands, föderband und förderer mit solchen gliedern
US7073662B2 (en) * 2004-02-20 2006-07-11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assembly
US7802675B2 (en) 2005-05-13 2010-09-28 Ramsey Products Corporation End protector link for conveyor chain
DK1928766T3 (da) 2005-09-02 2013-07-08 Span Tech Llc Slidbestandig konnektor til en båndtransportør med modulforbindelsesled
US7530454B2 (en) * 2005-11-08 2009-05-12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JP2009078909A (ja) 2007-09-27 2009-04-16 Hitachi Metals Techno Ltd チェン
US7673732B2 (en) * 2007-09-28 2010-03-09 Pro Engineering & Manufacturing, Inc. Transfer plate and method of interfacing to a belt
CN201529547U (zh) * 2009-11-10 2010-07-21 中煤张家口煤矿机械有限责任公司 破碎机用u形槽堆焊耐磨锤头
JP2012020830A (ja) 2010-07-14 2012-02-02 Kansai Kanaami Kk コンベヤベル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0882B1 (en) * 1999-06-18 2002-03-26 Cambridge,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00236902A1 (en) * 2007-01-11 2010-09-23 Ashworth Brothers, Inc. Buttonless Conveyor Belt
US20110278135A1 (en) * 2007-01-11 2011-11-17 Ashworth Brothers, Inc. Buttonless Conveyor Belt
US20100043348A1 (en) * 2008-08-21 2010-02-25 Houghton & Myers Llc Building metal frame, and method of making, and components therefor including column assemblies and full-length beam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3681A1 (en) 2013-09-12
US8844713B2 (en) 2014-09-30
TR201819002T4 (tr) 2019-01-21
CN104487364A (zh) 2015-04-01
KR101670151B1 (ko) 2016-10-27
EP2822880A4 (en) 2016-01-13
BR112014022110B1 (pt) 2021-02-23
EP2822880B1 (en) 2018-09-12
CN104487364B (zh) 2017-02-22
EP2822880A1 (en) 2015-01-14
JP6138172B2 (ja) 2017-05-31
CA2866376A1 (en) 2013-09-12
DK2822880T3 (en) 2019-01-07
CA2866376C (en) 2016-08-23
JP2015513506A (ja) 2015-05-14
ES2703908T3 (es) 2019-03-13
WO2013134189A1 (en)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151B1 (ko) 내마모성 피쳐를 지닌 컨베이어 벨트 링크
CA2871775C (en) Conveyor belt with composite link
KR101659605B1 (ko) 소팅 컨베이어
US7530452B2 (en) Conveyor guard
US4556143A (en) Conveyor
EP2861512B1 (en) Conveyor belt link having wear resistant portion
KR101653072B1 (ko) 버튼리스 컨베이어 벨트
JP2006513115A (ja) モジュラー・プラスチックコンベヤベルトにおけるフレキシブルなフライト・モジュール
US20100319150A1 (en) Flexible strip brush, flexible belt bru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510238A (ja) 空圧式材料搬送システムの送管部、および管継手の形成方法
US20120291215A1 (en) Flexible strip brush, flexible belt bru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5524589A (ja) コンベヤベルト
CN104627262B (zh) 橡胶履带
JP6860408B2 (ja) プロフィル及びプロフィル付きベル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6639371B2 (ja) フロアコンベヤ
WO2012118123A1 (ja) レール
JP2011162279A (ja) 簡易スチール製コンベヤベルト
JPH08270736A (ja) 棧付ベルトの接合構造
JP2004528254A (ja) コンベヤおよびコンベヤのビーム側部用接続部材
CN103842269B (zh) 弯曲带式输送机和用于所述输送机的链
EP2396255B1 (fr) Courroie à crête transporteuse en matière thermoplastique
MXPA05007950A (es) Transportador no deslizante y metodo para producir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