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797A -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797A
KR20150005797A KR1020130078775A KR20130078775A KR20150005797A KR 20150005797 A KR20150005797 A KR 20150005797A KR 1020130078775 A KR1020130078775 A KR 1020130078775A KR 20130078775 A KR20130078775 A KR 20130078775A KR 20150005797 A KR20150005797 A KR 20150005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ur gear
buckle
vehicle
fastening bracket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운
김경봉
Original Assignee
(주)파인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인세스 filed Critical (주)파인세스
Publication of KR2015000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lift buckle)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클부의 승하강을 위한 기어 구조가 단순화되어 장치의 소형화 및 제조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차량 운전중 충격이 가해질 때 버클부를 신속히 하강시켜 승객을 시트에 구속함으로써 사고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프리 세이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는 차량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체결 브라켓; 상기 체결 브라켓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가 동작을 시작하면 회전하는 제1 평기어; 상기 체결 브라켓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평기어에 치합되어 제1 평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평기어; 그리고, 상기 제2 평기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 평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버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LIFT BUCKLE APPARATUS OF SEATBEL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lift buckle)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클부의 승하강을 위한 기어 구조가 단순화되어 장치의 소형화 및 제조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차량 운전중 충격이 가해질 때 버클부를 신속히 하강시켜 승객을 시트에 구속함으로써 사고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프리 세이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 등 탑승자의 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트벨트는 알려진 것처럼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웨빙(webbing), 상기 웨빙이 감겨 있는 리트랙터(retractor), 웨빙 끝부분의 벨트 텅(tongue)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buckle)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벨트 웨빙은 사고 등으로 인한 차량 급정차 또는 전복 시 사용자의 신체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퉁겨져 나가거나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트랙터는 권취 릴에 의해 웨빙을 감아 보관하는 부분으로서, 벨트 착용 시에는 웨빙 권취 릴의 회전이 자유로워 벨트의 인출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며, 벨트 착용 후에는 평상적인 탑승자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비교적 약한 힘으로도 벨트의 인출이 가능한 권취력만이 유지되도록 한다. 반면에, 차속이 급감하는 비상 시에는 벨트가 인출되는 방향으로의 권취 릴 회전을 제한하여 탑승자를 시트 위에 그대로 잡아두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빙에 끼워진 벨트 텅과 결합되어 벨트를 고정하는 버클은 벨트 텅과의 결합이 자유롭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평상 시에는 벨트의 착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주고, 비상 시에는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벨트를 잡아 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시트벨트 구조는 버클 상단이 차량 시트의 후방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상 나쁠 뿐 아니라 탑승자가 시트에 앉을 때 버클이 엉덩이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착석감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격이 큰 사람이 차량 시트에 착석할 때에는 버클 상단이 탑승자의 엉덩이에 가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경우 버클 텅을 버클에 체결할 때 탑승자가 일일이 버클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량에 탑승객이 없을 시에는 버클이 차량 시트 아래에 수납된 상태로 있다가 운전자 등 탑승객이 시트에 앉을 때 버클이 자동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외관상 미감을 높이고 벨트 착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리프트 버클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리프트 버클 구조는 버클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복잡한 기어 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무게가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제조비용이 높아 일반적인 차량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체결 브라켓; 상기 체결 브라켓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가 동작을 시작하면 회전하는 제1 평기어; 상기 체결 브라켓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평기어에 치합되어 제1 평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평기어; 그리고, 상기 제2 평기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 평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버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평기어의 중앙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브라켓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2 평기어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2 평기어의 전면을 지지하여 제2 평기어가 플랜지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 너트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 평기어의 후면에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 브라켓에는 상기 제2 평기어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가 걸려 제2 평기어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하는 제1, 2 걸림턱이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클부의 최대 하강위치에서 스토퍼가 걸리는 제2 걸림턱 부위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 브라켓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평기어의 후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2 평기어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래칫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브라켓의 전면에는 제2 평기어와 체결 브라켓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체결 브라켓의 후면에는 제2 평기어를 끌어당겨 상기 래칫이 관통공에 삽입되게 하는 전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는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제1 평기어를 회전시키면 제2 평기어가 회전하여 제2 평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버클부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복잡한 기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켜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는 래칫을 이용해 제2 평기어의 회전방향을 제한하여 차량 사고시 버클부가 외력에 의해 강제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고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프리 세이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풀림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는 체결 브라켓(100)과, 구동모터(200)와, 제1 평기어(300)와, 제2 평기어(400)와, 버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 브라켓(100)은 박판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차량 시트(10)(도 2 참조)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체결 브라켓(100)의 후면 하단에는 다수개의 나사홀(111)이 형성된 체결판(110)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체결 브라켓(100)의 후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은 체결 브라켓(100)에 형성된 홀(120)에 삽입되어 체결 브라켓(10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00)는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트(10)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평기어(300)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200)가 동작을 시작하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평기어(300)는 상기 구동모터(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이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축(21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평기어(400)는 상기 제1 평기어(300)에 치합되어 제1 평기어(300)와 함께 회전하도록 체결 브라켓(100)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평기어(400)의 중앙부에는 결합공(41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브라켓(1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2 평기어(400)의 결합공(410)에 삽입되는 플랜지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평기어(400)의 결합공(410)에 상기 플랜지부(130)를 삽입시켜 제2 평기어(400)를 체결 브라켓(100)의 전면에 설치한 후 상기 제2 평기어(400)를 제1 평기어(300)에 치합시키면,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이 회전축(210) 및 제1 평기어(300)를 거쳐 제2 평기어(400)로 전달되어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130)에는 상기 제2 평기어(400)의 전면을 지지하는 락킹 너트(locking nut)(600)가 체결된다. 상기 락킹 너트(600)는 플랜지부(13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2 평기어(400)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제2 평기어(400)가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때 플랜지부(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클부(500)는 상기 제2 평기어(400)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어 제2 평기어(400)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00)가 동작을 시작하면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이 시작되므로 제2 평기어(400)에 고정되어 있는 버클부(500) 역시 제2 평기어(400)와 함께 이동을 시작하며, 이때 상기 버클부(500)는 제2 평기어(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버클부(500)가 하강하여 차량 시트(10) 하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자가 승차하여 시트벨트 체결을 위해 버클부(500)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구동모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기어(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평기어(300)에 치합되어 있는 제2 평기어(40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평기어(40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 자연히 제2 평기어(400)에 고정되어 있는 버클부(500)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버클부(500)의 상승이 이루어져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면 구동모터(200)는 제1 평기어(3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평기어(300)에 치합되어 있는 제2 평기어(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2 평기어(400)에 고정되어 있는 버클부(500)가 하강하여 도 3과 같이 차량 시트 아래에 수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버클부(500)가 하강하게 되면 벨트 웨빙이 탑승자의 신체를 견고하게 잡아주게 되므로 차량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풀고 차량에서 하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모터(200)는 먼저, 도 3과 같이 제2 평기어(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버클부(500)를 상승시킴으로써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탑승자에 의해 시트벨트가 해제되면 도 4와 같이 제2 평기어(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버클부(500)를 하강시킴으로써 버클부(500)가 차량 시트(10) 하부에 수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평기어(400)의 후면에는 스토퍼(42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 브라켓(100)에는 상기 제2 평기어(400)가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420)가 걸려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제1, 2 걸림턱(140,150)이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평기어(40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버클부(500)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20)는 버클부(500)의 최대 상승위치(TDC)에서 제1 걸림턱(140)에 걸려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반대로 제2 평기어(40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버클부(500)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20)는 버클부(500)의 최대 하강위치(BDC)에서 제2 걸림턱(150)에 걸려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420)가 제1 걸림턱(140) 또는 제2 걸림턱(150)에 걸려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이 제한되면, 구동모터(200)에 인가되는 부하가 증가하여 구동모터(200)의 저항전류가 급속히 상승하게 되므로 모터 제어부는 버클부(500)의 상승 및 하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구동모터(2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물론, 별도의 각도 센서를 설치하여 제2 평기어(40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제2 평기어(400)의 회전각도가 정해진 값이 되면 구동모터(200)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전체적인 장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 절감을 위해 상기와 같은 단순한 구조의 스토퍼(420)를 이용하여 구동모터(200)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한 상기 제1, 2 평기어(300,400)는 치형이 단순히 맞물려 있기 때문에 차량 사고 등에 의해 버클부(500)에 순간적으로 강한 직선방향 외력이 가해지면 제2 평기어(400)가 외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강제로 회전하여 버클부(500)가 상승하게 되며, 이 경우 웨빙이 느슨해져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버클부(500)의 최대 하강위치(BDC)에서 스토퍼(420)가 걸리는 제2 걸림턱(150) 부위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버클부(500)에 직선방향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 3과 같이 스토퍼(420)는 제2 걸림턱(15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 평기어(400)의 회전에 의한 버클부(500)의 상승이 방지되게 된다.
물론, 구동모터(200)가 동작을 시작하여 제2 평기어(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토퍼(420)는 제2 평기어(400)와 함께 원운동을 하게 되므로 자연히 제2 걸림턱(150)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버클부(500)의 상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버클장치는 구동모터(200)를 동작시켜 제1 평기어(300)를 회전시키면 제2 평기어(400)가 회전하여 제2 평기어(400)에 결합되어 있는 버클부(500)의 승하강이 자연히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종래와 같은 복잡한 기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켜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 및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브라켓(10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60)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평기어(400)의 후면에는 상기 관통공(16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래칫(ratchet)(43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칫(430)은 일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타측은 직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래칫(430)이 체결 브라켓(100)의 관통공(160)에 삽입되면, 제2 평기어(400)는 일방향 회전만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래칫(430)은 제2 평기어(400)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일종의 락킹(locking)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버클부(500)의 상승 및 하강은 이미 설명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2 평기어(4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2 평기어(400)가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360도 회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래칫(430)에 의해 제2 평기어(400)가 체결 브라켓(100)에 결합되면, 제2 평기어(400)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므로 차량 사고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버클부(500)가 강제로 상승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평기어(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버클부(500)가 도 4와 같은 최대 상승위치(TDC)에서 도 3과 같은 최대 하강위치(BDC)로 이동할 때 차량 사고 등에 의해 버클부(500)에 강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래칫(430)에 의해 제2 평기어(400)의 시계방향 회전이 방지되므로 버클부(500)가 외력에 의해 상승하여 웨빙이 느슨해짐으로써 발생하는 사고가 사전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칫(420)에 의해 제2 평기어(400)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면, 차량 운전중 충격이 가해질 때 버클부(500)를 신속히 하강시켜 벨트가 승객을 타이트하게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사고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프리 세이프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일실시예와 같이 단순히 제1, 2 평기어(300,400)가 맞물린 구조에서는 차량 사고시 제2 평기어(4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버클부(500)를 하강시킨다고 하더라도 강한 외력에 의해 제2 평기어(500)가 타방향으로 다시 회전하여 버클부(500)가 상승하게 되므로 프리 세이프 기능이 구현되기 힘들지만, 래칫(420)에 의해 제2 평기어(400)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면 차량 사고 등에 의해 강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버클부(500)가 하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프리 세이프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체결 브라켓(100)의 관통공(160)에 래칫(4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래칫(430)이 관통공(160)에서 빠져나온 후 다시 삽입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딸칵, 딸칵 하는 매우 거북한 소음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브라켓(100)의 전면에는 제2 평기어(400)와 체결 브라켓(100)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700)이 설치되고, 상기 체결 브라켓(100)의 후면에는 제2 평기어(400)를 끌어당겨 래칫(430)이 관통공(160)에 삽입되게 하는 솔레노이드(solenoid)와 같은 전자석(8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에는 스프링(700)에 의해 제2 평기어(400)와 체결 브라켓(100)의 간격이 유지되어 래칫(430)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제2 평기어(400)의 회전이 완료되어 버클부(500)의 상승 또는 하강이 완료되면, 전자석(800)을 구동시켜 제2 평기어(400)를 체결 브라켓(100)을 향해 끌어당김으로써 래칫(430)이 체결 브라켓(100)의 관통공(160)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평기어(400)의 타방향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버클부(500)가 하강위치에 있을 경우, 전자석(800)을 이용해 제2 평기어(400)를 체결 브라켓(100) 측으로 잡아당겨 래칫(430)이 관통공(160)에 삽입되도록 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평기어(400)의 회전방향이 제한되어 외력에 의해 버클부(500)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프리 세이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풀림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차량 사고 등의 비상시에 상술한 리프트 버클장치에 의해 버클부(500)가 하강한다고 하더라도 리트랙트에 감겨져 있는 웨빙이 풀어지면 결과적으로 웨빙이 탑승자를 타이트하게 구속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프리 세이프 기능이 완전히 실현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리트랙터 내부에는 웨빙의 풀림을 방지하는 시트벨트 풀림방지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벨트 풀림방지 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910)와, 케이스상의 회동축(920)에 고정키(930)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웨빙(20)이 감겨지는 보빈(940)과, 상기 보빈(940)에 장착되는 래칫 휠(950)과, 상기 케이스(910)의 바닥판(911)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며 제동판(962)을 회동시켜 래칫 휠(950)이 구속되도록 하는 푸쉬바(961)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9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액추에이터(960)는 전원선(963)이 리프트 버클장치의 제어부(ECU)에 연결되어 차량 사고 등의 비상시에 리프트 버클장치가 동작을 시작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푸쉬바(961)를 상승시킴으로써 제동판(962)에 의해 래칫 휠(950)이 구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동판(962)에 의해 래칫 휠(950)이 구속되면, 보빈(940)의 회전이 제한되어 보빈(940)에 감겨져 있는 웨빙(20)이 풀리지 않게 되므로 차량에 위험 상황 발생시 탑승객이 시트에 구속되어 보호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960)가 리프트 버클장치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추에이터(960)는 리프트 버클장치와 동시에 동작하게 되므로 차량의 위험상황 발생시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탑승객을 시트에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체결 브라켓 110: 체결판
120: 홀 130: 플랜지부
140,150: 제1, 2 걸림턱 160: 관통공
200: 구동모터 210: 회전축
300: 제1 평기어 400: 제2 평기어
410: 결합공 420: 스토퍼
430: 래칫 500: 버클부
600: 락킹 너트 700: 스프링
800: 전자석

Claims (1)

  1. 차량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체결 브라켓;
    상기 체결 브라켓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가 동작을 시작하면 회전하는 제1 평기어;
    상기 체결 브라켓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평기어에 치합되어 제1 평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평기어; 그리고,
    상기 제2 평기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 평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버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KR1020130078775A 2012-04-05 2013-07-05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KR20150005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65 2012-04-05
KR20120002765 2012-04-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705A Division KR101452120B1 (ko) 2013-07-05 2013-07-05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797A true KR20150005797A (ko) 2015-01-15

Family

ID=5247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775A KR20150005797A (ko) 2012-04-05 2013-07-05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7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399B2 (en) Four-point seat belt system with buckle-lowering belts
US9598048B2 (en) Webbing take-up device and seatbelt device
US20050073187A1 (en) Four-point seat belt system with buckle-lowering belts
JP377735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CN111873866B (zh) 具有电动叉状带张紧器的儿童安全座椅
US7726693B2 (en) Motor retractor and drive control thereof
US3973786A (en) Belt retractor with winding prevention mechanism
US9782309B2 (en) Personal mobility vehicle restraint
KR20080016501A (ko) 신속 작동 클러치, 좌석 벨트 리트렉터, 및 좌석 벨트리트렉터의 모터의 결합 방법
JP4669143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システム
US7806439B2 (en) Active anti-bunching D-ring seat belt system
AU2013200996B2 (en) Compensator
KR101452120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US3679228A (en) Restraint apparatus
KR20150005797A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프트 버클장치
KR102496242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09280028A (ja) 車両用4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EP2081794B1 (en) Child-seat belt tensioner
KR100817138B1 (ko) 비클 센싱부를 이용한 록 캔슬러를 구비한 차량용시트벨트의 리트랙터
KR10059095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착용 보조장치
KR102551632B1 (ko) 차량 센서 장치
JP2006168469A (ja) モータリトラクタ
KR20230081611A (ko)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497974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5121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