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42A - 체인 가이드 - Google Patents

체인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42A
KR20150005442A KR1020140073028A KR20140073028A KR20150005442A KR 20150005442 A KR20150005442 A KR 20150005442A KR 1020140073028 A KR1020140073028 A KR 1020140073028A KR 20140073028 A KR20140073028 A KR 20140073028A KR 20150005442 A KR20150005442 A KR 20150005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at surface
guide
end surfac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671B1 (ko
Inventor
마사히코 콘노
유지 쿠레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5000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2Chain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경사나 덜걱거림이 저감되어 마모나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높은 체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안내 슈(110)가 주행 안내부(111)의 이면측에 플레이트(120)를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슬릿 홈(112)을 갖고, 플레이트(120)의 폭 방향의 한쪽 에 존재하는 평탄면부(121)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폭이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

Description

체인 가이드{CHAIN GUIDE}
본 발명은,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와, 그 안내 슈를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보강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체인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프로킷 사이를 주행하는 체인을 안정시켜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를 구비한 체인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은 관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E)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킷(S1, S2) 사이에 무단으로 감긴 롤러체인 등의 전동 체인(CH)을 주행시키는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이며, 타이밍 체인(CH)이 엔진 룸(E) 내의 크랭크축에 부착한 구동 스프로킷(S1)과 캠축에 부착한 한 쌍의 종동 스프로킷(S2) 사이에 무단으로 감겨져 있고, 이 타이밍 체인(CH)이 요동하는 체인 가이드(요동 가이드)(500)와 체인 가이드(고정 가이드)(600)에 의해 가이드되는 타이밍 시스템이 공지이다.
이 공지의 타이밍 시스템에서는 고정 가이드(600)는 2개의 고정용의 부착축(Q)에 의해 엔진 룸(E) 내에 고정되고, 요동 가이드(500)는 요동용의 부착축(P)을 중심으로 타이밍 체인(CH)이 감긴 평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엔진 룸(E) 내에 부착되어 있다.
체인 텐셔너(T)는 요동 가이드(500)를 압박함으로써 타이밍 체인(CH)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이러한 타이밍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지의 체인 가이드(요동 가이드)(500), 체인 가이드(고정 가이드)(600)는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 가이드의 강성이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본체를 크게 해서 강성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지만, 엔진 룸(E)을 컴팩트하게 설계하는 것의 장애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인 가이드(500)가,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110)와, 그 안내 슈(110)를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보강하는 플레이트(5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안내 슈(110)의 주행 안내부(111)의 이면 측에 플레이트(520)를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슬릿 홈(112)을 형성하고, 강성이나 내구성이 높은 플레이트(520)를 슬릿 홈(112)에 삽입함으로써 체인 가이드(500) 전체적으로 필요한 강도, 강성,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한 것이 공지이다(특허문헌 1, 2, 3 등 참조).
이들 공지의 체인 가이드(500)의 슬릿 홈(112)에 삽입 고정되는 플레이트(520)는 일반적으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펀칭 등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도 9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펀칭 등에 의해 형성된 외주, 구멍부 등의 끝면에는 폭 방향의 한쪽에 전단(剪斷)에 의한 평탄면부(521)가 약간 형성되고, 그 평탄면부(521)로부터 폭 방향의 반대측을 향해서 파단면부(522)가 형성된다.
평탄면부(521)는 플레이트(520)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이고 요철이 적은 면이 되지만, 파단면부(522)는 평탄면부(521)로부터 경사진 면이 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6-281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3015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66964호 공보
종래의 체인 가이드(500)의 플레이트(520)의 끝면은 평탄면부(521)가 약간 형성되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520)를 안내 슈(110)의 슬릿 홈(112)의 저부까지 삽입했을 때에 경사진 파단면부(522)를 따라 플레이트(520)와 안내 슈(110)가 경사져버리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플레이트(520)의 체인 텐셔너(T)와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그 끝면은 평탄면부(521)가 약간 형성되기 때문에 체인 텐셔너(T)에 압박되었을 때에 플레이트(520)가 경사져버리는 우려가 있었다.
안내 슈(110)나 플레이트(520)가 경사질 경우, 주행 안내부(111)가 체인의 본래의 주행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어 체인 자체가 비틀어져서 경사져 안내되기 때문에, 스프로킷과의 충돌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체인으로부터 받는 주행 안내부(111)의 압박력이 폭 방향의 한쪽에 집중되기 때문에, 안내 슈(110)의 마모가 촉진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착축이 삽입되는 플레이트(520)의 부착 구멍(523)의 내주 끝면도 마찬가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전단에 의한 평탄면부(521)가 약간 형성되고, 그 평탄면부(521)로부터 폭 방향의 반대측을 향해서 파단면부(522)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면부(521)측이 소경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슈(110)의 슬릿 홈(112)에 삽입했을 때에 안내 슈(110)의 부착 구멍(113)과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을 경우, 평탄면부(521)가 부착 대상측에 위치하면 부착시의 부착축(P)의 선단이 플레이트(520)의 부착 구멍(523)의 내주의 끝면에 접촉해서 작업의 장애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축(P)이 숄더 볼트에 설치되어 부착대상의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할 때에는 평탄면부(521)가 부착 대상의 반대측에 위치하면 숄더 볼트의 삽입시에 부착축(P) 부분의 선단이 플레이트(520)의 부착 구멍(523)의 내주 끝면에 접촉해서 작업의 장애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구멍(523)의 내주 끝면의 파단면부(522)가 평탄면부(521)측으로부터 서서히 대경으로 되어 평탄면부(521)의 폭이 좁기 때문에, 플레이트(520)가 부착축(P)에 대하여 경사져버리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체인 가이드(500)가 요동할 때에 폭이 좁은 평탄면부(521)가 강하게 힘을 받아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안정되지 않아 소음이나 진동의 원인이 되거나, 심하게 마모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파손이나 눌어붙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내 슈(110)에 설치된 록킹편(114)이 맞물리는 플레이트(520)의 맞물림 구멍(524)의 내주 끝면도 마찬가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전단에 의한 평탄면부(521)가 약간 형성되고, 그 평탄면부(521)로부터 폭 방향의 반대측을 향해서 파단면부(522)가 형성되기 때문에, 평탄면부(521)측이 소경이 되고 파단면부(522)측이 대경이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맞물림 구멍(524)의 내주 끝면의 파단면부(522)측에 록킹편(114)이 맞물릴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편(114)과 맞물림 구멍(524) 사이에 간극(D)이 생겨 안내 슈(110)와 플레이트(520)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없고, 안내 슈(110)의 부착 구멍(113)과 플레이트(520)의 부착 구멍(523)의 위치 어긋남이 생겨 부착축(P)에의 부착시에 작업의 장애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맞물림 구멍(524)의 내주 끝면의 평탄면부(521)측에 록킹편(114)이 맞물릴 경우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편(114)과 맞물림 구멍(524) 사이에 간극은 생기기 어렵지만, 플레이트(520)를 안내 슈(110)의 슬릿 홈(112)에 삽입할 때에 상방 끝면의 평탄면부(521)의 코너가 록킹편(114)에 접촉 슬라이딩해서 록킹편을 측방으로 탄성 변형시키기 때문에, 록킹편(114)의 슬라이딩면이 손상을 받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경사나 덜걱거림이 저감되어 마모나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높은 체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와, 그 안내 슈를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보강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체인 가이드이며,
상기 안내 슈가 체인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주행 안내부와, 그 주행 안내부의 이면측에 상기 플레이트를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슬릿 홈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의 끝면이 폭 방향의 한쪽에 평탄면부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이 상기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청구항 1에 의한 체인 가이드 및 청구항 10에 의한 플레이트에 의하면, 강도, 강성, 내구성에 기여하는 플레이트를 안내 슈와 별도의 재료로 형성하고, 안내 슈의 주행 안내부의 이면측에 형성한 슬릿 홈에 플레이트를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체인 가이드 전체적으로 필요한 강도, 강성,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플레이트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이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폭이 넓은 평탄면부를 갖는 부분에 있어서는 다른 부재가 평탄면부와만 접촉하고, 경사진 파단면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의해, 접촉하는 다른 부재와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폭이 좁은 평탄면부에 집중적으로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체인 가이드의 경사나 덜걱거림이 저감되어 마모나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슬릿 홈의 저부와 플레이트가 폭이 넓은 평탄면부에서 접촉함으로써 주행 안내부가 체인의 본래의 주행면에 대하여 경사지지 않아 체인 자체가 비틀어져서 경사져 안내되는 것이 방지되어, 스프로킷과의 충돌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체인으로부터 받는 주행 안내부의 압박력이 폭 방향의 한쪽에 집중되지 않아 안내 슈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부착 구멍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가 부착축의 삽입 방향의 안측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플레이트의 부착 구멍의 지름을 부착축의 삽입 방향의 앞측에서 크고 안측을 향해서 서서히 소경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의 부착 구멍과 안내 슈의 부착 구멍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부착시에 부착축의 선단이 플레이트의 부착 구멍의 내주 끝면에 접촉하지 않아 원활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부착 구멍의 내주부의 끝면과 부착축이 폭이 넓은 평탄면부에서 접촉함으로써 압박력이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소음이나 진동이 저감되어 요동하는 경우도 마모나 눌어붙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텐셔너와 플레이트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라도 폭이 넓은 평탄면부에서 접촉함으로써 텐셔너로부터 압박력을 받았을 때에 플레이트가 경사지지 않아, 주행 안내부가 경사져 체인 자체가 비틀어져서 경사져서 안내되는 것이 방지되어 스프로킷과의 충돌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텐셔너나 플레이트의 끝면의 좁은 개소에 힘이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안내 슈에 설치된 록킹편이 맞물림 구멍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에 진입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록킹편과 맞물림 구멍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아 안내 슈와 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
본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록킹편이 맞물림 구멍의 내주부 끝면의 폭이 넓은 평탄면부에서 접촉함으로써 록킹편의 좁은 장소에 힘이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안내 슈의 슬릿 홈에 삽입할 때에 상방 끝면의 경사면부가 록킹편에 접촉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록킹편의 슬라이딩면이 손상을 받지 않아 원활하게 록킹편을 측방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9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큰 평탄면부가 전부 동일면측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셰이빙 가공 등에 의해 1회의 가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체인 가이드의 플레이트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체인 가이드의 부착 구멍 부분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체인 가이드의 부착 구멍 부분(부착축이 숄더 볼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체인 가이드의 록킹 구멍 부분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체인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체인 가이드의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체인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체인 가이드의 플레이트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체인 가이드의 A-A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체인 가이드의 B-B 단면의 부착시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체인 가이드의 B-B 단면의 부착시(부착축이 숄더 볼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체인 가이드의 B-B 단면의 부착 후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체인 가이드의 록킹 구멍 부분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플레이트의 평탄면부를 반대측으로 했을 때의 단면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체인 가이드는,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와, 그 안내 슈를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보강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체인 가이드이며, 안내 슈가 체인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안내부와, 그 주행 안내부의 이면 측에 플레이트를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슬릿 홈을 갖고, 플레이트의 끝면이 폭 방향의 한쪽에 평탄면부를 갖고, 플레이트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이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경사나 덜걱거림이 저감되어 마모나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높은 것이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는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를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보강하는 플레이트이며, 플레이트의 끝면이 폭 방향의 한쪽 에 평탄면부를 갖고,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이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이며, 특히 압연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이 적합하지만, 펀칭 가공이 가능한 재료이면 강성, 내구성, 성형성, 비용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공지의 적당한 것을 선택하면 좋다.
안내부 슈의 재질은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마찰 저항, 강성, 내구성, 성형성, 비용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공지의 적당한 것을 선택하면 좋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체인 가이드(요동 가이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체인 가이드는 상술한 공지의 타이밍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며, 그 구성은 플레이트(120)의 단면 형상을 제외하고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종래의 체인 가이드(500)와 마찬가지이다(이하,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도 5 내지 도 8을 인용한다).
플레이트(120)는 체인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소정의 만곡 형상이 부여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120)는 체인 주행 방향으로 똑같은 단면을 가지는 것이며, 압연강판으로부터 펀칭으로 제조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셰이빙 가공에 의해 폭이 넓은 평탄면부(121)가 형성되고, 경사진 파단면부(122)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폭이 넓은 평탄면부(121)는 셰이빙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펀칭 후의 연삭 가공, 절삭 가공, 소성 변형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펀칭 자체를 정밀 펀칭 가공으로 해서 형성해도 좋고, 그 형성 방법은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플레이트(120)의 슬릿 홈(112)의 저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평탄면부(121)가 형성됨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레이트(520)와 안내 슈(110)의 경사가 방지되어 주행 안내부가 체인의 본래의 주행면에 대하여 경사지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트(120)의 텐셔너(T)에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폭이 넓은 평탄면부(121)가 형성됨으로써, 텐셔너(T)로부터 압박력을 받았을 때에 플레이트(120)가 경사지지 않는다.
플레이트(120)의 부착축(P)이 삽입되는 부착 구멍(123)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1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축(P)의 삽입 방향의 안측에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120)의 부착 구멍(123)과 안내 슈(110)의 부착 구멍(113)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부착축(P)에의 부착시에 부착축(P)의 선단이 플레이트(120)의 부착 구멍(123)의 내주 끝면에 접촉하지 않아 원활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착 구멍(123)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121)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폭이 좁은 평탄면부지만 여기에 폭이 넓은 평탄면부를 형성해도 좋고, 그로 인해 압박력이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소음이나 진동이 저감되어, 요동하는 경우도 마모나 눌어붙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축(P)이 숄더 볼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부착축(P)이 삽입되게 되기 때문에 평탄면부(121)도 반대측에 배치된다.
플레이트(120)에는 안내 슈(110)에 설치된 록킹편(114)이 맞물리는 맞물림 구멍(124)을 갖고 있어, 플레이트(120)가 안내 슈(110)의 슬릿 홈(112)에 삽입되었을 때에 록킹편(114)이 맞물림 구멍(124)에 맞물려서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 슈(110)의 슬릿 홈(112)에의 플레이트(120)의 삽입시에 록킹편(114)이 통과하는 부분의 플레이트(120)의 슬릿 홈(112)의 저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방 끝면의 경사면부(125)가 록킹편(114)에 접촉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록킹편(114)의 슬라이딩면이 손상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록킹편(114)을 측방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플레이트(12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맞물림 구멍(124)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121)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폭이 좁은 평탄면부지만 여기에 폭이 넓은 평탄면부를 형성해도 좋고, 록킹편(114)이 맞물림 구멍(124)의 내주부 끝면의 폭이 넓은 평탄면부(121)에서 접촉함으로써 록킹편(114)의 좁은 개소에 힘이 집중되지 않아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폭이 넓은 평탄면부(121)는 전부 동일면측으로 함으로써 셰이빙 가공이나 정밀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할 경우, 모든 개소에서 동시에 폭이 넓은 평탄면(12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조가 용이해 진다.
또한, 부착축(P)이 숄더 볼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착 구멍(123)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121)가 도 2의 것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4의 록킹편(114)도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설계함으로써 평탄면부(121)를 전부 동일면측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체인 가이드 및 플레이트(120)에 의하면, 강도, 강성, 내구성에 기여하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120)에 의해 보강하는 구성으로 해 전체적으로 소형화되어 고정되는 엔진 룸 내에서의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플레이트(120)의 소정 외주, 구멍부 등의 끝면에 폭이 넓은 평탄면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경사나 덜걱거림이 저감되어 마모나 파손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체인 가이드는 1개의 요동용의 부착축(P)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요동 가이드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고정용의 부착축(Q)에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로서 구성해도 좋다.
또한, 각 구성 부재의 형상, 위치, 치수, 배치 관계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타이밍 시스템을 갖는 엔진 내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기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체인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500 : 체인 가이드(요동 가이드) 600 : 체인 가이드(고정 가이드)
110 : 안내 슈 111 : 주행 안내부
112 : 슬릿 홈 113 : 부착 구멍(안내 슈의)
114 : 록킹편 120, 520 : 플레이트
121, 521 : 평탄면부 122, 522 : 파단면부
123, 523 : 부착 구멍(안내 슈의) 124, 524 : 맞물림 구멍
125 : 경사면부 S1 : 구동 스프로킷
S2 : 종동 스프로킷 CH : 타이밍 체인
P : 부착축(요동용) Q : 부착축(고정용)
T : 체인 텐셔너

Claims (10)

  1.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와, 그 안내 슈를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보강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체인 가이드로서,
    상기 안내 슈는 체인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안내부와, 그 주행 안내부의 이면측에 상기 플레이트를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슬릿 홈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의 끝면은 폭 방향의 한쪽에 평탄면부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슬릿 홈의 저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부착 대상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축이 삽입되는 부착 구멍을 갖고,
    상기 부착 구멍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는 상기 부착축의 삽입 방향의 안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멍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텐셔너에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안내 슈에 설치된 록킹편이 맞물리는 맞물림 구멍을 갖고,
    상기 안내 슈에 설치된 록킹편은 상기 맞물림 구멍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에 진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구멍의 내주부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슬릿 홈의 저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이며, 상기 안내 슈에의 플레이트 삽입시에 상기 록킹편이 통과하는 부분에는 경사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큰 평탄면부가 전부 동일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10. 주행하는 체인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슈를 체인 주행 방향을 따라 보강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끝면은 폭 방향의 한쪽에 평탄면부를 갖고,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은 어느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끝면에 있어서의 평탄면부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KR1020140073028A 2013-07-05 2014-06-16 체인 가이드 KR101761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1639 2013-07-05
JP2013141639A JP6008428B2 (ja) 2013-07-05 2013-07-05 チェーンガイ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42A true KR20150005442A (ko) 2015-01-14
KR101761671B1 KR101761671B1 (ko) 2017-07-26

Family

ID=5210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028A KR101761671B1 (ko) 2013-07-05 2014-06-16 체인 가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08428B2 (ko)
KR (1) KR101761671B1 (ko)
CN (1) CN104279284B (ko)
DE (1) DE102014212630A1 (ko)
RU (1) RU261072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620A (zh) * 2018-12-19 2019-02-22 合肥安信瑞德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双工位浮动式阀片冲裁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6136C1 (de) * 1987-02-26 1988-09-15 Porsch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ttenspanners
JPH0810865A (ja) * 1994-06-22 1996-01-16 Unai Kinzoku Kogyo Kk プレス製品の周面仕上げ装置及び方法
US5853341A (en) * 1997-03-26 1998-12-29 Borg-Warner Automotive, Inc. Laminated chain tensioner arms or guides
JP2000356252A (ja) * 1999-06-15 2000-12-26 Tsubakimoto Chain Co テンショナレバー
JP2002266964A (ja) 2001-03-12 2002-09-18 Tsubakimoto Chain Co 伝動媒体用摺接ガイドの支軸部材
JP2003113913A (ja) * 2001-10-02 2003-04-18 Tsubakimoto Chain Co 伝動チェーン用可動レバー
JP3356765B1 (ja) 2001-10-19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ガイド
JP3359339B1 (ja) * 2002-01-22 2002-12-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摺接ガイド
JP3357043B1 (ja) * 2002-01-25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合成樹脂ガイド
JP3744905B2 (ja) * 2003-01-28 2006-02-1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可動ガイド
JP3942032B2 (ja) 2003-11-13 2007-07-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プラスチック製ガイド
JP4312107B2 (ja) 2004-06-15 2009-08-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合成樹脂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10729C2 (ru) 2017-02-15
DE102014212630A1 (de) 2015-01-08
JP6008428B2 (ja) 2016-10-19
KR101761671B1 (ko) 2017-07-26
CN104279284A (zh) 2015-01-14
JP2015014329A (ja) 2015-01-22
RU2014127309A (ru) 2016-01-27
CN104279284B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2225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EP2603717B1 (en) Blade tensioner with spring retaining features
US9534671B2 (en) Chain guide
US8747263B2 (en) Transmission guide
RU2621817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цепи
US9958040B2 (en) Tensioner and rocking lever
KR101872113B1 (ko) 체인 가이드
US6969331B2 (en) Synthetic resin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JP2014163430A (ja) チェーンガイド
KR101761671B1 (ko) 체인 가이드
GB2397862A (en) Movable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KR20210145671A (ko) 체인 가이드
KR101971321B1 (ko) 체인 가이드
KR20140113365A (ko) 체인 가이드
GB2382637A (en) A chain guide having a reinforcing metal insert
RU2661240C1 (ru) Направляющая цепи
US10968989B2 (en) Chain guide
JP2014145398A (ja) チェーンガイド
GB2385651A (en) Reinforced tensioner guide having a biasing member biasing against the reinforcing plate
US11473652B2 (en) Chain guide
KR20180016256A (ko) 체인 전동 장치 및 체인 가이드
KR20120128109A (ko) 엔진용 고정 가이드
JP2009103153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