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293A - 전력 증폭기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293A
KR20150005293A KR20130079062A KR20130079062A KR20150005293A KR 20150005293 A KR20150005293 A KR 20150005293A KR 20130079062 A KR20130079062 A KR 20130079062A KR 20130079062 A KR20130079062 A KR 20130079062A KR 20150005293 A KR20150005293 A KR 2015000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verter
voltage
switches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143B1 (ko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1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 H03F1/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with MOS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포기는, 바이어스 전압단을 통해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트랜지스터의 크기(폭) 조정에 관여하는 제1 스위치; 시스템에의 고주파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고전압 또는 저전압을 출력하는 RF-DC 컨버터; 바이어스 전압단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입력단을 통해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저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고주파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고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커플러; 및 커플러로 고주파 신호의 입력 시,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커플러, RF-DC 컨버터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크기(폭:Width)를 줄임으로써 아이들 전류(idle curren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 폰) 등에 채용되는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이들(idle)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시장이 확대되고, 또한 다양한 기능 및 컨텐츠가 확대되면서 스마트 폰의 배터리 수명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스마트 폰의 배터리 수명은 각 부품의 소비 전류와 연관되어 있어 부품들의 소비 전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과 같은 스마트 폰에 채용되는 종래 전력 증폭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bias를 통해 DC 전압을 스위치 소자(M1)의 게이트에 인가하고, 스위치 소자 (M1)의 전압 이득을 이용하여 게이트에 인가되는 "RF_in" 신호가 증폭되어 출력단 (RF_out)으로 출력된다. 아이들 전류(Idle Current)는 스위치 소자(M1)의 게이트에RF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의 전류로서 다음과 같은 수식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I는 아이들 전류, μn은 캐리어 이동도, Cox는 옥사이드(oxide)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W와 L은 스위치 소자(MOSFET)의 폭(width) 및 길이(length), Vgs는 스위치 소자(MOSFET)의 게이트와 소스간 전압, Vth는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을 각각 나타낸다.
위의 수식 관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이들 전류(I)는 Vgs, W, Cox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아이들 전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Vgs, W, Cox를 줄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는 스위치 소자, 즉 모스펫의 크기(여기서는 폭)와 Vgs가 결정되면, 아이들 전류도 결정되어 아이들 전류를 더 이상 줄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2-0094628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292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위치 소자(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아이들 전류(idle curren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력 증폭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바이어스 전압단을 통해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트랜지스터의 크기(폭) 조정에 관여하는 제1 스위치;
시스템에의 고주파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고전압(High Voltage) 또는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는 RF-DC 컨버터;
상기 바이어스 전압단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입력단을 통해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고주파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고전압(High Voltage)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로 고주파 신호의 입력 시,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로는 모스펫(MOSFET)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위치로는 모스펫(MOSFET)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의 드레인 및 소스에 각각 나뉘어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의 게이트에는 저항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 및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저항이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 및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저항이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와 제4 스위치 사이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단으로부터의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트랜지스터의 크기(폭) 조정에 관여하는 제2 스위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위치로는 모스펫(MOSFET)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커플러, RF-DC 컨버터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크기(Width)를 줄임으로써 아이들 전류(idle curren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력 증폭기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제1 스위치(210), 커플러 (220), RF-DC 컨버터(230),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210)는 바이어스 전압단(Vbias)을 통해 전압(예를 들면, DC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트랜지스터의 크기(폭:width) 조정에 관여한다. 이와 같은 제1 스위치(210)로는 모스펫(MOSFET)(예를 들면, NMOS)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F-DC 컨버터(230)는 시스템에의 고주파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고전압(High Voltage) 또는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RF-DC 컨버터(230)로는 일반적인 AC/DC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220)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단(Vbias)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 (210)로(즉, 제1 스위치(210)의 게이트 단자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입력단을 통해 고주파 신호(RF_in)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230)로부터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고주파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230)로부터 고전압(High Voltage)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커플러(220)로 고주파 신호의 입력 시, 상기 RF-DC 컨버터(230)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스위치로는 모스펫(MOSFET)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210)의 드레인 및 소스에 각각 나뉘어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250,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제3 및 제4 스위치(250,260)의 게이트에는 저항(R3,R6)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250)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 및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저항(R1,R2)이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4 스위치(260)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 및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도 저항(R4,R5)이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저항들(R1∼R6)은 고주파 신호가 그라운드나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250)와 제4 스위치(260) 사이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단(Vbias)으로부터의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트랜지스터의 크기(폭) 조정에 관여하는 제2 스위치(2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제2 스위치(240)로는 모스펫(MOSFET)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커플러 (220)의 입력단을 통해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220)는 상기 RF-DC 컨버터(230)로부터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그러면, RF-DC 컨버터(230)에서는 저전압이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제3 및 제4 스위치(250,260)가 오프(OFF)되어 제1 스위치(210)만 동작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제1 스위치인 MOSFET)의 크기(폭:W)가 감소하게 되어, 결국 아이들 전류(Idle Current)가 감소하게 된다.(수학식 1 참조)
또한, 커플러(220)의 입력단을 통해 고주파 신호가 입력될 때는 커플러(220)는 상기 RF-DC 컨버터(230)로부터 고전압(High Voltage)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그러면, RF-DC 컨버터(230)에서는 고전압이 출력되어 제3 및 제4 스위치(250,260)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치(210,240)가 모두 동작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의 폭(Width)은 W/A+W/B=W(여기서, A,B는 비례상수를 나타냄)가 되어 기존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시스템에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 커플러, RF-DC 컨버터, 복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폭(W)을 줄임으로써, 아이들 전류(idle curren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제1 스위치 220...커플러
230...RF-DC 컨버터 240...제2 스위치
250...제3 스위치 260...제4 스위치

Claims (9)

  1. 바이어스 전압단을 통해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트랜지스터의 크기(폭) 조정에 관여하는 제1 스위치;
    시스템에의 고주파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고전압(High Voltage) 또는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는 RF-DC 컨버터;
    상기 바이어스 전압단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입력단을 통해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저전압(Low Voltage)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고주파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고전압(High Voltage)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로 고주파 신호의 입력 시, 상기 RF-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모스펫(MOSFET)인 전력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모스펫(MOSFET)인 전력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의 드레인 및 소스에 각각 나뉘어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력 증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의 게이트에는 저항이 각각 설치된 전력 증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 및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저항이 각각 더 설치된 전력 증폭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 및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저항이 각각 더 설치된 전력 증폭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와 제4 스위치 사이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단으로부터의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트랜지스터의 크기(폭) 조정에 관여하는 제2 스위치가 더 설치된 전력 증폭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모스펫(MOSFET)인 전력 증폭기.
KR1020130079062A 2013-07-05 2013-07-05 전력 증폭기 KR10198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062A KR101983143B1 (ko) 2013-07-05 2013-07-05 전력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062A KR101983143B1 (ko) 2013-07-05 2013-07-05 전력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93A true KR20150005293A (ko) 2015-01-14
KR101983143B1 KR101983143B1 (ko) 2019-05-28

Family

ID=5247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062A KR101983143B1 (ko) 2013-07-05 2013-07-05 전력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1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042A (en) * 1990-08-30 1992-06-02 Hughes Aircraft Company Solid state power amplifier with dynamically adjusted operating point
KR20020094628A (ko) 2001-06-12 2002-12-18 (주)유피텍 가변 동작점 전력 증폭기
JP2005229268A (ja) 2004-02-12 2005-08-25 Renesas Technology Corp 高周波電力増幅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60044106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이득 증폭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042A (en) * 1990-08-30 1992-06-02 Hughes Aircraft Company Solid state power amplifier with dynamically adjusted operating point
KR20020094628A (ko) 2001-06-12 2002-12-18 (주)유피텍 가변 동작점 전력 증폭기
JP2005229268A (ja) 2004-02-12 2005-08-25 Renesas Technology Corp 高周波電力増幅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60044106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이득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143B1 (ko)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2209B2 (en) High-frequency switching device with reduced harmonics
KR102110615B1 (ko) 저항 분배기를 구비하는 스위칭 디바이스
US8547157B1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device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time
US8710541B2 (en) Bi-directional switch using series connected N-type MOS devices in parallel with series connected P-type MOS devices
KR101901693B1 (ko) 스위칭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주파 스위치
US8283808B2 (en) Switch arrangement and method for electrical switching
US10361669B2 (en) Output circuit
KR101952857B1 (ko) 스위칭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주파 스위치
TW200614657A (en) Buffer amplifier, drive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said drive integrated circuit
KR101335085B1 (ko) 고전력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83143B1 (ko) 전력 증폭기
KR20130084991A (ko) 전압 레귤레이터
US20120075004A1 (en) Switch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US10924109B2 (en) Front-end circuit
EP1678828B1 (en) Switch
US10320351B1 (en) Switch for controlling a gain of an amplifier and method thereof
US20190179355A1 (en) Low supply active current mirror
US11444575B2 (en) Bias circuit
CN210745020U (zh) 包络线跟踪电源及电子设备
US11824527B2 (en) Electric circuitry for signal transmission
US7042279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9197253B2 (en) RF switch
KR101167454B1 (ko) 차동 구조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JP2007306343A (ja) ピーク検出回路
KR20120070927A (ko) 씨모스 전력 증폭기의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