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265A -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265A
KR20150005265A KR1020130078987A KR20130078987A KR20150005265A KR 20150005265 A KR20150005265 A KR 20150005265A KR 1020130078987 A KR1020130078987 A KR 1020130078987A KR 20130078987 A KR20130078987 A KR 20130078987A KR 20150005265 A KR20150005265 A KR 20150005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orce
marine
artifact
wave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상
김정수
윤도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265A/ko
Publication of KR2015000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부유물선박의 외부에 장착되어 파도에 의한 외력을 감지 및 측정하도록 구성된 외력압력 감지 센서들 및 상기 파도에 의한 외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력압력 감지 센서들로부터 전달받은 압력 외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양부유물선박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유물선박 보호 시스템은, 파도의 파장에 의해 해양부유물선박의 특정 부분이 지속적으로 외력을 받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양부유물선박의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해양부유물선박의 특정부위가 받는 외력을 분산시키고, 이로 인해 해양부유물선박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Protection system for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다에 떠있거나 이동하는 해양부유물은 파도에 의한 지속적인 외력을 받는다. 단위시간에 대한 파도의 파장은 대부분 일정하기 때문에 해양부유물이 일정한 위치에 떠있거나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다면 해양부유물의 특정 부분에 파도에 의한 외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해양부유물의 특정 부분이 지속적인 외력을 반복하여 받으면, 해양부유물의 응력 한계로 인하여 해양부유물의 특정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용접부위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대형 화물을 선적하는 화물선의 경우, 선상에서는 화물의 중량을 받고 선저에서는 바다의 파장에 의한 지속적인 외력을 받게 되므로 새깅 또는 호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도에 의한 외력을 분산시키거나, 외력에 의해 파손된 부분을 감지하고 정보를 제공하여 해양부유물을 보호하기 위한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물보호 시스템은, 해양부유물의 외부에 장착되어 파도에 의한 외력을 감지 및 측정하도록 구성된 외력 감지 센서들; 및 상기 파도에 의한 외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력 감지 센서들로부터 전달받은 외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력 감지 센서들은 상기 파도에 의한 외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력이 기준외력보다 크면 상기 외력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력 데이터는 상기 파도의 세기, 상기 해양부유물에 외력이 가해진 횟수 및 상기 파도의 파동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력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변경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은, 파도의 파장에 의해 해양부유물의 특정 부분이 지속적으로 외력을 받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해양부유물의 특정부위가 받는 외력을 분산시키고, 이로 인해 해양부유물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은 해양부유물 (100)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의 외력 감지 센서들(200)과, 해양부유물 (100) 각 부위에 설치된 외력 감지 센서들(200)로부터 얻은 외력 데이터에 따라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해양부유물(100)은 유람선, 벌크선, 시추선 등 해양에 부유 가능한 구조물들을 모두 포함한다.
외력 감지 센서들(200)은 해양부유물(100)의 일면에 설치되는데, 파도와 해양부유물이 접하는 경계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외력 감지 센서들(200)은 파도의 외력을 감지하는데, 설정된 기준외력보다 큰 외력이 감지되면 이를 데이터화 하여 외력 데이터로써 출력한다. 특히, 외력 감지 센서들(200)은 기준외력보다 큰 외력이 감지될 때마다 외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외력 데이터는 파도의 세기, 해양부유물에 외력이 가해진 횟수 및 파도의 파동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다수의 외력 감지 센서들(200)로부터 외력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모니터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외력 데이터에 따라 해양부유물의 변속기를 제어하여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0)는 각각의 외력 감지센서들(200)로부터 전달받은 외력 데이터에서 외력이 가해진 횟수를 카운팅하여 해양부유물(100)의 어느 부분에서 외력을 가장 많이 받았는지를 체크한다. 체크된 결과는 해양부유물 내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외력 데이터가 많이 출력되는 외력 감지 센서들(200)이 설치된 부분의 해양부유물(100) 결함을 억제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변경하거나 제어부(300)가 자동으로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해양부유물(100)의 속도를 변경하면, 상대론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해양부유물(100)에 가해지는 파도의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양부유물(100)의 특정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을 다른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재변경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정한 제1 속도로 운항중인 해양부유물에 일정한 파장을 갖는 파도가 일정시간 동안 기준외력보다 큰 외력으로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진 외력 감지 센서들(201)은 외력 데이터를 제어부(300)에 송출한다. 제어부(300)는 외력 데이터로부터 해양부유물(100)의 센서에 설정된 기준외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와 외력이 가해지는 시간 및 외력의 정도를 저장한다. 이때, 기준외력보다 낮은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에 설치된 외력 감지 센서들(203)은 외력 데이터를 송출하지 않는다. 해양부유물(100)의 특정 부위에 설치된 외력 감지 센서들(201)이 임계시간 동안 제어부(300)에 외력 데이터를 송출하면, 제어부(300)는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제1 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변경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300)가 해양부유물의 속도를 제1 속도에서 제2 속도로 늦추면, 해양부유물(100)에 가해지는 파도의 파장이 변경된다. 실질적으로 바다에서 파도의 파장이 변경되는 것은 아니지만, 속도가 변경된 해양부유물은 상대적으로 파도의 파장이 변경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1 속도로 운항할 때와는 다른 부분(203)에 파도의 외력이 가해진다. 이는, 해양부유물(100)의 외부에 장착된 외력 감지 센서들(201 및 201)로부터 송출되는 외력 데이터를 통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면 상에 정지되어 있는 해양부유물의 경우, 속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모니터로 출력되는 외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력의 영향이 가장 많이 받는 부분 또는 외력에 의해 어느 부분에서 결함이 발생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부분을 즉시 수리함으로써, 해양부산물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양부유물(100)의 외부에 파도 또는 기타 충격에 의한 외력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외력 감지 센서들(201 및 203)을 장착함으로써, 운항중인 해양부유물의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을 다른 부분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정지 상태인 해양부유물에서는 결함에 취약하거나 결함이 발생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은 해양부유물의 특정부분이 받는 외력을 다른 부분으로 분산시키도록 속도를 조절하거나, 외력에 취약한 부분을 즉시 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해양부유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해양부유물의 새깅 또는 호깅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해양부유물 200, 201, 203: 외력 감지 센서
300: 제어부

Claims (4)

  1. 해양부유물선박의 외부에 장착되어 파도에 의한 외력을 감지 및 측정하도록 구성된 외력압력 감지 센서들; 및
    상기 파도에 의한 외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력압력 감지 센서들로부터 전달받은 압력 외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양부유물선박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부유물선박 보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압력 감지 센서들은 상기 파도에 의한 외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력이 기준외력보다 크면 상기 압력 외력 데이터를 송출하는 해양부유물선박 보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외력 데이터는 상기 파도의 세기, 와 상기 해양부유물선박에 외력이 가해진 횟수 및 상기 파도의 파동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해양부유물선박 보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외력 데이터 중에서 상기 외력이 가해진 횟수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를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해양부유물선박의 속도를 변경하는 해양부유물선박 보호 시스템.
KR1020130078987A 2013-07-05 2013-07-05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 KR20150005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987A KR20150005265A (ko) 2013-07-05 2013-07-05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987A KR20150005265A (ko) 2013-07-05 2013-07-05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65A true KR20150005265A (ko) 2015-01-14

Family

ID=5247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987A KR20150005265A (ko) 2013-07-05 2013-07-05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2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5324B2 (en) 2017-09-13 2021-10-26 Hefring ehf. Methods and systems for wave slam monitoring of water vess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5324B2 (en) 2017-09-13 2021-10-26 Hefring ehf. Methods and systems for wave slam monitoring of water vess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7666B2 (ja) 波浪計測装置および波浪計測装置を備えた浮体
KR101969167B1 (ko) 선박을 검사하는 방법 및 선박을 검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US20150177094A1 (en) Monitoring Container Conditions of Intermodal Shipping Containers on a Cargo Ship Through Use of a Sensor Grid
EP2914540B1 (en) Control system for cables or similar
Korotaev et al. Deflection measuring system for floating dry docks
US7301851B1 (en) Underway hull survey system
US987999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level degree of overhead conveyor
KR101739260B1 (ko) 공기식 방현재의 가이로프의 장력 검지 시스템 및 공기식 방현재
US20170240248A1 (en) Swivel for mooring arrangement
CA2846294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launch and recovery of craft from and to a host ship
KR20100067791A (ko) 선박의 액체화물의 슬로싱 감시 및 제어방법
KR20150005265A (ko) 해양부유물 보호 시스템
CN106429301A (zh) 基于超声波的皮带监测报警装置
KR101298207B1 (ko) 육상건조 선박/해양구조물의 로드아웃시 진수바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20261B2 (en) Method for detecting anomalies on a submarine object
Bosschers et al. Underwater radiated noise measurements with a silent towing carriage in the Depressurized Wave Basin
JP2017181413A (ja) 波浪計測装置、波浪計測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浮体
JP2014223989A (ja) 連続式アンローダの衝突防止装置
KR102328363B1 (ko) 선박용 추진기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선박용 추진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
KR20140045239A (ko) 스턴 튜브 모니터링 장치
KR101312555B1 (ko) 선박의 롤링 움직임 공명에 관하여 선박의 움직임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JP2020008535A (ja) 目標検出装置及び目標検出プログラム
JP7057153B2 (ja) 超音波センサ装置及び超音波センサプログラム
RU25711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дводного шума плавсредства
KR20140030470A (ko) 하중계측이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선박진수용 계측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