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556U -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 Google Patents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556U
KR20150004556U KR2020140004463U KR20140004463U KR20150004556U KR 20150004556 U KR20150004556 U KR 20150004556U KR 2020140004463 U KR2020140004463 U KR 2020140004463U KR 20140004463 U KR20140004463 U KR 20140004463U KR 20150004556 U KR20150004556 U KR 201500045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net
dehumidifying
clothe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혁
Original Assignee
강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혁 filed Critical 강준혁
Priority to KR2020140004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556U/ko
Publication of KR20150004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0Hangers having provision for perfumes or for pesticides or pest repellants, e.g. for storing in moth-proof bag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걸고리부(1)를 기준으로 양측에 경사각도를 갖는 어깨걸이부(2) 및 어깨걸이부(2) 양측을 수평으로 연장되어 바지를 반으로 걸쳐 걸어두기 위한 수평걸이부(3)를 갖는 공지의 옷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이부(3)에는 통기성을 갖고, 내부에는 제습을 위한 흡수재(A)를 수용하기 위한 제습 망(2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옷걸이의 수평걸이부에 통기성을 갖는 제습 망을 적용한 것으로, 제습 망 내에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신문) 등을 넣어 옷과 함께 걸어놓았을 때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습기로 인해 옷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하절기와 같이 습도가 많은 날 세탁한 옷가지를 걸어 둠으로써 빠른 건조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건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덜 말린 옷에서 발산하는 불쾌한 냄새가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수평걸이부에 장착된 제습 망은 미사용시 걸이대를 기준으로 말아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 망의 선택사용이 가능하고, 수평걸이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어 흡수재 및 기타 방향제, 방충제 등을 교체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Coat hanger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본 고안은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옷걸이에 제습을 위한 제습 망을 적용하여 젖은 옷, 보관하기 위한 옷 등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신문 등의 흡수재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옷걸이로부터 제습 망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여 제습 기능성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인체의 어깨 모양을 고려하여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의가 걸쳐질 수 있게 하였으며, 하단의 수평부분에는 하의가 걸쳐질 수 있게 한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형상으로 소재는 목재, 금속, 및 합성수지에 이르기 가지 매우 다양하다.
통상적으로 옷가지를 세탁하고 난 다음에는 옷걸이에 옷을 걸어 빨래줄이나 건조대에 옷걸이를 걸어두어 건조한 다음, 옷을 정리하여 접어두거나 그대로 옷걸이에 옷을 걸어둔 상태로 옷장이나 별도의 옷걸이 전용 행거에 걸어두고 의복 착용시 옷걸이와 함께 옷을 꺼내어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옷걸이의 사용에 따라 건조하는 옷은 날씨 기후에 따라 특히 장기간 우천시에는 실내에서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게 되는데, 습도가 많은 날에는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옷 건조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각종 불쾌한 냄새가 옷에 베이게 되어 세탁을 다시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옷장 등에 보관중인 옷은 기후에 의한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생되는 곰팡이, 세균류 등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장에는 별도의 습기제거제를 두어 습기를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곰팡이나 세균류에 의한 옷의 손상을 방지케 하고 있으나, 이는 습기제거제를 사용기간에 맞추어 구입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7-018563호(이하, '선행기술1' 이라 함)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287152호(이하, '선행기술2' 이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옷걸이 건조대로서, 옷걸이 형상을 갖추고, 일측에 헤어 드라이기를 탈착하여 드라이기로부터 발생하는 열풍을 옷걸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옷걸이에 걸린 옷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옷의 바른 건조는 가능하지만,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고, 헤어드라이기를 옷걸이에 맞게 제작하여야 하는 설계부분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으며, 과도한 사용시에는 오히려 옷을 손상시키거나, 전기소모가 많아지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2는 선행기술1과는 달리 옷걸이 몸체 내부에 습기제거제 혹은 방향제, 방충제와 종이패드를 넣어 몸체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나오는 약제의 효과로서 습기제거로서 건조, 곰팡이 번식, 방충효과를 갖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2는 실질적으로 옷걸이 내에 넣어진 습기제거제와 종이패드를 넣고 빼내기가 수월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특히 세탁이 이루어지고 난 상태에서 젖어 있는 옷을 옷걸이에 걸어 건조대 등에 걸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2에서의 옷걸이는 마른 옷을 옷장에 보관하여 둠으로써, 습기를 소량 흡습(吸濕)하기에 적합한 제품으로 젖은 옷을 걸어 건조시키는 제품으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옷걸이에 제습을 위한 제습 망을 적용하여 젖은 옷, 보관하기 위한 옷 등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신문 등의 흡수재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옷걸이로부터 제습 망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여 제습 기능성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걸고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경사각도를 갖는 어깨걸이부 및 어깨걸이부 양측을 수평으로 연장되어 바지를 반으로 걸쳐 걸어두기 위한 수평걸이부를 갖는 공지의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이부에는 통기성을 갖고, 내부에는 제습을 위한 흡수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습 망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습 망은 상부에 중공의 걸이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 망을 탈착시키기 위한 옷걸이의 수평걸이부는 단부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걸이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수평걸이부는 어깨걸이부 중 어느 한 쪽의 어깨걸이부와 단락되게 형성되고, 단락된 수평걸이부의 단부에는 제습 망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턱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습 망은 하부가 개폐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파스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습 망의 양측에는 제습 망을 접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벨크로우, 스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습 망에는 걸이대에 제습 망을 감아 놓은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우가 제습 망의 하부 전후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흡수재는 신문 또는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는, 옷걸이의 수평걸이부에 통기성을 갖는 제습 망을 적용한 것으로, 제습 망 내에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신문) 등을 넣어 옷과 함께 걸어놓았을 때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습기로 인해 옷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하절기와 같이 습도가 많은 날 세탁한 옷가지를 걸어 둠으로써 빠른 건조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건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덜 말린 옷에서 발산하는 불쾌한 냄새가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의 수평걸이부에 장착된 제습 망은 미사용시 걸이대를 기준으로 말아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 망의 선택사용이 가능하고, 수평걸이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어 흡수재 및 기타 방향제, 방충제 등을 교체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옷걸이 및 제습 망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와 제습 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옷걸이 및 제습 망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옷걸이와 제습 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습 망을 말아놓은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습 망의 하부를 개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습 망의 길이를 반으로 접어놓은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에 옷을 걸어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걸고리부(1)를 기준으로 양측에 경사각도를 갖는 어깨걸이부(2) 및 어깨걸이부(2) 양측을 수평으로 연장되어 바지를 반으로 걸쳐 걸어두기 위한 수평걸이부(3)를 갖는 공지의 옷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이부(3)에는 통기성을 갖고, 내부에는 제습을 위한 흡수재(A)를 수용하기 위한 제습 망(2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습 망(20)은 메쉬를 사각형태의 주머니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습기 및 탈취효과를 갖는 숯 성분이 적용된 원단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습 망(20)은 상부에 중공의 걸이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 망(20)을 탈착시키기 위한 옷걸이(10)의 수평걸이부(3)는 단부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걸이대(21)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대(21)는 중공의 파이프로서 제습 망의 상단부에 걸이대를 삽입시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걸이부(3)는 어깨걸이부(2) 중 어느 한 쪽의 어깨걸이부와 단락되게 형성되고, 단락된 수평걸이부(3)의 단부에는 제습 망(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턱(3a)이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습 망(20)은 흡수재 등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부가 개폐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파스너(22)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22)는 일 예로 제습 망의 상부측에 마련할 수도 있다.
간단하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습 망의 하부는 막음 처리되고, 상부측은 일반 손을 넣고 뺄 수 있는 포켓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형태는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생략한 타입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습 망(20)의 양측에는 제습 망을 접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부재(2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3)는 벨크로우, 스냅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벨크로우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제습 망(20)에는 걸이대(21)에 제습 망을 감아 놓은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우(24)가 제습 망의 하부 전후측에 구비된다.
상기 흡수재(A)는 신문 또는 활성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문은 흡수율이 뛰어나 보편적으로 물기를 흡수하는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읽고 모아둔 신문을 활용하며, 도면상에서는 상기 제습 망의 내측 폭에 맞게 접어서 사용하거나 혹은 자유분방하게 구겨 놓은 상태로 제습 망에 집어넣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옷걸이(10)의 사용은 통상 빨래줄이나 건조대에 걸고리부(1)를 걸어 사용하는 것으로, 어깨걸이부(2)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걸이부(3)의 양측을 벌린 상태에서 제습 망(20)의 걸이대(21) 양측에 수평걸이부(3)의 단부를 끼워 넣거나, 혹은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단락된 수평걸이부(3)에 제습 망(20)의 걸이대(21)를 관통하여주면, 수평걸이부(3)의 단부측 걸림턱(3a)에 걸이대(21)의 끝단이 걸려 이탈되지 않는 형태로 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습 망(20)을 옷걸이(10)에 장착하기 이전에는 하부에 마련된 슬라이드 파스너(22)를 이용하여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망(20)의 하부를 개방시키고, 여기에 흡수재(A)를 수용한다.
상기 흡수재(A)는 보편적으로 구하기 쉽고 폐지로 후처리가 용이한 신문을 넣어두거나, 혹은 덩어리 형태로 성형한 활성탄을 넣은 다음, 가시 슬라이드 파스너(22)를 이용하여 제습 망(20)의 하부를 폐쇄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옷걸이에 장착하고, 옷걸이(10)의 어깨걸이부(2)에는 상의를 걸어 건조시켜 준다.
특히 세탁 후, 탈수과정을 거친 옷은 덜 마른 상태로서, 상기 제습 망(20) 내부에 수용된 흡수재(A)가 습기를 빨아들이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습도가 높은 날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흡수재(A)를 통해 제습된 옷은 그만큼 오랜 시간 동안 덜 건조되는 옷에서 발생하는 냄새 베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흡수재는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고 난 상태에서는 역순으로 제습 망의 하부를 개방하여 새로운 흡수재로 교체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습 망(20)은 필요에 따라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제습 망의 양측에 마련된 고정부재(23)를 통해 절반 길이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사용시에는 제습 망(20)을 걸이대 기준으로 감아 놓고 벨크로우(24)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준 상태로 제습 망(20)을 길이부분을 정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와 제습 망을 이용하여 옷을 걸어 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후 옷의 건조와 옷의 보관시 제습 망을 통해 습기를 흡수해 줌으로써, 옷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걸고리부 2: 어깨걸이부
3: 수평걸이부 3a: 걸림턱
10: 옷걸이 20: 제습 망
21: 걸이대 22: 슬라이드 파스너
23: 고정부재 24: 벨크로우
A: 흡수재

Claims (8)

  1. 걸고리부(1)를 기준으로 양측에 경사각도를 갖는 어깨걸이부(2) 및 어깨걸이부(2) 양측을 수평으로 연장되어 바지를 반으로 걸쳐 걸어두기 위한 수평걸이부(3)를 갖는 공지의 옷걸이(10)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이부(3)에는 통기성을 갖고, 내부에는 제습을 위한 흡수재(A)를 수용하기 위한 제습 망(2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망(20)은 상부에 중공의 걸이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 망(20)을 탈착시키기 위한 옷걸이(10)의 수평걸이부(3)는 단부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걸이대(21)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이부(3)는 어깨걸이부(2) 중 어느 한 쪽의 어깨걸이부와 단락되게 형성되고, 단락된 수평걸이부(3)의 단부에는 제습 망(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턱(3a)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망(20)은 하부가 개폐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파스너(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망(20)의 양측에는 제습 망을 접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부재(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3)는 벨크로우, 스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망(20)에는 걸이대(21)에 제습 망을 감아 놓은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우(24)가 제습 망의 하부 전후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A)는 신문 또는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KR2020140004463U 2014-06-13 2014-06-13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KR201500045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63U KR20150004556U (ko) 2014-06-13 2014-06-13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63U KR20150004556U (ko) 2014-06-13 2014-06-13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56U true KR20150004556U (ko) 2015-12-23

Family

ID=5517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63U KR20150004556U (ko) 2014-06-13 2014-06-13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55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734B1 (ko) * 2020-05-15 2021-03-15 (주)채움광고기획 항바이러스 옷걸이
KR20220159160A (ko) *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이안하이텍 수건 건조살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734B1 (ko) * 2020-05-15 2021-03-15 (주)채움광고기획 항바이러스 옷걸이
WO2021230694A1 (ko) * 2020-05-15 2021-11-18 (주)채움광고기획 항바이러스 옷걸이
KR20220159160A (ko) *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이안하이텍 수건 건조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9524A (zh) 一种多功能折叠干衣机
KR20150004556U (ko) 제습 기능을 갖는 옷걸이
CN204039798U (zh) 一种袜子晾晒支架
KR20130056123A (ko) 송풍장치를 갖는 2단 옷걸이
KR20070104318A (ko) 참 숯 옷걸이 봉
JP2007319624A (ja) 物干カバー
CN204939933U (zh) 可拆卸、可折叠的吸湿吹干衣物架
KR20070024999A (ko) 의류 건조기
CN206616390U (zh) 浴室除湿干衣一体机
CN210215931U (zh) 一种家用具有干燥杀菌功能晾衣杆
CN207427615U (zh) 一种物品防水防潮安放装置
KR20170083241A (ko) 습기제거 결합 옷걸이
CN206867030U (zh) 一种多功能圆形晾衣架
CN205306648U (zh) 一种双杆的晾衣架
CN203238476U (zh) 一种空调晾衣架
KR20130020111A (ko) 건조효율성을 향상시킨 빨래건조대
CN205775440U (zh) 一种室内折叠烘干晾衣架
KR200413122Y1 (ko) 옷걸이형 건조기
CN206166540U (zh) 熏香衣架
JP3212065U (ja) 洗濯物干しカバー
CN204169596U (zh) 除臭除湿的晾衣架
JP3132473U (ja) 帽子専用干し具および収納具
CN208301435U (zh) 筒状软织物支撑晾架
CN210458708U (zh) 一种具有除味功能的衣服烘干机
KR101487428B1 (ko) 노출식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