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301U - 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 - Google Patents

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301U
KR20150004301U KR2020140003928U KR20140003928U KR20150004301U KR 20150004301 U KR20150004301 U KR 20150004301U KR 2020140003928 U KR2020140003928 U KR 2020140003928U KR 20140003928 U KR20140003928 U KR 20140003928U KR 20150004301 U KR20150004301 U KR 201500043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water tank
pedestal
culture liqui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9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0431Y1 (en
Inventor
송호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로 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로 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로 수경
Priority to KR2020140003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31Y1/en
Publication of KR20150004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3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작물식재공 또는 트레이장착공이 상하로 관통되고, 외측 바닥면에는 일정 높이의 받침대가 구비되어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에 담가진 상태에서 작물을 키우는 수경재배용 베드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의 내부에서 이동시 수조의 바닥면 및 배양액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원추형 모양 또는 팽이 모양을 갖는 특징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bed,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crop planting holes or tray mounting holes penetrating up and down, and a pedesta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bottom surface, The pedestal has a characteristic shape having a conical shape or a top shape so as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culture liquid when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Description

수경재배용 베드{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Bed for the hydroponics facilities}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채류와 같은 농작물이 식재된 베드를 수경재배시설의 수조에서 담가 재배하는 경우, 수조에 침지된 각각의 베드를 수조의 일측으로 잡아당길 때, 수조의 바닥면과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최소한의 힘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경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droponic bed in which cultivated plants such as fruit vegetables are cultivated in a hydroponic culture tank, when each bed immersed in the water tank is pulled to one side of the tank, To a hydroponic cultivation bed capable of being moved with minimum force while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a water tank.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먹거리가 사계절 식탁에 제공됨으로써 소비자의 소비욕구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various food items are provided to the table at the four seasons, and consumers' consumption desires are also diversified.

특히, 식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농산물의 경우, 그 신선도가 상품의 품질과 가격을 좌우하고 있으며, 특히 각종 환경오염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신선도와 더불어 친환경재배되는 농산물을 더욱 선호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Especially, in the case of agricultural products used as food materials, the freshness affects the quality and price of the products. Especially,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onsumers are more prefering to produce freshly grown agricultural products.

이러한 다양하고 향상된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신선하고 친환경 농산물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온실형태의 시설재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order to provide fresh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se various and improved consumer desires, various greenhouse type facilities are growing.

특히, 다양한 온실 시설재배 가운데에서도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시설재배는 다른 온실 시설재배보다 비용이 적게 들면서 다양한 농산물을 재배하기 용이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various greenhouse facilities, facility cultivation using a vinyl house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easier to cultivate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with less cost than other greenhouse facilities.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시설재배, 특히 다양한 형태의 온실에서 수경(水耕)으로 과채류를 재배할 때, 작물이 식재되는 베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작물을 생육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조 침지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the cultivation of plants, particularly to the beds where crops are planted when cultivating fruit and vegetables in hydroponics in various types of greenhouses, particularly for growing crops immersed in a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medium To a bed for immersion in a water tank.

일반적으로 수경재배식물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온실 내부에서 재배되므로, 빠른 성장을 통해 다양한 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수경재배시설에서 생육되는 작물은 생장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토양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각종 영양분이 포함된 배양액을 식물에 직접 공급하거나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에 베드를 침지시켜 놓고 재배되는 작물이 뿌리를 통해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hydroponic cultivated plants are grown in the greenhouse where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constant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crops through rapid growth. In particular, the crops grown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facility can supply the water and nutrients required for growth from the soil But it is constructed so that the cultivated crops can be grown while absorbing necessary nutrients through the roots by directly feeding the cultures containing nutrients to the plants or immersing the beds in a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이러한 수경재배시설에는 배양액이 일정량 채워지는 수조와, 작물성장에 필요한 배지 등이 채워져 작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Such a hydroponic cultivation facility is generally used as a water tank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a culture medium, and a bed providing a space where crops can grow by filling a medium required for crop growth.

베드는 스치로폼이나 플라스틱제로 이루어져 그 중량이 가벼우면서 일정한 부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베드의 내측에는 흙이나 자갈, 인공토양, 배지 등이 채워진 상태에서 작물이 식재되고, 작물이 식재된 베드는 그 내부로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분이 포함된 배양액을 별도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거나, 일정 높이의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에 담가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공급되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bed is composed of a material made of styrofoam or plastic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ight weight and a constant buoyancy. The bed is made in various sizes. The inside of the bed is planted with soil, gravel, artificial soil, The planted bed can be supplied with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various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rops through a separate feed pipe or immersed in a water tank filled with a culture medium at a certain height so that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crop can be supplied.

종래의 일 실시예로 도 1에는 수조 내부에 다수개의 베드가 침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eds are immersed in a water tan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수경재배용 베드(10)는 그 내측 바닥면에 다수개의 작물식재공(14)이 형성되어 배양액이 채워진 일정 크기의 수조(5)에 침지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여러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고, 앞뒤 베드간에는 서로 연결끈(12)으로 연결되어 가장 전방의 베드를 잡아당길 경우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여러개의 베드가 수조의 일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베드에서 성장하고 있는 작물을 차례대로 수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hydroponic cultivation bed 10 has a plurality of crop planting holes 14 formed on its inner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14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immersed in a water tank 5 of a certain size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When the frontmost bed is pulled out, several bed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ull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crops growing on the bed can be harvested sequentially .

그러나 수경재배용 수조(5)에 침지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베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일정 높이의 받침대(16)가 구비되는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베드(10)의 받침대(16)는 수조(5)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되는 저면이 평평하여 수조의 바닥면과의 마찰면적이 넓어 작물 수확시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 연결된 베드를 작업자가 수조 밖에서 당김줄을 이용하여 잡아당길 대 쉽게 끌려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2, the conventional bed 10 used by being immersed in the hydroponic water tank 5 is provided with a pedestal 16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2, The pedestal 16 has a flat bottom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5 and has a large friction surface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It was not easy to pull it out.

즉, 작업자가 수조(5) 내부에 침지된 다수의 베드(10)에 식재된 작물을 수확하기 위해 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수조 외측으로 수조 내부에 침지된 베드를 잡아당길 때 큰 힘이 들어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when the operator pulls the bed immersed in the water tank outside the water tank in which the operator is located in order to harvest the crops planted in the plurality of beds 10 immersed in the water tank 5,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deteriorated.

또한,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종래의 베드는 수조 내부에서 한쪽으로 잡아당길 때, 수조 바닥면과의 마찰저항 때문에 쉽게 미끌리지 않다가 순간 이동되면서 전도되는 경우도 발생하여 베드에서 성장하고 있는 작물이 훼손되어 상품성이 떨어져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a conventional bed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is pull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it is not easily attracted due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Often resulting in an economic loss due to the loss of marketability.

또한, 도 3의 절단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베드(10) 저면에 형성된 받침대(16)는 배양액(30)과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 수조(5) 내부에 다수개가 담가져 있는 베드(10) 하부에서의 배양액 소통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배양액에 포함된 영양분이 수조 내부의 전체 베드의 작물에 골고루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각 베드에서 생육되고 있는 작물의 성장이 각각 달라 수확시 상품성이 떨어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3, the pedestal 16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ntional bed 10 has a larg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culture liquid 30, 10), the nutrients contained in the culture liquid are prevented from being uniformly supplied to the crops of the whole bed in the water tank, and the growth of the crops grown in the respective be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t was a factor that lowers the commerciality in harvest.

- 한국 등록특허 제10-1240666호(등록일: 2013.02.28, 발명의 명칭: 수경재배용 베드)-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40666 (Registered Date: Feb. 28, 201, title of invention: Hydroponic cultivation bed)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147507호(등록일: 1999.03.09, 고안의 명칭: 수경설비용 베드)- Korean Utility Model No. 20-147507 (Registered Date: Mar. 9, 1999, Name of Design: Hydroponic Facilities Bed) -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147호(공개일: 2014.01.09, 고안의 명칭: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4-147 (Disclosure Date: 2014.01.09, Design: strawberry hydroponic cultivation bed)

본 고안은 종래의 수경재배용 베드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내부에 침지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잡아당길 경우 수조박닥면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 작물수확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경재배용 베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hydroponic cultivation bed. It is easy to harvest the crop by min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surface of the tank when it is pulled to one side in a state where it is immersed in the water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droponic bed for reducing the labor force of a worker.

또한, 본 고안은 수조 내부에 채워진 배양액에 일정 깊이 잠기는 베드의 하부로 배양액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여러개의 베드에 식재된 작물에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성장이 균일한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경재배용 베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nutrient supply system that enables the nutrients to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rops planted on several beds by allowing the culture fluid to flow smoothly to the lower part of the bed immersed in the culture liquid filled in the water tank, There is another purpose of providing a growing b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베드는 측벽이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측벽의 내측에는 일정 깊이의 식재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일정 높이의 받침대가 형성되어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에 담가진 상태로 작물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경재배용 베드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의 내부에서 이동시 수조의 바닥면 및 배양액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원추형 모양 또는 팽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ydroponic cultivation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wall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the planting portion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inner side of the sidewall, and the pedestal at a certain height is formed at the bottom, The pedestal has a conical shape or a top shape so as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culture liquid when moving from inside the water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Shape.

특히, 상기 받침대는 베드의 저면에 복수개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되, 그 폭보다 높이가 더 큰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선단부가 수조 바닥면에서 이동시 미끌림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pedesta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d, and the pedestal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height larger than the width thereof, and a tip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a round shape so as to facilitate this.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베드는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 내부에 담가진 상태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여러개의 베드가 수조 내부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조 일측으로 잡아당길 때 배양액 및 수조 내부 바닥면과의 접촉저항이 적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서로 연결된 여러개의 베드를 끌어 당기는데 큰 힘이 들지 않아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hydroponic cultivation bed is cultivated in a state of being immersed in a water tank filled with a culture solution, when several beds are pull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whil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ulture tank and the water tank Because the resistance is low, the worker does not have a great deal of effort to draw multiple bed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thereby saving labor and enhancing work efficiency.

또한, 베드 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받침대가 서로 이격 형성되어 베드의 저면에 채워진 배양액의 소통이 원활하여 수조 내부에 담가진 여러개의 베드에서 생육되고 있는 작물에 영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물의 균일한 성장을 도모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edestal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ttom of the be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mmunication of the culture liquid filled in the bottom of the bed is smoothly carried out, so that the nutrients are smoothly supplied to the crops growing in the various beds So that the crops can be uniformly grown to harvest the crops having excellent merchantability.

도 1은 수경재배용 수조에 베드가 설치된 종래의 일 실시예,
도 2는 종래의 수경재배용 베드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수직 절단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베드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베드가 수조 내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절단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드의 일부 분리상태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ior art in which a bed is installed in a water-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hydroponic cultivation bed,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4 and 5 are external perspective views of a hydroponic cultivation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ic cultivation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6,
FIG. 8 is a partially separated state view of a b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베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드(20)의 정면 상부측 외관사시도이고, 도 5는 하부측 외관사시도이다.Fig. 4 is an upper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ide of the bed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ottom side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b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드(2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표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작물식재공(24)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그 저면부에 일정 높이의 받침대(2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4 and 5, the bed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ate-lik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crop planting holes 24 penetrating up and down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pedestal (26)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pedestal.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베드(20)는 그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이나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Although the bed 20 of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crop to be cultivated or its kind.

또한, 상기 베드(20)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받침대(26)는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 내부 바닥면에서 베드가 일정 높이 유지되도록 하여 작물식재공(24)에 심어진 작물의 뿌리가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edestals 26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ed 20 maintains the b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so that the roots of the crops planted in the planting planting holes 24 grow smoothly .

본 고안은 상기 베드(20)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대(26)의 형상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26)는 그 형상이 원추형(

Figure utm00001
) 또는 팽이모양(
Figure utm00002
)으로 이루어져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 내부에서 이동시 배양액 및 수조 바닥면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 그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pedestal 26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ed 20 is such that the pedestal 26 has a conical shape
Figure utm00001
) Or top (
Figure utm00002
), Min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culture medium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when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solu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thereof.

즉, 상기 받침대(26)는 베드(20)의 바닥면(23)에서 복수개로 분할 구성되고, 그 폭(두께) 보다는 높이가 다소 큰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수조 바닥면과 접촉되는 선단부가 베드의 측면 이동시 수조 바닥면과의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pedestal 26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23 of the bed 20, and the pedestal 26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height slightly larger than its width,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can be minimized.

따라서, 상기 받침대(26)는 몸통부 형상이 배양액과이 접촉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베드(2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아래쪽 선단부는 폭(직경)이 최소화된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26,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d 20, is formed in a round shape having a minimum width (diameter), while the pedestal 26 is cylindrical in shape, .

특히, 상기 받침대(26)는 베드(20)의 바닥면(23)에 연결된 상단부측에서 하단부 측으로 그 폭이나 외경이 점점 줄어들어는 원추형, 고깔형 또는 테이퍼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수조 내부에 채워진 배양액과의 측면 접촉저항을 줄임과 동시에 수조 내부 바닥면과의 면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pedestal 26 is formed of a cone, a cone, or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or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side to the lower end sid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23 of the bed 20, It is more preferable to reduce the side contact resistance of the water tank and to minimize the surfac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이와 같은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드(20)가 배양액(30)이 채워진 수조(5) 내부에 다수개가 배치된 상태가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eds 20 are arranged in the water tank 5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드(20) 다수개가 배양액이 채원진 수조(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작물이 생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일정 크기의 수조(5) 내부에는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함유된 배양액이 일정 높이 채워지게 되고,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5)의 바닥면에 작물이 식재된 베드(20)가 담가져 일정기간 생육과정을 거치게 된다.6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ed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inside a water tank 5 from which a culture liquid has been taken to grow crops.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nutrients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crop is filled in the inside at a certain height and the bed 20 in which the crops are planted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5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수조(5) 내에서 일정기간 작물이 생장한 후에 베드(20)에서 성장한 작물을 수확하게 되는데, 이때 각 베드(20)에 재배되고 있는 작물을 수확하기 위해 수조(5)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외측 베드(20)부터 하나씩 작물을 수확하고, 수확이 이루어진 베드는 수조에서 빼낸 후에 그 다음 베드를 끌어당겨 연결끈으로 연결된 여러개의 베드를 하나씩 수확하게 된다.The crop grown in the bed 20 is harvested after the crop has grown in the water tank 5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is time, in order to harvest the crops cultivated in the respective beds 20, The crops are harvested one by one from the placed outer bed (20), the harvested bed is taken out of the water tank, and then the bed is pulled to harvest several bed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string.

물론, 이때 먼저 수확이 이루어진 베드는 수조에서 빼낸 후에 다시 가장 뒷쪽 자리로 옮겨서 다시 수조에서 담가 다시 일정기간 생육기간을 거친 후에 수확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Of course, at this time, the harvested bed is taken out of the water tank and then moved back to the most backward position. Then, the bed is again harves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growing period after being immersed in the tank.

따라서,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5)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베드(20)를 수조(5)의 외측에서 잡아당길 때, 수조(5)의 내부에 채워진 배양액(30)은 베드(20)의 일측면 및 베드(2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받침대(26)와 마찰되어 일정한 저항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기 받침대(26)의 저면부는 수조(5)의 바닥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저항을 받게 된다.7, when a large number of beds 2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tub 5 and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re pulled out of the water tub 5, The culture liquid 30 rubs against the pedestal 26 protru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bed 20 and the bottom of the bed 20 to generate a constant resistive force and the bottom of the pedestal 26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contact with the surface is received.

그러나, 본 고안의 베드(20)에 구비된 받침대(26)는 그 몸통 형상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아래쪽 선단부가 베드 내측 바닥면과의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는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져 배양액(30)이 채워진 수조(5)의 내부에서 쉽게 미끄러지면서 수조 일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However, the pedestal 26 provided in the be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rounded shape in which the lower end thereof can minimize th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ed, And is easily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 tank while being easily slipped inside the filled water tank 5.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드(20)는 다수개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한쪽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배양액 및 수조의 내측 바닥면과의 접촉저항이 작아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베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한층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ed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 contact resistance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ulture liquid and the water tank even when the plurality of the bed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ed can be moved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fatigue of the operator and enhancing the work efficiency.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드(20)는 그 표면에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작물식재공(24)이 형성되어 수경재배가 이루어지는 작물이 각각의 작물식재공(24)에 식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반면에,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드(20a)는 모종이 밀식된 트레이(25)를 끼울 수 있는 트레이장착공(22)이 일정 크기로 복수개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면(23)에는 상술한 복수개의 받침대(23)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bed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rop planting holes 24 penetrating up and down on the surface thereof, so that crops in which the hydroponically cultivated crops are introduced into the respective crop planting holes 24 8, the bed 2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ray mounting hole 22, into which the tray 25 having seedlings seeded therein, And the bottom surface 23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pedestals 23 described above.

즉, 본 고안은 베드(20,20a)의 외측 바닥면(23)에 배양액 및 수조의 내측 바닥면과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원추형 또는 팽이모양의 받침대(26)가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베드 표면에 다수개의 작물식재공이 관통되거나 모종 트레이를 끼울 수 있는 트레이장착공(22)이 관통된 구조에 관계없이 그 적용이 가능하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bottom surface 23 of the beds 20 and 20a is formed with a conical or topped pedestal 26 for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culture liquid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 Regardless of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rop planting holes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bed or a tray mounting hole 22 through which the seedling tray can be inserted is penetrated.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질적인 권리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질 것이며, 이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실시예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s set forth in the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idea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 : 수조 10,20,20a : 베드
12 : 연결끈 14,24 : 작물식재공
16, 26 : 받침대 22 : 트레이장착공
23 : 바닥면 25 : 트레이
30 : 배양액
5: water tank 10, 20, 20a: bed
12: Lanyard 14,24: Crop planting ball
16, 26: pedestal 22: tray mounting hole
23: bottom surface 25: tray
30: culture solution

Claims (2)

다수개의 작물식재공 또는 트레이장착공이 상하로 관통되고, 외측 바닥면에는 일정 높이의 받침대가 구비되어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에 담가진 상태에서 작물생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경재배용 베드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배양액이 채워진 수조의 내부에서 이동시 수조의 바닥면 및 배양액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원추형 모양 또는 팽이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베드.
A hydroponic cultivation bed for growing a crop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rop planting holes or tray mounting holes penetrate up and down, and a pedesta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Wherein the pedestal has a conical shape or a top shape so as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culture liquid when moving in the water tank filled with the culture liq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베드의 저면에 복수개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로 형성되되, 그 폭보다 높이가 더 큰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선단부가 수조 바닥면에서 이동시 미끌림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bottom surface of the bed and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heigh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edestal so that the tip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can be easily slid Wherein the water-absorbing layer is formed in a round shape.
KR2020140003928U 2014-05-22 2014-05-22 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 KR2004804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28U KR200480431Y1 (en) 2014-05-22 2014-05-22 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28U KR200480431Y1 (en) 2014-05-22 2014-05-22 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01U true KR20150004301U (en) 2015-12-02
KR200480431Y1 KR200480431Y1 (en) 2016-05-24

Family

ID=5502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928U KR200480431Y1 (en) 2014-05-22 2014-05-22 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31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909B1 (en) 2016-02-16 2016-09-22 주식회사 애그로닉스 Water culture bed with divided sponge for growing root crop
KR20210001845U (en) 2020-02-06 2021-08-17 황규영 hydroponics bed for succulent plants
WO2023156813A1 (en) * 2022-02-15 2023-08-24 Pure Impact Fzco Specialized trays with cups and process for plant transpla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494Y1 (en) 2005-03-31 2005-06-29 김상진 A storing and draining plate being able to mature a lawn
JP5769435B2 (en) 2011-01-20 2015-08-26 有限会社長尾デザイン事務所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101335919B1 (en) 2011-06-03 2013-12-03 김탐나 Multi Purpose Plant Box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909B1 (en) 2016-02-16 2016-09-22 주식회사 애그로닉스 Water culture bed with divided sponge for growing root crop
KR20210001845U (en) 2020-02-06 2021-08-17 황규영 hydroponics bed for succulent plants
WO2023156813A1 (en) * 2022-02-15 2023-08-24 Pure Impact Fzco Specialized trays with cups and process for plant transpla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31Y1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185B1 (en) The apparatus for water culture
CN204837273U (en) Device of growing seedlings
KR101314657B1 (en) Bed for nutrient culture
KR20140060551A (en)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container and cultivation device used therefor
Ranawade et al. Comparative cultivation and biochemical analysis of Spinacia oleraceae grown in aquaponics, hydroponics and field conditions
CN110050604A (en) The ecological cultivation system of fish fry dish
KR101303247B1 (en) Apparatus for hydroponics with demountable pot
KR200480431Y1 (en) Bed for the the hydroponics facilities
US20120073195A1 (en) Plant growth and garden bags and method of cultivating plants therein
JP6158592B2 (en) Hydroponics apparatus and hydroponics method
Rodríguez-Delfín et al. Soil based and simplified hydroponics rooftop gardens
JP4948034B2 (en) Tomato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912290A (en) Vertical hydroponic plant process units
JP2015039321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US20160235022A1 (en) Seed starter
CN205266552U (en) Two -way three -dimensional water planting planting device
KR101314769B1 (en) Bed for nutriculture
CN107333580A (en) A kind of afforestation plant growing pot
KR20210001845U (en) hydroponics bed for succulent plants
JP2019150004A (en) Solid medium bottom irrigating water culture
CN203692117U (en) Family soilless culture device
JP3199233U (e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using wood chip fermentation heat
KR102045705B1 (en) plant cultivation manager for transplant capable fo rearing activation
KR101538389B1 (en) Hydroponic growing Landscaping trees bad structure
CN205623321U (en) Breeding device is planted to trapezoidal three -dimensio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