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247B1 - Apparatus for hydroponics with demountable po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ydroponics with demountable 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3247B1 KR101303247B1 KR1020110107203A KR20110107203A KR101303247B1 KR 101303247 B1 KR101303247 B1 KR 101303247B1 KR 1020110107203 A KR1020110107203 A KR 1020110107203A KR 20110107203 A KR20110107203 A KR 20110107203A KR 101303247 B1 KR101303247 B1 KR 1013032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ot
- nutrient solution
- supply pipe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501 hydroponics Substances 0.000 title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3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5 multip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에 다수 개의 화분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하부가 상기 화분장착홀에 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본체 상부로 돌출되고, 바닥면은 상기 본체 바닥과 이격된 채 바닥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면 일측 중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의 절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절개부를 관통한 부분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공급관과; 제1연결관에 의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관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순환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물 또는 양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본체 상부에 화분장착홀을 형성하여 화분의 저부를 통해 화분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한편, 본체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된 공급관을 설치하고 배출홀을 통해 화분 상부로 양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화분 상부에서 양액이 낙하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자 또는 성장하는 식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화분의 측벽면에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공급관의 일부가 절개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함과 더불어 화분의 측벽면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절개부의 상부에 위치한 측벽면 부분을 중앙측으로 밀어내어 본체의 화분장착홀에 끼워진 화분을 개별적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빛의 공급 등에 따른 각 화분별 식물의 생장이 균일하지 않는 등 다양한 이유로 화분을 분리하기가 용이해진다.
또, 본체를 상하로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하되, 상층과 하층의 본체를 연결하는 배관 일부는 상층의 본체 저부로부터 하층의 공급관을 연결하는 제3연결관과, 상층의 본체 측면으로부터 하층의 본체 측면으로 연결하는 제4공급관을 설치함으로써, 종자가 발아되고 식물의 뿌리가 화분 밑으로 돌출하지 않은 정도의 상태에서는 제3연결관 및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양액을 층간 순환시키고, 종자가 발아된 후 뿌리가 화분 밑으로 돌출될 정도로 성장한 상태에서는 순환펌프를 이용한 순환 없이 제4연결관을 통해 본체 내부에 차 있는 양액을 통해 식물의 뿌리에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pot.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lanter mounting holes on the upp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anter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planter mounting hole, an upper portion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bottom surface formed with a bottom hol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tout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wall surface; A supply pip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enetrating through the cutout of the flower pot, and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portion through the cutout; A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by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 second connection pipe, having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at one side, and storing water or nutrient solution therein;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through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by forming a potted mounting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while installing a supply pipe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pollen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falls from the top of the pollen to generate bubbles, thereby supplying oxygen to the seeds or growing plan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 to make the growth of the plant more actively.
In particular,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flower pot is formed with an incision and a part of the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state, and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flower po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ushes the side wall surface port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incision to the center side.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pots fitted in the pot mounting holes of the plant, it is easy to separate the pots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growth of plants for each pot according to the supply of light is not uniform.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up and down, but a part of the pip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main body is a third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supply pipe of the lower layer from the lower body of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body of the lower layer from the main body side of the upper layer. By installing a fourth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ide, the seed is germinated and the root of the plant does not protrude below the pot, and the nutrient solution is circulated interlayer using the third connection pipe and the circulation pump, and after the seed is germinated, When the roots are grown to protrude under the po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allowing the nutrient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root of the plant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filled inside the body through the fourth connector without circulation using a circulation pump.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분의 측벽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화분 측벽면을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한편 화분 상부로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설치되되 공급관이 절개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화분을 빼낼 때 절개부의 상부에 위치한 측벽면 부분을 중앙측으로 밀어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the incision is formed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pot,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po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while the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or nutrient solution to the top of the pot is installed but the supply pipe passes through the incision When installed so as to remove the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to be easily pushed out to the center side, it is related to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with a detachable potted plant.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녹인 양액만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말하고, 양액은 작물 각각에 표준적 생육을 할 수 있는 영양소와 액의 pH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hydroponic cultivation refers to a method of cultivating a plant using only nutrient solution that dissolves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 The nutrient solution is generally formulated to maintain a constant pH of nutrients and liquids capable of standard growth in each crop. .
근래에는 이러한 수경재배가 다양한 품종에 대하여 널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도 베란다 등에서 채소, 화초 등의 작물을 수경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In recent years, such hydroponic cultivation is widely made for a variety of varieties, and in many households, hydroponic cultivation of crops, such as vegetables and flowers, on the veranda.
따라서, 베란다와 같은 협소한 장소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수경재배기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 hydroponic cultivato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place such as a veranda is required.
종래의 수경재배기에 있어서는, 다수의 작물을 함께 재배하는 경우 양액을 일일이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양액이 떨어져 베란다 바닥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hydroponic cultivator, when cultivating a large number of crops togeth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one by 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trient solution falls off and contaminate the porch floor.
또한 양액은 일정기간마다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should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if it is done by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유리부착형 양액순환방식 수경재배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9855호, 특허문헌 1) 5페이지 도 1에는 홈통형상의 재배베드를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하는 한 편 각 층마다 배관 연결하고, 최상층의 재배베드에 양액을 공급하여 순환방식으로 양액을 공급하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As a technique to solve this problem, "glass-mounted nutrient solution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or"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09855, Patent Document 1) page 5 Figure 1 in the groove-shaped cultivation bed of multiple layers On the other hand, a technology is disclosed in which pipes are connected to each floor and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topmost cultivation bed to supply nutrient solution in a circulating manner.
또, "가정용 양액 순환 포트 수경재배기"(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177호, 특허문헌 2) 8페이지 도 1에는 베드에 식물 식재구를 형성하고 여기에 포트를 설치하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household nutrient solution circulation pot hydroponic cultivat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39177, Patent Document 2) page 8 FIG. 1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ant planting zone is formed in a bed and a port is provided therein.
한편, 통상적으로 포트에 종자가 식재될 때 포트 내부에 스폰지나 솜 등에 양액이 스며들어 이를 통한 양액의 공급을 통해 식물이 발아 및 성장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양액의 공급이 포트의 하부에서 서서히 차오르면서 채워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바, 충분한 산소 공급 없이 양액만이 스폰지나 솜 등을 통해 식물의 종자 또는 발아된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생장이 원할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when seeds are planted in a pot, nutrient solution penetrates into a sponge or cotton inside the pot, and the plant germinates and grows through the supply of nutrient solution through the pot. The filling is made in a gradually filling w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owth of the plant is not desired because only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seed of the plant or the root of the germinated plant without a sufficient oxygen supply.
또한, 항상 포트에 식재된 스폰지나 솜은 항상 젖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스폰지나 솜에 곰팡이나 이끼 등이 끼거나 세균에 오염되어 식물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sponge or cotton always planted in the pot is always in a wet state, such as mold or moss in the sponge or cotton, or contaminated with bacteria,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n interfere with plant growth.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다층으로 형성할 경우 지속적으로 펌프를 작동시켜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forming a multi-layer as in Patent Document 1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operate the pump continuously.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본체 상부에 화분장착홀을 형성하여 화분의 저부를 통해 화분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한편, 본체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된 공급관을 설치하고 배출홀을 통해 화분 상부로 양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화분 상부에서 양액이 낙하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자 또는 성장하는 식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게 하려는 것이다.Hydroponic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lanter mounting ho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supplied with nutrient solution into the inside of the planter through the bottom of the planter While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by installing a supply pipe with a discharge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 pot through the discharge hole, the nutrient solution falls from the upper part of the flower pot, thereby generating bubbles, which causes the seed or By supplying oxygen to growing plants, the plant will grow more actively.
특히, 화분의 측벽면에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공급관의 일부가 절개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함과 더불어 화분의 측벽면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절개부의 상부에 위치한 측벽면 부분을 중앙측으로 밀어내어 본체의 화분장착홀에 끼워진 화분을 개별적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빛의 공급 등에 따른 각 화분별 식물의 생장이 균일하지 않는 등 다양한 이유로 화분을 분리할 때 이를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flower pot is formed with an incision and a part of the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state, and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flower po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ushes the side wall surface port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incision to the center side.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pots inserted in the pot mounting holes of the plant i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pots for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the growth of plants for each pot according to the supply of light and the like.
또, 본체를 상하로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하되, 상층과 하층의 본체를 연결하는 배관 일부는 상층의 본체 저부로부터 하층의 공급관을 연결하는 제3연결관과, 상층의 본체 측면으로부터 하층의 본체 측면으로 연결하는 제4공급관을 설치함으로써, 종자가 발아되고 식물의 뿌리가 화분 밑으로 돌출하지 않은 정도의 상태에서는 제3연결관 및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양액을 층간 순환시키고, 종자가 발아된 후 뿌리가 화분 밑으로 돌출될 정도로 성장한 상태에서는 순환펌프를 이용한 순환 없이 제4연결관을 통해 본체 내부에 차 있는 양액을 통해 식물의 뿌리에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up and down, but a part of the pip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main body is a third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supply pipe of the lower layer from the lower body of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body from the side of the upper body. By installing a fourth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ide, the seed is germinated and the root of the plant does not protrude below the pot, and the nutrient solution is circulated interlayer using the third connection pipe and the circulation pump, and after the seed is germinated, In the state where the roots are grown to protrude under the pot, it is inten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llowing the nutrient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root of the plant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filled inside the body through the fourth connector without circulation using the circulation pump.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에 다수 개의 화분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하부가 상기 화분장착홀에 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본체 상부로 돌출되고, 바닥면은 상기 본체 바닥과 이격된 채 바닥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면 일측 중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의 절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절개부를 관통한 부분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공급관과; 제1연결관에 의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관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순환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물 또는 양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ydroponic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ody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lanter mounting holes in the upp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anter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planter mounting hole, an upper portion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bottom surface formed with a bottom hol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tout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wall surface; A supply pip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enetrating through the cutout of the flower pot, and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portion through the cutout; A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by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 second connection pipe, having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at one side, and storing water or nutrient solution therein; do.
이때, 상기 본체와 공급관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관은 최상층의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관은 최하층의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은 상층의 본체 바닥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하층의 공급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관;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and the supply pipe is spaced up and down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e first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of the uppermost layer, the second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lowermost layer, one side 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upper layer,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ly pipe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installed.
또, 상하로 인접한 공급관의 측면에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연결된 제4연결관;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제4연결관의 상부 끝단은 화분장착홀에 삽입된 화분의 바닥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제3연결관에는 제1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ourth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upply pipe adjacen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upper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pip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loor height of the potted plant inserted into the planter mounting hole, The third connect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valve is installed.
또한, 최하층의 본체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중간에 제2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있는 이물질제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lowermost layer, the second valve is installed in the middle,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is installed.
아울러, 상기 화분의 측벽면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절개부의 상부에 위치한 측벽면 부분을 중앙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ide wall surface material of the po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configured to push the side wall surface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sion to the center side.
본 발명에 의해,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본체 상부에 화분장착홀을 형성하여 화분의 저부를 통해 화분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한편, 본체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된 공급관을 설치하고 배출홀을 통해 화분 상부로 양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화분 상부에서 양액이 낙하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자 또는 성장하는 식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through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by forming a potted mounting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while installing a supply pipe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pollen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falls from the top of the pollen to generate bubbles, thereby supplying oxygen to the seeds or growing plan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 to make the growth of the plant more actively.
특히, 화분의 측벽면에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공급관의 일부가 절개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함과 더불어 화분의 측벽면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절개부의 상부에 위치한 측벽면 부분을 중앙측으로 밀어내어 본체의 화분장착홀에 끼워진 화분을 개별적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빛의 공급 등에 따른 각 화분별 식물의 생장이 균일하지 않는 등 다양한 이유로 화분을 분리하기가 용이해진다.In particular,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flower pot is formed with an incision and a part of the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state, and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flower po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ushes the side wall surface port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incision to the center side.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pots fitted in the pot mounting holes of the plant, it is easy to separate the pots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growth of plants for each pot according to the supply of light is not uniform.
또, 본체를 상하로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하되, 상층과 하층의 본체를 연결하는 배관 일부는 상층의 본체 저부로부터 하층의 공급관을 연결하는 제3연결관과, 상층의 본체 측면으로부터 하층의 본체 측면으로 연결하는 제4공급관을 설치함으로써, 종자가 발아되고 식물의 뿌리가 화분 밑으로 돌출하지 않은 정도의 상태에서는 제3연결관 및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양액을 층간 순환시키고, 종자가 발아된 후 뿌리가 화분 밑으로 돌출될 정도로 성장한 상태에서는 순환펌프를 이용한 순환 없이 제4연결관을 통해 본체 내부에 차 있는 양액을 통해 식물의 뿌리에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up and down, but a part of the pip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main body is a third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supply pipe of the lower layer from the lower body of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body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upper layer. By installing a fourth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ide, the seed is germinated and the root of the plant does not protrude below the pot, and the nutrient solution is circulated interlayer using the third connection pipe and the circulation pump, and after the seed is germinated, When the roots are grown to protrude under the po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allowing the nutrient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root of the plant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filled inside the body through the fourth connector without circulation using a circulation pump.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식물이 재배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plants are grown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detachable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화분(20), 공급관(30) 및 저장탱크(40)로 구성되어 있다.
Hydroponic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plant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s largely composed of the
본체(10)는 양측 끝단의 측벽면이 막혀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면에는 다수 개의 화분장착홀(11)이 형성되어 있다.The
도면에는 본체(10)를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육각, 팔각 등 다양한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화분(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화분장착홀(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20)은 상부는 직경이 크고 하부는 지격이 작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as shown, the
따라서, 화분(20)은 화분장착홀(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는 상기 본체(10) 상부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 상기 본체(10) 내부로 삽입된 화분(20)의 하부 중 바닥면은 본체(10)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바닥홀(21)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10) 내부의 양액이 바닥홀(21)을 통해 화분(2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화분(20)에는 스폰지나 솜 등과 같이 양액이 내부로 스며들수 있도록 흡수성부재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선택적으로 흡수성부재의 상부에 종자의 발아 및 성장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흡수성부재의 상부에 황토로 이루어진 볼 등이 화분(2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sorbent member is installed in the
이러한 화분(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면 일측 중간에 절개부(22)가 형성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절개부(22)를 형성하는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30)이 절개부(22)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Forming the
이러한 절개부(22)는 공급관(30)을 연결하기 위하여 화분(20)의 측벽면에 서로 반대에 홀을 타공하여 이를 통해 공급관(30)을 관통시키는 것과 대비하여 더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The
이는 본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 제품을 제조하여 식물을 직접 재배해 본 결과 동일한 장소에 설치하더라도 햇빛의 공급, 씨앗의 상태 등에 따라 각 화분장착홀(11)에 설치된 화분(20)의 식물들이 생장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바, 재배중에 화분(20)의 위치를 교체하려 할 때 상기와 같이 화분(20) 측벽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홀을 타공하여 설치할 경우 분리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This is becaus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nufacture the pro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rectly cultivate plants, so that plants of the
또, 화분(20)을 관통하는 공급관(30) 중간 부분을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다수 개의 연결구를 형성해야 하므로 이 역시 제품 제조 단가가 향상되고, 사용상에도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분(20) 측벽면 중간에 절개부(22)를 형성하여 절개부(22)를 공급관(30)이 관통하도록 설치할 경우 화분(20)을 꺼낼 때 절개부(22) 상부에 있는 측벽면(22a)을 중앙측으로 밀어내면 손쉽게 화분(2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u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를 위해 화분(20)의 측벽면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절개부(22) 상부에 있는 측벽면(22a) 부분을 중앙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가압한 힘을 빼면 다시 원래대로 되돌올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side wall surface material of the
공급관(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20)의 절개부(2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절개부(22)를 관통한 부분에는 배출홀(31)이 형성되어 있다.The
즉, 공급관(30)은 각각의 배출홀(31)을 통해 양액이 각 화분(20)의 상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화분(20)의 저부를 통해 화분(20)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는 한편, 본체(10) 상부에 배출홀(31)이 형성된 공급관(30)의 배출홀(31)을 통해 화분(20) 상부로 양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화분(20) 상부에서 양액이 낙하하면서 산소를 화분(20)에 식재된 식물의 종자 또는 성장하는 식물에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저장탱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41)에 의해 상기 공급관(30)과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관(42)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순환펌프(43)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물 또는 양액이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40)의 내부에는 부구를 설치하여 부구의 작동에 따라 순환펌프(43)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상하로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detachable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st preferably installed as the
이때, 상기 본체(10)와 공급관(30)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관(41)은 최상층의 공급관(3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관(42)은 최하층의 본체(10)와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이 경우 제1연결관(41)과 최상층의 공급관(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이처럼 다층으로 본체(10)를 설치할 경우 최상층 공급관(30)의 배출홀(31)을 통해 화분(20) 내부로 유입된 후, 화분(20) 하부의 바닥홀(21)을 통해 본체(10) 내부 공간에 유입된 양액이 그 밑 층의 공급관(3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층의 본체(10) 바닥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하층의 공급관(30)과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관(50);이 더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이때, 제3연결관(50)과 공급관(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connecting
이러한 구성은 저장탱크(40)에 연결 설치된 순환펌프(43)의 작동에 따라 양액이 제1연결관(41)을 통해 최상층의 공급관(30)으로 이송하고, 이때 각 화분(20)의 상부측에 형성된 배출홀(31)을 통해 화분(20) 상부로 양액이 공급되고, 화분(20)에 공급된 양액이 화분(20)의 바닥홀(21)을 통해 최상층 본체(10) 내부에 유입되며, 최상층 본체(10) 하부에 연결된 제3연결관(50)을 통해 위에서 두번째 층의 공급관(30)으로 유입된 후 동일한 방식으로 화분(20)에 양액을 공급하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nutrient solution is transferred to the
아울러, 최하층의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양액은 제2연결관(42)을 통해 다시 저장탱크(40) 내부로 유입되어 순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이러한 구성은 각 층마다 양액이 원할히 공급되기 위해서 순환펌프(43)가 지속적으로 작동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런데, 이처럼 순환펌프(43)가 지속적으로 작동할 경우 전력 소모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한 공급관(30)의 측면에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연결된 제4연결관(60);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제4연결관(60)의 상부 끝단은 화분장착홀(11)에 삽입된 화분(20)의 바닥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제3연결관(50)에는 제1밸브(70)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view of this point, a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adjacent side of the
이러한 구성은 화분(20)에 심어진 종자가 발아하여 어느 정도 생장한 상태에서 뿌리가 화분(20)의 바닥홀(21) 하부로 더 돌출했을 경우 제1밸브(70)를 잠가 층간 본체(10)와 공급관(30)을 연결하는 제3연결관(50)을 통해 양액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각 층간의 본체(10)에 연결된 제4연결관(60)을 통해 양액이 이동하도록 하였다.Such a configuration locks the
이때, 제4연결관(60)의 상부 끝단이 해당 층 본체(10)의 화분장착홀(11)에 삽입된 화분(20)의 바닥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화분(20) 바닥 밑으로 돌출한 식물의 뿌리가 양액에 접하게 되어 식물에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아울러, 이 경우 최하층의 제2연결관(42) 역시 화분장착홀(11)에 삽입된 화분(20)의 바닥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구성은 순환펌프(43)의 작동에 의해 제1연결관(41) 및 최상층의 공급관(30)을 통해 최상층의 본체(10) 내부로 양액이 공급된 상태에서 양액이 일정 레벨을 초과하게 되면 제4연결관(60)을 통해 그 하층의 본체(10)로 유입되게 되고, 두번째 층의 본체(10) 내부 양액이 일정 레벨을 초과하게 되면 다시 최하층의 본체(10) 내부로 양액이 공급되게 되며, 제2연결관(42)이 설치된 레벨을 초과하게 되면 남은 양액은 저장탱크(40)로 유입되게 된다.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이처럼 화분(20) 바닥 아래쪽에 위치할 정도로 양액을 공급하는 방식은 순환펌프(43)를 작동시키는 컨트롤장치를 타이머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거나, 각 본체(10)마다 센서를 설치하여 수위센서의 변화에 따라 수위가 낮아질 때마다 순환펌프(43)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s such, the way of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bottom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최하층의 본체(10)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중간에 제2밸브(81)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저장탱크(40)에 연결되어 있는 이물질제거관(80)을 추가로 설치하여 최하층의 본체(10) 내부에 고여 있는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각각의 본체(10)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90)을 준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며, 이러한 프레임(90)은 다양한 공지의 방식을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또한, 프레임(90)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LED와 같은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야간에 식물에 조명을 제공하여 식물 생장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n illumination device such as an LED that can be mounted on the
본 발명의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는 일반 가정의 배란다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되어 각종 화초나 채소류 등의 재배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common home porch will be applicable to the cultivation of various flowers or vegetables.
10 : 본체 11 : 화분장착홀
20 : 화분 21 : 바닥홀
22 : 절개부 22a : 측벽면
30 : 공급관
31 : 배출홀 40 : 저장탱크
41 : 제1연결관 42 : 제2연결관
43 : 순환펌프 50 : 제3연결관
60 : 제4연결관 70 : 제1밸브
80 : 이물질제거관 81 : 제2밸브
90 : 프레임10: main body 11: potted holes
20: flowerpot 21: floor hole
22:
30: supply pipe
31: discharge hole 40: storage tank
41: first connector 42: second connector
43: circulation pump 50: third connector
60: fourth connector 70: first valve
80: foreign substance removal pipe 81: second valve
90: frame
Claims (5)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에 다수 개의 화분장착홀(1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하부가 상기 화분장착홀(11)에 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본체(10) 상부로 돌출되고, 바닥면은 상기 본체(10) 바닥과 이격된 채 바닥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면 일측 중간에 절개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화분(20)과;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20)의 절개부(2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절개부(22)를 관통한 부분에는 배출홀(31)이 형성되어 있는 공급관(30)과;
제1연결관(41)에 의해 상기 공급관(30)과 연결되어 있고, 제2연결관(42)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순환펌프(43)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물 또는 양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In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lower pot mounting holes 11 on the upp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planter mounting hole 11, an upper part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hole 21 is form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Pots 20 and the incision 22 is formed in the middle of one side;
It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through the cutout 22 of the flower pot 20, the discharge hole 31 is formed in the portion through the cutout 22 A supply pipe 3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0 by the first connecting pipe 4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by the second connecting pipe 42, the circulation pump 43 is installed on one side, Configured to include; storage tank 40 in which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stored therein;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pot.
상기 본체(10)와 공급관(30)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수 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관(41)은 최상층의 공급관(3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관(42)은 최하층의 본체(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은 상층의 본체(10) 바닥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하층의 공급관(30)과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관(5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 and the supply pipe 30 is installed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spaced apart up and down,
The first connecting pipe 41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0 of the uppermost layer,
The second connecting pipe 42 is connected to the body 10 of the lowest laye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of the upper layer,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0 of the lower layer third connecting pipe 50;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installed,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pot.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각각 상하로 인접한 공급관(30)의 측면에 연결된 제4연결관(60);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제4연결관(60)의 상부 끝단은 화분장착홀(11)에 삽입된 화분(20)의 바닥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제3연결관(50)에는 제1밸브(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upply pipe 30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the fourth connecting pipe 60; is further installed, the upper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pipe 60 in the pot mounting hole 11 Located higher than the bottom height of the inserted pot 20,
The third connection pipe 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valve 70 is installed,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pot.
최하층의 본체(10)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중간에 제2밸브(81)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저장탱크(40)에 연결되어 있는 이물질제거관(8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of the lowermost layer, the second valve 81 is installed in the middle,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removal pipe 80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40. Characterized by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pot.
상기 화분(20)의 측벽면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절개부(22) 상부의 측벽면을 중앙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wall surface material of the planter 2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ush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sion 22 to the center sid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po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7203A KR101303247B1 (en) | 2011-10-19 | 2011-10-19 | Apparatus for hydroponics with demountable 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7203A KR101303247B1 (en) | 2011-10-19 | 2011-10-19 | Apparatus for hydroponics with demountable p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3008A KR20130043008A (en) | 2013-04-29 |
KR101303247B1 true KR101303247B1 (en) | 2013-09-04 |
Family
ID=4844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7203A KR101303247B1 (en) | 2011-10-19 | 2011-10-19 | Apparatus for hydroponics with demountable 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324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494Y1 (en) | 2014-05-09 | 2016-02-18 | 이석훈 | Apparatus for water culture |
KR20180046623A (en) | 2016-10-28 | 2018-05-09 | 김국경 |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water supply structure |
KR102047475B1 (en) | 2019-08-08 | 2019-11-21 | 김태호 | Layer type planting pot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R20160100226A (en) * | 2016-05-12 | 2018-02-05 | Γρηγοριος Ιωαννη Κοτοπουλης | Intercommunicating containers for the cultivation of vegetal varieties in growing medium other than natural soil |
CN107343471A (en) * | 2017-06-24 | 2017-11-14 | 甘肃绿野上品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 A kind of Multifunctional planting system |
KR101873200B1 (en) | 2017-07-18 | 2018-07-31 | 박요성 | Prefabricated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CN108293868A (en) * | 2018-04-03 | 2018-07-20 | 蚌埠市圆周率电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cultivated box without soil containing micro bubble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048B1 (en) | 2007-08-06 | 2008-12-26 | 경상남도 | Whorl seedling tray for young strawberry plants |
KR20100006249U (en) * | 2008-12-11 | 2010-06-21 | 신동진 | soil cultivation apparatus |
KR20110051918A (en) * | 2009-11-11 | 2011-05-18 | 충청남도 | Nutrient solution culture system |
-
2011
- 2011-10-19 KR KR1020110107203A patent/KR10130324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048B1 (en) | 2007-08-06 | 2008-12-26 | 경상남도 | Whorl seedling tray for young strawberry plants |
KR20100006249U (en) * | 2008-12-11 | 2010-06-21 | 신동진 | soil cultivation apparatus |
KR20110051918A (en) * | 2009-11-11 | 2011-05-18 | 충청남도 | Nutrient solution culture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494Y1 (en) | 2014-05-09 | 2016-02-18 | 이석훈 | Apparatus for water culture |
KR20180046623A (en) | 2016-10-28 | 2018-05-09 | 김국경 |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water supply structure |
KR102047475B1 (en) | 2019-08-08 | 2019-11-21 | 김태호 | Layer type planting pot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3008A (en) | 2013-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3247B1 (en) | Apparatus for hydroponics with demountable pot | |
JP6479841B2 (en) | Complex potted plant self-water supply system | |
KR101961291B1 (en) |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water supply structure | |
KR200370417Y1 (en) | Home plant cultivation | |
KR101028771B1 (en) | Multi flowerpot with watersupply device | |
US20130067811A1 (en) |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 |
KR100788273B1 (en) | Seedling-raising apparatus of automatic bottom irrigation | |
US20160235022A1 (en) | Seed starter | |
JP4948034B2 (en) | Tomato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
CN205266552U (en) | Two -way three -dimensional water planting planting device | |
KR101821014B1 (en) | management container for cultivaton of plant | |
KR20150094277A (en) | Cultivating device | |
JP5023279B2 (en) | Multi-stage root zone restricted cultivation equipment for fruit and vegetables | |
KR101811871B1 (en) | Pots for raising ginseng | |
KR102205570B1 (en) | Root plant hydroponic cultivation sheet | |
KR101360229B1 (en) | Plant cultivation method by supplying water upward through wicks | |
CN207653078U (en) | Automatic watering flowerpot system | |
KR101483869B1 (en) | rotatory apparatus having planted container for growth of green goods | |
KR200309855Y1 (en) | Device for hydroponics using circulation of nutrient solution | |
KR200493718Y1 (en) | Flowerport of pipe type for cultivating a plant | |
KR102045705B1 (en) | plant cultivation manager for transplant capable fo rearing activation | |
KR20170003332U (en) | pot insert flowerpot | |
KR101911203B1 (en) | management container for cultivaton of plant | |
KR0151947B1 (en) | A hydroponic machine | |
KR20120055025A (en) | Vegetable garden 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