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03U - 총의치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총의치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03U
KR20150004203U KR2020150002563U KR20150002563U KR20150004203U KR 20150004203 U KR20150004203 U KR 20150004203U KR 2020150002563 U KR2020150002563 U KR 2020150002563U KR 20150002563 U KR20150002563 U KR 20150002563U KR 20150004203 U KR20150004203 U KR 201500042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lever
horizontal
plat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959Y1 (ko
Inventor
웬-신 치오우
젠-구오 짜이
Original Assignee
웬-신 치오우
젠-구오 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신 치오우, 젠-구오 짜이 filed Critical 웬-신 치오우
Publication of KR20150004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총의치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가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를 깨뭄으로써 환자 잇몸의 정적 임프레션을 진행하고, 환자가 제1 기록장치를 깨뭄으로써 교합 수직 높이, 안면 중선, 교합 수평선, 두 눈의 동공간 수평 연결선 및 콧방울과 귓구멍의 연결선을 기록하여 안면 치아 복원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환자가 제2 기록장치를 깨뭄으로써 환자의 저작, 말할 때의 얼굴 운동 상황을 기록하여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운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의치 제작을 위한 정확한 데이터를 치아 금형 기술자가 획득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환자의 각항 데이터를 한번에 신속하게 기록하고 환자 구강의 장착 적합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의치 제작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실용성과 진보성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총의치 복원 장치{Denture reconstruction device}
본 고안은 총의치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환자의 각항 데이터를 한번에 신속하게 기록하고 환자의 구강 장착 적합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의치 제작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총의치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치아가 모두 빠지거나 또는 약물 치료, 뜻밖의 위축,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마모 등의 원인으로 인해 치아를 뽑아야 할 경우 일반적으로 대체 가능한 총의치(全口義齒)를 장착해야 한다. 총의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는 가동형 의치 형태이다. 가동형 의치는 통상 풀셋트의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를 포함하며, 총의치는 크기와 형상이 조정된 후 환자의 상, 하악의 연부조직에 장착되어 구강 치아 기능의 복원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현재 소재의 진보로 인해 의치는 더욱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있고 외관이 자연스러우며, 의치 설계의 발전은 환자의 쾌적성과 저작(咀嚼) 효율을 더욱 개선한다.
그러나, 의치의 제조는 종래의 의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 개인의 치열궁 형상을 얻고 환자 개인의 치열궁 형상에 따라 주문 제조되며, 생산 과정은 통상 환자와 치과의 사이에 여러번에 걸친 임상 치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작에 시간이 소요되고 환자는 의치 제작 기간에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의치가 완성된 후 환자는 여전히 상하악의 교합 적응 과정과, 임상 및 치과 기술에 따른 오차 수정(전모(轉模)실수를 포함)을 거쳐야 하므로, 의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며, 운송 비용이 증가하여 환자가 의치를 장착하고 적응하는 기간의 불쾌감을 더욱 초래한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상, 하악 치열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샘플링하여 환자의 구강 장착 적합도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의 목적은 최초 임프레션 이후 안면 교합 기록을 얻고, 구강외 교합기에서 더욱 정확한 파라미터를 통합한 후 다시 환자에 대해 더욱 정확한 2차 임프레션 및 동적 교합 운동 기록을 얻고, 통계학적 개념을 이용하여 1차 내지 2차 조작에서의 오차 범위를 축소하여 전체 구강 복원 의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의 목적은 환자의 인중선과 두 입술을 마킹 및 기록하여 전체 구강 복원의 대칭 외관의 시각적 미화 효과를 이루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의 목적은 의치 제작 오차를 저감시켜 무치아 환자의 안면 구강을 복원하여 바람직한 저작(咀嚼) 운동 기능을 제공하고 장착 쾌적도가 높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의 목적은 환자의 교합 수직 높이, 안면 중선, 교합 수평선, 두 눈의 동공간 연결선 및 콧방울과 귓구멍의 연결선을 한번에 신속하게 기록하여 안면 치아 복원의 중요한 참고용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6의 목적은 환자의 저작(咀嚼) 동작, 말할 때의 얼굴 운동 상황을 통해 금속 눈금을 기록함으로써, 환자 구강의 전후, 좌우, 상하 등의 상, 하악 운동 데이터를 얻어 의치 제작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치아 금형 기술자에게 교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정적 임프레션을 진행하여 의치 제작의 근거로 하는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 제1 기록장치 및 제2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는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로 구성되고, 상부 몰드의 전측에 상악 전치부를 구비하며, 상악 전치부의 상면에 판상체를 구비하고, 판상체와 상악 전치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호형의 연장 시트가 위로 연장되며, 연장 시트의 중앙 위치에 전정 오목부를 구비하고, 판상체의 양측에는 연장 시트에 일체로 연결된 시트형 상향 휨부를 각각 구비하며, 시트형 상향 휨부의 중간 근접 위치에 옆볼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고, 시트형 상향 휨부의 설정 위치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상체의 중앙 위치에는 환자의 상악에 댈 수 있는 구부림부를 구비하고, 구부림부는 다수의 배기홀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 몰드의 전측에 하악 전치부를 구비하고, 하악 전치부의 양측에 호형의 볼 잇몸부를 각각 구비하고, 볼 잇몸부에 하나 이상의 배기홀을 구비하며, 각각의 볼 잇몸부의 하면에는 환자의 하악에 댈 수 있는 오목부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상악 전치부와 하악 전치부의 중간 위치에는 계수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계수선부는 세로 방향 계수선 및 세로 방향 계수선에 수직하는 다수의 수평 계수선을 포함한다. 이로써 환자의 구강 교합을 통해 상기 하악 전치부의 상면이 상기 상부 몰드의 상악 전치부의 하면과 일치하도록 한다.
제1 기록장치는 직립 레버, 제1 수평 레버, 교합기, 제2 수평 레버 및 제3 수평 레버로 구성되며, 직립 레버는 수직형의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며, 직립 레버는 관통 블록을 구비하고, 관통 블록은 수평형의 조정 홈을 구비하며, 제1 수평 레버는 직립 레버의 관통 블록의 조정 홈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교합기는 수평형의 평판을 구비하며, 평판 일측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호형의 상부 태브 및 하부 태브를 구비한다. 평판은 제1 수평 레버에 나사 결합되며, 제2 수평 레버 및 제3 수평 레버는 각각 직립 레버의 슬라이드 홈에 나사 결합된다.
제2 기록장치는 호형의 상부 베이스, 일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상부 제도 기판, 호형의 하부 베이스 및 하부 제도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부 베이스의 하면에는 상부 제도 기판이 장착되고, 하부 베이스의 상면에는 하부 제도 기판이 장착되며, 하부 제도 기판과 상부 제도 기판은 서로 밀착되어 접착되고 다수의 나사 체결부재를 상부 베이스, 상부 제도 기판, 하부 베이스 및 하부 제도 기판을 관통시켜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부 제도 기판의 연결부는 포지셔닝 노치를 구비하고, 상부 베이스 및 하부 베이스는 아크릴 플라스틱 재질이다.
본 고안의 사용시에는 먼저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를 이용하여 임프레션 재료를 충진한 후 이를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장착하고, 환자의 교합에 의해 환자 잇몸의 정적 임프레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가 제1 기록장치를 깨뭄으로써 환자의 교합 수직 높이, 안면 중선, 교합 수평선, 두 눈의 동공간 수평 연결선 및 콧방울과 귓구멍의 연결선을 신속하게 기록하여 안면 치아 복원을 위해 중요한 참고용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또한 환자가 제2 기록장치를 깨뭄으로써 환자의 저작, 말할 때 얼굴의 운동 상황을 신속하게 기록하고, 금속 눈금을 기록함으로써, 환자 구강의 전후, 좌우, 상하 등의 상, 하악 운동 데이터를 얻어 의치 제작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치아 금형 기술자에게 교부할 수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해, 종래의 의치 제조 장치에 존재하는 문제점인 제작에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과, 의치 완성 후 여전히 적응과 오차 수정이 필요함으로 인한 제작 시간 증가, 운송 비용 증가 및 환자가 적응하는 기간의 불쾌감을 해소함으로써, 환자의 각항 데이터를 한번에 신속하게 기록하고 환자의 구강 장착 적합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의치 제작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실용성과 진보성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의 사시 분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의 사시 조립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의 사시 조립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의 조립 설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기록장치의 조립 설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기록장치의 조립 설치 정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기록장치의 사시 조립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기록장치의 조립 설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면으로부터 아래 사항을 명료하게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A), 제1 기록장치(B) 및 제2 기록장치(C)를 포함하고,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A)는 상부 몰드(10) 및 하부 몰드(20)로 구성되고, 상부 몰드(10)의 전측에 상악 전치부(11)가 구비되고, 상악 전치부(11)의 상면에 판상체(12)가 구비되며, 판상체(12)와 상악 전치부(11)가 연결 설치되는 위치에 호형 연장 시트(13)가 위로 연장되고, 호형 연장 시트(13)의 중앙 위치에 전정 오목부(131)가 구비된다. 판상체(12)의 양측에는 상기 연장 시트(13)에 일체로 연결된 시트형 상향 휨부(14)가 각각 구비되고, 두 개의 시트형 상향 휨부(14)의 중간 근접 위치에는 옆볼 오목부(141)가 각각 형성되며, 두 개의 시트형 상향 휨부(14)의 설정 위치에는 다수의 홀(142)이 각각 형성되며, 판상체(12)의 중앙 위치에는 환자의 상악에 댈 수 있는 구부림부(15)가 구비되며, 구부림부(15)는 다수의 배기홀(151)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 몰드(20)의 전측에는 하악 전치부(21)가 구비되고, 하악 전치부(21)의 양측에는 호형의 볼 잇몸부(22)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볼 잇몸부(22)의 하면에는 환자의 하악에 댈 수 있는 오목부(미도시)가 각각 구비되고, 볼 잇몸부(22)는 하나 이상의 배기홀(221)을 구비한다. 따라서, 환자 구강의 교합에 의해 상기 하악 전치부(21)의 상면이 상기 상부 몰드(10)의 상악 전치부(11)의 하면과 일치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악 전치부(11)와 하악 전치부(21)의 중간 위치에 계수선부(L)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계수선부(L)는 세로 방향 계수선(L1) 및 세로 방향 계수선(L1)에 수직하는 다수의 수평 계수선(L2)을 구비한다.
제1 기록장치(B)는 직립 레버(30), 제1 수평 레버(40), 교합기(50), 제2 수평 레버(60) 및 제3 수평 레버(70)로 구성되며, 직립 레버(30)는 수직형의 슬라이드 홈(31)을 구비한다. 또한 직립 레버(30)는 관통 블록(32)을 구비하고, 관통 블록(32)은 수평형의 조정 홈(미도시)을 구비하며, 제1 수평 레버(40)는 직립 레버(30)의 관통 블록(32)의 조정 홈에 장착된다. 또한 교합기(50)는 수평형의 평판(51)을 구비하고, 평판(51) 일측의 상면 및 하면에는 호형의 상부 태브(52) 및 하부 태브(53)가 각각 구비되며, 평판(51)은 제1 수평 레버(40)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제2 수평 레버(60) 및 제3 수평 레버(70)는 각각 직립 레버(30)의 슬라이드 홈(31)에 나사 결합된다.
제2 기록장치(C)는 호형의 상부 베이스(C1), 일단에 연결부(C21)를 구비한 상부 제도 기판(C2), 호형의 하부 베이스(C3) 및 하부 제도 기판(C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 제도 기판(C2)의 연결부(C21)는 포지셔닝 노치(C22)를 구비하고, 상부 베이스(C1) 및 하부 베이스(C3)는 아크릴 플라스틱 재질이다. 상부 베이스(C1)의 하면에는 상부 제도 기판(C2)이 장착 가능하며, 하부 베이스(C3)의 상면에는 하부 제도 기판(C4)이 장착되며, 하부 제도 기판(C4)과 상부 제도 기판(C2)은 밀착 접착된 후 다수의 나사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부 베이스(C1), 상부 제도 기판(C2), 하부 베이스(C3) 및 하부 제도 기판(C4)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 및 고정한다.
따라서, 환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총의치를 장착할 때, 먼저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A)의 상부 몰드(10)의 상면 및 하부 몰드(20)의 하면에 각각 임프레션 재료를 충진한 후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장착하여 환자가 깨물도록 하여 환자 잇몸의 정적 임프레션을 수행한다. 이로써 최초 임프레션 진단을 진행하여 환자 잇몸의 크기 형태를 분류하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개인 맞춤화 치아 지지체를 제작하는 근거로 한다.
아울러, 상부 몰드(10) 전측의 상악 전치부(11)의 협력에 의해 무치아 환자의 윗입술이 부풀어 오른 상태를 띠도록 복원하고 두 개의 시트형 상향 휨부(14)의 옆볼 오목부(141)에 의해 양측 볼의 외관을 확실히 복원 가능하며, 또한 구부림부(15) 및 그 배기홀(151)에 의해 판상체(12)를 환자의 상악에 확실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몰드(20) 전측의 하악 전치부(21)는 무치아 환자의 아랫입술이 부풀어 오른 상태를 띠도록 복원하는데 협력할 수 있고, 볼 잇몸부(22)는 양측 볼의 외관을 확실히 복원하는데 협력하여 장착 쾌적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교합에 의해 하악 전치부(21)의 상면이 상악 전치부(11)의 하면과 일치해지도록 하여, 상악과 하악의 교합이 정확해지고, 전체적인 샘플링이 신속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구강의 장착 적합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의치 제작 오차를 근절함으로써 무치아 환자의 안면 구강 및 입술, 볼의 외관을 복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저작 운동 기능을 제공하고 정확한 발음 기능을 구비하며 장착 쾌적도가 높다.
또한, 계수선부(L)의 세로 방향 계수선(L1) 및 다수의 수평 계수선(L2)에 의해 환자의 인중선 및 두 입술을 마킹 및 기록하여 전체 구강 복원의 대칭 외관의 시각적 미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어서, 제1 기록장치(B)를 환자가 깨물도록 하여 환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가 교합기(50)를 깨물도록 한다. 또한 제2 수평 레버(60) 및 제3 수평 레버(70)가 슬라이드 홈(31)에 각각 나사 결합되므로, 슬라이드 홈(31)에서 각각 상하 수평 높이의 위치 조정을 수행하여 환자의 교합 수직 높이, 안면 중선, 교합 수평선, 두 눈의 동공간 연결선 및 콧방울과 귓구멍의 연결선에 의해 제1 수평 레버(40), 제2 수평 레버(60) 및 제3 수평 레버(70)의 수평 높이, 좌우 위치 및 각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전체적인 조정 방식이 단순하고 편리하다. 따라서 환자가 제1 기록장치(B)를 한번 깨문 후, 환자의 교합 수직 높이, 안면 중선, 교합 수평선, 두 눈의 동공간 수평 연결선 및 콧방울과 귓구멍의 연결선의 (참고선) 기록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구강외 교합 기록기로 기록을 한번에 정확하게 전이시켜 후속되는 데이터 취합 및 총의치 제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다수 부분으로 분산시킬 필요가 없고, 조합시 존재하는 오차를 피할 수 있으며, 안면 치아 복원을 위해 중요한 참고용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먼저 작업용 석고 모형으로 제작되고 두께가 약 2mm인 상부 잇몸 수지 및 하부 잇몸 수지를 제2 기록장치(C)의 상부 제도 기판(C2)에 설치하여 환자가 깨물도록 하고, 상부 제도 기판(C2)의 연결부(C21)를 직립 레버(30)의 조정 홈에 관통 설치하고 제1 기록장치(B)의 기록을 이용하여 안면 치아 복원을 위해 중요한 참고용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환자가 제2 기록장치(C)를 깨물도록 하고, 환자의 정확하고 이상적인 교합 높이에서 잇몸이 환자의 교합력을 감당하도록 하여 동적 운동 기록을 진행한다. 동적 운동 기록은 환자가 구강내 하악에서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전방 돌출 운동, 좌우측의 측방향 운동 및 마지막으로 리턴하는 정적 위치를 이용하고, 이들의 교차점에 의해 중심 위치 관계를 정하고, 이로써 환자의 저작, 말할 때 얼굴의 운동 상황을 신속하게 기록하고, 금속 눈금을 기록함으로써, 환자 구강의 전후, 좌우, 상하 등의 상, 하악 운동 데이터를 얻어 의치 제작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치아 금형 기술자에게 교부할 수 있다.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 A
상부 몰드 10
상악 전치부 11
판상체 12
연장 시트 13
전정 오목부 131
시트형 상향 휨부 14
옆볼 오목부 141
홀 142
구부림부 15
배기홀 151
하부 몰드 20
하악 전치부 21
볼(cheek) 잇몸부 22
배기홀 221
제1 기록장치 B
직립 레버 30
슬라이드 홈 31
관통 블록 32
제1 수평 레버 40
교합기 50
평판 51
상부 태브 52
하부 태브 53
제2 수평 레버 60
제3 수평 레버 70
제2 기록장치 C
상부 베이스 C1
상부 제도 기판 C2
연결부 C21
포지셔닝 노치 C22
하부 베이스 C3
하부 제도 기판 C4
계수선부 L
세로 방향 계수선 L1
수평 계수선 L2

Claims (9)

  1. 총의치 복원 장치에 있어서,
    환자 구강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제1 기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록장치는 환자가 깨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교합 수직 높이, 안면 중선, 교합 수평선, 두 눈의 동공간 수평 연결선 및 콧방울과 귓구멍의 연결선을 신속하게 기록하여 안면 치아 복원을 위한 중요한 참고용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제1 기록장치는 직립 레버, 제1 수평 레버, 교합기, 제2 수평 레버 및 제3 수평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직립 레버는 수직형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직립 레버는 관통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 블록은 수평형의 조정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평 레버는 상기 조정 홈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교합기는 수평형의 평판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 일측의 상면 및 하면에는 호형의 상부 태브 및 하부 태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평판은 상기 제1 수평 레버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레버 및 상기 제3 수평 레버는 상기 직립 레버의 상기 슬라이드 홈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총의치 복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장치에는 제2 기록장치가 설치 가능하고, 상기 제2 기록장치는 호형의 상부 베이스, 일단에 연결부를 구비한 상부 제도 기판, 호형의 하부 베이스 및 하부 제도 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제도 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제도 기판이 장착 가능하며, 상기 하부 제도 기판은 상기 상부 제도 기판과 밀착 접착되며, 다수의 나사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 상기 상부 제도 기판,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기 하부 제도 기판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 및 고정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정 홈에 관통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록장치는 환자 구강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환자가 상악 및 하악으로 상기 제2 기록장치를 깨뭄으로써 환자의 저작, 말할 때의 얼굴 운동 상황을 신속하게 기록하고 금속 눈금을 기록함으로써, 환자 구강의 전후, 좌우, 상하 등의 상, 하악 운동 데이터를 얻어 의치 제작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치아 금형 기술자에게 교부할 수 있는 총의치 복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는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에 의해 정적 임프레션이 진행되어 제작의 근거로 되며, 상기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는 환자의 구강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환자가 상악 및 하악으로 깨물도록 하여 환자의 잇몸에 대해 상기 정적 임프레션을 수행하며, 상기 임프레션 치아 지지 구조체는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로 구성되고, 상부 몰드의 전측에 상악 전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악 전치부의 상면에 판상체가 구비되며, 상기 판상체와 상기 상악 전치부가 연결 설치되는 위치에 호형의 연장 시트가 위로 연장되며, 상기 판상체의 양측에 상기 연장 시트와 일체로 성형된 시트형 상향 휨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판상체의 중앙 위치에 환자의 상악에 댈 수 있는 구부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몰드의 전측에 하악 전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악 전치부의 양측에 호형의 볼 잇몸부가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볼 잇몸부의 하면에는 환자의 하악에 댈 수 있는 오목부가 각각 구비되며, 환자의 구강 교합에 의해 상기 하악 전치부의 상면이 상기 상부 몰드의 상악 전치부의 하면과 일치해지도록 하는 총의치 복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시트의 중앙 위치에 전정 오목부가 구비된 총의치 복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시트형 상향 휨부의 중간 근접 위치에 옆볼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총의치 복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시트형 상향 휨부의 설정 위치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총의치 복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림부가 다수의 배기홀을 구비한 총의치 복원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 잇몸부가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을 구비한 총의치 복원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전치부와 상기 하악 전치부의 중간 위치에 계수선부가 구비되고, 상기 계수선부가 세로 방향 계수선 및 상기 세로 방향 계수선에 수직하는 다수의 수평 계수선을 구비한 총의치 복원 장치.
KR2020150002563U 2014-05-13 2015-04-21 총의치 복원 장치 KR20048095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116807 2014-05-13
TW103116807A TWI548404B (zh) 2014-05-13 2014-05-13 Reconstruction of complete denture and its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3U true KR20150004203U (ko) 2015-11-23
KR200480959Y1 KR200480959Y1 (ko) 2016-07-28

Family

ID=5353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563U KR200480959Y1 (ko) 2014-05-13 2015-04-21 총의치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98037U (ko)
KR (1) KR200480959Y1 (ko)
TW (1) TWI548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417A (ko) 2019-02-09 2020-08-20 이우형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 및 평면 분석과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CN111759506B (zh) * 2020-07-23 2021-12-07 茵伯特(上海)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种植牙全数字化种植修复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931B1 (en) * 2000-11-08 2003-06-24 Panadent Corporation Dento-facial analyzer
US7399182B2 (en) * 2004-10-29 2008-07-15 Juan Olivi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JP5360584B2 (ja) * 2009-10-14 2013-12-04 容正 宮本 歯科領域を含む顔面の基準線の記録および再現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4000318A (es) * 2001-07-16 2005-03-07 Nishihama Naoki Base de dentadura postiza y metodo para prepararla e instrumento utilizado para la misma.
TW544302B (en) * 2002-07-19 2003-08-01 Jin-Sheng Li Embedded assembly fixed bridgework device
AU2003252254A1 (en) * 2002-07-26 2004-05-04 Olympus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TW592669B (en) * 2003-10-16 2004-06-21 Guo-Ji Deng Teeth biting recorder
TWM289058U (en) * 2005-10-14 2006-04-01 Guo-Ji Deng Inside mouth occlusion recording device
TWI412349B (zh) * 2008-06-11 2013-10-21 Accentu8 Novotecnica Pty Ltd 義齒及齒列弓
CN102048606B (zh) * 2011-01-24 2012-03-21 山东大学 口呼吸矫正器及其制备方法
TW201304756A (zh) * 2011-07-20 2013-02-01 Ting Yu Medical Entpr Co Ltd 生醫陶瓷骨骼及義齒之製造方法
EP3777756A1 (en) * 2012-02-14 2021-02-17 3Shape A/S Modeling a digital design of a den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931B1 (en) * 2000-11-08 2003-06-24 Panadent Corporation Dento-facial analyzer
US7399182B2 (en) * 2004-10-29 2008-07-15 Juan Olivi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JP5360584B2 (ja) * 2009-10-14 2013-12-04 容正 宮本 歯科領域を含む顔面の基準線の記録および再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59Y1 (ko) 2016-07-28
TW201542177A (zh) 2015-11-16
JP3198037U (ja) 2015-06-11
TWI548404B (zh) 201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9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10231806B2 (en) Aligning apparatus used in fabricating dental prostheses
US20100297581A1 (en) Nanowire photodetector and image sensor wth internal gain
US20160008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ull mouth reconstruction
KR102482638B1 (ko)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JP3172628U (ja) 歯排列基準設定板具
US20200093582A1 (en) Dental Measuring Instrument
KR20200017565A (ko) 3d프린팅기술을 이용한 틀니제작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Gupta et al. Relationship of anatomic landmarks with occlusal plane
KR200480959Y1 (ko) 총의치 복원 장치
Tunkiwala et al. Management of mandibular poor foundation: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US20060286502A1 (en) Teeth indexing device
US5044950A (en) Therapeu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dentures
KR20130128000A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US10350038B1 (en) Dental articulator system and apparatus
Dimova TOTAL REHABILITATION BY EDENTULOUS PA-TIENTS WITH IRREGULARITY OF THE ALVEOLAR RIDGES
US20220117709A1 (en) Prosthetic tooth
CN216908222U (zh) 一种牙科咬合记录装置
RU114844U1 (ru) Постановочный столик для артикулятора
Upadhya et al. REVOLUTIONISING THE ERA OF COMPLETE DENTURES USING THE BIOFUNCTIONAL PROSTHETIC SYSTEM.
Chandrakala et al. Cast Partial Denture―A Case Report.
CA2857448C (en) Method and apparatus of full mouth reconstruction
Patil et al. Full mouth rehabilitation performed using customized Broadrick's flag to restore mandibular posterior teeth-A Case Report.
CN114041894A (zh) 牙科咬合记录装置的制作方法及牙科咬合记录装置
JP2018023404A (ja) 筋肉位3d調節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