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63A - 텐트 하우스 - Google Patents

텐트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63A
KR20150004163A KR20130077287A KR20130077287A KR20150004163A KR 20150004163 A KR20150004163 A KR 20150004163A KR 20130077287 A KR20130077287 A KR 20130077287A KR 20130077287 A KR20130077287 A KR 20130077287A KR 20150004163 A KR20150004163 A KR 2015000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or
wind speed
exhaust pipe
hol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415B1 (ko
Inventor
손병길
Original Assignee
(주)두리티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리티엔티 filed Critical (주)두리티엔티
Priority to KR2013007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텐트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는 벤틸레이터(30)가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벤틸레이터(30)를 상승시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시킬 수 있으며, 태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벤틸레이터(30)를 하강시켜 텐트 하우스의 내부로 수납하여 바람에 의해 벤틸레이터(30)에 풍압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텐트 하우스{tent house}
본 발명은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텐트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으로 사용되는 텐트 하우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측을 덮도록 결합되어 측벽과 지붕을 형성하는 시트재(20)로 구성되어, 내부에 넓은 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텐트 하우스는 둘레면이 시트재로 덮여 있기 때문에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공개특허 10-1012-0074454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텐트 하우스의 지붕부분에 환기창을 형성하여 자연적으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환기창을 이용하는 경우,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환기창을 통해 비나 눈이 들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텐트 하우스에 바람에 의해 작동되는 풍력 환기장치, 즉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상기 벤틸레이터는 텐트 하우스의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텐트 하우스의 지지프레임(10)은 강도가 높지 않아서, 폭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에서 벤틸레이터에 풍압이 작용될 경우, 지지프레임(1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텐트 하우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측을 덮도록 결합되어 측벽과 지붕을 형성하는 시트재(20)를 포함하는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2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관통공(21)의 하측에서 상향연장된 승강가이드(11)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승시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시트재(20)의 상부로 상승되는 벤틸레이터(30)와, 상기 벤틸레이터(30)에 연결되어 벤틸레이터(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벤틸레이터(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기관(31)과, 상기 배기관(3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헤드부(32)와, 상기 배기관(3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32)에 연결되어 헤드부(32)와 함께 회전되는 배기팬(33)과, 상기 배기관(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36)에 의해 상기 헤드부(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기관(31)에 고정된 상부덮개(3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덮개(35)는 상기 관통공(21)에 비해 넓게 구성되어,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면 상기 상부덮개(35)가 상기 관통공(21)의 상측 둘레부를 덮어 관통공(21)을 막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텐트 하우스의 지붕에 구비되어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측정센서(50)와, 상기 풍속측정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기구(40)를 제어하여 상기 벤틸레이터(30)가 승강되도록 하는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풍속측정센서(50)에 의해 측정된 풍속이 미리 설정된 풍속값에 비해 높을 경우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는 벤틸레이터(30)가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벤틸레이터(30)를 상승시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시킬 수 있으며, 태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벤틸레이터(30)를 하강시켜 텐트 하우스의 내부로 수납하여 바람에 의해 벤틸레이터(30)에 풍압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텐트 하우스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를 도시한 정단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측을 덮도록 결합되어 측벽과 지붕을 형성하는 시트재(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텐트는 지붕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오각형의 터널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텐트 하우스의 상면에는 벤틸레이터(30)가 구비되어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여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재(2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관통공(21)의 하측에서 상향연장된 승강가이드(11)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21)은 상기 시트재(20)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을 덮어 지붕을 이루는 부위의 중앙부, 즉,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벤틸레이터(30)가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텐트 하우스의 지붕 상측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11)는 상하로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중앙부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벤틸레이터(30)는 상기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벤틸레이터(30)에는 벤틸레이터(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40)가 연결된다.
상기 벤틸레이터(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기관(31)과, 상기 배기관(3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헤드부(32)와, 상기 배기관(31)의 중간부에 구비된 배기팬(33)과, 상기 헤드부(32)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덮개(35)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관(31)은 상하단이 개방되며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1a)가 상기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외경이 상기 관통공(21)의 내경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상기 배기관(31)의 둘레부와 상기 관통공(21)의 사이의 틈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배기관(31)의 둘레부와 상기 관통공(21)의 사이의 틈외부의 공기나 비 또는 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32)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시로코팬형태로 구성되어 바람이 불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팬(33)은 상기 배기관(31)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회전축(33a)에 의해 상기 헤드부(32)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32)가 회전되면 헤드부(32)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됨으로써, 텐트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관(31)의 상부로 강제로 배출한다.
상기 헤드부(32)와 배기팬(33)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벤틸레이터(30)에 구비된 것과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덮개(35)는 상기 배기관(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36)에 의해 상기 헤드부(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기관(3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35)는 상기 관통공(21)에 비해 넓게 구성되어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될 때 상부덮개(35)가 상기 관통공(21)의 상측 둘레부를 덮어 관통공(21)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덮개(35)는 상기 지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텐트 하우스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됨으로, 상기 상부덮개(35)는 중간부에 비해 양측이 하향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덮개(35)로 상기 관통공(21)의 상부를 덮으면, 상기 상부덮개(35)에 의해 관통공(21)이 막혀 빗물이나 눈이 관통공(21)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기구(40)는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과 벤틸레이터(30)의 배기관(3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벤틸레이터(30)가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실린더기구는 일반적인 에어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에 의해 신축되는 기계식 실린더 등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기구(40)에는 관리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도시 안 된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관리자가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구동기구(4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벤틸레이터(30)가 승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텐트 하우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기구(40)에 의해 상기 벤틸레이터(30)가 상승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상기 벤틸레이터(30)의 헤드부(32)와 배기팬(33)이 회전되어 텐트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관(31)을 통해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여 환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관리자가 상기 조작스위치를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벤틸레이터(30)를 하강시키면, 벤틸레이터(30)가 텐트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된다.
따라서, 태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벤틸레이터(30)를 하강시켜 텐트 하우스의 내부로 수납하여, 바람에 의해 벤틸레이터(30)에 풍압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벤틸레이터(30)는 상기 배기관(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36)에 의해 상기 헤드부(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기관(31)에 고정된 상부덮개(35)가 구비되어,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될 때 상기 상부덮개(35)가 시트재(20)의 관통공(21) 상부를 덮어 막게 되므로,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었을 때, 외부의 바람이나 빗물 또는 물이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빗물이나 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텐트 하우스의 지붕에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측정센서(50)가 구비되며, 상기 풍속측정센서(50)에는 상기 풍속측정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기구(40)를 제어하여 상기 벤틸레이터(30)가 승강되도록 하는 제어유닛(60)이 연결된다.
상기 풍속측정센서(50)는 상기 텐트 하우스의 상면에 상기 벤틸레이터(30)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벤틸레이터(30)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측정센서(50)는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풍속측정센서(50)에 의해 측정된 풍속이 미리 설정된 풍속값에 비해 높을 경우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60)에는 벤틸레이터(30)에 작용되는 풍압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풍속값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풍속측정센서(50)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풍속측정센서(50)에 의해 측정된 바람의 풍속, 즉, 상기 벤틸레이터(30)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이 미리 입력된 풍속값보다 빨라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구동기구(40)를 제어하여,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어 텐트하우스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텐트 하우스는 강한 바람이 불면 상기 제어유닛(60)이 상기 풍속측정센서(5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승강구동기구(40)를 제어하여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도록 함으로, 강한 바람이 불어올 때 관리자가 신속하게 벤틸레이터(30)를 하강시키지 못하여 벤틸레이터(30)에 작용되는 풍압에 의해 지지프레임(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지지프레임 20. 시트재
30. 벤틸레이터 40. 승강구동기구

Claims (3)

  1.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측을 덮도록 결합되어 측벽과 지붕을 형성하는 시트재(20)를 포함하는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2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관통공(21)의 하측에서 상향연장된 승강가이드(11)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승시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시트재(20)의 상부로 상승되는 벤틸레이터(30)와,
    상기 벤틸레이터(30)에 연결되어 벤틸레이터(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틸레이터(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가이드(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기관(31)과,
    상기 배기관(3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헤드부(32)와,
    상기 배기관(3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32)에 연결되어 헤드부(32)와 함께 회전되는 배기팬(33)과,
    상기 배기관(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36)에 의해 상기 헤드부(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기관(31)에 고정된 상부덮개(3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덮개(35)는 상기 관통공(21)에 비해 넓게 구성되어,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면 상기 상부덮개(35)가 상기 관통공(21)의 상측 둘레부를 덮어 관통공(21)을 막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하우스의 지붕에 구비되어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측정센서(50)와,
    상기 풍속측정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기구(40)를 제어하여 상기 벤틸레이터(30)가 승강되도록 하는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풍속측정센서(50)에 의해 측정된 풍속이 미리 설정된 풍속값에 비해 높을 경우 상기 벤틸레이터(30)가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
KR20130077287A 2013-07-02 2013-07-02 텐트 하우스 KR10148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287A KR101480415B1 (ko) 2013-07-02 2013-07-02 텐트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287A KR101480415B1 (ko) 2013-07-02 2013-07-02 텐트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63A true KR20150004163A (ko) 2015-01-12
KR101480415B1 KR101480415B1 (ko) 2015-01-13

Family

ID=5247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7287A KR101480415B1 (ko) 2013-07-02 2013-07-02 텐트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668A1 (ko) * 2019-07-16 2021-01-21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20210009280A (ko) * 2019-07-16 2021-01-26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06B1 (ko) * 2018-02-05 2020-01-31 권광희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KR200496050Y1 (ko) 2020-12-18 2022-10-21 주식회사 이노뷰 텐트용 환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37U (ja) * 1993-09-24 1995-04-21 ミサワ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テントの換気孔における雨仕舞い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668A1 (ko) * 2019-07-16 2021-01-21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20210009280A (ko) * 2019-07-16 2021-01-26 백진흠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CN114096724A (zh) * 2019-07-16 2022-02-25 白珍钦 使用广告气球的遮阳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15B1 (ko)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415B1 (ko) 텐트 하우스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KR101286517B1 (ko) 건물의 환기장치
US9163846B2 (en) Ventilation apparatus arrangements
CN102030230A (zh) 升降机显示装置
JP2007138693A (ja) 天窓付建物
KR102182942B1 (ko) 천장용 환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실 환기 방법
EP2292985A2 (en) Ventilation arrangements
CN103080662B (zh) 通风装置
JP5972124B2 (ja) 建物の換気構造
CN215523594U (zh) 电梯井道通风装置及电梯系统
KR200284636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CN213141087U (zh) 一种加装电梯新型混合散热系统
CN107017563A (zh) 一种室外用新型配电箱
JP5315005B2 (ja) 換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102154348B1 (ko) 차량용 커버
CN213683880U (zh) 一种防雨护窗雨帘
CN210049534U (zh) 一种风井无人值守操控装置
CN221125655U (zh) 一种下人孔盖体装置及箱式变压器
JP2003096988A (ja) 換気天窓装置
CN220353235U (zh) 排烟天窗
KR200194375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JP5065751B2 (ja) 小屋裏の換気構造
CN217268396U (zh) 一种阳光房天窗结构
CN107257090A (zh) 一种室外用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