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34A -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34A
KR20150004134A KR1020130077215A KR20130077215A KR20150004134A KR 20150004134 A KR20150004134 A KR 20150004134A KR 1020130077215 A KR1020130077215 A KR 1020130077215A KR 20130077215 A KR20130077215 A KR 20130077215A KR 20150004134 A KR20150004134 A KR 20150004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extrusion
extrusion nose
current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공희
이인석
이재성
김보연
유병건
조형우
유병렬
김병호
Original Assignee
(유)하남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하남종합건설 filed Critical (유)하남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3007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134A/ko
Publication of KR2015000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노즈의 선단부에 선행캠버를 설치하여 거더에 연결된 압출노즈를 압출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출노즈 처짐에 대응할 수 있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는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상현재와 결합되는 압출노즈 상현재와 압출노즈 상현재와 평행하게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하현재와 결합되며 타측에서 압출노즈 상현재 방향으로 휨을 갖는 압출노즈 하현재 및 압출노즈 상현재와 압출노즈 하현재 사이에 설치되어 압출노즈 상현재와 압출노즈 하현재를 연결하는 복부재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The pre-camber of the bridge and the current method for combining extrusion and extrusion nose with nose girder installation process}
본 발명은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노즈의 선단부에 선행캠버를 설치하여 거더에 연결된 압출노즈를 압출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출노즈 처짐에 대응할 수 있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트러스 거더교는 곡선 교량뿐 아니라 기존형식의 거더교로는 적용하기 어려웠던 장경간의 교량의 대안으로 개발된 콘크리트교 가설 공법의 하나로서, 교대(橋臺) 후방의 육상부 또는 교량 후방의 거더 가설 높이에 제작 야드를 설치한 후, 교체(橋體)를 10∼20m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콘크리트를 쳐서 연결해가면서 순차적으로 압출하여 가설한다.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몇 개의 직선 부재를 한 평면 내에서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 구조로 조립한 것을 트러스(Truss)라고한다. 트러스교는 일반적으로 지간이 50∼100m 정도에 알맞는 형식으로, 비교적 작은 중량의 부재를 순차조립하여 큰 강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외팔보공법(Free Cantilevering Method) 의 채용이 다른 형식보다 유리하며, 또한 개개 부재의 단면이 작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해협이나 산간계곡 등에 적합한 교량이다.
복합 트러스 구조는 PC박스거더교의 콘크리트 복부를 강재 트러스 사래로 대치한 구조로서 상부 구조의 경량화가 도모되며, 교각이나 기초등 하부 구조의 단순화는 물론이고 시공성의 향상에 크게 공헌 하게 되었다. 복합 트러스트 거더교는 기존 개방형의 합성거더교와는 달리 각 부재요소를 분리 제작하는 것을 통해 곡선 제작에 따른 시공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복부에 트러스 구조를 적용하는 것을 통해 자중증가 문제의 문제를 극복하였다.
이러한 복합 트러스트 거더교 시공 공법에 있어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공법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는 교각과 교대를 만들고 교대 뒤쪽의 제작장에서 교각과 교각 사이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의 세그먼트를 제작하고 제작된 세그먼트 선단부에 압출노즈를 설치하여 압출하여 압출하면서 동시에 세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종래기술 한국공개특허 특2003-0039259에는 세그먼트 구조물의 임시지지점을 교각에 설치함으로써 경제적인 방법으로 교량의 장경간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세그먼트 구조물의 형고비(세그먼트 구조물의 높이/길이비) 및 교량 경간길이의 한계에 의해 제약을 받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그먼트 구조물의 임시지지점을 교각에 설치하는 것인데, 세그먼트 구조물 가설 시는 임시지지점에 의해 가설경간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작은 세그먼트 구조물의 형고와 적은 1차 PS 강재량으로도 무리없이 세그먼트 구조물을 압출시킬 수 있으며 교량 완공 후 2차 PS 강재에 의해 세그먼트 구조물에 추가적인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완공 후라도 추가로 발생하는 고정하중과 차량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장경간을 가지는 교량을 동일 경간 대비 경제적인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 외에도 세그먼트 구조물을 압출시 세그먼트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압출하여 가설하며 교각에 세그먼트 구조물을 올릴 때 압출노즈의 선단에 선단잭, 압출잭 등의 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구조물을 들어 올림으로써 세그먼트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압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압출공법에서는 세그먼트 구조물 압출시 세그먼트 구조물을 교각에 올리기 위하여 선단잭 등의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세그먼트 구조물을 들어올려야하기 때문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되고, 이에 따른 공사비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단잭을 이용시 압출노즈에 캠버가 생길때 캠버량이 많을 경우 잭의 손상이 생기며, 압출공법시 세그먼트 구조물과 교각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압출공법에서의 세그먼트 구조물을 교각에 올릴 때 선단잭 등의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그먼트 구조물을 교각에 올릴 때 최소한의 힘을 사용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시간을 줄이고, 공사비를 줄이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그먼트 구조물과 교각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합트러스트 거더교의 압출노즈에 있어서,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상현재와 결합되는 압출노즈 상현재와 압출노즈 상현재와 평행하게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하현재와 결합되며 타측에서 압출노즈 상현재 방향으로 휨을 갖는 압출노즈 하현재 및 압출노즈 상현재와 압출노즈 하현재 사이에 설치되어 압출노즈 상현재와 압출노즈 하현재를 연결하는 압출노즈 복부재로 이루어지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트러스트 거더교의 압출노즈에 있어서, 거더 상현재 및 거더 하현재와 압출노즈 상현재 및 압출노즈 하현재를 제작하는 제 1단계와 거더 상현재 및 거더 하현재의 타측과 압출노즈 상현재 및 압출노즈 하현재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2단계 및 거더의 상현재 및 거더의 하현재와 연결된 압출노즈의 타측에서 압출노즈를 당겨 교각에 올리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는 세그먼트 구조물을 교각에 올릴 때 세그먼트 구조물 외의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그먼트 구조물을 교각에 올릴 때 최소한의 힘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제작시 작업 시간을 줄이고,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그먼트 구조물과 교각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출노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의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의 처짐과 휨의 비교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의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100)는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상현재(210)와 결합되는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평행하게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하현재(220)와 결합되며 타측에서 압출노즈 상현재(110) 방향으로 휨을 갖는 압출노즈 하현재(120) 및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 사이에 설치되어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를 연결하는 압출노즈 복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압출노즈(100)는 압출노즈(100)의 일측은 거더(200)와 연결되고 압출노즈(100)의 타측은 교각(300)을 향하는데 본 발명은, 압출노즈(100)의 타측에 미리 선형캠버 즉 설정된 휨 모멘트를 주어 압출노즈(100)를 당겨 교각(300)에 올려놓을 때 압출노즈(100)의 전체의 하중을 들어올리지 않고 압출노즈(100)의 타측의 하중을 들어올린 후 압출노즈(100)를 교각(300)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다.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휘어진 높이는 교각(300)의 높이로부터 압출노즈(100)가 중력 방향으로 처지는 최대한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출노즈(100) 및 압출노즈(100)에 연결된 거더(200)는 제작장에서 교각(300)으로 이동될 때 중력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처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압출노즈(100)의 선단부에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 휨을 주어 압출노즈(100)의 처짐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의 처짐과 휨의 비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노즈(100)의 처짐에 대응하여 압출노즈(100)의 타측에 미리 휨을 준다. 압출노즈(100)의 휨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압출노즈(100) 처짐의 최대 높이를 h2라 하면, 압출노즈(100)의 휨의 높이 h1는 압출노즈(100)의 처짐의 최대 높이 h2보다 높아야한다.
압출노즈(100)가 처짐이 발생하여도 압출노즈(100)의 휨의 높이 h1이 h2보다 높으면 압출노즈(100)를 교각(300)에 압출할 때 압출노즈(100)가 교각(300) 밑으로 내려가지 않고 교각(300)에 걸치게 되어 압출을 더 용이하게 해줄 수 있게 된다.
압출노즈(100)는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평행하게 놓여 있다가, 압출노즈 상현재(110) 및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타측, 즉 설정된 지점에서 압출노즈 하현재(120)만 압출노즈 상현재(110) 방향으로 휨을 주어 압출노즈 상현재(110) 방향으로 포물선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게 된다.
이 때의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 사이를 압출노즈 복부재(130)가 사선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인데, 압출노즈(100)의 일측에서는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평행하게 놓여 있으며 압출노즈 복부재(130)가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를 사선으로 연결한다. 즉,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평행하게 놓여 있는 부분에서는 같은 길이를 갖는 압출노즈 복부재(13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선으로 연결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노즈 상현재(110)의 1지점(111)과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2지점(121)을 연결하고,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2지점(121)과 압출노즈 상현재(110)의 3지점(112)을 연결하는 것이다.
압출노즈 복부재(130)의 길이는 압출노즈 상현재(110) 및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타측에서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휨의 정도에 따라 짧아진다. 압출노즈 복부재(13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압출노즈 상현재(110) 및 압출노즈 하현재(120)를 연결하지만 휨의 정도에 따라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가까워질 수록 압출노즈 복부재(130)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 및 압출노즈 복부재(130)는 강부재로 형성된다. 압출노즈(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거더(100)는 실제 교량이 되기 때문에 거더 상현재(210) 및 거더 하현재(2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 및 압출노즈 복부재(130)는 거더(100)를 압출시키기 위한 보조 수단이므로 강부재로 형성된다.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일면에 아이강재(140)를 설치하고 아이강재(140)의 하면에 보조판재를 갖는다. 이는 압출노즈(100)를 압출시켜 교각(300)에 올릴 때 마찰력을 줄여 부드럽게 압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보조판재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인레스강은 스틸(steel)로 이루어진 압출노즈 하현재(120)보다 마찰계수가 작아 압출노즈(100)를 교각(300)에 올려 압출시킬 때 부드럽게 압출되기 때문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의 개요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출노즈(100)를 압출시키는 방법은 거더 상현재(210) 및 거더 하현재(220)와 압출노즈 상현재(110) 및 압출노즈 하현재(120)를 제작하는 제 1단계(S110)와 거더 상현재(210) 및 거더 하현재(220)의 타측과 압출노즈 상현재(110) 및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2단계(S120) 및 거더(200)와 연결된 압출노즈(100)의 타측에서 압출노즈(100)를 당겨 교각(300)에 올리는 제 3단계(S1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작장에서 거더(200)의 상현재(110) 및 거더 복부재(230)를 설치하고 용접한다. 거더(200)의 상현재(110)와 거더 복부재(230)가 설치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더 하현재(220)를 형성한다. 또한,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 및 압출노즈 복부재(130)를 제작하여, 거더 상현재(210) 및 하현재(120)에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를 연결한다. 거더(100)의 연결된 압출노즈(100)를 당겨 교각(300)에 올리면 압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압출노즈(100)는 거더(200) 및 압출노즈(100) 선단부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압출노즈(100)의 길이를 종래의 압출노즈보다 8~10m 증가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형성된 압출노즈(100)는 상현강재 설치부와 동일축선에 압출노즈(100)의 상현강재를 배치한 사각형 단면을 적용하여 설치된다.
이때의 거더 상현재(210)와 거더 복부재(230)는 강재로 형성되며 거더 하현재(220)는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또한,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 및 압출노즈 복부재(130)는 강재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의 시공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는 제 1거더에 연결된 압출노즈(100)가 나타나있다. 제작장에서 제작된 제 1거더는 압출노즈(100)와 연결되어 압출된다.
(b)에는 압출노즈(100)에 연결된 제 1거더 및 제 2거더가 나타나있다. 압출노즈(100)에 연결된 제 1거더가 압출되는 동안 제작장에서는 제 2거더를 제작하고 제 1거더가 제 1교각까지 압출되면(도6(b)) 압출노즈(100)에 연결된 제 1거더에 제작된 제 2거더를 연결하여 제 1거더 및 제 2거더와 연결된 압출노즈(100)를 압출하여 제 2교각까지 압출하는 것이다(도6(c)).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3거더를 제작한 후 제 1거더 및 제 1거더에 제 3거더를 연결하여 제 1거더와 연결된 압출노즈(100)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교각을 완성하는 것이다(도6(d)).
제 1단계에서 압출노즈 상현재(110) 및 압출노즈 하현재(120)는 강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1단계에서 압출노즈(100)를 제작할 때 압출노즈 하현재(120)는 타측에서 압출노즈 상현재(110) 방향으로 휨을 갖는 것으로 제작된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압출될 때 교각(300)과 맞닿는 압출노즈 하현재(120)에 미리 휨(캠버)을 줌으로써 압출될 때의 처짐을 방지하고 압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휨에 따라 제 1단계에서 압출노즈 상현재(110) 및 압출노즈 하현재(120)는 강재로 제작된 압출노즈 복부재(130)로 연결되며 압출노즈 복부재(130)는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휨의 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압출노즈 복부재(130)의 길이가 형성된다.
일정하게 사선으로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연결되는 압출노즈 복부재(130)는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휘어 압출노즈 상현재(110)와 가까워짐에 따라 압출노즈 복부재(130)의 길이도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압출노즈(100)가 제작될 때에 압출노즈 하현재(120)의 저면에는 보조판재(140)를 하나 이상 구비하게 된다. 보조판재(140)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으로 제작되어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압출될 때 부드럽게 압출되도록 해주는 효과를 준다.
또한, 3단계에서 교각(300)에의 일면에 패드(150)를 설치하여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교각(300)에 올려질 때 패드(150)와 압출노즈 하현재(120)가 맞닿게 하여 압출노즈(100)가 부드럽게 교각(300)에 올려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압출노즈 110: 압출노즈 상현재
111: 제 1지점 112: 제 3지점
120: 압출노즈 하현재 121: 제 2지점
130: 압출노즈 복부재 140: 보조판재
150: 패드 200: 거더
210: 거더 상현재 220: 거더 하현재
230: 거더 복부재 300: 교각

Claims (15)

  1. 복합트러스트 거더교의 압출노즈에 있어서,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상현재와 결합되는 압출노즈 상현재;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와 평행하게 직선으로 설치되어 일측에서 거더 하현재와 결합되며 타측에서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 방향으로 휨을 갖는 압출노즈 하현재; 및
    압출노즈 상현재와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와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를 연결하는 압출노즈 복부재
    로 이루어지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의 휘어진 높이는 교각의 높이로부터 상기 압출노즈가 중력 방향으로 처지는 최대한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와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 및 상기 압출노즈 복부재는 강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노즈 복부재는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의 휨의 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압출노즈 복부재의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의 저면에 보조판재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재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7. 복합트러스트 거더교의 압출노즈에 있어서,
    거더 상현재 및 거더 하현재와 압출노즈 상현재 및 압출노즈 하현재를 제작하는 제 1단계;
    상기 거더 상현재 및 거더 하현재의 타측과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 및 압출노즈 하현재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2단계;
    상기 거더와 상현재 및 거더 하현재와 연결된 상기 압출노즈의 타측에서 상기 압출노즈를 당겨 교각에 올리는 제 3단계;
    로 이루어지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 및 압출노즈 하현재는 강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는 타측에서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 방향으로 휨을 갖는 것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의 휘어진 높이는 상기 교각의 높이로부터 상기 압출노즈가 중력 방향으로 처지는 최대한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압출노즈 상현재 및 압출노즈 하현재는 강재로 제작된 압출노즈 복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압출노즈 복부재는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의 휨의 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압출노즈 복부재의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의 저면에 보조판재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보조판재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상기 교각에의 일면에 패드를 설치하여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가 상기 교각에 올려질 때 상기 패드와 상기 압출노즈 하현재가 맞닿게 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KR1020130077215A 2013-07-02 2013-07-02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KR20150004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15A KR20150004134A (ko) 2013-07-02 2013-07-02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15A KR20150004134A (ko) 2013-07-02 2013-07-02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34A true KR20150004134A (ko) 2015-01-12

Family

ID=5247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215A KR20150004134A (ko) 2013-07-02 2013-07-02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1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276A (ko) * 2017-10-12 2019-04-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강관을 이용한 트러스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0449994A (zh) * 2019-07-23 2019-11-15 济南宜众科技有限公司 一种腹杆梁的生产线和生产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276A (ko) * 2017-10-12 2019-04-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강관을 이용한 트러스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0449994A (zh) * 2019-07-23 2019-11-15 济南宜众科技有限公司 一种腹杆梁的生产线和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1615B (zh) 预应力金属薄板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CN111042543A (zh) 一种大跨度屋盖桁架施工方法
CN103643637B (zh) 大跨度钢管混凝土拱桥先竖转后原位整体提升施工方法
CN103437279B (zh) 高空现浇箱梁承压支柱及其施工工艺
CN103290785B (zh) 一种变高度连续钢桁梁的合拢方法
CN202202577U (zh) 预应力托梁拆柱结构
CN108678398B (zh) 一种超高层建筑加强层钢结构桁架预拼装方法
CN105442705A (zh) 一种大跨度钢桁架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90126957A (ko) 교량 상부 구조물 유닛의 프리 로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부 구조물 유닛의 휨 변형 부가 방법
CN203594213U (zh) 灵活拆装式承重桁架
CN103821376A (zh) 单层网壳结构高空斜轨累积滑移施工工法
CN106401042A (zh) 一种钢板带索桁架结构
KR20150004134A (ko) 교량의 하현재를 프리캠버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압출노즈 및 압출노즈를 이용한 거더설치 공법
CN113591186B (zh) 一种钢桁梁制造构形确定方法和系统
CN110820565A (zh) 波形钢腹板挂篮悬浇方法
CN110820566A (zh) 波形钢腹板部分承重式挂篮悬浇施工方法
CN106284838A (zh) 一种格构式蜂窝梁节段和大跨度格构式钢梁及其制作安装方法
JPH0721165B2 (ja) コンクリート斜張橋の架設方法
CN108396632A (zh) 减小pk组合梁斜拉桥辅助墩墩顶主梁负弯矩的方法
CN106760565B (zh) 一种结构自动卸载施工方法
CN203361471U (zh) 运用在大跨悬挑楼层结构中的斜拉装置
CN207452680U (zh) 一种曲弦钢桁加劲连续梁
KR101707010B1 (ko) 힌지 결합된 분절형 거더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CN105821753A (zh) 一种新型铁路曲线斜塔斜拉桥
CN209873548U (zh) 一种便于上墩的箱梁端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