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24A - 곡물 로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로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24A
KR20150004124A KR20130077192A KR20130077192A KR20150004124A KR 20150004124 A KR20150004124 A KR 20150004124A KR 20130077192 A KR20130077192 A KR 20130077192A KR 20130077192 A KR20130077192 A KR 20130077192A KR 20150004124 A KR20150004124 A KR 20150004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grain
roasting
temperature valu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석
Original Assignee
이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석 filed Critical 이남석
Priority to KR2013007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124A/ko
Publication of KR2015000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곡물 로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곡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드럼통, 및 곡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드럼통의 옆면에 열을 전달하며, 드럼통의 옆면을 따라 설치되어, 드럼통의 옆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면상 히터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설치된 회전 드럼통을 이용하여 곡물 로스팅을 실행함으로써, 곡물에 대한 균일한 로스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곡물 로스팅 장치{Grain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곡물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 설치된 회전 드럼통을 이용하여 곡물 로스팅을 실행함으로써, 균일한 곡물 로스팅 및 대용량의 로스팅이 가능하토록 할 뿐만 아니라, 곡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로스팅 온도를 설정하고, 설정 온도에 따른 곡물 로스팅을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깨나 콩 등의 곡물을 볶는 장비들은, 수직 원통에 곡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하부에서 열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에 따라, 위쪽의 곡물은 충분히 열을 전달받지 못하여 로스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 아래쪽의 곡물은 지나치게 많은 열을 공급받게 됨으로써 타버리는 등, 곡물의 로스팅 품질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통의 바닥면에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곡물을 뒤섞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교반 날개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곡물이 끼임으로써, 곡물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아울러, 곡물의 로스팅에 있어서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가열 온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에서는 곡물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설치된 회전 드럼통을 이용하여 곡물 로스팅을 실행함으로써, 균일한 곡물 로스팅 및 대용량의 로스팅이 가능하토록 할 뿐만 아니라, 곡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로스팅 온도를 설정하고, 설정 온도에 따른 곡물 로스팅을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로스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600); 상기 회전축(600)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곡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6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드럼통(100); 및 상기 곡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에 열을 전달하며,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면상 히터체(5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의 내측에는 복수의 턱(12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600)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면상 히터체(500)에 외부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가능토록 하는 브러쉬 구조체(5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통(100) 내부의 곡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곡물 온도 센서(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과, 상기 곡물 온도 센서(140)가 측정한 온도값을 비교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준 온도값과, 상기 곡물 온도 센서(140)가 측정한 온도값의 일치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3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설치된 회전 드럼통을 이용하여 곡물 로스팅을 실행함으로써, 곡물에 대한 균일한 로스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설치된 회전 드럼통을 이용하여 곡물 로스팅을 실행함으로써, 대용량의 곡물에 대한 로스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드럼통의 내측에 구비된 턱에 의해 드럼통의 전면을 균등하게 활용하여 곡물 로스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로스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통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드럼통의 옆면에 설치된 발열체에 지속적으로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로스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로스팅 온도를 설정하고, 설정 온도에 따른 곡물 로스팅을 자동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에 구비된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드럼통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서의 드럼통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의 배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의 드럼통의 후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에서의 외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는 드럼통(100), 외부 프레임(200), 제어 장치(300), 지지 프레임(400), 면상 히터체(500)를 포함한다.
먼저, 드럼통(100)은 눕혀진 상태인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 곡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축(6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드럼통(100)은 외부 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 프레임(200)에 설치된 보조 롤러(230)는 도 1에서와 같이 드럼통(100)의 회전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드럼통(100)의 정면, 후면(130), 또는 옆면(120)에 내부 곡물의 로스팅 상태를 화긴할 수 있는 투명창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부에 드럼통(100)이 설치된 외부 프레임(200)은 지면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400)을 통해 지지되며, 지지 프레임(40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된 회동 결합구(450)와 외부 프레임(20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된 회동핀(250)이 결합됨으로써, 지지 프레임(400)과 외부 프레임(200)의 회동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외부 프레임(200)은 지지 프레임(400)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수평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구체적으로, 회동핀(250)을 회동시키는 회동 모터(미도시)의 회동 방향에 따라, 외부 프레임(200)은 지지 프레임(4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외부 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드럼통(100) 또한 전방으로 기울어지가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드럼통(1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곡물 투입구(110)가 상향으로 조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가공 대상인 곡물을 곡물 투입구(110)로 투입하게 되고, 드럼통(100)이 수평 상태가 되어, 드럼통(100)의 내부 옆면(120)에 곡물이 최대한 많이 접촉할 수 있게 된 경우에, 면상 히터체(500)를 통해 드럼통(100)을 가열함과 동시에 회전축(600) 및 보조 롤러(230)를 통해 드럼통(100)을 회전시킴으로써, 곡물의 로스팅 작업을 수행하며, 로스팅이 완료된 곡물을 곡물 투입구(110)를 통해 배출하기 위해서는 드럼통(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곡물 투입구(110)가 하향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드럼통(100)의 보다 원활한 회전, 및 소음 방지를 위해서, 드럼통(100) 입구의 외부 테두리에 베어링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곡물 투입구(110)에 밀폐형 문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드럼통(100) 내부의 압력 조절 및 온도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추가로 곡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면상 히터체(500)는 드럼통(100)의 회전면인 옆면(120)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드럼통(100)의 내부 옆면(120)에 위치한 곡물이 가열되어 로스팅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이 면상 히터체(500)는 드럼통(100)의 옆면(120)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제작되어 드럼통(100)의 옆면(120)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드럼통(100)의 옆면(120)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드럼통(100)의 옆면(12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드럼통(100)과 면상 히터체(500)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무게 경량화가 필요한 대형 공장형의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나, 세척/유지/보수 작업 등이 용이하도록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드럼통(100)에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드럼통(100)과 면상 히터체(500)를 동시에 감싸는 단열 재질의 보호막을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곡물로는 고체류인 참깨, 들깨, 땅콩, 커피, 팥 등이 있으며, 이들의 가루 형태인 가루류, 또는 고체류 및 가루류의 액상혼합 형태인 액체류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의 입력 패널(380), 상태 표시부(340) 등이 구비된 일종의 제어반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의 제어 장치(300)는 드럼 스위치(310), 히터 스위치(330), 경사 스위치(350), 팬 스위치(370), 입력 패널(380), 디스플레이부(390), 표시부(340)를 포함한다.
먼저, 드럼 스위치(310)는 드럼통(100)에 연결 설치된 회전축(600)의 회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드럼 스위치(310)의 중립 상태에서 드럼 스위치(310)를 좌측으로 회전 스위칭시키면 드럼통(100)이 좌측으로 회전하고, 드럼 스위치(310)를 우측으로 회전 스위칭시키면 드럼통(100)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드럼통(10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곡물 로스팅의 품질을 높이게 될 수 있으며, 곡물의 배출시에도 드럼통(100)의 회전 방향을 좌/우로 바꾸어가며 배출을 유도하면, 드럼통(100) 내부의 수평턱(125)에 걸려서 쉽게 배출되지 못하는 곡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히터 스위치(330)를 통해 사용자는 면상 히터체(500)로의 외부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함으로써, 면상 히터체(500)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경사 스위치(350)는 외부 프레임(200)의 측면에 구비된 회동핀(250)에 연결된 회동 모터(미도시)의 구동 및 구동 방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경사 스위치(350)의 중립 상태에서 경사 스위치(350)를 좌측으로 회전 스위칭시키면 회동 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외부 프레임(200) 및 드럼통(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드럼 스위치(310)를 우측으로 회전 스위칭시키면 회동 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외부 프레임(200) 및 드럼통(1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지지 프레임(400)의 전후방 하단에 각각 압력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외부 프레임(2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지지 프레임(400)의 전방 하단에 설치된 압력 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압력 센서가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300)에 송신하게 되며, 이 경우에 경사 스위치(350)가 회전 스위칭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어 장치(300)가 회동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외부 프레임(200) 및 드럼통(100)이 일정한 전방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외부 프레임(2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지지 프레임(40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압력 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압력 센서가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300)에 송신하게 되며, 이 경우에 경사 스위치(350)가 회전 스위칭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어 장치(300)가 회동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외부 프레임(200) 및 드럼통(100)이 일정한 후방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팬 스위치(370)는 드럼통(100)의 내부에 설치된 팬(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사용자는 팬의 구동을 통해 로스팅 과정에서 드럼통(100) 내부에 생성된 수증기를 드럼통(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입력 패널(380)을 통해 곡물별 로스팅 온도값인 목표 온도값(기준 온도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곡물의 온도를 기준 온도값까지 올리기 위해 필요한 면상 히터체(500)의 목표 온도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면상 히터체(500)의 목표 온도값을 곡물의 기준 온도값의 적어도 2배가 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 패널(380)을 통해 설정된 면상 히터체(500)의 목표 온도값은 제1 디스플레이부(391)에 표시되며, 제1 디스플레이부(391)에는 면상 히터체(500)에 설치된 온도 센서(150)가 측정한 현재 온도값이 함께 표시된다.
아울러, 입력 패널(380)을 통해 입력된 곡물의 기준 온도값은 제2 디스플레이부(392)에 표시되며, 제2 디스플레이부(392)에는 곡물이 놓여지는 드럼통(100)의 내부 옆면(120) 또는 후면(130)에 설치된 온도 센서(140)가 측정한 곡물의 현재 온도값이 함께 표시된다.
한편,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는 면상 히터체(500)의 목표 온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면상 히터체(500)에 외부 전원의 공급을 지속하며, 면상 히터체(500)의 온도가 목표 온도값이 도달하게 되면, 외부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아울러, 면상 히터체(500)의 온도가 목표 온도값의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다시 면상 히터체(500)로의 외부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면상 히터체(500)의 온도가 목표 온도값을 유지한 상태에서, 면상 히터체(500)의 가열에 의해 드럼통(100) 내부의 곡물의 온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는 곡물의 현재 온도값과 기 설정된 곡물의 기준 온도값을 비교하며, 곡물의 현재 온도값과 기준 온도값이 일치하거나, 소정의 오차 범위 (예를 들어, ±1℃)내에 있는 경우에는, 면상 히터체(500)의 현재 온도와 무관하게, 면상 히터체(500)로의 외부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아울러, 이후에 곡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값 아래로 소정의 오차 범위를 넘어서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다시 면상 히터체(500)로의 외부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곡물의 현재 온도값과 기준 온도값이 일치하거나, 소정의 오차 범위 (예를 들어, ±1℃)내에 있는 경우에는 스피커 등의 표시부(340)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최적의 온도 조건으로 곡물이 로스팅되고 있다는 것을 알리게 된다.
도 3은 도 1에서의 드럼통(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서의 드럼통(100)의 내부 옆면(120)에는 드럼통(100)의 옆면(12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평턱(125)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평턱(125)은, 드럼통(100) 내부의 곡물이 중력에 따라 드럼통(100) 내부의 가장 낮은 바닥에만 몰림으로써, 곡물의 로스팅이 불균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물을 드럼통(100) 내부의 옆면(120) 상에서 분산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와 같은 수평턱(125)은 드럼통(100)의 옆면(120)과 직교하지 않고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드럼통(100)의 옆면(120)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전개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평턱(125)이 드럼통(100)의 옆면(120)과 비스듬한 경사를 이룸으로써, 드럼통(100)이 회전하는 경우에 드럼통(100)의 옆면(120)에서 곡물이 이탈되어 아래로 낙하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수평턱(125)이 드럼통(100)의 옆면(120)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전개되는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수평턱(125)을 통한 곡물의 교반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의 배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드럼통(100)의 후면(130)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드럼통(10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600)이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축(600)은 외부 프레임(200)에 구비된 축고정대(63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회전축(600)에는 구동 모터(670)가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회전축(600)의 회전과 회전 방향이 제어된다.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환형 면상 히터체(500)에는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대략 24개의 발열체(550)가 수평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발열체(550)에 외부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면상 히터체(500)의 발열이 실행된다.
도 6은 도 5에서의 드럼통(100)의 후면(13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드럼통(100)의 후면(130)에 결합된 회전축(600)의 둘레에는 외부 전원 공급선(590)을 통해 공급되는 3상 전원이 인가되는 3상 탄소 브러시 구조체(570)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소량의 곡물 작업시에는 외부 전원 공급선(590)을 통해 공급되는 단상 전원이 인가되는 단상 탄소 브러시 구조체(570)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브러시 구조체(570)에 인가되는 3상 전력은 브러시 구조체(570)로부터 분기된 도전선(555)을 통해 24개의 발열체(550)에 각각 공급됨으로써, 면상 히터체(5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면상 히터체(500)는 외부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의 도전선(555)만을 표시하였지만, 도 6에서의 각 발열체(550)에는 이와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변경된 연결 구조를 갖는 도전선(555)이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브러시 구조체(570)의 3상 전력에서의 각 상의 전력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각각의 8개의 발열체(550)에 공급되도록 배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드럼통(100)의 후면(13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드럼통(100) 내부의 온도 또는 드럼통(100) 내부의 곡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곡물 온도 센서(140)가 드럼통(100)의 내부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곡물 온도 센서(140)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은 신호선(145)을 통해, 회전축(600)의 둘레에 설치된 온도 측정부(650)로 전달된다.
또한, 면상 히터체(5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면상 히터체(500)에 삽입 설치된 히팅 온도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온도값 또한 신호선(155)을 통해, 온도 측정부(65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온도 측정부(650)로 수렴된 곡물 온도 센서(140) 및 히팅 온도 센서(150)의 측정값들은 온도 정보 송출선(655)를 통해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는 고체 곡물의 로스팅 작업 이외에도, 종류가 다른 곡물의 혼합 작업, 곡물 죽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곡물을 물과 함께 삶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로스팅 장치를 삽겹살, 갈비 등의 육류를 로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육류 로스팅 장치 또는 음식물 로스팅 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드럼통, 200: 외부 프레임,
300: 제어 장치, 400: 지지 프레임,
500: 면상 히터체, 600: 회전축.

Claims (5)

  1.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600);
    상기 회전축(600)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곡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6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드럼통(100); 및
    상기 곡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에 열을 전달하며,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면상 히터체(500);
    를 포함하는 곡물 로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의 내측에는 복수의 턱(125)이 구비된 것인 곡물 로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00)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통(100)의 옆면(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면상 히터체(500)에 외부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가능토록 하는 브러쉬 구조체(570)를 더 포함하는 곡물 로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통(100) 내부의 곡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곡물 온도 센서(140)를 더 포함하는 곡물 로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기준 온도값과, 상기 곡물 온도 센서(140)가 측정한 온도값을 비교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준 온도값과, 상기 곡물 온도 센서(140)가 측정한 온도값의 일치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340)를 더 포함하는 곡물 로스팅 장치.

KR20130077192A 2013-07-02 2013-07-02 곡물 로스팅 장치 KR20150004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192A KR20150004124A (ko) 2013-07-02 2013-07-02 곡물 로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192A KR20150004124A (ko) 2013-07-02 2013-07-02 곡물 로스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65A Division KR101618031B1 (ko) 2015-03-26 2015-03-26 곡물 로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24A true KR20150004124A (ko) 2015-01-12

Family

ID=5247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7192A KR20150004124A (ko) 2013-07-02 2013-07-02 곡물 로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12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21A (ko) * 2014-08-19 2016-02-29 이남석 곡물 로스팅 장치
CN107981388A (zh) * 2018-01-23 2018-05-04 石河子大学 一种小型打瓜籽干燥与烘焙装置
WO2018217044A1 (ko) 2017-05-24 2018-11-29 신익수 탄소양자점 이온화합물 전해질을 포함한 전기화학소자
WO2018217043A1 (ko) 2017-05-24 2018-11-29 신익수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8855A (ko) 2017-05-24 2018-12-04 신익수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US11996521B2 (en) 2017-05-24 2024-05-28 Graphenide Technology Co., Lt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carbon quantum dot ionic compound electrolyt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21A (ko) * 2014-08-19 2016-02-29 이남석 곡물 로스팅 장치
WO2018217044A1 (ko) 2017-05-24 2018-11-29 신익수 탄소양자점 이온화합물 전해질을 포함한 전기화학소자
WO2018217043A1 (ko) 2017-05-24 2018-11-29 신익수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8855A (ko) 2017-05-24 2018-12-04 신익수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US11996521B2 (en) 2017-05-24 2024-05-28 Graphenide Technology Co., Lt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carbon quantum dot ionic compound electrolyte
CN107981388A (zh) * 2018-01-23 2018-05-04 石河子大学 一种小型打瓜籽干燥与烘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124A (ko) 곡물 로스팅 장치
KR101618031B1 (ko) 곡물 로스팅 장치
US5735190A (en) Combination bread-baking machine and convection oven
KR20130001153U (ko) 다편축 교반 조리 장치
KR101448008B1 (ko) 곡물 로스터
JP2011130961A (ja) 自動製パン器
JP6719786B2 (ja) ロータリー式炒め・焙煎装置
KR101805603B1 (ko) 간접 열을 이용한 로스터
CN108671873A (zh) 一种高效加热的螺旋搅拌反应釜
JP2018185055A (ja) 空気調和機
US10080262B2 (en) Cooking device
JP4570524B2 (ja) 高周波加熱装置
CN107569128A (zh) 破壁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系统
CN207614977U (zh) 一种用于水产饲料加工的破碎机
JP2018038960A (ja) 撹拌粉砕処理装置
CN110272814A (zh) 一种高温发酵机
JP6997505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KR20070122112A (ko) 곡물볶음장치
CN211913643U (zh) 一种维持内部温度恒定均匀的邦定混料机锅体
JP2011143075A (ja) 自動製パン器
JP2010256084A (ja) 穀粒水分センサ
JP2011224165A (ja) 自動製パン器
CN108940095A (zh) 一种养殖业用饲料烘干搅拌一体机
KR102320243B1 (ko) 회전형 조리 장치
CN207822900U (zh) 一种可控温的昆虫防治剂搅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