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17A -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117A KR20150004117A KR1020130077181A KR20130077181A KR20150004117A KR 20150004117 A KR20150004117 A KR 20150004117A KR 1020130077181 A KR1020130077181 A KR 1020130077181A KR 20130077181 A KR20130077181 A KR 20130077181A KR 20150004117 A KR20150004117 A KR 201500041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state
- switch
- discharge
- switch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는,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가 아닐 경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고,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고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에 대한 변환을 현재 상태에 맞게 원활하게 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배터리의 현재 충 전과 방전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충전 및 방전 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및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전기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산됨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수급 문제와 우수한 품질의 전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정전 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다. 순간 정전, 순간 전압강하 및 고조파 등에 의한 전력 품질의 저하는 산업체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력 품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UPS는 전력전자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안정적 동작에 대한 신뢰성은 상당 부분 확보하고 있으나,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의 불량으로 인한 정전시의 전력 품질 저하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에 관한 기술도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BMS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또는 방전 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고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일정 전압 이상으로 과충전이 되는 경우, 심하면 양극활 물질의 구조가 붕괴되거나 전해액의 산화 반응이 동반되고, 이 경우가 지속되면 전압이 올라가고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하게 된다. 또한 수명이 단축되며, 배터리의 불안정한 특성으로 사고의 위험성을 가지게 되어 UPS의 전체적인 신뢰도 저하를 야기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 충방전 회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배터리와 충방전 경로에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스위치(11)만을 이용하여 충방전 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그 결과 종래의 배터리 충방전 회로는 과충전이 발생하면 스위치(11)을 개방하여 충전전류를 막음으로써 과충전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스위치(11)의 개방으로 인해 방전전류도 이동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 충방전 회로는 과방전이 발생하면 스위치(11)을 개방하여 방전전류를 막음으로써 과방전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스위치(11)의 개방으로 인해 충전전류 또한 유입이 불가능하였다.
결국 종래의 방법은 과충전 시에도 방전이 필요할 수 있고, 과방전 시에도 충전이 필요할 수 있는데, 충전과 방전을 모두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고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에 대한 변환을 현재 상태에 맞게 원활하게 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과 방전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충전 및 방전 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는,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 및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가 아닐 경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고,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보호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복수의 단방향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방향 소자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충전 경로에 설치된 제1 스위치와 상기 방전경로에 설치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폐쇄하여 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개방하여 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부가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충전 상태임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가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방전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폐쇄하여 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폐쇄하고 제2 스위치를 개방하여 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방전 상태임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방전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고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에 대한 변환을 현재 상태에 맞게 원활하게 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과 방전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충전 및 방전 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충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은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는 추진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을 말한다. 전기 자동차를 추진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또는 연료 전지와 같은 전기적 소스(electrical source)를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combustion engine)을 또 하나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일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100)가 전기 자동차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는 전기 자동차 이외에도 가정용 또는 산업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이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시스템 등 이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어떠한 기술 분야라도 적용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1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20), ECU(Electronic Control Unit, 30), 인버터(40) 및 모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0)는 모터(5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원이다. 배터리(10)는 모터(50) 및/또는 내연 기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인버터(40)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는 복수의 전지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 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지 팩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배터리(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BMS(20)는 배터리(10)의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를 관리한다. 예컨대, 배터리(10)의 잔존 용량(State Of Charging; SOC), 잔존 수명(State Of Health; SOH), 최대 입출력 전력 허용량, 출력 전압 등 배터리(10)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며, 나아가 배터리(10)의 교체 시기 추정도 가능하다.
또한, BMS(2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보호 장치(100)에 의해 배터리(10)의 충전과 방전을 보다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과충전 시 또는 과방전 시 배터리(10)를 보호할 수 있다.
ECU(30)는 전기 자동차(1)의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 장치이다. 예컨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브레이크(break), 속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토크 정도를 결정하고, 모터(50)의 출력이 토크 정보에 맞도록 제어한다.
또한, ECU(30)는 BMS(20)에 의해 전달받은 배터리(10)의 SOC, SOH 등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도록 인버터(40)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인버터(40)는 ECU(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한다.
모터(50)는 배터리(1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ECU(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한다.
상술한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1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므로, 배터리(10)의 상태, 예를 들어, 충전 상태, 방전 상태, 과충전 상태, 과방전 상태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100)는 감지부(110), 스위치(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보호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배터리(10)의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부(110)는 상기 충전량 또는 상기 방전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에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로 흘러 들어가는 충전량이 100%이상이면 과충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10)로 흘러 들어가는 방전량이 90%이상이거나 충전량이 10%이하이면 과방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감지부(110)에 초기값으로 미리 설정된 고정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변경되는 값일 수도 있다.
스위치(120)는 배터리(10)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스위치(120)는 리미트 스위치, 릴레이 스위치, 근접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및 광전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0)의 충전 및 방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스위치(120)를 제어하고, 감지부(11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방전만 가능하도록 스위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부(110)에서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130)는 충전경로 상에 위치한 스위치를 개방하고 방전경로 상에 위치한 스위치를 폐쇄하여 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110)에서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130)는 충전경로 상에 위치한 스위치를 폐쇄하고 방전경로 상에 위치한 스위치를 개방하여 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100)의 제어부(130)의 제어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에서는 제어부(13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실제로 제어부(130)는 스위치(120)에 연결되어 스위치(1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100)에서 스위치(120)는 충전경로에 설치된 제1 스위치(121)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제2 스위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복수의 단방향성 소자(151, 15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로 그 단방향성 소자(151, 152)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여기서,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가 아닐 경우, 제어부(130)가 충전경로에 설치된 제1 스위치(121)를 폐쇄하고, 방전경로에 설치된 제 2스위치(122)를 폐쇄하여 전류의 이동이 자유로워 충전과 방전 모두 가능해진다.
또한, 과충전 상태일 경우, 제어부(130)가 충전경로에 설치된 제1 스위치(121)를 개방하고, 방전경로에 설치된 제 2스위치(122)를 폐쇄하면 단방향성 소자에 의해 충전경로로의 전류의 이동이 제한되고, 방전경로로만 전류가 유도된다.
또는, 과방전 상태일 경우, 제어부가(130)가 충전경로에 설치된 제1 스위치(121)를 폐쇄하고, 방전경로에 설치된 제 2스위치(122)가 개방하면 단반향성 소자에 의해 방전경로로의 전류의 이동이 제한되고, 충전경로로만 전류가 유도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표시부(140)는 배터리(10)의 충전상태 또는 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장치, LED(Light Emitting Diode)장치, CRT(Cathode-Ray Tube)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장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가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표시부(140)는 상기 기술된 표시장치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표시부(140)는 감지부(110)에서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충전 상태임을 표시하고 감지부(110)에서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방전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감지부(110)가 감지를 할 때, 하나 이상의 충방전 상태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로 흘러들어가는 전압량, 충전량, 방전량, 잔량, 충방전상태 또는 전류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터 보호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S11), 과충전 상태인지 과방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 단계(S11) 및 단계(S12)의 과정은 감지부(110)에 대한 설명이 준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배터리가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모두를 가능하게 한다(S17). 이 때 스위치(도4의 121)와 스위치(도4의 122)는 모두 폐쇄된 상태로 자유롭게 충방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배터리가 과충전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스위치(도4 121)를 개방하고 제2 스위치(도4의 122)를 폐쇄하여(S13), 배터리의 방전만 가능하도록 한다(S15).
또는 배터리가 과방전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스위치(도4의 121)를 폐쇄하고 제2 스위치(도4의 122)를 개방하여(S14), 배터리의 충전만 가능하도록 한다(S16). 단계(S13) 및 단계(S14)의 과정은 제어부(130)에 대한 설명이 준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다음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종료한다.
전술한 배터리 보호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배터리 보호 장치
110 감지부
120 스위치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10 감지부
120 스위치
130 제어부
140 표시부
Claims (13)
-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 및
상기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 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경로와 방전경로에 복수의 단방향성 소자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성 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충전경로에 설치된 제1 스위치와 상기 방전경로에 설치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폐쇄하여 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개방하여 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부가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충전 상태임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가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방전 상태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배터리 의 충전 및 방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 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개방하고 제2 스위치를 폐쇄하여 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과충전 시 방전만 가능하도록 또는 과방전 시 충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폐쇄하고 제2 스위치를 개방하여 충전만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방전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과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충전 상태임을 표 시하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과방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과방전 상태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181A KR101644217B1 (ko) | 2013-07-02 | 2013-07-02 |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
EP14820400.1A EP2889984A4 (en) | 2013-07-02 | 2014-05-12 |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BLOCK OF BATTERIES |
PCT/KR2014/004212 WO2015002379A1 (ko) | 2013-07-02 | 2014-05-12 |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
US14/428,179 US9774196B2 (en) | 2013-07-02 | 2014-05-12 | Battery pack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181A KR101644217B1 (ko) | 2013-07-02 | 2013-07-02 |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117A true KR20150004117A (ko) | 2015-01-12 |
KR101644217B1 KR101644217B1 (ko) | 2016-07-29 |
Family
ID=5214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7181A KR101644217B1 (ko) | 2013-07-02 | 2013-07-02 |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774196B2 (ko) |
EP (1) | EP2889984A4 (ko) |
KR (1) | KR101644217B1 (ko) |
WO (1) | WO20150023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0918B1 (ko) * | 2015-12-09 | 2018-10-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및 그 충전 제어방법 |
KR20170068826A (ko) | 2015-12-10 | 2017-06-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
KR102145651B1 (ko) * | 2016-08-26 | 2020-08-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관리 시스템 |
TWI676334B (zh) * | 2017-10-19 | 2019-11-01 | 富晶電子股份有限公司 | 鋰電池充放電開關裝置及其控制方法 |
KR20200101754A (ko) * | 2019-02-20 | 2020-08-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제어 방법 |
JP7462838B2 (ja) | 2020-10-14 | 2024-04-05 |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バッテリの過放電状態に基づいて充電禁止及び/又は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WO2022080738A1 (ko) * | 2020-10-14 | 2022-04-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에 기반하여 충전 금지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9680A (ko) | 2004-11-29 | 2006-06-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
JP2009089468A (ja) * | 2007-09-27 | 2009-04-23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電池パック |
JP2013048497A (ja) * | 2011-07-26 | 2013-03-07 | Gs Yuasa Corp | 無停電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9900A (en) * | 1994-12-05 | 1998-08-04 | Fuji Photo Film Co., Ltd. | Device for protecting a secondary battery from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
JPH10174298A (ja) | 1996-12-13 | 1998-06-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充電型直流電源回路 |
JPH11215716A (ja) | 1998-01-20 | 1999-08-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池管理装置,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
JP3380766B2 (ja) * | 1999-03-18 | 2003-02-24 | 富士通株式会社 | 保護方法及び制御回路並びに電池ユニット |
US6501248B2 (en) * | 2000-09-28 | 2002-12-31 | Ricoh Company, Ltd. | Charge/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having a charge-state overcurrent det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JP2006101635A (ja) * | 2004-09-29 | 2006-04-13 | Mitsumi Electric Co Ltd | 過充電/過放電検出装置及び過充電/過放電検出回路並びに半導体装置 |
US7436151B2 (en) * | 2004-12-23 | 2008-10-14 | Dell Products L.P.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rge switching element failure in a battery system |
JP2006254650A (ja) | 2005-03-14 | 2006-09-21 | Mitsumi Electric Co Ltd | 電池保護回路 |
JP4101816B2 (ja) * | 2005-05-16 | 2008-06-18 |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バッテリ保護回路 |
US7595619B2 (en) * | 2005-08-23 | 2009-09-29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Feed-forward circuit for adjustable output voltage controller circuits |
JP2009089768A (ja) * | 2007-10-04 | 2009-04-30 | Nelson Precision Casting Co Ltd |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0943576B1 (ko) * | 2007-10-30 | 2010-02-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090126098A (ko) | 2008-06-03 | 2009-12-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
-
2013
- 2013-07-02 KR KR1020130077181A patent/KR1016442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5-12 EP EP14820400.1A patent/EP2889984A4/en not_active Ceased
- 2014-05-12 US US14/428,179 patent/US9774196B2/en active Active
- 2014-05-12 WO PCT/KR2014/004212 patent/WO201500237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9680A (ko) | 2004-11-29 | 2006-06-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
JP2009089468A (ja) * | 2007-09-27 | 2009-04-23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電池パック |
JP2013048497A (ja) * | 2011-07-26 | 2013-03-07 | Gs Yuasa Corp | 無停電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889984A1 (en) | 2015-07-01 |
US20150256006A1 (en) | 2015-09-10 |
KR101644217B1 (ko) | 2016-07-29 |
WO2015002379A1 (ko) | 2015-01-08 |
EP2889984A4 (en) | 2016-06-08 |
US9774196B2 (en) | 2017-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4217B1 (ko) |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 |
KR101696160B1 (ko) | 전압 측정을 통한 배터리 랙 파손 방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JP6260106B2 (ja) | 蓄電装置 | |
EP2523248B1 (en) | Battery control device and method | |
US10305297B2 (en) | Battery pack and charge-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CN103038974A (zh) | 高级可再充电蓄电池系统 | |
CN101145686A (zh) | 电动工具 | |
CN108604812A (zh) | 电池平衡设备和方法 | |
US20140266049A1 (en)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short formation in battery cells | |
JP2008312282A (ja) | 車両用電源装置の制御方法 | |
KR101641762B1 (ko) | 프리차지 저항 및 릴레이 파손 방지 장치 및 방법 | |
KR20160132691A (ko) | 전기 이동 수단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364856B1 (ko) |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전제어장치 및 그 충전제어방법 | |
US11588189B2 (en) | Battery control method | |
US822865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battery by comparison of full charge capacity | |
KR20160144786A (ko) | 배터리 팩 보호 시스템 및 방법 | |
JPH08172727A (ja) | 組電池の保護装置 | |
KR101542283B1 (ko) | 이차 전지의 충전 보호 장치, 충전기 및 전지 팩 | |
KR20160067600A (ko) | 배터리 셀 과충전 보호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