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03A -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03A
KR20150004103A KR1020130077142A KR20130077142A KR20150004103A KR 20150004103 A KR20150004103 A KR 20150004103A KR 1020130077142 A KR1020130077142 A KR 1020130077142A KR 20130077142 A KR20130077142 A KR 20130077142A KR 20150004103 A KR20150004103 A KR 20150004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ep
case
differential
gear cha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길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103A/ko
Publication of KR2015000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F16H2048/087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characterised by the pinion gears, e.g. their type or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디프 케이스; 상기 제1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에 기어 챔버를 형성하는 제2 디프 케이스; 상기 제1, 2 디프 케이스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기어 챔버에 내장되고 외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구동축이 관통되는 디프 스파이더; 상기 구동축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디프 스파이더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기어 챔버에 내장되는 원추 형상의 디프 기어; 상기 복수의 체결홈 중 전부 또는 일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디프 샤프트; 및 상기 디프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기 디프 기어와 맞물리는 디프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단일 장치로써 차량마다 요구되는 허용 토크에 폭넓게 대응하고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SHAFT ASSEMBLY OF DIFFERENTI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장치로써 차량마다 요구되는 허용 토크에 폭넓게 대응하고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디퍼렌셜(differential)은 허용 토크에 따라 디프 피니언의 갯수가 결정된다.
통상, 차량에 적용되는 디퍼렌셜은 2개 내제 4개의 디프 피니언을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프 피니언을 지지하는 디프 샤프트는 차량용 디퍼렌셜 구조나, 차량용 디퍼렌셜에 장착되는 디프 피니언의 갯수에 따라 각기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차량마다 요구되는 허용 토크가 제각각인 만큼, 디프 피니언을 지지하는 디프 샤프트가 고정될 디퍼렌셜의 구조 또한 제각각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금형 개발 및 생산 설비 비용의 증대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10-1997-0059976호 특허출원 제10-2002-00631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단일 장치로써 차량마다 요구되는 허용 토크에 폭넓게 대응하고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디프 케이스; 상기 제1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에 기어 챔버를 형성하는 제2 디프 케이스; 상기 제1, 2 디프 케이스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기어 챔버에 내장되고 외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구동축이 관통되는 디프 스파이더; 상기 구동축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디프 스파이더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기어 챔버에 내장되는 원추 형상의 디프 기어; 상기 복수의 체결홈 중 전부 또는 일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디프 샤프트; 및 상기 디프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기 디프 기어와 맞물리는 디프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디프 케이스는, 상기 제1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턱과, 상기 제1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디프 샤프트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복수의 제1 축받이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 단턱이 상기 제2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디프 케이스는, 상기 제2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 결합 단턱과, 상기 제2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디프 샤프트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복수의 제2 축받이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 단턱이 상기 제1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축받이 홈과, 상기 제2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 단턱과 결합되는 제2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축받이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축받이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 축받이 홈은 상기 디프 샤프트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상기 디프 스파이더의 체결홈의 갯수는 상기 제1 축받이 홈과 상기 제2 축받이 홈의 갯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과 상기 제1, 2 축받이 홈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은 상기 디프 스파이더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프 기어의 중심부와 상기 제1, 2 디프 케이스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2 디프 케이스에 내장된 디프 스파이더의 외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체결홈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디프 피니언을 지지하는 디프 샤프트가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테스트 단계에서 구조적 강도 및 허용 토크 측면에서 디프 샤프트의 갯수를 적절히 가감할 필요가 있을 때 즉각적으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높은 설계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 디프 케이스의 결합 부위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 2 축받이 홈과 일직선상에 체결홈이 배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일직선상에 디프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배치,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을 공용화하여 다향한 차종에 대하여도 허용 토크 등의 사양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금형 개발 및 설비 비용 등의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디프 케이스(10, 20)와 디프 스파이더(30)와, 디프 기어(40, 40)와 디프 샤프트(50, 50, 50, 50) 및 디프 피니언(60, 60, 60, 6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디프 케이스(10)는 제2 디프 케이스(20)와 함께 차량용 디퍼렌셜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이며, 제2 디프 케이스(20)는 제1 디프 케이스(10)와 결합되어 내부에 기어 챔버(15)를 형성하는 것이다.
디프 스파이더(30)는 제1, 2 디프 케이스(10, 20)에 의하여 형성된 기어 챔버(15)에 내장되고 외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홈(3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구동축(S)이 관통되는 것이다.
디프 기어(40, 40)는 구동축(S)의 형성 방향을 따라 디프 스파이더(30)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기어 챔버(15)에 내장되는 원추 형상의 기어이다.
디프 샤프트(50, 50, 50, 50)는 복수의 체결홈(31) 중 전부 또는 일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디프 피니언(60, 60, 60, 60)는 디프 샤프트(50, 50, 50, 50)에 체결되어 디프 기어(40, 40)와 맞물리는 기어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디프 케이스(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디프 케이스(20)와 함께 기어 챔버(15)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 결합 단턱(11)과 제1 축받이 홈(11g)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결합 단턱(11)은 제1 디프 케이스(10)로부터 돌출되어 제2 디프 케이스(20)와 결합되는 것이다.
제1 축받이 홈(11g)은 제1 결합 단턱(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것으로, 디프 샤프트(50, 50, 50, 50)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결합 단턱(11)이 제2 디프 케이스(20)와 결합되어 기어 챔버(15)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2 디프 케이스(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디프 케이스(10)와 함께 기어 챔버(15)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2 결합 단턱(22)과 제2 축받이 홈(22g)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결합 단턱(22)은 제2 디프 케이스(20)로부터 돌출되어 제1 디프 케이스(10), 즉 제1 결합 단턱(11)과 결합되는 것이다.
제2 축받이 홈(22g)은 제2 결합 단턱(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것으로, 디프 샤프트(50, 50, 50, 50)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결합 단턱(22)이 제1 디프 케이스(10)의 제1 결합 단턱(11)과 결합되어 기어 챔버(15)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2 축받이 홈(11g, 22g)은 디프 샤프트(50, 50, 50, 50)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제1 축받이 홈(11g)은 제1 디프 케이스(10)로부터 돌출되어 제2 디프 케이스(20)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턱(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2 축받이 홈(22g)은 제2 디프 케이스(20)로부터 돌출되어 제1 결합 단턱(11)과 결합되는 제2 결합 단턱(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제1 축받이 홈(11g)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프 스파이더(30)의 체결홈(31)의 갯수는 제1 축받이 홈(11g)과 제2 축받이 홈(22g)의 갯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체결홈(31)과 제1, 2 축받이 홈(11g, 22g)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특히, 구동축(S)은 디프 스파이더(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디프 기어(40, 40)의 중심부와 제1, 2 디프 케이스(10, 20)의 중심부를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단일 장치로써 차량마다 요구되는 허용 토크에 폭넓게 대응하고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10...제1 디프 케이스
11...제1 결합 단턱
11g...제1 축받이 홈
20...제2 디프 케이스
22...제2 결합 단턱
22g...제2 축받이 홈
30...디프 스파이더
31...체결홈
40, 40...디프 기어
50, 50, 50, 50...디프 샤프트
51...체결봉
60, 60, 60, 60...디프 피니언

Claims (6)

  1. 제1 디프 케이스;
    상기 제1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에 기어 챔버를 형성하는 제2 디프 케이스;
    상기 제1, 2 디프 케이스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기어 챔버에 내장되고 외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구동축이 관통되는 디프 스파이더;
    상기 구동축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디프 스파이더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기어 챔버에 내장되는 원추 형상의 디프 기어;
    상기 복수의 체결홈 중 전부 또는 일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디프 샤프트; 및
    상기 디프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기 디프 기어와 맞물리는 디프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디프 케이스는,
    상기 제1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턱과,
    상기 제1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디프 샤프트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복수의 제1 축받이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 단턱이 상기 제2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디프 케이스는,
    상기 제2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 결합 단턱과,
    상기 제2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디프 샤프트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복수의 제2 축받이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 단턱이 상기 제1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디프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축받이 홈과,
    상기 제2 디프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 단턱과 결합되는 제2 결합 단턱의 형성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축받이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축받이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 축받이 홈은 상기 디프 샤프트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상기 디프 스파이더의 체결홈의 갯수는 상기 제1 축받이 홈과 상기 제2 축받이 홈의 갯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과 상기 제1, 2 축받이 홈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디프 스파이더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프 기어의 중심부와 상기 제1, 2 디프 케이스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KR1020130077142A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KR20150004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42A KR20150004103A (ko)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42A KR20150004103A (ko)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03A true KR20150004103A (ko) 2015-01-12

Family

ID=5247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142A KR20150004103A (ko)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1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191A (zh) * 2017-12-30 2018-05-08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差速器及汽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191A (zh) * 2017-12-30 2018-05-08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差速器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2940B2 (en) Triple race angular contact bearing
CN105090432A (zh) 具有连杆轴的差速器组件
US20170227091A1 (en) Planetary reduction gear device
CN104110487A (zh) 具有至少两个轴向并排的行星齿轮组的行星齿轮传动装置
EP3184833B1 (en) Support device for bearing
JPWO2015170391A1 (ja) 波動歯車装置の波動発生器および波動発生器の製造方法
WO2018121694A1 (zh) 舵机及机器人
KR20150004103A (ko) 차량용 디퍼렌셜의 샤프트 어셈블리
EP2774778A1 (en) Bicycle hub assembly
JP2011015599A (ja) ギャードモータのベース取付け構造
JP2015052391A (ja) 転動体を備えるフランジ付きラジアル軸受
CN104246308A (zh) 变速器壳体的结构系列
US10295038B2 (en) Push-type transmission mechanism
CN105202017B (zh) 具有滚动体的成对径向凸缘轴承
CN104976228A (zh) 行星齿轮传动装置的车削件
JP5385559B2 (ja) リング歯車を備える歯車伝動装置
US20160195120A1 (en) Coaxial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JP2007154987A (ja) 変速機の潤滑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77585A (zh) 一种减速机输出端用行星架
JP3138563U (ja) 歯車伝動装置
CN202674232U (zh) 一种多定位方式的蜗轮
US9388893B1 (en) Vehicle differential housing with protuberances
JP2013096473A (ja) 複列軸受
KR101931027B1 (ko)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CN102777584A (zh) 一种减速机输入端用行星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