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88A -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88A
KR20150003588A KR1020130076641A KR20130076641A KR20150003588A KR 20150003588 A KR20150003588 A KR 20150003588A KR 1020130076641 A KR1020130076641 A KR 1020130076641A KR 20130076641 A KR20130076641 A KR 20130076641A KR 20150003588 A KR20150003588 A KR 2015000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tocol
information
counterpar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696B1 (ko
Inventor
이태영
강재은
강한수
신봉진
양칠렬
이명환
이춘호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96B1/ko
Priority to US14/317,725 priority patent/US10271358B2/en
Priority to PCT/KR2014/005863 priority patent/WO2015002441A1/en
Priority to EP14819327.9A priority patent/EP30176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0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는 는 서비스 협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장치의 서비스 협의 방법은,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에게, 상기 장치가 제1 서비스를 요청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관한 제1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상대 장치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선택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실행에 연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NEGOTIATION}
본 명세서는 서비스 협상(negotiation)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은 Near Field Communication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10cm) 무선통신 기술이다. NFC는 차세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될 수 있는 기술로서, 이 기술을 이용해 스마트 폰, 디지털카메라, PDA 등의 기기간에 빠른 속도의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이전까지의 NFC의 이용방식에 따르면 NFC를 통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캐리어(Carrier)의 연결(Connectivity)을 위한 연결 정보 교환이 지원된다. 하지만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 이후의 정보 교환 과정에 대해서는 정해지거나 알려진 바가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고 있다.
도 1은 NFC 포럼의 연결 핸드오버에 관한 도면이다. 기존 NFC 포럼의 연결 핸드오버 표준에 따르면 핸드오버 요청/선택 메시지는 와이파이/블루투스 등의 캐리어 연결 정보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 이후에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서비스를 실행해야는 불편함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NFC 또는 기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해 서비스 실행에 연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장치의 서비스 협의 방법은,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에게, 상기 장치가 제1 서비스를 요청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관한 제1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상대 장치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선택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장치의 서비스 협의 방법은,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대 장치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지시하는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지시하는 가능 지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가능 지시 정보 및 상기 장치가 요청하거나 지원하는 서비스에 기반하여 서비스 수행이 결정되면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연결을 수립한 뒤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수행이 결정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장치는,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에게, 상기 장치가 제1 서비스를 요청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관한 제1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상대 장치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선택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장치는,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대 장치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지시하는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지시하는 가능 지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가능 지시 정보 및 상기 장치가 요청하거나 지원하는 서비스에 기반하여 서비스 수행이 결정되면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연결을 수립한 뒤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수행이 결정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FC 또는 기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해 서비스 실행에 연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NFC 포럼의 연결 핸드오버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데이터 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데이터 구조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NFC를 이용해 태깅을 수행할 때,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정보를 단방향으로 전송하거나 단순히 상대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만이 가능하였다. 두 기기를 NFC를 이용하여 태깅하였을 때, 와이파이/블루투스 등의 캐리어를 이용한 연결 이후에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상대방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가 어떤 것이 있는지도 알 수 없어서 단방향으로 메시지를 보내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정도의 동작만 가능하였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 이후에 상대방 기기가 지원하는 서비스를 알 수 있는데, 상대 기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을 수립하여 기기의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협의(negotiation)에 기반한 서비스 트리거링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기기가 NFC 태깅을 통해, 연결 정보 이외에, 추가로 연결 이후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두 기기에서 실행할 서비스를 협의하고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데이터 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2의 데이터 유닛은 연결 이후 서비스 실행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의 예시이다. 연결 이후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는 NDEF(NFC Data Exchange Format)의 레코드(Record) 형식을 이용해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데이터 유닛을 레코드라고 칭한다.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서비스 관련 정보라고 칭한다. 서비스 관련 정보를 담는 레코드를 서비스 레코드라고 명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레코드는 헤더(210) 및 페이로드(260)를 포함한다. 페이로드(260)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헤더(210)는 서비스 유형 등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 선택 메시지와 유사한 레코드 형태를 제안한다. 서비스 레코드를 교환함으로써 서비스 협의 및 트리거링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반 NDEF 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비스 레코드를 교환함으로써 서비스 협의 및 트리거링이 수행될 수 있다.
헤더(210)는 타입 길이(Type Length) 필드(212), 페이로드 길이(Payload Length) 필드(214), ID 길이 필드(216), 타입 필드(218) 및 ID 필드(220)를 포함한다. 타입 길이 필드(212)는 타입 필드(218)의 길이를 지시한다. 페이로드 길이 필드(214)는 페이로드(260)의 길이를 지시한다. ID 길이 필드(216)는 ID 필드(220)의 길이를 지시한다. 타입 길이 필드(214)는 타입 필드(220)의 길이를 지시힌다. ID 필드(216)는 해당 레코드의 식별자 또는 해당 레코드의 식별에 필요한 기타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타입 필드(218)는 교환되는 정보가 어떠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지를 지시하는 서비스 지시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실행을 지시하는 정보가 페이로드(260)에 포함되어 교환되는 경우 이를 식별하는 지시자가 타입 필드(218)에 포함될 수 있다. 타입 필드(218)는 해당 정보가 사용되는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가리킬 수도 있다.
페이로드(260)는 서비스 타입 필드(262) 및 서비스 정보 TLV 개수 필드(264), 서비스 정보 TLV들(266, 268, 270, 272)를 포함한다.
서비스 타입 필드(262)는 예를 들어 요청(Requested) 타입, 선택(Selected) 타입 및 가능(Available)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타입 필드는 서비스 정보 TLV들에 포함되는 정보의 성격 또는 용도를 지시한다.
서비스 타입 필드(262)가 요청 타입으로 설정되면, 페이로드(260)에 포함되는 서비스 정보는 메시지의 발송자가 요청하는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요청하는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서비스 타입 필드(262)를 요청 타입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정보 TLV를 요청 사항에 대한 내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 필드(262)가 선택 타입으로 설정되면, 페이로드(260)에 포함되는 서비스 정보는 상대의 요청 타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여야 한다. 즉 상대의 요청 사항 중 가능한 항목 및/또는 상대의 요청 사항 중 선호하는 / 선택한 항목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선택한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서비스 타입 필드(262)를 선택 타입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정보 TLV를 요청 사항에 대한 내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 필드(262)가 가능 타입으로 설정되면, 페이로드(260)에 포함되는 서비스 정보는 송신 장치가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서비스 타입 필드(262)를 가능 타입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정보 TLV를 가능 항목에 대한 내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수신한 레코드의 페이로드(206)를 분석하고, 서비스 타입 필드(262)가 무엇인지에 따라 페이로드(260)의 서비스 정보 TLV가 가리키는 정보의 유형 및 역할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서비스 정보 TLV를 처리한다.
서비스 정보 TLV(TYPE-LENGTH-VALUE)는 서비스 정보 타입 필드(266), 서비스 정보 길이 필드(268) 및 서비스 정보 값 필드(270)로 구성된다. 페이로드(260)는 이러한 서비스 정보 TLV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TLV 개수 필드(264)는 서비스 정보 TLV의 개수를 나타낸다. 수신 장치는 서비스 정보 타입 필드(266) 및 서비스 정보 길이 필드(268)를 이용해 서비스 정보 값 필드(270)에 포함된 값이 지시하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항목의 유형에 따라 서비스 정보 타입 필드(266)를 설정하고,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 항목 값의 길이를 서비스 정보 길이 필드(268)에 기록하고, 서비스 정보 값 필드(270)에 해당 정보 값을 기록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레코드 구조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유사한 형태의 다른 데이터 구조가 활용될 수 있다. 서비스 협의 관련 레코드임을 지시하는 타입 필드(218)와 서비스 실행을 위한 정보의 전달이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위해 필요하다. 다른 필드들은 상술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다. TLV 구조나 기타 타입 필드, 길이 필드는 고정 길이 필드가 사용되거나 별도의 타입 필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데이터 구조이다.
도 3의 데이터 구조는 NFC 핸드오버 요청/선택 메시지 구성을 일부 수정한 것이다.
도 3의 데이터 유닛은 헤더(310) 및 페이로드(340)를 포함한다. 페이로드(340)는 복수의 도 2의 데이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이 수립된 이후 서비스 자동 실행을 위한 메시지가 도 3의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데이터 유닛은 도 2의 데이터 유닛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헤더(310)는 대체 캐리어(ac; alternative carrier)들(320, 330)을 포함한다. ac(320)는 캐리어 필드(322) 및 보조(auxiliary) 필드들(324, 326)을 포함한다. ac(330)는 캐리어 필드(332) 및 보조(auxiliary) 필드들(334, 336, 338)을 포함한다. 헤더(310)에 포함된 캐리어 필드들(322, 332) 및 보조 필드들(324, 326, 334, 336, 338)은 페이로드(340)에 포함된 레코드들을 가리키는 인덱스 필드들 및/또는 레퍼런스 필드들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서비스 레코드는 ID 필드를 가진다. 해당 ID 필드는 서비스 레코드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캐리어 필드들(322, 332) 및/또는 보조 필드들(324, 326, 334, 336, 338)에 서비스 레코드의 ID를 기록하여 특정 캐리어의 연결 이후에 수행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320)의 캐리어 필드(322)는 캐리어 레코드(350)를 가리키며, 보조 필드들(324, 326)은 서비스 레코드들(354, 360)을 가리킨다. 즉 ac(320)에 대응하는 캐리어가 연결된 후에는 캐리어 레코드(350)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 필드(352) 및 서비스 레코드들(354, 360)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 필드(356, 358, 362)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페이로드(340)는 캐리어 레코드들(350, 365) 및 서비스 레코드들(354,360, 370, 376)을 포함한다. 서비스 레코드들(354,360, 370, 376) 각각은 도 2와 같은 데이터 유닛으로 구성된다. 각 레코드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들(35, 358, 362, 372, 374, 378) 중 적어도 일부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비스 레코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캐리어 레코드(350, 365)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352) 및 연결 정보(367)는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캐리어 레코드를 이용해 연결한 뒤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 레코드를 이용해 연결 후 동작을 정의/협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치 A(400)와 장치 B(405) 간의 서비스 협의가 수행된다.
단계 410에서 장치 A(4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각 도래, 장치의 부팅 및/또는 기타 이벤트에 의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장치 A(400)와 장치 B(405) 간의 NFC 태깅이 수행된다. NFC 태깅 과정은 종래의 알려진 방식 또는 추후 표준의 갱신에 따라 변경된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태깅이 완료되면 단계 430에서 장치 A(400)는 장치 B(405)에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요청 메시지는 도 3의 구성과 같거나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요청 메시지는 서비스 레코드를 포함한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서비스 레코드의 페이로드의 서비스 타입 필드(262)는 요청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1 서비스 레코드의 페이로드는 장치 A(4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서비스 레코드의 페이로드의 서비스 타입 필드(262)는 가능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2 서비스 레코드의 페이로드는 장치 A(400)가 지원할 수 있는(가능한) 서비스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440에서 장치 B(405)는 서비스를 시작하고 연결 대기를 시작한다. 단계 450에서 장치 B(405)는 서비스 레코드를 가지는 핸드오버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430의 요청 메시지가 서비스 타입이 요청 타입인 서비스 레코드(요청 레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장치 B(405)는 요청 레코드에서 요청된 서비스 항목 중 장치 B(405)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선택 메시지를 장치 A(400)에게 송부 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 메시지의 서비스 레코드의 서비스 이름은 단계 430에서 전달된 요청 레코드의 서비스 이름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선택 메시지의 서비스 레코드의 서비스 타입은 선택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선택 메시지는 요청된 서비스의 수행 가능 여부 및 기타 서비스 실행을 위해 필요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 B(405)는 사용자의 설정 기타 이벤트 등에 따라 자신이 요청하고자 하는 서비스(선호하는 서비스)를 별도로 가질 수 있다. 장치 A(400)가 송신한 요청 메시지 내에 서비스 타입이 가능 타입인 서비스 레코드(가능 레코드)가 존재하면 장치 B(405)는 요청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송신 대상 서비스 레코드에 포함시키고 송신 대상 서비스 레코드의 서비스 타입을 요청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 B(405)는 서비스 레코드의 서비스 타입을 요청 타입으로 설정하고 요청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레코드에 포함시키는 서비스 레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서비스 레코드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장치 A(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장치 B(405)는 단계 450에서 생성된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장치 A(400)에게 송신한다.
단계 470에서 장치 A(400)와 장치 B(405)는 상술한 단계에서 교환된 정보(종래의 NFC 핸드오버 메시지와 유사)에 기초하여 연결을 수립한다. 단계 480 및 단계 490에서 상술한 서비스 레코드들을 통해 교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후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아래는 도 4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예시이다.
단계 430: 장치 A가 메시지 송신 - 서비스 레코드는 아래와 같다.
- 서비스 이름: FTP 서비스
- 서비스 타입: 요청 타입
- 서비스 정보 TLV: "서버가 되려고 함, 내 연결 정보는 ..."
장치 B가 단계 430의 메시지를 수신한 뒤 단계 460에서 메시지 송신 - 서비스 레코드는 아래와 같다.
- 서비스 이름: FTP 서비스
- 서비스 타입: 선택 타입
- 서비스 정보 TLV: "좋다. 가능하다. 접속하겠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예를 들어 동작, 예를 들어 두 장치 (400, 405) 사이의 FTP 연결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치 A(500)와 장치 B(505) 간의 서비스 협의가 수행된다.
도 5의 단계 510, 520, 530, 540 및 550은 도 4의 단계 410, 420, 430, 450, 460과 각각 동일/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560 및 단계 570에서 추가적 메시지가 송수신되고, 그에 따라 서비스 내용이 결정되어 서비스가 수행(565, 575)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550까지의 과정에서 서비스가 결정되었지만 어떠한 장치가 무슨 역할을 할 지에 대한 사항, 또는 서비스의 세부적 사항이 완전히 결정되지 않은 상태라면 단계 560의 메시지 및/또는 단계 570의 메시지에 의하여 각 장치의 역할 정보가 송수신되어 확정될 수 있다. 단계 560의 메시지 및/또는 단계 570의 메시지 또한 도 2 및 도 3의 메시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장치 A(500)와 장치 B(505)가 서로 요청(선호)하는 서비스가 달라서 단계 550까지의 과정에서 수행할 서비스가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560의 메시지 및/또는 단계 570의 메시지에 의하여 서비스가 결정될 수 있다. 서비스가 불가능하거나 서비스 실행이 부적합한 경우 서비스가 종료될 수 있다.
서비스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 단계 580에서 연결이 수립되고 이후에는 단계 570까지의 메시지를 통해 주고받은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시스템은 장치 A(600) 태그(605) 및 장치 B(610)를 포함한다. 태그(605)는 장치 B(610)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 정보는 동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단계 620에서 장치 A(600)는 애플리케이션1을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1은 프린트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한다.
단계 630에서 장치 A(600)와 태그(605)는 NFC 태깅을 수행한다.
단계 640에서 태그(605)는 장치 A(600)에게 선택 메시지(660)를 송신한다. 실제로는 장치 A(600)가 능동적으로 태그(605)의 저장 내용을 읽어들이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선택 메시지(660)는 예를 들어 두 서비스 레코드들(670, 680)을 포함한다. 제1 서비스 레코드(670)는 프린트 서비스의 식별자(서비스 이름), 서비스 타입 필드(가능 타입) 및 프린트 서비스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서비스 레코드(680)는 테더링 서비스의 식별자(서비스 이름), 서비스 타입 필드(가능 타입) 및 테더링 서비스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즉 태그(605)는 장치 B(610)가 프린트 서비스 및 테더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리는 선택 메시지를 송신한다.
장치 A(600)는 태그(605)의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장치 B(610)와의 관계에서 프린트 및 테더링 서비스가 가능함을 파악할 수 있다. 장치 A(600)가 원하는 서비스인 프린트 서비스를 장치 B(610)가 지원하므로, 장치 A(600)는 장치 B(610)와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고, 연결 이후에 자동적으로 프린트 동작을 수행한다. 장치 A(600)는 단계 640에서 수신한 정보 중 제1 서비스 레코드(670)에 따라 프린트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NFC 태깅이 이루어지면 장치 A(600)는 태그(605)에 저장된 제1 서비스 레코드(670) 및 제2 서비스 레코드(680)의 내용을 수신하고 이들 서비스 레코드의 정보 중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가능한 서비스 목록은 예를 들어 서비스 이름 및 해당 서비스에 연관된 정보 중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7의 시스템은 장치 A(700) 및 장치 B(705)를 포함한다.
단계 710에서 장치 A(700)는 애플리케이션1을 실행한다. 단계 715에서 장치 B(705)는 애플리케이션2를 실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이 요구/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2가 요구/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소 차이가 있다.
단계 720에서 장치 A(700)와 장치 B(705) 간의 NFC 태깅이 수행된다.
단계 725에서 장치 A(700)은 요청 메시지(760)를 생성하고 단계 730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760)를 장치 B(705)에게 송신한다. 요청 메시지(760)는 제1 서비스 레코드(762) 및 제2 서비스 레코드(764)를 포함한다. 제1 서비스 레코드(762)는 서비스 이름이 "FTP"로 설정되며 서비스 유형이 요청 유형으로 설정되며 FTP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서비스 레코드(764)는 서비스 이름이 "테더링"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유형이 가능 유형으로 설정되며 테더링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요청 메시지(760)는 장치 A(700)가 FTP 서비스를 요청하며, 테더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735에서 장치 B(705)는 요청 메시지(760)에 상응하는 선택 메시지(응답 메시지)(770)를 생성하고 단계 740에서 장치 B(705)는 생성한 선택 메시지(770)를 장치 A(700)에게 송신한다. 선택 메시지(770)는 제1 서비스 레코드(772) 및 제2 서비스 레코드(774)를 포함한다. 장치 B(705)는 FTP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며,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선호)한다. 그에 따라 제1 서비스 레코드(772)는 서비스 이름이 "FTP"로 설정되며 서비스 유형이 선택 유형으로 설정되며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음을 알리는 지시자("Not Supported")를 포함한다. 해당 지시자는 서비스 정보 TLV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서비스 레코드(774)는 서비스 이름이 "테더링"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유형이 요청 유형으로 설정되며 테더링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745에서 장치 A(700)는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AP)를 켠다. 장치 B(705)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기초로 판단하면, 장치 B(705)는 FTP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며 테더링 서비스를 요청하고 있으므로, 그에 따라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켜는 것이다.
단계 750에서 장치 A(700)는 장치 B(705)에게 선택 메시지(780)를 송신한다. 선택 메시지(780)는 서비스 레코드(782)를 포함하며, 서비스 레코드(78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더링 서비스를 선택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테더링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755에서 연결이 수립되고, 선택의 과정으로 결정된 바와 같이 테더링 서비스가 실행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 협의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서비스 협의 장치는 예를 들어 통신부(810) 및 제어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810)는 NFC 연결 및 NFC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NFC 통신모듈 및 WIFI 연결 및 WIFI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WIFI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통신 모듈 대신 블루투스 연결 및 블루투스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WIFI 통신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82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 따라 서비스 협의 장치가 동작하도록 장치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협의 장치는 터치 센서 및/또는 키 입력부 등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협의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협의 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나타난 장치들(400, 405, 500, 505, 600, 610, 700, 705)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명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협의 장치는 상황에 따라 두 통신 장치 중 어느 한쪽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협의 장치는 서비스 협의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장치 A(400)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없는 경우 장치 B(405)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메시지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고, 각 메시지는 메시지 송수신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하면 충분하다. 이 경우 NFC 태깅은 제1 프로코톨에 따른 디스커버리 또는 감지 과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각 메시지는 각각 요청 유형/가능 유형 및 선택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 유형의 특징은 서비스 레코드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 및 도 3과 같은 필드를 가지지 않더라도 각 메시지가 요청 유형/가능 유형 및 선택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술한 과정에 따르면 서비스 협의 장치는 NFC 태깅 후 적절히 NFC 통신을 수행하여 후속 연결(WIFI/블루투스 연결) 이후에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요청 타입, 설정 타입 및 가능 타입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협의 장치는 후속 연결(WIFI/블루투스 연결) 이후에 실행 가능한 서비스가 없는 경우 WIFI/블루투스 연결을 회피하여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정은 자동적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NFC를 통한 WIFI 연결 이후에 별도의 서비스 실행을 수동으로 진행하는 불편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1차적 연결 프로토콜로서 NFC의 예를 들고, 2차적 연결 프로토콜로서 와이파이/블루투스의 예를 들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적 연결을 위해 1차적 연결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장치의 서비스 협의 방법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에게, 상기 장치가 제1 서비스를 요청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관한 제1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상대 장치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선택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장치가 제2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서비스에 관한 제2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에게 상기 제2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상대 장치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제2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2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협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서비스에 관한 추가적 정보를 상기 상대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추가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협의 방법.
  4. 장치의 서비스 협의 방법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대 장치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지시하는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지시하는 가능 지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가능 지시 정보 및 상기 장치가 요청하거나 지원하는 서비스에 기반하여 서비스 수행이 결정되면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연결을 수립한 뒤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수행이 결정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상대 장치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감지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중 상기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방법.
  6. 서비스 협의 장치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에게, 상기 장치가 제1 서비스를 요청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관한 제1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상대 장치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선택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장치가 제2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서비스에 관한 제2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서비스를 요청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에게 상기 제2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상대 장치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제2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2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서비스에 관한 추가적 정보를 상기 상대 장치에게 송신하는 기능 및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추가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제1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장치.
  9. 서비스 협의 장치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대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대 장치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지시하는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지시하는 가능 지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요청 지시 정보 및 상기 가능 지시 정보 및 상기 장치가 요청하거나 지원하는 서비스에 기반하여 서비스 수행이 결정되면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상대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연결을 수립한 뒤 상기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수행이 결정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는 제2 프로토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해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상대 장치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감지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상대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중 상기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협의 장치.
KR1020130076641A 2013-07-01 2013-07-01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KR10214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641A KR102148696B1 (ko) 2013-07-01 2013-07-01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US14/317,725 US10271358B2 (en) 2013-07-01 2014-06-27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negotiation
PCT/KR2014/005863 WO2015002441A1 (en) 2013-07-01 2014-07-01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negotiation
EP14819327.9A EP3017628B1 (en) 2013-07-01 2014-07-01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negoti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641A KR102148696B1 (ko) 2013-07-01 2013-07-01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88A true KR20150003588A (ko) 2015-01-09
KR102148696B1 KR102148696B1 (ko) 2020-08-27

Family

ID=5211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641A KR102148696B1 (ko) 2013-07-01 2013-07-01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71358B2 (ko)
EP (1) EP3017628B1 (ko)
KR (1) KR102148696B1 (ko)
WO (1) WO2015002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1330B2 (ja) * 2014-07-23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91342B2 (ja) * 2014-07-23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6452379B2 (ja) * 2014-10-22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12875B2 (ja) * 2015-03-10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1385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Peer-to-peer host station
WO2011105695A2 (ko) * 2010-02-26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US20110275316A1 (en) * 2010-05-10 2011-11-10 Nokia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connection setup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WO2012170051A2 (en) * 2011-06-10 2012-12-13 Qualcomm Atheros, Inc.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wireless connection establishment
US20130005263A1 (en) 2011-06-30 2013-01-03 Denso Corpora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052B2 (en) 2002-03-26 2005-05-10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US7613426B2 (en) 2005-12-20 2009-11-03 Microsoft Corporation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KR101345136B1 (ko) 2007-09-19 2013-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전달/공유 방법 및 그 장치
US7970350B2 (en) * 2007-10-31 2011-06-28 Motorola Mobilit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sharing
US8825873B2 (en) 2010-03-01 2014-09-02 Apple Inc. Using a service discovery request to find available devices
US8812657B2 (en) * 2010-04-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KR101731844B1 (ko) * 2010-05-14 2017-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584988B2 (en) * 2013-03-07 2017-02-28 Intel Deutschland Gmbh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processing a paging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1385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Peer-to-peer host station
WO2011105695A2 (ko) * 2010-02-26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US20110275316A1 (en) * 2010-05-10 2011-11-10 Nokia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connection setup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WO2012170051A2 (en) * 2011-06-10 2012-12-13 Qualcomm Atheros, Inc.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wireless connection establishment
US20130005263A1 (en) 2011-06-30 2013-01-03 Denso Corpora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71358B2 (en) 2019-04-23
KR102148696B1 (ko) 2020-08-27
US20150004908A1 (en) 2015-01-01
EP3017628B1 (en) 2022-04-06
EP3017628A1 (en) 2016-05-11
EP3017628A4 (en) 2017-01-25
WO2015002441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0888B1 (en) Wireless connection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EP3484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5679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EP26322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y using NFC
US94258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7554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device information on a wireless device supporting Wi-Fi Direct and Bluetooth communication
US987212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702857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with other electronic device
JP4805739B2 (ja) 近距離無線通信端末及びセキュリティレベル設定方法
JP6360316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7617A (ko) 무선 통신 단말 및 이를 무선 직접 접속 통신 그룹의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90342933A1 (en) Communica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Terminal
EP320048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obile services outside of cellular coverage
EP280661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docking oper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iversal plug and play protocol
CN106028266B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201154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 information i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
US10250732B2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
US1094519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P list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O201600976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JP2020501451A (ja) ホットスポット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デバイス
KR102148696B1 (ko)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JP2015144402A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EP3070909B1 (en) Synchronization of an apparatus with two groups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exchange of data
KR20140119917A (ko)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JP2016025578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